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81B1 -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81B1
KR101192981B1 KR1020120051593A KR20120051593A KR101192981B1 KR 101192981 B1 KR101192981 B1 KR 101192981B1 KR 1020120051593 A KR1020120051593 A KR 1020120051593A KR 20120051593 A KR20120051593 A KR 20120051593A KR 101192981 B1 KR101192981 B1 KR 10119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coating
substrate
layer
polymer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102012005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81B1/ko
Priority to CN201310139479.2A priority patent/CN103426641B/zh
Priority to TW102115019A priority patent/TWI50017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은(Argentum, 이하, "Ag" 라 총칭함)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가 코팅된 배리어층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을 제조하며;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 박막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이 코팅되어 유연한 필름 형태로 적용될 수 있게 플렉시블 금속기판을 적용한 후, 상기 금속층을 이산화티타니아(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으로 코팅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을 코팅한 후, 칼라 유기염료 및 칼라 무기염료를 적용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고;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한 후, 실링 재료로 이중 실링하고,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로 마감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 상에 Ag(202)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203)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제조된 상부전극기판(200)과;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 박막(212)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213)을 코팅하고,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을 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한 후, 칼라 유기염료 및 칼라 무기염료가 적용된 염료층(216)을 형성하여 제조된 하부전극기판(210)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 사이에 주입되는 전해질(220)을 포함하며;상기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과 상기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리어층(204)과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VA, 260)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METAL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은(Argentum, 이하, "Ag" 라 총칭함)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가 코팅된 배리어층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을 제조하며;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SUS: Stainless Use Steel) 박막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이 코팅되어 유연한 필름 형태로 적용될 수 있게 플렉시블 금속기판을 적용한 후, 상기 금속층을 이산화티타니아(이하, "TiO2" 라 총칭함),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으로 코팅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을 코팅한 후, 다양한 칼라 유기염료 및 다양한 칼라 무기염료를 적용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고;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한 후, 실링 재료로 이중 실링하고,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이하, "EVA" 라 총칭함)로 마감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우라늄의 사용은 방사능의 오염 및 핵폐기물 처리 시설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대체 에너지에 대한 요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 전지이다.
태양 전지란 빛이 조사되었을 때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키는 광-흡수 물질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183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Becquerel이 최초로 빛으로 유도된 화학적 반응이 전류를 발생시킨다는 광기전력을 발견하였고, 그 후 셀레늄과 같은 고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발견된 사실에 기인한다. 그후 1954년 Bell 연구소에서 약 6%의 효율을 보인 실리콘계열의 태양전지가 최초로 개발된 이후에 무기 실리콘을 중심으로 태양 전지의 연구가 계속되었다.
이와 같은 무기계 태양 전지 소자는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 반도체의 p-n 접합으로 이루어진다. 태양 전지의 소재로 사용된 실리콘은 크게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 실리콘 계열과 비정질 실리콘 계열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결정 실리콘계열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전환 효율이 비정질 실리콘계열에 비하여 우수하지만 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소용되는 시간과 에너지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실리콘을 대신하여 유기물질의 광기전 현상을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에 대한 연구가 시도된 바 있다. 유기물 광기전 현상이란 유기물질에 빛을 조사하면 광자(Photon)를 흡수하여 전자(Electron)-정공(Hole) 쌍이 생성되어 이를 분리하여 각각 음극 및 양극으로 전달하고 이와 같은 전하의 흐름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즉, 통상적으로 유기계 태양전지에 있어서 도너(Electron Donor)와 억셉터(Electron Acceptor) 물질의 접합구조로 이루어진 유기물질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도너에서 전자-정공쌍이 형성되고 억셉터로 전자가 이동함으로써 전자-정공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상 "빛에 의한 전하 캐리어(Charge Carrier)의 여기" 또는 "광여기 전하 이동현상(Photoinduced Charge Transfer, PICT)"라고 하는데, 빛에 의하여 생성된 캐리어들은 전자-정공으로 분리되고 외부 회를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유기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의 경우에 에너지 전환효율이 떨어지고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으나, 1991년 스위스의 그라첼(Gratzel) 연구팀에 의하여 염료를 감광제로 이용하여 광전기화학형의 태양전지인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개발된 바 있다. 그라첼 등에 의하여 제안된 광전기화학형의 태양전지는 감광성 염료 분자와 나노 입자의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광전기 화학형 태양 전지이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라 하면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 사이에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과 같은 무기 산화물층에 전해질을 삽입하여 광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2가지 전극(광전극과 대향전극)과, 무기 산화물, 염료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환경적으로 무해한 물질/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고, 기존의 무기 태양전지 중 비정질 실리콘 계열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10% 정도의 높은 에너지 전환효율을 가지고 있고, 제조단가가 실리콘 태양전지의 20% 정도에 불과하여 상업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는 하층으로부터 유리기판, 제1 투명 전극, 염료가 흡착된 무기 산화물층, 전해질층, 제2 투명전극 및 상부기판 등을 구비하고 있다. 무기 산화물층은 나노(Nano) 다공질막의 형태로 존재하는 TiO2, ZnO, SnO2와 같은 넓은 밴드갭을 가진 n형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표면에 단분자 층의 염료가 흡착되어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입사되면, 염료(Dye)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 전자는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로 여기되며 이것은 무기 산화물층(Conduction Band, CB)으로 빠르게 주입되어 전도전자를 형성한다. 이때 전자가 빠져나간 염료의 HOMO 준위 빈 자리는 전해질층 속의 이온(I-)이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다시 채워진다.
즉, 태양광이 입사함에 따라 무기 산화물층 쪽으로는 전도전자가 쌓이는 동시에 전해질층 쪽은 점점 전자가 모자라는 상태, 즉 정공이 누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외부부하가 걸릴 때 누적 캐리어(Carrier)로 인해 기전력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기판(10)은 유리기판(11) 상에 FTO(Fluorine-doped Tin Oxide)나 ITO의 제1 투명전극(12)을 증착한 후, 그 위에 TiO2 콜로이드 용액을 도포한 후 대략 450℃ 이상의 온도에서 소결(Sintering)하여 TiO2 박막(13)을 코팅한다. 본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원하는 무기 산화물층의 두께나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이어서 염료(Dye) 용액에 약 2~3일 정도 담가두어 TiO2 입자 표면에 염료가 착색되어 염료층(14)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부전극기판(20)은 유리기판(21)에 상에 백금(Pt) 등을 일반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을 통해 코팅하여 제1 투명전극(22)을 증착한 후, 전해질(30) 주입용 홀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하부전극기판(10)과 상부전극기판(20)은 고분자 패키징 재료(40)를 이용하여 접합된 후 미리 만들어진 홀을 통해 양극물질로 전해질(30)이 주입되고 봉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저가의 원료 및 손쉬운 제작 방법으로 인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4분의 1수준의 생산비로 제작이 가능하며 경량, 박막화, 투명성 및 여러 가지 색상의 구현가능성 등으로 인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자체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유연성 투명전극이 구현될 경우 플렉서블 태양전지의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휴대 장치를 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움직이는 동력원으로서 경량 및 유연성이 필수적인 요구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자체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적절한 유연성 투명전극이 구현될 경우 플렉서블(Flexible) 태양전지의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기술상 고온의 소결(Sintering)과정이 요구되므로 플라스틱 같은 유연성 기판 및 전도성 폴리머 등의 투명전극을 사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유리기판의 ITO(Indium Tin Oxide) 등의 산화물계열 투명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저온 소결(약 150℃ 미만)이 가능한 무기 산화물층이 개발되어 상용 전도성 플라스틱 기판 등의 사용이 가능하나 이 경우 광전 변환 효율의 감소를 감수해야 한다. 또한 투명 상부전극기판은 ITO 기판에 비교하여 낮은 투과도 및 전도도 특성으로 인해 추가적인 효율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이 높은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현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이런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액체 전해질 등이 주입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 주입된 액체 전해질이 누수되는 전해질 누수현상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불안전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분자 물질의 기판 상에 감광성 염료분자가 흡착된 나노입자 산화물이 코팅 또는 증착된 반도체전극이 형성되고, 그 위에 Ag가 코팅 또는 증착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보호막을 증착 또는 코팅함으로써 다수의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결선하여 제조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실링 재료로 이중 실링하고, EVA로 마감함으로써,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이 향상되고, 전해질 누수현상이 방지되며, 미세먼지 등의 불순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Ag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을 코팅하여 제조된 상부전극기판과;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 박막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을 코팅하고, 상기 금속층의 전면 및 후면을 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 배리어층을 코팅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을 코팅한 후, 다양한 칼라 유기염료 및 다양한 칼라 무기염료가 적용된 염료층을 형성하여 제조된 하부전극기판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과 상기 상부전극기판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벽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리어층과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을 EVA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을 Ag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Ag가 코팅된 제1 고분자 플라스 기판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패터닝된 Ag 상에 보호막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의 전면 상에 SUS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SUS 상에 금속층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의 전면 및 후면 상에 제2 배리어층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배리어층 상에 TiO2 나노입자층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TiO2 나노입자층 상에 염료층을 형성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배리어층과 상부전극기판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하여 1차 실링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상기 하부전극기판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하여 2차 실링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상기 하부전극기판 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과 상기 하부전극기판을 EVA로 코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한 후, 실링 재료로 이중 실링하고, EVA로 마감함으로써,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이 향상되고, 전해질 누수현상을 방지하여 전극의 열화 가능성이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미세먼지 또는 습기 등의 불순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호막에 의해 상부전극기판 상에 코팅된 Ag가 전해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품 사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품 사진도이다.
이하, 하기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 상에 Ag(202)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203)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제조된 상부전극기판(200)과;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 박막(212)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213)을 코팅하고,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을 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한 후, 다양한 칼라 유기염료 및 다양한 칼라 무기염료가 적용된 염료층(216)을 형성하여 제조된 하부전극기판(210)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 사이에 주입되는 전해질(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과 상기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리어층(204)과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EVA(260)로 3차 실링을 한다. 또한, 상기 TiO2 나노입자층(215)은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 상에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 21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막(203)과 상기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은 투명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이하 "CNT" 라 총칭함) 박막 또는 투명한 그래핀(Graphen) 박막이다.
또한, 상기 금속층(213)은 Ti, W, Zn, Co, Ni, Al, SUS, Cr, Mo, C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해질(220)은 액체 전해질 또는 준고체 전해질이다.
이제,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을 준비하는 단계(S300)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을 Ag(202)로 코팅하는 단계(S301)와; 상기 Ag(202)가 코팅된 제1 고분자 플라스 기판(201)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는 단계(S302)와; 상기 패터닝된 Ag(202) 상에 보호막(203)을 코팅하는 단계(S303)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200)을 제조하는 단계(S304)와;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준비하는 단계(S305)와;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SUS(212)를 코팅하는 단계(S306)와: 상기 SUS(212) 상에 금속층(213)을 코팅하는 단계(S307)와;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 상에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하는 단계(S308)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 상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하는 단계(S309)와; 상기 TiO2 나노입자층(215) 상에 염료층을 형성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는 단계(S310)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과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하여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는 단계(S311)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하여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는 단계(S312)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 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S313)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EVA(250)로 코팅하는 단계(S3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TiO2 나노입자층(215)은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 상에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 21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막(203)과 상기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은 투명한 CNT 박막 또는 투명한 그래핀(Graphen) 박막이다. 또한, 상기 금속층(213)은 Ti, W, Zn, Co, Ni, Al, SUS, Cr, Mo, C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해질(220)은 액체 전해질 또는 준고체 전해질이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이중 실링에 의한 전해질 누수현상이 방지되며, EVA 코팅으로 인해 미세먼지 또는 습기 등의 불순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에 의해 상부전극기판 상에 코팅된 Ag가 전해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Ti, W, Zn, Co, Ni, Al, SUS, Cr, Mo, 또는 Cu와 같은 금속층(213)이 코팅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 박막(212)이 코팅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곤, 실시 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준비하는 단계(S305)와;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금속층(213)을 코팅하는 단계(S306)로 이루어진다. 즉,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SUS(212)를 코팅하는 실시 예1의 단계(S306)가 생략된다는 점을 제외하곤, 실시 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개략적 확대 단면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전극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Ag(202)가 코팅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Patterning)이 형성된 후, 보호막(203)으로 코팅되었으며, 그 아래쪽에 하부전극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증착된 유기 및 무기 염료가 흡착된 TiO2 나노입자층(215)이 위치된다. 이렇게 형성되고, A로 표시된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이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기에 휴대폰, 웨어러블 PC 등 차세대 PC 산업에 필요한 전원의 자가충전이나 옷, 모자, 자동차 유리, 건물 등에 부착해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링 재료로 이중 실링하고 EVA로 마감함으로써,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이 향상되고, 전해질 누수현상을 방지하여 전극의 열화 가능성이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미세먼지 또는 습기 등의 불순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에 의해 상부전극기판 상에 코팅된 Ag가 전해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상부전극기판 201: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
202: Ag 203: 보호막
204: 제1 배리어층 210: 하부전극기판
211: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 212: SUS 박막
213: 금속층 214: 제2 배리어층
215: TiO2 나노입자층 216: 염료층
220: 전해질 230: 1차 실링벽
240: 2차 실링벽 250: EVA

Claims (9)

  1.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 상에 Ag(202)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203)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제조된 상부전극기판(200)과;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스텐레이스 스틸(Stainless Use Steel, SUS) 박막(212)을 코팅한 후, 그 위에 금속층(213)을 코팅하고,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을 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한 후, 칼라 유기염료 및 칼라 무기염료가 적용된 염료층(216)을 형성하여 제조된 하부전극기판(210)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 사이에 주입되는 전해질(220)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과 상기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리어층(204)과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260)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 21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203)과 상기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은 투명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박막 또는 투명한 그래핀(Graphen)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213)은 Ti, W, Zn, Co, Ni, Al, SUS, Cr, Mo, C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220)은 액체 전해질 또는 준고체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료는 PET 또는 PE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7.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을 준비하는 단계(S300)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을 Ag(202)로 코팅하는 단계(S301)와;
    상기 Ag(202)가 코팅된 제1 고분자 플라스 기판(201)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는 단계(S302)와;
    상기 패터닝된 Ag(202) 상에 보호막(203)을 코팅하는 단계(S303)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200)을 제조하는 단계(S304)와;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준비하는 단계(S305)와;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SUS(212)를 코팅하는 단계(S306)와:
    상기 SUS(212) 상에 금속층(213)을 코팅하는 단계(S307)와;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 상에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하는 단계(S308)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 상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하는 단계(S309)와;
    상기 TiO2 나노입자층(215) 상에 염료층을 형성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는 단계(S310)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과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하여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는 단계(S311)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하여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는 단계(S312)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 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S313)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EVA(250)로 코팅하는 단계(S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8.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 상에 Ag(202)을 코팅 또는 증착한 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고, 그 위에 보호막(203)을 증착 또는 코팅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제조된 상부전극기판(200)과;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상에 금속층(213)을 코팅하고,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을 TiO2, SiO2, 또는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하고, 그 위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한 후, 칼라 유기염료 및 칼라 무기염료가 적용된 염료층(216)을 형성하여 제조된 하부전극기판(210)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 사이에 주입되는 전해질(220)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220)과 접하는 제2 배리어층(214)과 상기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리어층(204)과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260)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9.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을 준비하는 단계(S300)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전면을 Ag(202)로 코팅하는 단계(S301)와;
    상기 Ag(202)가 코팅된 제1 고분자 플라스 기판(201)을 레이저 또는 열각인으로 패터닝하는 단계(S302)와;
    상기 패터닝된 Ag(202) 상에 보호막(203)을 코팅하는 단계(S303)와;
    상기 제1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01)의 후면 상에 투명한 탄소계열 박막이나 또는 Al2O3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 배리어층(204)을 코팅하여 상부전극기판(200)을 제조하는 단계(S304)와;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을 준비하는 단계(S305)와;
    상기 제2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211)의 전면 금속층(213)을 코팅하는 단계(S306)와;
    상기 금속층(213)의 전면 및 후면 상에 제2 배리어층(214)을 코팅하는 단계(S307)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 상에 TiO2 나노입자층(215)을 코팅하는 단계(S308)와;
    상기 TiO2 나노입자층(215) 상에 염료층을 형성하여 하부전극기판을 제조하는 단계(S309)와;
    상기 제2 배리어층(214)과 상부전극기판(200)을 실링재료로 1차 실링하여 1차 실링벽(230)을 형성하는 단계(S310)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실링재료로 2차 실링하여 2차 실링벽(240)을 형성하는 단계(S311)와;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 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S312) 및;
    상기 상부전극기판(200)과 상기 하부전극기판(210)을 EVA(250)로 코팅하는 단계(S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20120051593A 2012-05-15 2012-05-15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9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93A KR101192981B1 (ko) 2012-05-15 2012-05-15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01310139479.2A CN103426641B (zh) 2012-05-15 2013-04-22 金属柔性染料敏化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TW102115019A TWI500175B (zh) 2012-05-15 2013-04-26 金屬柔性染料敏化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93A KR101192981B1 (ko) 2012-05-15 2012-05-15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981B1 true KR101192981B1 (ko) 2012-10-19

Family

ID=4728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593A KR101192981B1 (ko) 2012-05-15 2012-05-15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92981B1 (ko)
CN (1) CN103426641B (ko)
TW (1) TWI5001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37B1 (ko) * 2013-07-31 2014-12-31 주식회사 상보 표면구조화 azo 글래스 투명전극과 이중 코팅 금속 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837A (ko) 2015-07-24 2017-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집전극 보호막 및 이의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325A (ko) * 2014-07-30 2017-03-2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959A (ja) 2009-08-26 2011-03-10 Toyo Ink Mfg Co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0014B1 (ko) 2009-11-09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KR101074781B1 (ko) 2009-11-30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05129B2 (en) * 2005-10-21 2011-04-28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194893B2 (ja) * 2008-03-06 2013-05-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KR101084206B1 (ko) * 2009-09-03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실링재, 이를 구비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및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101373503B1 (ko) * 2009-12-18 2014-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염료 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6578B1 (ko) * 2009-12-24 2014-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959A (ja) 2009-08-26 2011-03-10 Toyo Ink Mfg Co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0014B1 (ko) 2009-11-09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KR101074781B1 (ko) 2009-11-30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37B1 (ko) * 2013-07-31 2014-12-31 주식회사 상보 표면구조화 azo 글래스 투명전극과 이중 코팅 금속 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837A (ko) 2015-07-24 2017-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집전극 보호막 및 이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6641A (zh) 2013-12-04
TW201347213A (zh) 2013-11-16
TWI500175B (zh) 2015-09-11
CN103426641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wdhury et al.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issues and prospects
CN104134711B (zh)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Castro-Hermosa et al. Stability issues pertaining large area perovskite and dye-sensitized solar cells and modules
Li Nanomaterials for sustainable energy
Liu et al. Recent progress in developing monolithic perovskite/Si tandem solar cells
Kosar et al. Tandem photovoltaic–photoelectrochemical GaAs/InGaAsP–WO3/BiVO4 device for solar hydrogen generation
Hu et al. Low temperature fabrication of ZnO compact layer for high performance plastic dye-sensitized ZnO solar cells
Mahalingam et al. Zinc oxide/graphene nanocomposite as efficient photo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Recent advances and future outlook
KR101120140B1 (ko)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이용한 플렉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101192981B1 (ko)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716B1 (ko) 이중 코팅 금속 기판을 이용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Saleh et al. A Fully Printable Hole‐Transporter‐Free Semi‐Transparent Perovskite Solar Cell
CN102214518B (zh) 阵列串接式太阳能电池模组的结构及其制造方法
Deepika et al. Device structures of Perovskite solar cells: A critical review
KR101220169B1 (ko) 폴리싱 처리된 코팅 금속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2938B1 (ko) 폴리싱 처리된 금속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ssoni et al. Multi-layered hierarchical nanostructures for transparent monolithic dye-sensitized solar cell architectures
KR101422509B1 (ko) 표면구조화 azo 글래스 투명전극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5313B1 (ko) 코팅 금속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037B1 (ko) 표면구조화 azo 글래스 투명전극과 이중 코팅 금속 기판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Govindarajan et al. Fundamentals, basic component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devices
Toivola Dye-sensitized solar cells on alternative substrates
Assi et al. Conductive polymer dye sensitive solar cell (DSSC)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Mandal et al. Recent Advancement on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 Review
Zheng et al. The research of CaO/TiO 2 nanocrystalline film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