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689B1 - Device of cough help - Google Patents

Device of cough hel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689B1
KR101192689B1 KR1020120030978A KR20120030978A KR101192689B1 KR 101192689 B1 KR101192689 B1 KR 101192689B1 KR 1020120030978 A KR1020120030978 A KR 1020120030978A KR 20120030978 A KR20120030978 A KR 20120030978A KR 101192689 B1 KR101192689 B1 KR 10119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ugh
inlet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계철
김칠환
Original Assignee
(주)서일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일퍼시픽 filed Critical (주)서일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3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6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75Connecting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PURPOSE: A cough assistance apparatus is provided to derive air exhausted from the respiratory organs of a patient to the inside of a case body by generating air pressure using a rotation force. CONSTITUTION: A case body(100) includes a cradle(110) and a suction hole(111). An air pressure generation unit(200) inhales air using an air inlet port and exhausts the inhaled air to an air outlet port. A direction conversion valve unit(300) converts an air flow direction using air pressure in order to forcibly exhaust the air to the respiratory organ side of a patient or to inhale the air from the respiratory organ side of the patient.

Description

기침 보조 장치{Device of cough help}Cough aids {Device of cough help}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를 기침 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체의 내부쪽으로 흐르게 유도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침소음이 케이스체에 부딪힘에 따라, 기침소음의 일부는 케이스체를 투과 시 감쇄되어 투과되고, 투과되지 못한 나머지 환자의 기침소음은 케이스체 내부에 반사되면서 산란되거나 재차 케이스체를 투과 시에도 감쇄되어 투과되게 제어하여 환자의 기침소음을 저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고자 반복 사용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재흡입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고,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여도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주고,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수한 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많이 소요되도록 즉,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이 강제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보다 적게 제어하여 공기의 강제 흡입 시 환자의 폐에 최대한 타격을 주지 않으며 기침을 유도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기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ough assist device, so that the cough noise contained in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organs to the case body As the bump hits, a part of the cough noise is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penetrating the case body, and the cough noise of the remaining patient that is not transmitted is scattered while being reflected inside the case body or is again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the case body is penetrated, thereby controlling the patient. In addition to reducing cough noise, it minimizes the re-intake of carbon dioxide and odors contained in the patient's cough into the externally supplied air to induce cough to the patient. You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that goes in, so your lungs are healthy or your nerves are sensitive. The general patient induces cough even if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inhalation of air under the preset air pressure and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air discharge is the same, and is set in the case of special patients with weak lungs or sensitive nerves. The time required to force the air intake under the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time required to force the air out, that is,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to force the air is controlled less than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to forcibly discharge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gh assist device that can induce a cough without causing a maximum blow to the patient's lungs by forced inhalation of air.

가스, 세균 등의 해로운 물질이나 다양한 이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줌과 더불어, 흡입된 이물질이나 기도의 분비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제공하는 기침의 경우 호흡계 근육의 마비를 동반한 신경근 환자나 제한성 폐질환자 같은 경우에는 그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폐렴이 발병하거나 분비물이 기도를 막아 호흡곤란 현상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Cough paralysis of the respiratory system, which preven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gas and bacteria,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airways, and inhales foreign substances or secretions from the airways to keep the airways clean at all times. In case of neuromuscular patients or patients with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 the function is reduced, so that pneumonia i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or secretion blocks the airways and causes dyspnea.

이의 대안으로, 환자의 기도로 공기를 공급(양압)하다가 빠르게 흡입(음압)함으로써, 기침을 유도하여 주는 기침 보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As an alternative, a cough aid device has been proposed to induce a cough by supplying air (positive pressure) to a patient's airway and then rapidly inhaling (negative pressure).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등록특허 10-1038262호)된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연결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연결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gh assist device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al valve unit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registered patent 10-1038262), Figure 2 is a configuration of a cough aid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al valve unit The main por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nd the connection box,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Figure 4 Coupling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the directional switching valve unit, and a connection box among the structure of the cough assistance apparatus using a directional valve unit.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개선된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는 케이스(60)의 내부에 공기압 발생 유닛(10), 방향 전환 밸브 유닛(A) 및 연결함(50)이 설치되어 제공되고 있다. As shown, the cough aid device using the improved conventional divert valve unit is provided with an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the divert valve unit (A) and the junction box 50 inside the case (60). Is being provided.

먼저, 공기압 발생 유닛(1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터보 팬을 통해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부재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터보 팬을 통해 공기를 공급 또는 흡입하는 공기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준다.First,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is a member that sucks air through the air inlet port 11 through a turbo fan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and discharges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port 12. By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ir to control the strength of the air pressure supplied or sucked through the turbo fan.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은 공기압 발생 유닛(10)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환자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가 강제배기 되도록 공기압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부재로서, 공기압에 의해 강제 이동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로부터 공기를 일부 흡입하여 공기압을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 is a member for supplying air to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o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pressure so that air is forced out of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In addition, a part of the air forcedly moved by the air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a part of the air is sucked from the outside to adjust the air pressure.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세부구성은 전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입구(21)와 출구(22)가 형성되고, 배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제1 출입구(23)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공기가 출입하는 제2 출입구(24)가 형성되되, 입구(21)와 출구(22)는 좌우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 1출입구(23)는 중앙에 형성되며, 입구(21)와 출구(22) 및 제 1출입구(23)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제2 출입구(24)는 내부의 중심 축 상에 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부에 축 설치되고, 둥근 외면을 따라 입구(21)와 출구(22)로부터 제1 출입구(23)로 이동하는 수평 통로(31)가 형성되며, 그 형성되는 수평 통로(31)의 일정 구간은 한 쌍의 격판(32a,32b)으로 구획되고, 중심에 제2 출입구(24)로부터 한 쌍의 격판(32a,32b) 사이로 연결되는 수직 통로(33)가 형성되는 회전체(30)와, 하우징(20)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체(30)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체(30)의 회전 각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조절하는 정역 모터(40)로 이루어져 있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 to perform this function is the inlet 21 and outlet 22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exits, and the first entrance 23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exits,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second entrance 24 through which air enters, the inlet 21 and the outlet 22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the first entrance 23 is formed in the center, the inlet 21 ), The outlet 22 and the first entrance 23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second entrance 24 is axial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 and the housing 20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terior. A horizontal passage 31 is formed to move from the inlet 21 and the outlet 22 to the first entrance 23 along a rounded outer surface, and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formed horizontal passage 31 is a pair of diaphragms ( A rotating body 30 which is divided into 32a and 32b, and has a vertical passage 3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connected between a pair of diaphragms 32a and 32b from the second entrance and exit 24, and a housing; (2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s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rotating body 30, and consists of a forward and reverse motor 40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dy 3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여기서, 회전체(30)를 이루는 한 쌍의 격판(32a,32b)은 그 사이에 상기 입구(21)와 출구(22)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축으로부터 일정각도 벌어지게 형성되는 설치구조를 갖는다. Here, the pair of diaphragms 32a and 32b constituting the rotating body 30 has an installation structure that is formed at an angle from the shaft so as to cover the inlet 21 and the outlet 22 at the same time therebetween.

따라서, 회전체(30)가 회전되면, 격판(32a,32b)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입구(21)와 제1 출입구(23) 사이에 통로가 개방되거나 출구(22)와 제1 출입구(23) 사이의 통로가 개방되거나, 입구(21) 및 출구(22)와 제1 출입구(23) 사이의 통로가 차단되면서 제2 출입구(24)가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입구(21) 및 출구(22)와 제1 출입구(23) 또는 제2 출입구(24) 사이에 통로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body 30 is rotated, since the positions of the diaphragms 32a and 32b are changed, a passage is opened between the inlet 21 and the first entrance 23, or the outlet 22 and the first entrance 23 are rotated. ), Or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21 and outlet 22 and the first entrance 23 is blocked, allowing the second entrance 24 to open, while the inlet 21 and outlet 22 are open. ) May be controlled to simultaneously open a passage between the first entrance 23 or the second entrance 24.

상기 연결함(50)은 공기압 발생 유닛(10)의 공기 배출구(12)와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입구(21) 간을 연통시켜주는 제1 통로(51) 및 공기압 발생 유닛(10)의 공기 흡입구(11)와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출구(22) 간을 연통시켜주는 제2 통로(52)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압 발생 유닛(10) 및 방향 전환 밸브 유닛(A) 간에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시켜 주는 부재이다. The junction box 50 is a first passage 51 and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air outlet 12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and the inlet 21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 By forming a second passage 52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air inlet 11 of the air inlet 11 and the outlet 22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A, the air is generated between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and the directional valve unit A. It is a member that forms a moving passage of.

상기 케이스(60)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제1 출입구(23)와 호스(H)로 연결되고, 환자의 입에 밀착하기 위한 마스크 호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구(70)가 구비되고, 공기압 발생 유닛(10), 방향 전환 밸브 유닛(A) 및 연결함(50)이 내재되어 설치되되 상기 연결구(7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구(61)와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제2 출입구(24)에 대응하는 곳에 통풍구(62)가 형성되어 있다. The case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entrance 23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A by a hose H, and is connected to a mask hose (not shown) for close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patient 70. ) Is provided,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10,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 and the coupling box 50 is installed inherently, the coupling port 61 and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through which the connector 70 is coupled through Ventilation openings 62 are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trances and exits 24 in (A).

이를 통해,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제2 출입구(24)를 통해 강제 유입 또는 강제 배출되는 공기가 통풍구(62)를 통해 외부로부터 강제 유입 또는 강제 배출되게 제공하고 있다. In this way, the air forcedly introduced or forced out through the second entrance 24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A is forced to flow in or o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62.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제2 출입구(24)인 하나의 출입구(24)를 통해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 또는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cough aid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divert valve unit is configured to force the inflow or exhaust of external air through one inlet 24 that is the second inlet 24 of the divert valve unit A.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그런데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 conventional cough assist device using the directional valve un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 번째로,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는 강제 배기에 따라 방향 전환 밸브 유닛(A)의 제2 출입구(24)를 통해 나오는 기침소음이 케이스(60)의 통풍구(62)를 통해 외부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기침소음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cough assist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diverter valve unit is a cough noise coming out of the second outlet 24 of the diverter valve unit (A) in response to the forced exhaust to the vent 62 of the case (60) There is a severe problem of cough noise because it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outside.

두 번째로,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경우 케이스(60)의 통풍구(6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는 환자의 호흡기관으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포함되어 있어, 강제 배기되는 공기는 케이스(60) 통풍구(62)의 하부 부근에 위치된다. Secondly, in the case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directional valve unit, the air forcibly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62 of the case 60 includes carbon dioxide and odor from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Forced exhaust air is located near the bottom of the vent 62 of the case 60.

그런데 환자는 공기의 강제 흡입 및 강제 배기를 최소 수차례 수행하기 때문에 케이스(60) 통풍구(62)의 하부 부근에 위치되는 이전에 강제 배출된 공기가 강제 흡입 시 재차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강제 흡입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기침 보조 장치의 사용을 많이 하면 할수록 더욱 증대되는 폐단을 야기시킨다.However, since the patient performs forced suction and forced evacuation of air at least several times, previously forced air discharged near the lower part of the vent 62 of the case 60 is forc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again upon forced suction. It poses a risk, and this problem causes more and more cough aids to be used, leading to an increase in lung closure.

세 번째로,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는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conventional cough assist device using the divert valve uni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orcedly sucked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즉, 기침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두 분류의 환자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로서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여도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는데 문제가 없다. That is, a patient in need of a cough assist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two classes of patients. First, as a general patient whose lungs are not healthy or sensitive to nerves, there is no problem of inducing a patient's cough even if the time required to forcibly inhale the air under the preset air pressure and the time required to forcibly discharge the air are the same.

그러나,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수한 경우의 환자는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많이 소요되도록 즉,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이 강제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보다 적게 제어해야만 공기의 강제 흡입 시 환자의 폐에 최대한 타격을 주지 않으며 기침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in a special case of a patient with weak lungs or sensitive nerves,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for forced inhalation is such that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inhalation of air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exhaust of air. It is necessary to control less than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for this forced discharge so that the forced inhalation of the air does not cause the maximum damage to the patient's lungs and induce a cough.

이 때문에, 환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문제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orcedly inhaled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physical or mental problems of the patien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를 기침 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체의 내부쪽으로 흐르게 유도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침소음이 케이스체에 부딪힘에 따라, 기침소음의 일부는 케이스체를 투과 시 감쇄되어 투과되고, 투과되지 못한 나머지 환자의 기침소음은 케이스체 내부에 반사되면서 산란되거나 재차 케이스체를 투과 시에도 감쇄되어 투과되게 제어하여 환자의 기침소음을 저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고자 반복 사용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재흡입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기침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ough assist device, thereby breathing the patient As the cough noise contained in the air forcedly exhausted from the trachea hits the case body, part of the cough noise is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passing through the case body, and the cough noise of the remaining patient that is not transmitted is reflected inside the case body. In addition to reducing the patient's cough noise by controlling the scattered or re-transmitted case to be permeated, the carbon dioxide and odor contained in the patient's cough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repeated use to induce the patient's cough. It is to provide a cough aid device that minimizes this re-inhal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된 기침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gh aid device equipp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orcedly inhaled air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는,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가 구비되고, 그 구비된 거치대의 한 곳에는 흡기용 구멍이 관통형성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력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동시에 공기 배출구로 그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압 발생 유닛과; 상기 케이스체의 거치대에 안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거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체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흡기용 구멍과 연통되는 바닥면측 입구가 형성되고,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유동되게 하는 바닥면측 출구가 형성된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technical concep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he provided body has a case body through which the intake hole is formed; An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and generates air pressure by a rotational force to suck air into the air inlet port and discharge the air sucked into the air outlet port; Placed in the cradle of the case body,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to forcibly inhale the air toward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or to change the air flow direction to forcibly evacuate the air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Wherein, the air forc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sid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hole so that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organs inside the case body And a diverter valve unit having a bottom side outlet configured to flow therethrough.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에는, 전측 중계호스와 후측 중계호스로 분리되는 중계호스와; 양측이 상기 전측 중계호스의 일측과 상기 후측 중계호스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의 중계 출입구와 연통된 상기 전측 중계호스를 통해 일정한 공기압 하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만 선택에 따라 조절하여 주는 공기유입량 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hose separated into a front relay hose and a rear relay hose; Both sides are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front relay hose and one side of the rear relay hose, only the inflow of air flowing under a constant air pressure through the front relay hose communicated with the relay entrance and exit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It further comprises; air inlet flow rate adjusting means.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수단은, 대유입공, 소유입공 및 유출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2 챔버로 구분되고,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제1,2 공기유통구가 상기 제1,2 챔버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동용 몸체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대유입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밸브부와; 상기 유출공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제1 챔버로만 유동시키는 원웨이 밸브부와; 상기 제1,2 챔버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제1,2 챔버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챔버는 차단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챔버는 외부로 배기시키는 방향전환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향전환밸브부에 의해 상기 제1,2 챔버가 연통되면 상기 제1 챔버의 압력보다 제2 챔버의 압력이 커 상기 개폐밸브부가 상기 대유입공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챔버 쪽의 공기가 상기 소유입공을 통해 상기 제2 챔버쪽으로 유동되도록 제어한다.
The air inflow rate adjusting means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chambers by partitions having large inlet holes, small inlet holes, and outlet holes, and first and second air flow port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so that air flows in and out. An air flow body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An opening / closing valve unit which opens or closes the large inlet hole according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 one-way valve unit which opens and closes the outlet hole and flows air of the second chamber only to the first chamber; A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for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by an operation signal or blocking the first chamber and exhausting the second chamber to the outside; Includes, but whe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re communicated by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to close the large inlet hole, the first chamber side Air is controlled to flow toward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small hole.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를 기침 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체의 내부쪽으로 흐르게 유도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침소음이 케이스체에 부딪힘에 따라, 기침소음의 일부는 케이스체를 투과 시 감쇄되어 투과되고, 투과되지 못한 나머지 환자의 기침소음은 케이스체 내부에 반사되면서 산란되거나 재차 케이스체를 투과 시에도 감쇄되어 투과되게 제어하여 환자의 기침소음을 저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고자 반복 사용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재흡입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ough assist device, so that the cough noise contained in the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organs to the case body As the bump hits, a part of the cough noise is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penetrating the case body, and the cough noise of the remaining patient that is not transmitted is scattered while being reflected inside the case body or is again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the case body is penetrated, thereby controlling the patient. In addition to reducing the cough noise of the patient, it is effective in minimizing the re-intake of carbon dioxide and odor contained in the patient's cough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when repeated use to induce the patient cough.

또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여도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주고,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수한 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많이 소요되도록 즉,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이 강제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보다 적게 제어하여 공기의 강제 흡입 시 환자의 폐에 최대한 타격을 주지 않으며 기침을 유도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forcedly inhaled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he forced discharge of air and time required to force the air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in the case of general patients who are healthy lungs or nervous Even if the time required to induce the patient's coughing, in the case of special patients with weak lungs or nerves,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air intake under the predetermined air pressure is more than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air discharge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for forced inhalation is controlled to be less than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spent forcibly discharging, so that the forced inhalation of air does not injure the lungs of the patient and induces coughing. It also works.

도 1은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연결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방향 전환 밸브 유닛을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연결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전환 밸브유닛 및 연결함 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에 회전체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흡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반흡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호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휴지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은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기침유도에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작동하여 흡기모드와 호기모드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2 및 도 23은 은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정환자의 기침유도에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작동하여 흡기모드와 호기모드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gh assist device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al valve unit;
2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a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rection change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a cough assistance device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 change valve uni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nd the connection box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using a conventional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the directional valve unit and the connection box, etc.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direction change valve unit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valve unit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showing the switching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placed in the housing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the coupling state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halation mode by operating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the half inhalation mode,
1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according to performing the exhalation mode by operating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dle mode operation by operating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flow rate adjust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rate adjust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lungs are operated in an intake mode and an exhalation mode by operating an air flow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to a cough induction of a general patient who is not healthy or nervous. State of use shown,
22 and 2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intake mode and the exhalation mode by operating the air flow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to the cough induction of a specific lung weak or sensitive nerves State diagra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압 발생 유닛, 방향전환 밸브유닛 및 연결함 등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에 회전체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방향전환 밸브유닛을 나타낸 결합상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흡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반흡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호기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작동하여 휴지모드 수행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성 중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은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기침유도에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작동하여 흡기모드와 호기모드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도 22 및 도 23은 은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정환자의 기침유도에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유동량 조절수단을 작동하여 흡기모드와 호기모드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a directional valve unit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rection change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placed in the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Figure 13 is a coupling state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halation mode performed by operating the cough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half inhalation mode performed by operating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xhalation mode, Figure 1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dle mode ope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flow control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control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is a healthy lung In order to apply to the cough induction of the general patient who is not sensitive to the nerves by operating the air flow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driven process, and FIG. 22 and FIG. 23 show inhalation by operating an air flow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pplication to cough induction of a specific patient having a weak lung or a sensitive nerve. This diagram shows the state of operation in the mode and the exhalation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는 크게 케이스체(100), 공기압 발생 유닛(200),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body 100, a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and a directional valve unit 300.

먼저, 케이스체(100)는 후술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200) 및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구성부품이 탑재되는 외관부재로서,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110)가 구비되고, 그 구비된 거치대(110)의 중앙 부근에 후술되는 하우징(310)의 돌출구 부분이 안치될 수 있게 제공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거치대(110)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흡기용 구멍(111), 일반 호흡용 구멍(112) 및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이 형성되어진다. First, the case body 100 is an exterior member on which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In the cradle 110 is provided,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provided cradle 110 to provide a protrusion portion of the housing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An intake hole 111, a general breathing hole 112, and an exhaust air inside guide space 113 ar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cradle 110.

이때, 흡기용 구멍(111) 및 일반 호흡용 구멍(112)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동될 수 있게 관통형성되고,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은 상기 축 수용 원형공간 정도의 깊이를 갖게 거치대(110)의 측면들을 따라 단턱(114)들을 돌출시켜 형성하되, 거치대(110)의 한 측면의 단턱만 절개시켜 후술되는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인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부딪혀서 상기 케이스체(100)의 내부쪽으로 흐르게 유도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침소음이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에 부딪히면서 기침소음의 일부는 케이스체(100)의 거치대(110)를 투과하면서 감쇄되어 투과되고, 투과되지 못한 나머지 환자의 기침소음은 케이스체(100) 내부에 반사되면서 산란되거나 재차 케이스체(100)를 투과하면서 감쇄되어 투과되기 때문에 기침소음을 저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고자 반복 사용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재흡입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준다. At this time, the intake hole 111 and the general breathing hole 112 is formed so that the air can flow from the outside, the exhaust air inside guide space 113 is a cradle having a depth of about the shaft receiving circular space Protruding the stepped 114 along the sides of the 110, but is formed by cutting only one side of the cradle 110 is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forced out of the respiratory tract hits and induces the internal flow of the case body 100 so that the cough noise contained in the air forced out of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enters the space 113 for induction of the inside of the exhaust air. A part of the cough noise is attenu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radle 110 of the case body 100, while the cough noise of the remaining patient that is not transmitted is scattered while being reflected inside the case body 100. In addition, since it is attenuated whil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case body 100 again, it not only reduces cough noise but also induces cough to the patient. Minimize inhalation.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은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탑재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터보 팬을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흡입구(210)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동시에 공기 배출구(220)로 그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210)와 공기 배출구(220)는 전방을 향해 구비되어질 수 있다.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is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100, and generates air pressure through a turbo fan op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hereby sucking air into the air inlet 210 and simultaneously air outle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that performs this function as a member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air), the air inlet 210 and the air outlet 220 may be provided toward the front.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은 케이스체(100)의 거치대(110)에 안치되는 것으로, 공기압 발생 유닛(200)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거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케이스체(1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흡기용 구멍(111)과 연통되는 바닥면측 입구(315)가 형성되고,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케이스체(100)의 내부로 유동되게 하는 바닥면측 출구(316)가 형성된 부재이다.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is placed in the holder 110 of the case body 100, forcibly inhaling air toward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or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to forcibly evacuate the air from the respiratory tract side, but the air forcibly sucked toward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hole 111 so as to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100. An inlet 315 is formed, and a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is formed to allow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o flow into the case body 100.

이와 더불어,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은 공기의 강제 흡입과정 및 강제 배기과정에서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어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도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may adjust the air pressure during the forced intake and forced exhaust of the air, it is also provided with a function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in and ou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세부구성은 하우징(310), 회전체(320) 및 정역 모터(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Such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to perform the function consists of the housing 310, the rotating body 320 and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330.

먼저, 하우징(310)은 상면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가 각각 관통형성되며, 다른 한쪽의 측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중계 출입구(31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11)을 이루는 바닥면의 중앙부근에 후술되는 회전체(320)의 하부축 부분이 회전될 수 있게 놓여지는 회전용 홈이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회전용 홈을 중심으로 바닥면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바닥면측 입구(315), 바닥면측 출구(316) 및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이 관통형성되고, 하면에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돌출구가 돌출된 부재이다. First, the housing 3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311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ide inlet 312 and a side outlet 313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exits on one side thereof are respectively formed therethrough, and the ai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310. The relay entrance and exit 314 is formed, the rot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haft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ed near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receiving space (311) The bottom surface side inlet 315,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and the general respiratory first relay hole 317 are formed through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with the rotation groove formed thereon, and mentioned above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the protrusion is a protruding member.

여기서, 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은 앞에서 언급한 거치대(110)의 일반 호흡용 구멍(112)과 대응되는 곳에 관통형성되어진다. 또한,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은 중계 출입구(314)가 관통형성된 하우징(310)의 일측면 부근에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회전체(32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310)의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과 중계 출입구(314)가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제공한다.Here, the first breathing hole 317 for general breathing, which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breathing hole 112 of the cradle 110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general breathing first relay hole 317 is formed so that the relay entrance 314 is formed near one side of the housing 310 is formed through the general of the housing 3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elay hole 317 for breathing and the relay entrance 314 communicate or are blocked.

상기 회전체(320)는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에 수용되어 회동가능하게 축연결 되는 것으로, 상판(321) 및 하판(322), 그 상판(321) 및 하판(322)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을 설치하여 제1 연통로(326)와 제2 연통로(327)를 형성하되, 제1 연통로(326)가 형성된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 사이의 하판(322) 쪽을 일부 절개시켜 절개공간(325)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에 따라 절개공간(325)과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가 연통되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The rotating body 3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housing 310 to be pivotally connected, the upper plate 321 and the lower plate 322, between the upper plate 321 and the lower plate 322 A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are formed by installing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and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is formed. Part of the lower plate 322 between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and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is partially cut to form an incision space 325, thereby rotating the incision space 325 and the housing 310 according to rotation. The bottom surface side inlet 315 an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ar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회전체(320)를 이루는 구성 중 제2 연통로(327)가 형성된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 사이의 하판(322) 쪽에는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을 관통형성하되, 그 관통형성되는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의 위치가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이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 사이의 밀폐된 바닥면에 놓여졌을 때에 앞에서 언급한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을 이루는 바닥면에 형성된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과 연통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게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for general breathing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322 between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and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is formed. The through hole 328 is formed through, but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lay hole 328 for general breathing through which the incision space 325 of the rotating body 320 is the bottom inlet side 315 of the housing 310 is form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breathing hole 317 for general respiration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of the housing 310 mentioned above when placed on the closed bottom surf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an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To be formed.

또한, 회전체(320)를 이루는 상판(321)에는 상부축이 구비되고, 하판(322)에는 하부축이 구비되어 축회전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321 constituting the rotating body 320 is provided with an upper shaft, the lower plate 322 is provided with a lower shaft to be rotated.

상기 정역 모터(330)는 하우징(31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체(320)의 상판(321)에 구비된 축에 고정연결되어 회전체(32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tationary motor 330 is provided above the housing 310,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haft provided on the upper plate 321 of the rotating body 320 to adjust the rotating direction and the rotating angle of the rotating body 320. Do this.

그리고 방향 전환 밸브 유닛(200)에는 회전체(320)의 회전을 감지하면서 정역 모터(3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감지수단은 현재 회전체(3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공급 또는 흡입되는 공기압이 어느 정도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330 while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That is, the sensing means can recognize the degree of air pressure supplied or sucked through the relay door 314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rent rotating body 320, thereby adjusting the exact air pressure.

이러한, 감지수단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정역 모터(330)와 회전체(320) 사이의 상부축에 결합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크가 형성된 원반(340)과 하우징(310) 상측에 설치되고, 원반(340)의 마크를 감지하는 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uch, the sensing means is coupled to the upper shaft between the stationary motor 330 and the rotating body 320 in one embodiment, and installed on the disk 340 and the housing 310 formed with a mar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i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350 for detecting the mark of the disc 340.

여기서, 원반(340)의 마크는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홀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350)는 광신호를 이용한 포토 센서가 될 수 있다.Here, the mark of the disk 340 may be a hole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in this case, the sensor 350 may be a photo sensor using an optica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의 기침보조장치에는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 배출구(220)와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여 주는 연결함(400)이 설치제공된다. And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air inlet 210 and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outlet 313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Connection box 400 is provided to connect to form a moving passage of the air.

이처럼 제공되는 연결함(400)의 세부구성은 내부에 구획벽(410)을 설치하여 제1 통로(420)와 제2 통로(430)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제1 통로(420) 쪽에는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입구(312)가 연통되고, 상기 제2 통로(430) 쪽에는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출구(313)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junction box 400 provided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10 therein to form a first passage 420 and a second passage 430, the side of the first passage 420 is formed An air outlet 220 of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and a side inlet 312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passage 430 side of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The air inlet 210 and the side outlet 313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연결함(400)은 흡기모드인 경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2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200)의 측면측 입구(312)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강제 흡입되게 통로를 제공하고, 호기모드인 경우 방향전환 밸브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측면측 출구(313)를 통해 공기압 발생유닛(200)의 공기 흡입구 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최대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제공함과 아울러 환자의 호흡기관으로부터 나오는 기침소음,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을 포함한 공기는 케이스체(100)의 내부 쪽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여 주는 중계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connection box 400 is in the intake mo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passes through the side inlet 312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200. The air inlet of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is provided through the side outlet 313 through which air is forced to be exhausted through the relay entrance and exit 314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The air that is forcedly sucked by providing a passage to flow toward the air provides the fresh air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ir including cough noise, carbon dioxide, and odor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00. It functions as a relay channel to guide the flow.

또한, 본 발명의 기침보조장치에는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가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중계호스(500) 및 연결구(1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ugh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lay hose 500 and the connector 120 so that the air forcibly sucked through the relay entrance 314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can be delivered to the patient.

이처럼, 구비되는 구성 중 연결구(120)는 케이스체(100)에 관통탑재된 상태에서 중계호스(500)의 일단이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와 연통되고, 중계호스(500)의 타단이 연결구(120)의 일측에 연결됨과 더불어 연결구(120)의 타측에 마스크 호스(130)가 연통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기침유도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본 발명의 기침보조장치를 이용해 기침유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such, the connector 120 of the configuration provided is one end of the relay hose 5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inlet 314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in the state mounted through the case body 100, the relay hose ( The other end of the 5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120 and the mask hose 130 is communica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20, so that the patient who needs a cough induction uses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Cough induction function can be us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기침을 유도하는 기능은 크게 흡기모드(Inhale mode)(반흡기 모드 포함), 호기모드(Exhale mode) 및 휴지모드(Pause mode)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수행하며 이를, 도 14 내지 도 17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f inducing a cough using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one of the inhale mode (including the inhalation mode), the exhale mode, and the pause mode. Performed in a cycle (Cycl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as follows.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흡기모드(Inhale mode)는 환자에게 강제로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케이스체(100)에 구비된 키패드 등을 조작하여 장치의 모드를 흡기모드로 설정한 다음 작동시키면 공기압 발생 유닛(200)이 설정된 압력에 따른 회전속도로 구동하면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동시에 공기 배출구(220)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킨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4, the inhale mode (Inhale mode) is a process of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by operating the keypad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case body 100 to set the mode of the device to the intake mode and then operate Then,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inhales air through the air inlet 210 while driving at the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set pressure, and simultaneously discharges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220.

여기서, 공기 흡입구(210)는 연결함(400)의 제2 통로(430)를 통해 하우징(310)의 측면측 출구(313)를 통해 연통되고, 하우징(310)의 측면측 출구(313)는 케이스체(100)의 흡기용 구멍(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지는데 이때, 회전체(320)는 흡기모드인 경우 하판(322)에 형성된 절개공간(325)도 케이스체(100)의 흡기용 구멍(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지기 때문에 제1 연통로(326)를 통해 공기 흡입구(210)와 흡기용 구멍(111)이 연통됨으로써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환자에게 유입될 수 있게 제공한다. Here, the air inlet 210 is communicated through the side passage 313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second passage 430 of the junction box 400, the 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is The inlet hole 111 of the case body 10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In this case, when the rotor 320 is in the intake mode, the incision space 325 formed in the lower plate 322 is also intake of the case body 100. Since the air inlet 210 and the intake hole 1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the air inlet 210 may be introduced to the patient so that the fresh air may flow into the patient. .

또한,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220)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연결함(400)의 제1 통로(420)를 경유하여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를 통해 유입되고, 그 유입되는 공기는 연통된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통해 하우징(310)의 중계 출입구(314) 쪽으로 흐른다. In addition, the air forcibly sucked through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flows in through the side inlet 312 of the housing 310 via the first passage 420 of the connection box 400. The inflowing air flows toward the relay entrance 314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connected rotating body 320.

이때, 회전체(320)의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의 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통해 유동되는 강제 흡입되는 공기가 하우징(310)의 측면측 출구(313)를 통해 유동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At this time, since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of the rotor 320 is located on the surface between th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The forced suction air flowing through the two communication paths 327 is guided to flow through the 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이후, 하우징(310)의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중계호스(500)를 통해 마스크 호스(130)로 유입되어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강제 흡입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reafter,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relay entrance 314 of the housing 310 flows into the mask hose 130 through the relay hose 500 and is forced into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이때, 감지수단을 통해 현재 모드가 흡기모드인 것을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sensing means may recognize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intake mode.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여, 반흡기모드(Half inhale mode)는 기침유도기능을 받는 환자가 흡기모드 일때의 공기압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회전체(320)가 흡기모드와 휴지모드 사이의 원하는 각도에 위치되게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320)의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 쪽에 걸쳐지기 때문에,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통해 유동되는 강제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가 측면측 입구(312) 쪽으로도 유출되기 때문에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강제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ure 15, half inhale mode (Half inhale mode) is a case where the patient receiving the cough induction function when the air pressure when the intake mode is determined to be large so that the rotor 320 is positioned at the desired angle between the intake mode and the idle mode By rotating, since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of the rotating body 320 spans the side inlet side 312 side of the housing 310, it flow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rotating body 320. Since some of the forced inhaled air is also leaked toward the side inlet 31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ir forcibly sucked in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여, 호기모드(Exhale mode)는 흡기모드 후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이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와 중첩되도록 회전시키면, 회전체(320)의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의 면에 위치되어,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통해 하우징(310)의 중계출입구(314)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가 연통되고, 회전체(320)의 제1 연통로(326)를 통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와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 사이가 연통되는 공기이동경로가 형성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6, in the exhalation mode, when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rotating body 320 rotates so as to overlap the bottom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after the intake mode, the rotating body 320 Exhaust air inducing partition 324 is located on the surface between the sid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to open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rotor 320. Between the relay inlet 314 and the side-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communicates with, and the side-side inlet 312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of the rotating body 320 An air movement path between the cutting spaces 325 of the rotating body 320 is formed.

이때,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과 중첩되는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의 하부에는 이동하는 공기가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110)의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이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moving air is exhausted from the cradle 110 provided in the case body 10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overlapping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rotating body 320. An air induction space 113 is located.

이를 통해, 호기모드 하에서 본 발명의 기침 보조 장치의 구동을 요청하면, 공기압 발생 유닛(200)이 설정된 압력에 따른 회전속도로 구동하면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동시에 공기 배출구(220)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킨다. Through this, if the request for driving the cough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halation mode,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is driven at a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set pressure while inhal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outlet ( Through the air 220).

이 때문에, 환자의 호흡기관 쪽에 연통된 마스크 호스(130)를 통해 공기가 강제 배기되고, 그 강제 배기되는 공기는 하우징(310)의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경유하여 측면측 출구(313)로 유동된다. For this reason, the air is forcibly exhausted through the mask hose 130 communicated to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and the forcibly exhausted air is communicated with the rotor 320 through the relay inlet 314 of the housing 310. It flows to the side outlet 313 via the furnace 327.

이후, 강제 배기되는 공기는 연결함(400)의 제2 통로(430)를 통해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 배출구(2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연결함(400)의 제1 통로(420)를 통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 쪽으로 유입된다. Thereafter, the forced exhaust air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10 and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sequentially through the second passage 430 of the connection box 400. It flows into the side inlet 312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first passage 420.

이후, 그 유입되는 공기는 연통된 회전체(320)의 제1 연통로(326)의 절개공간(325)을 통해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 쪽으로 흐른 후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110)의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에 부딪힘으로써, 케이스체(100) 내부에서 유동된다. Thereafter, the inflowing air flows towar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of the rotating body 320 communicated with the case body 100. By colliding with the space 113 for induction inside the exhaust air of the holder 110 provided therein, it flows inside the case body 100.

이때,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는 환자의 기침의 유도에 따라 발생하는 기침소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제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침소음이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을 이루는 거치대(110)에 부딪힘에 따라, 기침소음의 일부는 케이스체(100)의 거치대(110)를 투과 시 감쇄되어 투과되고, 투과되지 못한 나머지 환자의 기침소음은 케이스체(100) 내부에 반사되면서 산란되거나 재차 케이스체(100)를 투과 시 감쇄되어 투과됨으로써 환자의 기침소음을 최소화시켜 준다. At this time, since the forced exhaust air includes cough noi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duction of the patient's cough, the cradle 110 includes the cough noise included in the forced exhaust air forming the space 113 for induction of the exhaust air. As it hits, part of the cough noise is attenuated and transmitted when passing through the cradle 110 of the case body 100, the cough noise of the remaining patient that is not transmitted is scattered or reflected again inside the case body 100 When the sieve 100 is attenuated and transmitted, the cough noise of the patient is minimized.

이와 동시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은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머물다가 조금씩 외부로 퍼지기 때문에 차후에,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고자 반복 사용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환자의 기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악취 등이 재흡입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이점도 있다. At the same time, since carbon dioxide and odor contained in the patient's cough stay inside the case 100 and spread out little by little, it is included in the patient's cough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repeated use to induce the patient's cough.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minimizing the re-absorption of the carbon dioxide and odors.

이때에도, 감지수단을 통해 현재 모드가 호기모드인 것을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sensing means may recognize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exhalation mode.

그리고 도 17을 참조하여, 휴지모드(Pause mode)는 호기모드 후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이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 사이의 밀폐된 바닥면에 놓여 짐으로써 밀폐되도록 회전시키면, 회전체(320)의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과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에 위치되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또는 측면측 출구(313)}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회전체(320)의 제1 연통로(326)를 경유하여 하우징(310)의 측면측 출구(313){또는 측면측 입구(312)}를 통해 리턴되도록 공기이동경로가 형성된다. And, with reference to Figure 17, the pause mode (Pause mode) after the exhalation mode,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rotor 320 is sealed between the bottom side inlet 315 and the bottom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When it is rotated to be closed by being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and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of the rotating body 320 are provided at th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of the housing 310. Located between the outlets 313, air flowing through the side inlet 312 (or the side outlet 313) of the housing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of the rotor 320. Thus, an air movement path is formed to return through the side outlet 313 (or the side inlet 312) of the housing 310.

이때,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에 형성된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은 하우징(310)의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 및 케이스체(100)의 일반 호흡용 구멍(112)에 연통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second breathing hole 328 for general breathing 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rotating body 320 may include the first breathing hole 317 for the general breathing of the housing 310 and the case body 100.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breathing hole (112).

이를 통해, 휴지모드 하에서는 공기압 발생 유닛(200)을 통해 공기압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환자의 호흡기관 또는 외부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며, 단순히 환자가 자연숨을 쉴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Through this, even in the idle mode, even if the air pressure is generated through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the air is not supplied to the respiratory tract or the outside of the patient, it simply guides the patient to breathe natural breath.

즉, 환자의 호흡기관 쪽에 연통된 마스크 호스(130)를 통해 공기의 흡입이 발생할 경우 케이스체(100)의 일반 호흡용 구멍(112)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중첩연통된 하우징(310)의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 및 회전체(320)의 하판(322)에 형성된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을 경유하여 유입된다. That is, when inhalation of air occurs through the mask hose 130 connected to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0 in which the fresh air is superim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breathing hole 112 of the case body 100. It flows in through the 1st relay hole 317 for general breathing, and the 2nd relay hole 328 for general breath formed in the lower board 322 of the rotating body 320. FIG.

이처럼, 유입되는 공기는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통해 하우징(310)의 중계 출입구(314) 쪽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되는 공기는 마스크 호스(130)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공급되고 이후, 환자가 공기를 내뿜을 경우 환자의 호흡기관 쪽에 연통된 마스크 호스(130)를 통해 공기가 자연 배기되고, 그 자연 배기되는 공기는 하우징(310)의 중계 출입구(314)를 통해 회전체(320)의 제2 연통로(327)를 경유하여 측면측 출구(313)로 유동된다. As such, the incoming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lay entrance 314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rotating body 320, and the inlet air is breathed by the patient through the mask hose 130. After being supplied to the trachea and the patient exhales air, the air is naturally exhausted through the mask hose 130 communicated 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and the air is naturally exhausted through the relay inlet 314 of the housing 310. It flows to the side side exit 313 via the 2nd communication path 327 of the rotating body 320. FIG.

이후, 자연 배기되는 공기는 연결함(400)의 제2 통로(430)를 통해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 배출구(2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연결함(400)의 제1 통로(420)를 통해 하우징(310)의 측면측 입구(312) 쪽으로 유입된다. Thereafter, the naturally exhausted air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10 and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sequentially through the second passage 430 of the connection box 400. It flows into the side inlet 312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first passage 420.

이후, 그 유입되는 공기는 연통된 회전체(320)의 제1 연통로(326)의 절개공간(325)을 통해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 쪽으로 흐른 후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110)의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에 부딪힘으로써, 케이스체(100) 내부로 유동된다. Thereafter, the inflowing air flows towar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of the rotating body 320 communicated with the case body 100. By colliding with the space 113 for induction of the inside of the exhaust air of the holder 110 provided therein, it flows into the case body 100.

이를 통해, 환자가 휴지모드 하에서 자연숨을 쉴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Through this, the patient is guided to breathe naturally under the idle mode.

이와 같은, 흡기모드, 호기모드 및 휴지모드의 반복을 통해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s cough is induced through repetition of the inhalation mode, the exhalation mode, and the rest mode.

이때에도, 감지수단을 통해 현재 모드가 휴지모드인 것을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sensing means may recognize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idle mode.

이와 더불어, 기침유도기능을 수행하는 환자의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여도 환자의 기침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에,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수한 환자의 경우에는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게 즉, 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단위시간당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적게 흡입되게 하면서 강제 배기 때는 기침이 유도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빠르게 강제 배기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로 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eral patients whose lungs are healthy or sensitive to the cough induction function,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intake of air under the preset air pressure and the time required for forced discharge of air are the same. 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with weak lungs or sensitive nerves, cough may be induced, whil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forced inhalation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It requires a function that can be controlled to be forced out quickly under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o induce a cough during forced exhaust while a small amount is inhal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침보조장치에는 중계호스(500)를 전측 중계호스(500)와 후측 중계호스(500)로 분리되게 하고, 양측이 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과 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와 연통된 전측 중계호스(500)를 통해 일정한 공기압 하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만 선택에 따라 조절하여 주는 공기유입량 조절수단(600)이 탑재되어 제공되어진다. To this end, in the coug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hose 500 is separated into the front relay hose 500 and the rear relay hose 500, and both sides of the front relay hose 500 and the rear relay hose 500 are separat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rough the front relay hose 500 communicated with the relay inlet 314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the air inflow rate adjustment to adjust only the inflow of the air flowing under a constant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ans 600 are provided mounted.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유입량 조절수단(600)은 크게 공기유동용 몸체, 개폐밸브부(640), 원웨이 밸브부(650) 및 방향전환 밸브부(660)로 이루어진다. As such, the air inflow amount adjusting means 600 to perform the function is composed of the air flow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40, the one-way valve 650 and the directional valve portion 660.

먼저, 공기유동용 몸체는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와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로 구분되고, 그 구분되는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와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 사이에 격벽(630)이 설치되어 공기이동경로인 제1 챔버(611) 및 제2 챔버(621)로 구분되는 공간을 갖는다. First, the air flow body is divided into an air flow upper body 610 and an air flow lower body 620, the partition wall 630 between the air flow upper body 610 and the air flow lower body 620 is separated. It is installed to have a space divided into the first chamber 611 and the second chamber 621 which is an air movement path.

이때, 제1 챔버(611)의 공간을 갖는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의 외부면 한쪽에는 전측 중계호스(500)와 연통되는 제1 공기유통구(612)가 구비되고, 외부면의 다른 한쪽에 상부측 튜브용 연통구(613)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on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10 for air flow having a space of the first chamber 611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flow port 612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relay hose 500,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The upper side communication port 613 is provided.

또한,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와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630)에는 대유입공(631), 소유입공(632) 및 유출공(633)이 순차적으로 관통형성된다. In addition, a large inlet hole 631, a small inlet hole 632, and an outlet hole 633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63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ody 610 for airflow and the lower body 620 for airflow.

이때, 대유입공(631)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1개 및 3개 등 공기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large inlet hole 631, as shown in the figure, may be formed in two or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flow of air, such as one and three.

또한, 제2 챔버(621)의 공간을 갖는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의 외부면 한쪽에도 후측 중계호스(500)와 연통되는 제2 공기유통구(622)가 구비되고, 외부면의 다른 한쪽에 하부측 튜브용 연통구(623)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second air flow port 622 communicating with the rear relay hose 500 is also provid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620 for airflow having the space of the second chamber 621,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The lower side tube communication port 623 is provided.

또한,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의 내부면에는 하부 연결대(624)가 돌출되되 상기 격벽(630)의 대유입공(6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는데 이때, 하부 연결대(624)와 하부측 튜브용 연통구(623)는 연통되는 구조를 갖게 배치된다. In addition, a lower connecting rod 624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620 for air flow, and protrud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inlet hole 631 of the partition 630, wherein the lower connecting rod 624 and the lower tube. The dragon communication port 623 is disposed to have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상기 개폐밸브부(640)는 제1 챔버(611) 및 제2 챔버(621)의 압력차에 따라 대유입공(63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부재로서,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의 하부 연결대(624)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40 is a memb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large inlet hole 631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611 and the second chamber 621, the lower connection of the lower body 620 for air flow ( 624.

이러한 개폐밸브부(640)는 탄성력에 의해 대유입공(631)에 접촉되는 접촉영역(641) 및 상기 접촉영역(641)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것으로 압력차에 의해 탄성압착되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개폐밸브부(640)의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은 방향전환 밸브부(660) 쪽과 연통되어진다. The on-off valve part 640 has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ct area 641 in contact with the large inlet hole 631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contact area 641 is elastic compression crimp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is case, the elastic pressing crimp area 642 of the on-off valve part 640 communicates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part 660.

이러한, 개폐밸브부(640)의 일실시예로 탄성재질의 다이아후렘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40 may use a diaphragm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원웨이 밸브부(650)는 유출공(633)을 개폐시키는 부재로서 특히, 제2 챔버(621)의 공기가 제1 챔버(611)로 유동시에는 개방되고, 제1 챔버(611)의 공기가 제2 챔버(621)로 유동시에는 폐쇄되는 일방향 밸브이다. The one-way valve 650 is a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hole 633. In particular, the one-way valve 650 is opened when air in the second chamber 621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611. It is a one-way valve that is closed when ai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621.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원웨이 밸브부(650)는 탄성재질로서, 일측이 상기 제1 챔버(611) 쪽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630)의 일측면에 고정돌기(651)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공기압에 의해 유출공(633)을 개방시키는 고무판(6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way valve 650 to perform this function is an elastic material, one sid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630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hamber 611 through a fixing projection 651, pneumatic pressure It can be made of a rubber plate 652 to open the outlet hole 633 by.

이때, 고무판(652)의 면적은 유출공(633)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게 제작된다.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rubber plate 652 is manufactur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outflow hole 633.

이를 통해, 제2 챔버(621)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고탄성이면서 얇은 막형상인 고무판(652)에 부딪힐 경우 격벽(630)에 고정된 고정돌기(651)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고무판(652)이 들어 올려지면서 공기가 제1 챔버(611) 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Through this, whe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chamber 621 hits the high elastic and thin film-like rubber plate 652, the rubber plate 652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fixing protrusion 651 fixed to the partition wall 630. ) Is provided to allow air to flow toward the first chamber 611 as it is lifted.

상기 방향전환 밸브부(660)는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와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에 형성된 제1,2 챔버(611,621)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동작신호에 의해 제1,2 챔버(611,621)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제1 챔버는 차단시킴과 더불어 제2 챔버는 외부로 배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방향전환 밸브부(660)에 의해 제1,2 챔버(611,621)가 연통되면 상기 제1 챔버(611)의 압력보다 제2 챔버(621)의 압력이 커 상기 개폐밸브부(640)가 대유입공(631)을 폐쇄시킴으로써, 제1 챔버(611) 쪽의 공기가 상기 소유입공(632)을 통해 제2 챔버(621)쪽으로 유동되도록 선택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irectional valve 66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formed in the upper body 610 for airflow and the lower body 620 for airflow, respectively.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611 and 6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first chamber is blocked and the second chambe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directional valve 660. When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621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chamber 611, the on-off valve part 640 closes the large inlet hole 631, so that the air toward the first chamber 611 is retained. The selective control is performed to flow toward the second chamber 621 through the hole 632.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전환밸브부는 일실시예로서, 압력 입력포트(P), 압력 출력포트(A) 및 배기포트(A)로 이루어진 3포트 2위치 밸브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may perform a solenoid valve, which is a three-port two-position valve including a pressure input port P, a pressure output port A, and an exhaust port A.

그리고 방향전환 밸브부(660)는 일단이 상부측 튜브용 연통구(613)와 연통되고, 타단이 압력 입력포트(P)와 연통되는 상부측 튜브(670) 및 일단이 하부측 튜브용 연통구(623)와 연통되고, 타단이 압력 출력포트(A)와 연통되는 하부측 튜브(680)를 통해 공기유동용 몸체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660 has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tube communicating port 613,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 input port P, and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tube. In communication with 623,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through the lower side tube 680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ssure output port (A).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기유입량 조절수단(600)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동일한 공기압 하에서,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게 제어하고,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수한 환자의 경우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많이 소요되도록 즉, 강제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이 강제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양보다 적게 제어하여 공기의 강제 흡입 시 환자의 폐에 최대한 타격을 주지 않으며 기침을 유도하는 과정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y using the air inflow rate adjusting means 6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general patients whose lungs are healthy or nervous, the time and air required to forcibly inhale the air under the preset air pressure are forced. In the case of a special patient whose lungs are equally controlled and whose lungs are weak or sensitive to nerves, the time required to forcibly inhale the air is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to forcibly eject the air. The amount of air per hour is controlled less than the amount of air per unit time required to force the discharge, so that when the forced inhalation of air does not hit the lungs of the patient as much as possible and describes the process of inducing a cough using the drawings as follows.

도 20을 참조하여,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에 기침유도를 위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는 흡기모드에서는 방향전환 밸브부(660)를 스위칭 조작하는데, 예를 들어, 오프조작(일반환자 기침유도 기능에 해당함)을 한다. Referring to FIG. 20, in the intake mode in which air is forced to inhale air for induction of cough in a general patient whose lungs are not healthy or sensitive to nerves,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660 is performed, for example, an off operation (a general patient). Cough induction function).

오프조작에 의해 방향전환 밸브부(660)는 압력 입력포트(P) 쪽을 폐쇄한 상태에서 압력 출력포트(A)가 배기포트(A)와 연통되게 제어한다. By the off operatio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660 controls the pressure output port A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ort A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nput port P is closed.

이를 통해,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의 제1 공기유통구(612)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챔버(611)로 흐르면서 격벽(630)의 대유입공(631) 및 유출공(633) 등에 압력을 가한다. Through this, the air forcib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flow port 612 of the upper body 610 for the air flow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611, the large inlet hole 631 and the outlet hole 633 of the partition 630. Apply pressure to the back.

이때, 격벽(630)의 대유입공(631)에 탄성력에 의해 접촉된 개폐밸브부(640)에도 압력이 가해지는데 여기서, 하부측 튜브용 연통구(623)와 연통된 하부측 튜브(680)는 압력 출력포트(A)가 배기포트(A)와 연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개폐밸브부(640)를 이루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이 탄성압착되면서 대유입공(631)이 개방되어 제1 챔버(611)의 공기가 제2 챔버(621)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환자에게 기설정된 공기압에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유동된다. At this time, pressure is also applied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arge inlet hole 631 of the partition 630 by the elastic force, where the lower tube 680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tube communication port 623 is Since the pressure output port A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port A, the elastic inlet crimp region 642 constitut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the large inlet hole 631 is opened to open the first chamber ( By inducing air of 611 to flow into the second chamber 621,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o the patient flows toward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이후, 도 21을 참조하여, 폐가 건강하거나 신경이 예민하지않는 일반환자에 기침유도를 위해 공기를 강제 배기하는 호기모드에서는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의 제2 공기유통구(622)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챔버(621)로 흐른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21, in the exhalation mode in which the lungs are forced out of the air for cough induction in a general patient who is not healthy or nervous, forced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622 of the lower body 620 for air flow. Inflowing ai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621.

이때, 개폐밸브부(640)에는 제1 챔버(611)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개폐밸브부(640)를 이루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이 탄성복원되어 격벽(630)의 대유입공(631)을 폐쇄시킨 상태이다. 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pressure applied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from the first chamber 611, the elastic crimping crimp region 642 constitut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is elastically restored to provide a large inlet hole in the partition wall 630. 631 is closed.

이로 인해, 제2 챔버(621)로 흐른 강제 배기되는 공기는 격벽(630)의 유출공(633) 쪽으로 진입되어 개폐밸브부(640)를 밀면서 개방되는 유출공(633)을 통해 제1 챔버로 흐르며 이후, 전측 중계호스(500)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기된다. For this reason, the forced exhaust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621 enters the outlet hole 633 of the partition wall 630 and pushes the open / close valve part 640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outlet hole 633 that is opened. Then, it is forced out through the front relay hose 500 to the outside.

이처럼, 강제 흡입되거나 강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시간은 거의 동일하다. As such, the flow times of the forced suction or forced exhaust are about the same.

그리고 도 22를 참조하여,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정환자에 기침유도를 위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는 흡기모드에서는 방향전환 밸브부(660)를 온조작(특정환자 기침유도 기능에 해당함)을 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2, in the intake mode in which air is forced to inhale air for cough induction in a particular patient whose lung is weak or sensitive to nerves, the directional valve part 660 is operate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ient cough induction function).

온조작에 의해 방향전환 밸브부(660)는 압력 입력포트(P)와 압력 출력포트(A)가 연통되게 제어한다. By the ON operatio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660 controls the pressure input port P and the pressure output port A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공기유동용 상부 몸체(610)의 제1 공기유통구(612)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챔버(611)로 흐르면서 격벽(630)의 대유입공(631) 및 유출공(633) 등과 더불어 상부측 튜브(670) 및 하부측 튜브(680)의 연통에 의해 제2 챔버(621) 쪽에도 흘러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Through this, the air forcib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flow port 612 of the upper body 610 for the air flow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611, the large inlet hole 631 and the outlet hole 633 of the partition 630. In addition, the upper tube 670 and the lower tube 68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low to the second chamber 621 to transfer pressure.

이때, 걸리는 압력이 하부측 튜브(680)를 통해 개폐밸브부(640)를 이루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에도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탄성압착 주름영역(64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접촉영역(641)으로 인해, 하부측 튜브(680)를 통해 개폐밸브부(640)를 이루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져 접촉영역(641)은 격벽(630)의 대유입공(63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ppli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astic crimped pleated region 642 constitut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portion 640 through the lower tube 680, whereby the contact region 641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elastic crimped pleated region 642.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crimped pleated region 642 constituting the open / close valve portion 640 through the lower tube 680, the contact region 641 is a large inlet hole 631 of the partition wall 630. It keeps in contact with.

이로 인해, 제1 공기유통구(612)를 통해 강제 유입된 공기는 격벽(630)의 소유입공(632)으로만 흐르게 되어, 적은 양의 공기가 소유입공(632)을 통해 흐름으로써, 기설정된 공기압 하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유동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환자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제공한다. As a result, the air forced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flow port 612 flows only into the small hole 632 of the partition wall 630, so that a small amount of air flows through the small hole 632. The amount of air flowing under the air pressure takes a long time to flow 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hereby providing a more stable supply of air to patients with weak lungs or sensitive nerves.

이후, 도 23을 참조하여,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특정환자에 기침유도를 위해 공기를 강제 배기하는 호기모드에서는 공기유동용 하부 몸체(620)의 제2 공기유통구(622)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챔버(621)로 흐른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23, in an exhalation mode for forcibly evacuating air for cough induction to a specific patient whose lungs are weak or sensitive to nerves, the air flow is forcibl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flow port 622 of the lower body 620. Ai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621.

이때,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제1 챔버(611)와 제2 챔버가 연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도 개폐밸브부(640)를 이루는 접촉영역(641)은 격벽(630)의 대유입공(63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first chamber 611 and the second chamber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contact area 641 constitut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is still in the large inlet hole 631 of the partition wall 630. It is kept in contact.

이를 통해, 제2 챔버(621)로 흐른 강제 배기되는 공기는 격벽(630)의 유출공(633) 쪽으로 진입되어 개폐밸브부(640)를 밀면서 개방되는 유출공(633)을 통해 제1 챔버로 흐르며 이후, 전측 중계호스(500)를 통해 외부로 빠르게 강제 배기된다. Through this, the forced exhaust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621 enters the outlet hole 633 of the partition 630 and pushes the opening / closing valve part 640 to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outlet hole 633 that is opened. After that, it is forced out quickly through the front relay hose 500 to the outside.

이처럼, 강제 흡입되는데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게 흡입되도록 하고, 강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은 기존과 동일하여 신속하게 강제 배기됨으로써, 폐가 약하거나 신경이 예민한 환자에게도 기침 유도 기능 수행 시 폐에 많은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도 동일한 기침 유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유도하여 준다.
As such, the amount of air sucked in by forced inhalation is inhaled, and the amount of forced air is forced out as quickly as it is, which causes a lot of shock to the lungs when the cough induction function is performed even in a patient with weak lungs or sensitive nerves. Induces the same cough induction function without giving.

100 : 케이스체 110 : 거치대
111 : 흡기용 구멍 112 : 일반 호흡용 구멍
113 :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 114 : 단턱
120 : 연결구 130 : 마스크 호스
200 : 공기압 발생 유닛 210 : 공기 흡입구
220 : 공기 배출구 300 : 방향전환 밸브유닛
310 : 하우징 311 : 수용공간
312 : 측면측 입구 313 ; 측면측 출구
314 : 중계 출입구 315 : 바닥면측 입구
316 : 바닥면측 출구
317 :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 320 : 회전체
321 : 상판 322 : 하판
323 :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 324 :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
325 : 절개공간 326 : 제1 연통로
327 : 제2 연통로
328 : 일반 호흡용 제2 중계구멍 330 : 정역모터
340 : 원반 350 : 센서
400 : 연결함 410 : 구획벽
420 : 제1 통로 430 : 제2 통로
500 : 중계 호스 510 : 전측 중계호스
520 : 후측 중계호스 600 : 공기유입량 조절수단
610 : 공기유동용 상부몸체 611 : 제1 챔버
612 : 제1 공기유통구 613 : 상부측 튜브용 연통구
620 : 공기유동용 하부몸체 621 : 제2 챔버
622 : 제2 공기유통구 623 : 하부측 튜브용 연통구
624 : 하부 연결대 630 : 격벽
631 : 대유입공 632 : 소유입공
633 : 유출공 640 : 개폐밸브부
641 : 접촉영역 642 : 탄성압착 주름영역
650 : 원웨이 밸브부 651 : 고정돌기
652 : 고무판 660 : 방향전환 밸브부
661 : 압력 입력포트 662 : 압력 출력포트
663 : 배기포트 670 : 상부측 튜브
680 : 하부측 튜브
100: case 110: holder
111: intake hole 112: general breathing hole
113: space for induction inside the exhaust air 114: step
120: connector 130: mask hose
200: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10: air intake
220: air outlet 300: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10: housing 311: accommodation space
312: side opening 313; Side exit
314: relay doorway 315: floor side entrance
316: floor side outlet
317: first relay hole for general breathing 320: rotating body
321: top plate 322: bottom plate
323: partition for inducing outside air 324: partition for inducing exhaust air
325: incision space 326: first communication path
327: second communication path
328: second relay hole for general breathing 330: stationary motor
340: Disc 350: sensor
400: connection box 410: partition wall
420: first passage 430: second passage
500: relay hose 510: front relay hose
520: rear relay hose 600: air inflow rate adjusting means
610: upper body for air flow 611: first chamber
612: first air flow port 613: communication port for the upper tube
620: lower body for air flow 621: second chamber
622: second air flow port 623: communication tube for the lower side tube
624: lower connecting rod 630: partition wall
631: large inflow 632
633: outflow hole 640: on-off valve
641: contact area 642: elastic crimp wrinkled area
650: one-way valve 651: fixed protrusion
652: rubber plate 660: direction switching valve
661: pressure input port 662: pressure output port
663 exhaust port 670 upper tube
680: lower side tube

Claims (14)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110)가 구비되고, 그 구비된 거치대의 한 곳에는 흡기용 구멍(111)이 관통형성된 케이스체(100)와;
상기 케이스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력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흡입구(210)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동시에 공기 배출구(220)로 그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압 발생 유닛(200)과;
상기 케이스체(100)의 거치대(110)에 안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거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흡기용 구멍(111)과 연통되는 바닥면측 입구(315)가 형성되고,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체(100)의 내부로 유동되게 하는 바닥면측 출구(316)가 형성된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을 포함하되,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은, 상면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가 각각 관통형성되며, 다른 한쪽의 측면에 공기가 출입하는 중계 출입구(31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11)을 이루는 바닥면에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가 형성된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에 수용되어 회동가능하게 축연결 되는 것으로, 상판(321) 및 하판(322), 상기 상판(321) 및 상기 하판(322)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을 구비하여 제1 연통로(326)와 제2 연통로(327)를 형성하되, 상기 제1 연통로(326)가 형성된 상기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상기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 사이의 상기 하판(322) 쪽을 일부 절개시켜 절개공간(325)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에 따라 상기 절개공간(325)과 상기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가 연통되게 제공하는 회전체(320)와;
상기 하우징(31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320)의 축과 연결되는 정역 모터(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A cradle 110 is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and a case body 100 through which an intake hole 111 is formed in one place of the cradle;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100 and generates air pressure by the rotational force to suck air into the air inlet 210 and discharge the air sucked into the air outlet 220 at the same time. and;
Placed in the holder 110 of the case body 100,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forcibly inhaling air toward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or forced air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s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to exhaust, but the air forced to be sucked toward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is formed with a bottom side inlet 315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hole 111 so that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100. And a diverter valve unit 300 having a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for allowing air forced out of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to flow into the case body 100.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the receiving space 3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side outlet 313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exits on one side, respectively, is formed through A housing 310 having a relay entrance and exit 314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is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bottom surface side inlet 315 and a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11;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housing 310 is axially rotatably connected, the outer air induction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plate 321 and the lower plate 322, the upper plate 321 and the lower plate 322 A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having a barrier rib 323 and a barrier rib 324 for induction of exhaust air to form a first communication path 326, and the first air path 326 is formed therein. Part of the lower plate 322 between the bulkhead 323 and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is partially cut to form a cutout space 325, thereby rotating the cutout space 325 and the housing 310 according to rotation. A rotating body 320 providing the bottom surface side inlet 315 an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t is provided on the housing 310,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330)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rotating body; cough aid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100)에 구비된 상기 거치대(110)의 다른 한 곳에는 일반 호흡용 구멍(11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거치대(110)의 일반 호흡용 구멍(112)에 대응되는 곳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체(320)를 이루는 구성 중 상기 제2 연통로(327)가 형성된 상기 외부공기 유도용 격벽(323) 및 상기 배기공기 유도용 격벽(324) 사이의 상기 하판(322) 쪽에는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이 관통형성되되, 그 관통형성되는 상기 일반 호흡용 제2 중계 구멍(328)의 위치는 상기 회전체(320)의 절개공간(325)이 상기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입구(315)와 바닥면측 출구(316) 사이의 밀폐된 바닥면에 놓여졌을 때에 상기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을 이루는 바닥면에 형성된 일반 호흡용 제1 중계 구멍(317)과 연통되는 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110 provided in the case body 100 is a general breathing hole 112 is formed through,
The first relay hole 317 for general breathing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housing 310, and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breathing hole 112 of the holder 110. ,
General breathing on the lower plate 322 between the external air induction partition 323 and the exhaust air induction partition 324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327 is formed among the components forming the rotating body 320. The second relay hole 328 is formed through, but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lay hole 328 for the general breathing is formed through the cutting space 325 of the rotating body 320 of the housing 310 First breathing hole 317 for general breathing, which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pace 311 of the housing 310 when placed on the closed bottom surf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side inlet 315 and the bottom surface side outlet 316. And cough aid devic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100)에 구비된 상기 거치대(110)의 또 다른 한 곳에는 단턱(114)을 통해 배기공기 내부 유도용 공간(113)을 형성시켜 상기 하우징(310)의 바닥면측 출구(316)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인 환자의 호흡기관 쪽으로부터 강제 배기되는 공기가 부딪혀서 상기 케이스체(100)의 내부쪽으로 흐르게 유도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another place of the holder 110 provided in the case body 100, a space 113 for induction of the inside of exhaust air is formed through the stepped 114 so that the bottom side outlet 316 of the housing 310 is formed. Cough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d air exhaust from the side of the patient's respiratory organ that i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ump to guide the flow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00).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입구(312)와 측면측 출구(313) 사이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여 주는 연결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or 4,
Air passages are connected between the air inlet 210 and the air outlet 22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side inlet 312 and the side outlet 313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Cough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box (400) for form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함(400)은, 내부에 구획벽(410)을 설치하여 제1 통로(420)와 제2 통로(430)를 형성하되, 그 형성되는 제1 통로(420) 쪽에는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입구(312)가 연통되고, 상기 제2 통로(430) 쪽에는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200)의 공기 흡입구(210)와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측면측 출구(313)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junction box 40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10 therein to form a first passage 420 and a second passage 430, but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ssage 420 formed therein. The air outlet 220 of 200 and the side inlet 312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let 210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430. C) and the side outlet (313)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와 연통되는 중계호스(500)와;
상기 케이스체(100)에 관통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중계 호스(500)의 타단에 연통되고, 타측이 마스크 호스(130)에 연통되는 연결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relay hose 500, one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inlet and outlet 314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0;
The connector body is fixed to the case body 100,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relay hose 500,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sk hose 130; cough further comprising a Auxiliary de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호스(500)는 전측 중계호스(500)와 후측 중계호스(500)로 분리되고,
양측이 상기 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과 상기 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방향 전환 밸브 유닛(300)의 중계 출입구(314)와 연통된 상기 전측 중계호스(500)를 통해 일정한 공기압 하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만 선택에 따라 조절하여 주는 공기유입량 조절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y hose 500 is separated into a front relay hose 500 and a rear relay hose 500,
Both sides are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front relay hose 500 and one side of the rear relay hose 500, the front relay hose 500 communicated with the relay inlet 314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0. Cough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ir inflow amou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only the inflow amount of air introduced under a constant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sel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수단(600)은, 대유입공(631), 소유입공(632) 및 유출공(633)이 형성된 격벽(630)에 의해 제1,2 챔버(611,621)로 구분되고,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제1,2 공기유통구(612,622)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동용 몸체와;
상기 제1 챔버(611) 및 상기 제2 챔버(621)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대유입공(63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밸브부(640)와;
상기 유출공(633)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챔버(621)의 공기를 상기 제1 챔버(611)로만 유동시키는 원웨이 밸브부(650)와;
상기 제1,2 챔버(611,621)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제1,2 챔버(611,621)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챔버는 차단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챔버는 외부로 배기시키는 방향전환 밸브부(660);를 포함하되,
상기 방향전환 밸브부(660)에 의해 상기 제1,2 챔버(611,621)가 연통되면 상기 제1 챔버(611)의 압력보다 제2 챔버(621)의 압력이 커 상기 개폐밸브부(640)가 상기 대유입공(631)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챔버(611) 쪽의 공기가 상기 소유입공(632)을 통해 상기 제2 챔버(621)쪽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inflow rate adjusting means 60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by the partition wall 630 in which the large inflow hole 631, the small inlet hole 632, and the outlet hole 633 are formed, and the air flows in. And an air flow body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ir flow ports 612 and 6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access the air;
An opening / closing valve unit 640 for opening or closing the large inlet hole 631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611 and the second chamber 621;
A one-way valve part 6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hole 633 to flow air of the second chamber 621 only to the first chamber 611;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first chamber is blocked while the second chambe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o include a diverting valve unit 660;
Whe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611 and 6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660, the pressure of the second chamber 62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hamber 611 so that the on / off valve unit 640 is closed. And closing the large inlet hole (631), so that the air toward the first chamber (611) flows through the small hole (632) toward the second chamber (6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부(640)는, 상기 제2 챔버(621) 쪽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대유입공(631)에 접촉되는 접촉영역(641) 및 상기 접촉영역(641)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것으로 압력차에 의해 탄성압착되는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n-off valve part 6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hamber 621, the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ct region 641 and the contact region 641 in contact with the large inlet hole 631 by the elastic force Cough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lastic crimping wrinkle area (642) elastically compressed by a pressure differe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부(640)의 탄성압착 주름영역(642)이 상기 방향전환 밸브부(660) 쪽과 연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Cough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crimping crimp region (642) of the on-off valve portion (6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portion (660) s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밸브부(650)는, 일측이 상기 제1 챔버(611) 쪽에 위치되는 상기 격벽(630)의 일측면에 한쪽이 고정되어져 공기압에 의해 상기 유출공(633)을 개방시키는 고무판(6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ne-way valve portion 650, one sid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63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hamber 611 rubber plate 652 for opening the outlet hole 633 by air pressure Cough aid devic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부는, 솔레노이드밸브로서, 3포트 2위치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portion is a solenoid valve and is a 3-port 2-position val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유통구(612)는 상기 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유통구(622)는 상기 후측 중계호스(500)의 일측에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보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ir outlet 61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relay hose 500, the second air outlet 622 is cough,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relay hose 500 Auxiliary devices.
KR1020120030978A 2012-03-27 2012-03-27 Device of cough help KR101192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78A KR101192689B1 (en) 2012-03-27 2012-03-27 Device of cough hel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78A KR101192689B1 (en) 2012-03-27 2012-03-27 Device of cough hel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689B1 true KR101192689B1 (en) 2012-10-19

Family

ID=4728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78A KR101192689B1 (en) 2012-03-27 2012-03-27 Device of cough hel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6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32B1 (en)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Portable cough stimulat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62B1 (en) *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62B1 (en) *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32B1 (en)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Portable cough stimulat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09B1 (en)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CN101553268B (en) 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a patient to talk with or without a trachostomy tube check valve
KR101038262B1 (en)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JP3768689B2 (en) Ventilator
JP2009509610A (en) Forced inspiration exhalation device with ventilator
CN101360528A (en) Ventilator adaptable for use with either a dual-limb circuit or a single-limb circuit
WO2007102866A2 (en) Ventilator adaptable for use with either a dual-limb or a single-limb circuit
JP2020525102A (en) Resuscitation bag equipped with a guide section for chest compressions
KR101192689B1 (en) Device of cough help
CN105169539B (en) A kind of first-aid respirator
KR101160880B1 (en) Regulating device of aerial inflow volume
KR101459332B1 (en) Portable cough stimulat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JP2023518302A (en) Inspiratory resistance valve system with expiratory port
KR20110108014A (en) Cough assist apparatus
CN106964038B (en) Movable type cough inducer
JP3775118B2 (en) High frequency ventilator
CN112263792B (en) Formula of clamp exhale ware and gauze mask
CN213049068U (en) Respirator capable of switching multiple wind paths
JP3780455B2 (en) Mask device with blower
CN117563159A (en) Following type auxiliary air supply respi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60452B2 (en) Training mask for training the respiratory muscles and/or snorkeling mask with improved air routing
JP7352964B2 (en) ventilator system
JP3293317B2 (en) Respiratory vibration generator for artificial respirators
KR20240068476A (en) Switching valve device for cough causing apparatus and cough ca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20211960A1 (en) A system for delivering inhaled therap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