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10B1 -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 Google Patents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10B1
KR101193310B1 KR1020120027113A KR20120027113A KR101193310B1 KR 101193310 B1 KR101193310 B1 KR 101193310B1 KR 1020120027113 A KR1020120027113 A KR 1020120027113A KR 20120027113 A KR20120027113 A KR 20120027113A KR 101193310 B1 KR101193310 B1 KR 10119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user
display
button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규
김진복
한태윤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10B1/ko
Priority to PCT/KR2013/000386 priority patent/WO20131375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가 개시된다.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기기에서 수행되고, 개별 키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표시자로 옮겨놓은 후, 표시자로 옮겨진 개별 키를 기기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METHOD AND APPRATUS FOR AUTHENTICATION OF USER USING 3-DIMENSIONAL DISPLAY}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많은 정보 기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최근 휴대전화는 물론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무인 승차권 발매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장치들이 많아졌다. 또한, 다양한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패스워드(Password) 및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PIN)를 입력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패스워드나 PIN은 사용자 인증시 공격자의 엿보기 공격에 취약하며, 특히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손자국 흔적에 의해 패스워드를 복원하는 스머지 공격에도 취약하다.
엿보기 공격이나 스머지 공격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정보 입력 과정을 관찰하더라도 관찰자가 입력되는 정보가 무엇인지 알 수 없게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단말기에서 화면 터치 동작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증하는 방법은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기기에서 수행되고, 개별 키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는 한 후, 개별 키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바리케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표시자로 옮겨놓은 후, 표시자로 옮겨진 개별 키를 기기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개별 키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바리케이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표시자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장 튀어나와 보이는 위치를 말하며 표시자의 위치는 매 키 입력시마다 랜덤하게 바뀌고,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표시자는 정해진 사용자만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별 키는 순환 가능한 선형 배열로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며, 방향성을 갖는 버튼 조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키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기의 화면에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튼의 조작 상태에서 상기 개별 숫자나 문자 또는 특수기호가 3차원으로 보여지고, 디스플레이 버튼의 비조작 상태에서 개별 키가 2차원으로 보여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기는 디스플레이 버튼의 이전 조작시의 표시자의 위치를 저장하고, 다시 디스플레이 버튼이 조작되기 전에는 저장된 위치를 표시자로 간주하여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할 시에 표시자의 위치를 이전 조작시의 표시자 위치와 다른 위치로 랜덤하게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기에 있어서,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기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개별 키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개별 키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바리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표시자로 옮겨놓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개별 키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바리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자로 옮겨진 개별 키를 상기 기기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기기가 제공된다.
개인 정보 노출에 취약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3차원 디스플레이를 통한 화면 터치 동작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과정을 관찰하여도 입력되는 정보가 무엇인지 알 수 없으므로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의 기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기기를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본 사용자 인증 방법은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기기에서 수행된다.
먼저 단계(101)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은 개별 키(201)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한다. 3차원 깊이를 부여하는 것은 예컨대 도 2와 같은 평범한 화면을 사용자가 3D 안경으로 보게 될 때, 도 3과 같이 개별 키(201)의 배열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의미한다.
개별 키(201)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개별 키를 이동 시키게 될 최종 목적지인 표시자(301)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표시자(301)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장 튀어나와 보이는 위치를 말한다. 실제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3차원적으로 화면을 보게 되면 도 3에서 보여지는 대로 개별 키(201) 중 하나의 키만 튀어 나와 보임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표시자(301)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표시자(301)가 정해진 사용자에게만 인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하더라도 어떤 키를 입력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이 표시자(301)의 위치는 매 키를 입력 할 때마다 랜덤하게 이동하게 되므로 관찰자는 사용자의 인증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도 3은 화면의 하단 가운데에 위치한 숫자 7이 사용자 쪽으로 가장 튀어나와 보이는 예이다. 이때, 숫자 7이 아니라 7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 표시자인 것이다. 왼쪽 버튼(202) 및 오른쪽 버튼(203)에 의해 숫자를 이동하더라도 가장 튀어나와 보이는 위치는 변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왼쪽 버튼(202)을 1회 누른 뒤에는 화면 하단 가운데 새로 위치하는 숫자 8이 가장 튀어나와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개별 키(201)를 수 회 이동시킨 후 본인이 입력을 원하는 키가 화면 상의 가장 튀어나와 보이는 위치에 옮겨지면 해당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개별 키(201)와 왼쪽 버튼(202) 및 오른쪽 버튼(203), 그리고 일시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버튼(204)과 키를 입력하는 입력(Enter) 버튼(205)이 제공된다. 개별 키(201)는 선형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키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금고 등에서 많이 이용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선형 배열을 가진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순환하는 형태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개별 키(201)의 각자 위치를 살피면 일관된 형태로 배열되어있지 않다.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3차원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는 관찰자가 3차원 영상을 볼 경우, 즉 예를 들어 안경을 이용한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안경 없이 화면을 볼 경우, 원래 위치보다 이동된 위치의 물체를 보게 될 수 있다. 3차원의 깊이 정보에 따라 물체가 이동되는 정도가 다른데, 가장 튀어나와 보여야 하는 부분과 가장 들어가 보여야 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이동되는 정도가 가장 심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는 개별 키(201) 중 배열된 위치에서 가장 많이 벗어난 숫자를 찾음으로써 3차원 정보를 일부 무력화시켜 개인 정보를 유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개별 키(201)를 각자 키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랜덤하게 쉬프트시킴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
실제 인증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버튼(204)의 조작 상태에서 개별 키가 3차원으로 보여지고, 디스플레이 버튼(204)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개별 키가 2차원으로 보여진다. 기기에서는 디스플레이 버튼(204)의 이전 조작시의 표시자(301)의 위치를 저장하고, 다시 디스플레이 버튼(204)이 조작되기 전에는 저장된 위치를 표시자(301)로 간주한다.
디스플레이 버튼(204)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되는 버튼으로, 표시자(301)의 위치를 이전 조작시의 표시자(301) 위치와 다른 위치로 랜덤하게 바꾸어 표시하는 버튼이다.
이러한 3차원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편광 안경을 이용하는 방법, 셔터 안경을 이용하는 방법,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단계(10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표시자로 옮겨놓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왼쪽 버튼(202)와 오른쪽 버튼(203)을 이용하여 개별 키 이동이 가능하다.
입력하고자 하는 키를 이동시키기 위해 오른쪽 버튼(203)을 누르게 되면 오른쪽으로 한 칸, 왼쪽 버튼(202)을 누르게 되면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방법은 버튼을 통해서만 회전이 가능하고 연속적 누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01234 56789' 배열에서 왼쪽 버튼(202)을 누르게 되면 키가 한 칸씩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배열은 '12345 67890'으로 바뀌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왼쪽 버튼(202)을 누르게 되면 '23456 78901' 순서로 키가 재배열된다. 이때, 표시자(301)의 위치는 바뀌지 않아 왼쪽 버튼(202)을 한 번 눌렀을 때는 숫자 8의 위치가, 두 번 눌렀을 때는 숫자 9의 위치가 표시자(301) 위치가 된다.
화면에 주어지는 정보를 변경하면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및 특수기호의 입력도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다.
단계(10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표시자(301)로 옮겨진 개별 키(201)를 기기에 입력한다. 도 3에 도시된 입력(Enter) 버튼(205)으로 이동된 키를 기기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 버튼(205)을 한 번 조작할 때 하나의 키가 입력이 되므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키의 수만큼 입력 버튼(205)을 눌러야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입력되기 원하는 키를 이동시킨 후에 입력 버튼(205)을 누르게 되면, 다시 표시자(301)가 랜덤하게 재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가 인증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인증 기기(400)에 있어서, 인증을 실행할 수 있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401)와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부(402)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모리(403)로 구성되어있다.
디스플레이부(4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1)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각적 정보를 획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01)를 통해 실제 인증 단계에 있어 도 1에서의 인증 수행 단계들(101~104)을 프로세서부(402)와 메모리부(403)가 실행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01)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므로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모든 입력은 디스플레이부(401)를 통해 전달된다.
프로세서부(402)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 개별 키(201)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201)를 표시자(301)로 옮기고, 표시자(301)로 옮겨진 개별 키(201)를 기기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인증과정에서 필요한 상기 과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메모리부(403)에 구성이 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화면에서 표시자(301)의 위치는 도 3과 같을 때, 비밀번호 '6789'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려 한다. 먼저 숫자 6을 표시자(301)로 옮기기 위해 오른쪽 버튼(203)을 1번을 누르고 입력 버튼(205)을 누르면 숫자 6에 대해 입력이 완료된다. 숫자 하나가 입력이 되었으므로 표시자(301)의 위치는 랜덤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표시자(301)로 숫자 7을 옮겨서 입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숫자 8과 9도 입력을 하면 이로써 사용자 인증이 완료가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은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메모리부(403)에 구성되어 프로세서부(402)에 의해 실행된다.
삭제
이와 같이, 기존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의 어깨너머로 엿보거나 손자국 흔적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개인 정보를 노출 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엿보거나 손자국 흔적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인증 정보를 알아낼 수 없으므로 안전하다. 또한, 인증 과정이 복잡하지 않아 사용자가 숙지하고 실제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1: 개별 키
202: 왼쪽 버튼
203: 오른쪽 버튼
204: 디스플레이 버튼
205: 입력(Enter) 버튼
301: 표시자
401: 디스플레이부
402: 프로세서부
403: 메모리부

Claims (11)

  1. 3차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기기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기기의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개별 키의 배열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개별 키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기기의 프로세서가, 방향성을 갖는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장 튀어나와 보이거나 가장 들어가 보이는 위치인 표시자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기기의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자로 이동된 개별 키를 상기 사용자 인증 기기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매 입력시마다 랜덤하게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키는 순환 가능한 선형 배열로 상기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키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고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키는 해당 키의 중심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랜덤하게 쉬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화면에는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이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의 조작 상태에서 상기 개별 키가 3차원으로 보여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개별 키가 2차원으로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의 이전 조작시의 상기 표시자의 위치를 저장하고,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이 조작되기 전에는 상기 저장된 위치를 표시자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버튼을 조작할 시에 상기 표시자의 위치를 이전 조작시의 표시자 위치와 다른 위치로 랜덤하게 바꾸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편광 안경을 이용하는 방법, 셔터 안경을 이용하는 방법,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한가지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1.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기에 있어서,
    3차원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기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개별 키의 배열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개별 키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고;
    방향성을 갖는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장 튀어나와 보이거나 가장 들어가 보이는 위치인 표시자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개별 키를 이동시키고;
    상기 표시자로 이동된 개별 키를 상기 기기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기기.
KR1020120027113A 2012-03-16 2012-03-16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KR10119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13A KR101193310B1 (ko) 2012-03-16 2012-03-16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PCT/KR2013/000386 WO2013137555A1 (ko) 2012-03-16 2013-01-18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13A KR101193310B1 (ko) 2012-03-16 2012-03-16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310B1 true KR101193310B1 (ko) 2012-10-19

Family

ID=4728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13A KR101193310B1 (ko) 2012-03-16 2012-03-16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3310B1 (ko)
WO (1) WO20131375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12B1 (ko) * 2013-05-29 2014-1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970A (ja) 2009-04-21 2010-11-11 Sharp Corp 指示入力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20062549A1 (en) 2010-09-14 2012-03-15 Seunghyun Woo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13B1 (ko) * 2006-02-20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다이얼을 이용한 메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20000663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3d 객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970A (ja) 2009-04-21 2010-11-11 Sharp Corp 指示入力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20062549A1 (en) 2010-09-14 2012-03-15 Seunghyun Woo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12B1 (ko) * 2013-05-29 2014-1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555A1 (ko)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7588B (zh) 具有圖形驗證介面的計算裝置
US10013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ata entry using a virtual interface
KR101132368B1 (ko) 비밀번호 키의 이동값을 이용하는 비밀번호 안전 입력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안전 입력 방법
US1111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operated features of input interfaces obfuscating user navigation
US113010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selections
EP3465398B1 (en) Privacy user interactive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active method for protecting privacy
US112099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put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US110865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directed by free-form input
US20150248162A1 (en) Access control method by haptic feedback
KR101122197B1 (ko) 터치 위치 해킹에 의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가상키패드 표시 방법
KR101193310B1 (ko) 3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CZ309308B6 (cs) Způsob zadávání tajné informace do elektronických digitálních zařízení
TWI512536B (zh) 一種具有保密性的輸入方法
KR101189860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및 바리케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기기
KR20180056116A (ko) 순환식 보안 키패드 및 중첩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4408B1 (ko)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e et al. Enhancing the security of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s
KR101393164B1 (ko) 화상 조합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1188016B1 (ko) 진동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
RU2509340C1 (ru)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анных
US20130340091A1 (en) Method of creating ui layouts with desired level of entropy
KR20170094532A (ko) 그래픽 요소를 이용한 보안 키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KR101423868B1 (ko) 스마트폰을 위한 어깨너머 훔쳐보기 공격에 강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
EP3201814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88146A (ko) 그래픽 요소를 이용한 보안 키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