KR101195508B1 -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08B1
KR101195508B1 KR1020110115024A KR20110115024A KR101195508B1 KR 101195508 B1 KR101195508 B1 KR 101195508B1 KR 1020110115024 A KR1020110115024 A KR 1020110115024A KR 20110115024 A KR20110115024 A KR 20110115024A KR 101195508 B1 KR101195508 B1 KR 101195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ush
container
solu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11011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08B1/ko
Priority to PCT/KR2011/008658 priority patent/WO20130698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9Caps or covers f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는, 내부에 용액이 주입되고 상부에 체결구가 구비된 용기; 다발의 섬유로 구성된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필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브러시 묶음판을 포함하는 도포부; 상기 필터공을 통하여 상기 브러시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를 고정시키는 필터홀더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부에 개구된 위치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들캡; 상기 미들캡과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포부가 내삽되는 이너캡;을 포함하되, 상기 이너캡은, 상기 미들캡에 내삽되는 상부관, 상기 용기에 내삽되는 하부관, 및 상기 상부관 및 하부관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에는 상기 상부관을 관통하는 절개면 및, 상기 상부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인 용액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에는 상기 필터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용기를 가압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액을 브러시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용액도포장치{ONE-TOUCH LIQUID SPREADER}
본 발명은 용액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가압하지 않아도 브러시 측으로 용액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용액을 유동시키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 등에서 화공약품을 도포하거나, 유아가 완구용으로 물감 등을 도포하거나, 화장품용 용액을 피부 등에 도포하는 경우, 피도포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용액이 원활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붓과 같은 도포구를 사용하였다. 즉, 용액 등에 도포구를 넣어 도포구에 묻은 용액을 피도포체에 바르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포구를 용액 내에 직접 넣어 사용하는 경우, 용액이 담긴 용기를 계속 개방한 상태에서 도포구의 유입과 배출을 반복되는 과정에서 용액이 공기와 계속해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용액이 변질되거나 증발하게 된다. 게다가 피도포체에 지속적으로 용액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에 피도포체에 용액을 도포할 때와 용액에 담그기 직전에 용액을 도포할 때의 용액 도포량이 상이하여 피도포체를 균일한 양으로 도포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포구와 용액이 담긴 용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용액도포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액도포기의 경우, 용액이 도포구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포구에 의해 용기의 상부가 막혀있기 때문에 도포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용액을 빨아올리는 속도가 느릴 경우 피도포체에 용액을 원활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되었고, 이러한 속도를 빠르게 조정하기 위해서 용기를 가압하거나 용기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가압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거나 과도하게 체적을 감소시키는 경우, 오히려 용액이 도포구에 과도하게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피도포체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를 외부에서 가압하지 않아도 용액이 일정한 양으로 피도포체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용액도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를 가압하지 않아도 용액을 원활하게 유동시켜 지속적으로 일정양의 용액을 브러시에 제공할 수 있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용액이 주입되고 상부에 체결구가 구비된 용기;
다발의 섬유로 구성된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필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브러시 묶음판을 포함하는 도포부;
상기 필터공을 통하여 상기 브러시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를 고정시키는 필터홀더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부에 개구된 위치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들캡;
상기 미들캡과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포부가 내삽되는 이너캡;을 포함하되,
상기 이너캡은, 상기 미들캡에 내삽되는 상부관, 상기 용기에 내삽되는 하부관, 및 상기 상부관 및 하부관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에는 상기 상부관을 관통하는 절개면 및, 상기 상부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인 용액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에는 상기 필터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캡의 상기 상부관에는, 상기 미들캡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관 외주면에 이격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용기의 상기 체결구 내경보다 외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PBT 나일론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면은 상기 상부관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홀더는
상기 필터가 내삽되는 필터체결관,
상기 필터체결관과 동심이며, 상기 필터체결관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탄성관, 및
상기 필터체결관 및 상기 탄성관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체결관에는, 상기 이너캡과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체결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용액안내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캡의 하부관에는 공기유동공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캡은 상기 용기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이너캡과 맞닿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캡의 상기 본체에는 공기유동공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가압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액을 브러시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고, 지속적으로 일정양의 용액을 브러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피도포체에 균일한 양의 용액을 도포하여 양품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는, 내부에 용액이 주입되고 상부에 체결구(112)가 구비된 용기(110);
다발의 섬유로 구성된 브러시(132), 및 상기 브러시(13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필터공(13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132)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브러시(132) 묶음판(134)을 포함하는 도포부(130);
상기 필터공(136)을 통하여 상기 브러시(132)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122)본체 및 상기 필터(122)본체를 고정시키는 필터홀더(124)를 포함하는 필터부(120);
상부에 개구된 위치로 상기 브러시(132)가 노출되고,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들캡(150);
상기 미들캡(150)과 상기 용기(11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포부(130)가 내삽되는 이너캡(140);을 포함하되,
상기 이너캡(140)은, 상기 미들캡(150)에 내삽되는 상부관(142), 상기 용기(110)에 내삽되는 하부관(144), 및 상기 상부관(142) 및 하부관(144)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14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142)에는 상기 상부관(142)을 관통하는 절개면(142a) 및, 상기 상부관(142)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인 용액유동로(142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144)에는 상기 필터부(12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122)는 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용기(110) 내의 용액을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필터(122)가 내측에 삽입되는 도포부(130)는 브러시(132)가 일반적인 형광펜 등의 수지 펜촉과 달리 섬유가 한 가닥씩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을 도포할 때 피도포체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수지펜촉의 경우, 용액을 도포할 때 피도포체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해야만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132)의 경우 각각의 섬유가 피도포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극히 미세하여 그 가압정도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32)로 피도포체에 용액을 도포할 경우, 피도포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브러시(132)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PBT 나일론, 즉, 폴리부틸렌 텔레프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PBT 타일론은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섬유의 형상을 고르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브러시(132)의 하단에 결합되는 묶음판(134)은 이너캡(140) 내에서의 도포부(130)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이때, 묶음판(134)은 브러시(132)와 별개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PBT 나일론으로 브러시(132)가 형성될 경우, 브러시(132)의 하단부를 열가공한 뒤, 이를 성형함으로서, 묶음판(1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접착성분을 묶음판(134)에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용액이 도포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PBT 나일론의 경우, 일반적인 나일론에 비해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묶음판(134) 및 브러시(132)에 기계적 응력이 고르게 분포된다. 또한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나일론에 비해 제조 공정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PBT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물성이 균일한 도포부(130)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홀더(124)에 고정된 필터(122)는 필터홀더(124)를 도포부(130) 장착관에 결합시킬 때, 걸림턱의 중심에 형성된 필터공(136)을 통과하면서 상기 브러시(132)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필터(122)를 브러시(132) 내에 구비하면, 용액도포기를 세워놓더라도 필터(122)에 함유되어 있는 용액이 계속 브러시(132) 내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브러시(132)가 용액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필터(122)가 도포부(130)의 내측에 길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122)가 도포부(130)의 하단부에만 구비된 경우보다, 브러시(132)의 상단까지 용이하게 용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 사용시에는 마개(120)를 용기(110)와 체결시킴으로써, 용액이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워서 보관시 도포부(130) 및 필터(122)가 용액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기(110)가 완전히 개구되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110)에 형성되는 체결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용기(110) 외주면에 형성되어 미들캡(150)과 체결될 수도 있고 돌출구를 구비하여 미들캡(150)을 용기(1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외관상으로 살펴보면 마개(120)를 열었을 때 용기(110)의 상부에 미들캡(150)이 체결된 형상의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너캡(140)의 경우, 상부관(142)은 미들캡(150) 내에 위치하고 하부관(144)은 용기(110) 내에 위치하도록 체결시킴으로써,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사용시에 하부관(144)을 통하여 장착된 도포부(130) 및 필터부(120)가 용액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너캡(140)의, 고정구(146)는, 상기 용기(110)의 상기 체결구(112)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관(142)은 미들캡(150)과 접촉하면서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구(146)가 용기(110) 내로 삽입되지 않고 그 상부에 걸쳐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너캡(140)의 하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고정구(146)의 외주면이 미들캡(150) 내주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이너캡(140)의 수평방향 이동 역시 제한할 수 있다. 즉, 고정구(146)의 외주면 일측이 미들캡(150)과 접함과 동시에 그 외경을 용기(110) 상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도 이너캡(140)의 상하방향 이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이동까지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미들캡(150)은 상기 용기(110)와 체결되는 체결부(152) 및 상기 이너캡(140)과 맞닿는 본체(15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미들캡(150)의 본체(154)와 이너캡(140)의 하부관(144)에는 각각 공기유동공(144h, 154h)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들캡(150)의 본체(154)와 이너캡(140)의 하부관(144)에 각각 형성된 공기유동공(144h, 154h)은, 용액이 도포부(130)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 도포부(130) 측에 남아있던 용액이 흘러넘치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용액의 경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용기(110) 내의 압력이 변화할 수 있는데, 도포부(130)에 용액이 잔류한 상태에서 용기(110) 내의 공기가 압력에 의해 배출되면 그 과정에서 도포부(130)의 용액이 밖으로 흘러넘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부(130) 내의 용액이 용기(11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거나, 용기(110) 내의 압력 차에 의해 팽창하는 공기가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미들캡(150)의 본체(154)에 공기유동공(154h)을 천공할 경우, 이너캡(140) 내로 외부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여기서 용기(110)에는 마개(120)의 하단부 체결위치에 고무링(114)을 구비함으로써, 마개(120)가 용기(110)에 체결될 시에 외부 공기가 브러시(132)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미사용시에 마개(120)를 용기(110)에 체결함으로써, 용액의 증발을 막을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브러시(132)는 하부관(144)을 통해 상부관(142)의 상단부에 개구된 위치로 브러시(132)의 첨단(尖端)이 돌출된다. 이때 브러시(132)는 하부관(144)에 끼움 장착되는 필터부(120)에 의해 내부캡 내에서 고정된다. 필터부(120)는 필터(122)와 필터홀더(124)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필터홀더(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22)가 내삽되는 필터체결관(124 c),
상기 필터체결관(124 c)과 동심이며, 상기 필터체결관(124 c)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탄성관(124d), 및
상기 필터체결관(124 c) 및 상기 탄성관(124d)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124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극에 의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이 구비된 필터체결관(124 c) 및 탄성관(124d)에 탄성이 부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체결관(124 c)의 경우, 필터체결관(124 c)의 내주면에 필터(122)가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필터체결관(124 c) 내경이 필터(12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22)를 파지할 때 필터체결관(124 c)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필터체결관(124 c) 및 탄성관(124d)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량이 흡수되어 탄성관(124d)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터홀더(124)를 하부관(144)에 끼울 때 탄성관(124d)의 외경보다 하부관(144)의 내경을 약간 작게 형성하여 탄성관(124d)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너캡(140)의 하부관(14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역시 탄성관(124d)의 수축 변형이 공극으로 흡수되면서 필터체결관(124 c)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필터홀더(124)가 각각 필터(122) 및 이너캡(140)과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도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연결관(124e)은 그 외경을 탄성관(124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필터홀더(124)가 하부관(144)에 삽입될 때 상부 이동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연결관(124e)이 하부관(144)의 하단부와 맞닿게 되면서 탄성관(124d)이 하부관(144) 내에서 더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체결관(124 c)에는, 상기 이너캡(14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체결관(124 c)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용액안내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홀더(124)는 하부관(144)의 하부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1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는, 내부에 용액이 주입되고 상부에 체결구(112)가 구비된 용기(110);
다발의 섬유로 구성된 브러시(132), 및 상기 브러시(13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필터공(13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132)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브러시(132) 묶음판(134)을 포함하는 도포부(130);
상기 필터공(136)을 통하여 상기 브러시(132)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122)본체 및 상기 필터(122)본체를 고정시키는 필터홀더(124)를 포함하는 필터부(120);
상부에 개구된 위치로 상기 브러시(132)가 노출되고,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들캡(150);
상기 미들캡(150)과 상기 용기(11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포부(130)가 내삽되는 이너캡(140);을 포함하되,
상기 이너캡(140)은, 상기 미들캡(150)에 내삽되는 상부관(142), 상기 용기(110)에 내삽되는 하부관(144), 및 상기 상부관(142) 및 하부관(144)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14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142)에는 상기 상부관(142)을 관통하는 절개면(142a) 및, 상기 상부관(142)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인 용액유동로(142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144)에는 상기 필터부(12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122)는 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용기(110) 내의 용액을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필터(122)가 내측에 삽입되는 도포부(130)는 브러시(132)가 일반적인 형광펜 등의 수지 펜촉과 달리 섬유가 한 가닥씩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을 도포할 때 피도포체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수지펜촉의 경우, 용액을 도포할 때 피도포체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해야만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132)의 경우 각각의 섬유가 피도포체를 가압하는 압력은 극히 미세하여 그 가압정도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32)로 피도포체에 용액을 도포할 경우, 피도포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브러시(132)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PBT 나일론, 즉, 폴리부틸렌 텔레프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PBT 타일론은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섬유의 형상을 고르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브러시(132)의 하단에 결합되는 묶음판(134)은 이너캡(140) 내에서의 도포부(130)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이때, 묶음판(134)은 브러시(132)와 별개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PBT 나일론으로 브러시(132)가 형성될 경우, 브러시(132)의 하단부를 열가공한 뒤, 이를 성형함으로서, 묶음판(1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접착성분을 묶음판(134)에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용액이 도포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PBT 나일론의 경우, 일반적인 나일론에 비해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묶음판(134) 및 브러시(132)에 기계적 응력이 고르게 분포된다. 또한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나일론에 비해 제조 공정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PBT 나일론을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물성이 균일한 도포부(130)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홀더(124)에 고정된 필터(122)는 필터홀더(124)를 도포부(130) 장착관에 결합시킬 때, 걸림턱의 중심에 형성된 필터공(136)을 통과하면서 상기 브러시(132)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필터(122)를 브러시(132) 내에 구비하면, 용액도포기를 세워놓더라도 필터(122)에 함유되어 있는 용액이 계속 브러시(132) 내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브러시(132)가 용액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필터(122)가 도포부(130)의 내측에 길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122)가 도포부(130)의 하단부에만 구비된 경우보다, 브러시(132)의 상단까지 용이하게 용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 사용시에는 마개(120)를 용기(110)와 체결시킴으로써, 용액이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워서 보관시 도포부(130) 및 필터(122)가 용액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기(110)가 완전히 개구되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110)에 형성되는 체결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용기(110) 외주면에 형성되어 미들캡(150)과 체결될 수도 있고 돌출구를 구비하여 미들캡(150)을 용기(1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외관상으로 살펴보면 마개(120)를 열었을 때 용기(110)의 상부에 미들캡(150)이 체결된 형상의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너캡(140)의 경우, 상부관(142)은 미들캡(150) 내에 위치하고 하부관(144)은 용기(110) 내에 위치하도록 체결시킴으로써,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사용시에 하부관(144)을 통하여 장착된 도포부(130) 및 필터부(120)가 용액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너캡(140)의, 고정구(146)는, 상기 용기(110)의 상기 체결구(112) 내경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관(142)은 미들캡(150)과 접촉하면서 상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구(146)가 용기(110) 내로 삽입되지 않고 그 상부에 걸쳐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너캡(140)의 하부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고정구(146)의 외주면이 미들캡(150) 내주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이너캡(140)의 수평방향 이동 역시 제한할 수 있다. 즉, 고정구(146)의 외주면 일측이 미들캡(150)과 접함과 동시에 그 외경을 용기(110) 상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도 이너캡(140)의 상하방향 이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이동까지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10)에는 마개(120)의 하단부 체결위치에 고무링(114)을 구비함으로써, 마개(120)가 용기(110)에 체결될 시에 외부 공기가 브러시(132)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미사용시에 마개(120)를 용기(110)에 체결함으로써, 용액의 증발을 막을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브러시(132)는 하부관(144)을 통해 상부관(142)의 상단부에 개구된 위치로 브러시(132)의 첨단(尖端)이 돌출된다. 이때 브러시(132)는 하부관(144)에 끼움 장착되는 필터부(120)에 의해 내부캡 내에서 고정된다. 필터부(120)는 필터(122)와 필터홀더(124)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필터홀더(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22)가 내삽되는 필터체결관(124 c),
상기 필터체결관(124 c)과 동심이며, 상기 필터체결관(124 c)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탄성관(124d), 및
상기 필터체결관(124 c) 및 상기 탄성관(124d)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124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극에 의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이 구비된 필터체결관(124 c) 및 탄성관(124d)에 탄성이 부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체결관(124 c)의 경우, 필터체결관(124 c)의 내주면에 필터(122)가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필터체결관(124 c) 내경이 필터(12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22)를 파지할 때 필터체결관(124 c)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필터체결관(124 c) 및 탄성관(124d)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량이 흡수되어 탄성관(124d)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터홀더(124)를 하부관(144)에 끼울 때 탄성관(124d)의 외경보다 하부관(144)의 내경을 약간 작게 형성하여 탄성관(124d)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너캡(140)의 하부관(14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역시 탄성관(124d)의 수축 변형이 공극으로 흡수되면서 필터체결관(124 c)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필터홀더(124)가 각각 필터(122) 및 이너캡(140)과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도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필터체결관(124 c)과 탄성관(124d)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연결관(124e)은 그 외경을 탄성관(124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필터홀더(124)가 하부관(144)에 삽입될 때 상부 이동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연결관(124e)이 하부관(144)의 하단부와 맞닿게 되면서 탄성관(124d)이 하부관(144) 내에서 더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체결관(124 c)에는, 상기 이너캡(14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체결관(124 c)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용액안내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홀더(124)는 하부관(144)의 하부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1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경우 용액이 용액안내홈(124b)을 따라 이너캡(14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용액안내홈(124b)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24e) 상부까지 연결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이 이너캡(140)까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A-A' 및, B-B'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너캡(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부관(142)부터 하부관(144)에 이르기까지 복수개의 용액유동로(142b)가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너캡(140)의 상부관(142)에는, 상부관(142)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절개면(142a)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캡(140)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평면형상으로 한 쌍의 절개면(142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관(142)에 절개면(142a)을 형성할 경우, 절개면(142a)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기때문에 사용되는 용액의 양만큼 용기(110)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110) 내에서 용액의 배출이 용이하다. 따라서, 용액이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유동로(142b)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면(142a)이 형성된 내주면에도 동일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브러시(132)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절개면(142a)이 형성되더라도 브러시(132)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10) 내에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110)를 별도로 가압할 필요없이 용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관(142)의 외주면에는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이격구(142c)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이 접촉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지만,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격된 틈으로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들캡(150)의 개구된 위치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이너캡(140)의 상부관(142)에 절개면(142a)을 형성해야만 용액이 원활하게 브러시(132)로 공급될 수 있다.
사용하기 위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경우 용액이 용액안내홈(124b)을 따라 이너캡(14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용액안내홈(124b)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24e) 상부까지 연결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액이 이너캡(140)까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A-A' 및, B-B'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너캡(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부관(142)부터 하부관(144)에 이르기까지 복수개의 용액유동로(142b)가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너캡(140)의 상부관(142)에는, 상부관(142)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절개면(142a)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캡(140)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평면형상으로 한 쌍의 절개면(142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관(142)에 절개면(142a)을 형성할 경우, 절개면(142a)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기때문에 사용되는 용액의 양만큼 용기(110)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110) 내에서 용액의 배출이 용이하다. 따라서, 용액이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유동로(142b)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면(142a)이 형성된 내주면에도 동일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브러시(132)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절개면(142a)이 형성되더라도 브러시(132)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10) 내에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110)를 별도로 가압할 필요없이 용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관(142)의 외주면에는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이격구(142c)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이 접촉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지만, 미들캡(150)과 이너캡(140)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격된 틈으로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들캡(150)의 개구된 위치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이너캡(140)의 상부관(142)에 절개면(142a)을 형성해야만 용액이 원활하게 브러시(13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용액도포장치는, 실제 사용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반전된다. 따라서, 용액(L)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쏠리게 되면서 필터(122)와 용액안내홈(124b)으로 이동하게 된다. 필터(122)에 흡입된 용액(L)은 브러시(132)의 내부에 흡입되고, 용액안내홈(124b)을 따라 이동한 용액(L)은 내부캡의 용액유동로(142b)를 따라 브러시(132)의 외부에 흡입된다. 이때 브러시(132) 및 필터(122)에 흡입되는 용액(L)의 양만큼 용기(110) 내부가 공기로 채워져야 용액(L)이 더욱 원활하게 브러시(13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미들캡(150)의 개구 위치에서는 이격구(142c)에 의해 이격된 미들캡(150)과 내부캡의 틈 사이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절개면(142a)을 따라 내부캡 안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필터부(120)를 통과해 용기(110) 내로 유입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액(L)의 줄어든 부피만큼 용기(110)의 체적을 변화시키거나 용액(L)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용기(110)를 눌러주지 않아도 용기(110)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용액(L)이 원활하게 유동되면서도 용액(L)이 새거나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용기 112: 체결구
114: 고무링 120: 필터부
122: 필터 124: 필터 홀더
124a: 내주면 124b: 용액안내홈
124c: 필터체결관 124d: 탄성관
124e: 연결관 130: 도포부
132: 브러시 134: 묶음판
136: 필터공 140: 이너캡
142: 상부관 142a: 절개면
142b: 용액유동로 142c: 이격구
144: 하부관 146: 고정구
150: 미들캡 160: 마개

Claims (9)

  1. 내부에 용액이 주입되고 상부에 체결구가 구비된 용기;
    다발의 섬유로 구성된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필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브러시 묶음판을 포함하는 도포부;
    상기 필터공을 통하여 상기 브러시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를 고정시키는 필터홀더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부에 개구된 위치로 상기 브러시가 노출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들캡;
    상기 미들캡과 상기 용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포부가 내삽되는 이너캡;을 포함하되,
    상기 이너캡은, 상기 미들캡에 내삽되는 상부관, 상기 용기에 내삽되는 하부관, 및 상기 상부관 및 하부관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에는 상기 상부관을 관통하는 절개면 및, 상기 상부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인 용액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에는 상기 필터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의 상기 상부관에는, 상기 미들캡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관 외주면에 이격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용기의 상기 체결구 내경보다 외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PBT 나일론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상기 상부관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는
    상기 필터가 내삽되는 필터체결관,
    상기 필터체결관과 동심이며, 상기 필터체결관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탄성관, 및
    상기 필터체결관 및 상기 탄성관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결관에는, 상기 이너캡과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체결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용액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의 하부관에는 공기유동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캡은 상기 용기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이너캡과 맞닿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캡의 상기 본체에는 공기유동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KR1020110115024A 2011-11-07 2011-11-07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KR10119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24A KR101195508B1 (ko) 2011-11-07 2011-11-07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PCT/KR2011/008658 WO2013069840A1 (ko) 2011-11-07 2011-11-14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24A KR101195508B1 (ko) 2011-11-07 2011-11-07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508B1 true KR101195508B1 (ko) 2012-10-30

Family

ID=4728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024A KR101195508B1 (ko) 2011-11-07 2011-11-07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5508B1 (ko)
WO (1) WO2013069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164B (en) * 2016-07-11 2019-04-17 Pullinger Mark A dispenser for gas leak detection flu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15A (en) 1896-03-10 Pipe connection for water-closet bow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9865C2 (de) * 1995-08-14 2002-02-28 Kaufmann R Dataprint Gerät zum Auftragen von Flüssigkeiten auf eine Unterlage mittels eines Auftragselements
KR200350232Y1 (ko) * 2004-01-09 2004-05-13 삼성종합부라쉬 주식회사 화장용 브러쉬
KR100725583B1 (ko) * 2004-12-27 2007-06-08 변영광 액상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15A (en) 1896-03-10 Pipe connection for water-closet bow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9840A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312B2 (en) Needle-equipped syringe barrel and needle-equipped syringe
US7581544B2 (en) Applicator and a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JP4257860B2 (ja) 化粧材の塗布具
US9955770B2 (en) Flocked applicator
JP2018515261A (ja) 化粧用アプリケータ
US11490712B2 (en) Cosmetic applicator
KR20200075866A (ko) 화장품 도포구
AR043131A1 (es) Maquina para inyectar liquidos
US20070251537A1 (en) Product application device
CN105228485A (zh) 包括按摩元件的化妆品涂敷器
KR101195508B1 (ko) 원터치 용액도포장치
US20200276429A1 (en) Tattoo needle tip with a capillary ink reservoir and combined device thereof
KR20120024782A (ko) 도포장치, 도포구, 도포방법 및 막 형성액
KR101995648B1 (ko) 아이 라이너를 포장 및 도포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190078248A1 (en) Apparatus, method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KR20170011580A (ko) 경피 전달 마이크로 니들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9903B1 (ko) 액체공급기능을 갖는 니들 어댑터
US20170318936A1 (en) Cosmetic product article comprising a stamp
CN111558508A (zh) 用于施涂液体的装置
KR200452382Y1 (ko)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KR101883256B1 (ko) 방향제 흡입코어 분리형 방향용기 마개체 제조방법
KR101279096B1 (ko) 용액도포기
WO2021109006A1 (zh) 药液导入头及促渗仪
KR102369629B1 (ko) 롤투롤을 활용한 바이오칩 제작 시스템
KR100844865B1 (ko) 수액 팩의 밀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