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92B1 -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Google Patents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92B1
KR101192592B1 KR1020100127321A KR20100127321A KR101192592B1 KR 101192592 B1 KR101192592 B1 KR 101192592B1 KR 1020100127321 A KR1020100127321 A KR 1020100127321A KR 20100127321 A KR20100127321 A KR 20100127321A KR 101192592 B1 KR101192592 B1 KR 10119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output
data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6126A (en
Inventor
조용주
조현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92B1/en
Publication of KR2012006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획득부; 입력과 출력을 갖는 통계처리 단위작업과 단위작업 사이의 입출력 관계를 입력받아 데이터의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되, 통계처리 그래프는 노드와 방향성 에지로 구성되고, 노드는 단위작업에 대응되고 방향성 에지의 시점은 단위작업의 출력에 대응되고 에지의 종점은 단위작업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생성하는 흐름도 디자인부; 통계처리 그래프의 방향 순서대로 그래프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되, 그래프의 에지의 방향에 따라 단위작업의 출력을 단위작업의 입력으로 입력시켜 처리하는 흐름도 실행부; 및,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이미 만들어진 통계처리 단위작업을 조합하여 하고자 원하는 통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현장에서 간단한 지식만으로 복잡한 통계분석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A flow modeling 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receiving data and processing respective unit operations of the graph to display a final processing result, comprising: a data obtaining unit receiving data; Generates statistical graph of data by receiving input / output relation between unit operation and unit operation, which is composed of node and directional edge, and node corresponds to unit operation A flow chart design unit generating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the unit task and an end point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the unit task; A flow chart execution unit which processes the unit work of the graph in the order of the direc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nputs and processes the output of the unit work as an input of the unit work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graph; And a resul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ing result.
By the system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the desired statistical analysis to combine the already created statistical processing unit work, it is possible to simply process complex statistical analysis with simple knowledge in the field.

Description

제조공정 분석을 위한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계처리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nsisting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receiving data and processing each unit opera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to display a final processing result.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의 입력창을 구비하여 단위작업들 사이의 연속되는 처리 관계를 직접 표시하면서 모델링을 할 수 있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modeled while directly displaying a continuous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unit operations by having an input window of a user graphical interface (GUI).

일반적으로, 생산 현장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시스템은 통계적 공정관리(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와 같은 정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주요 공정 마다 설치하여, 공정의 상태를 항시 감시 감독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lot of efforts are made to improve productivity at the production site, and the main system used to achieve this purpose is a static system such as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Such a system is installed at each major process to monitor and monitor the state of the process at all times.

이러한 정적인 시스템들은 생산 설비를 구축할 때, 전문 IT업체에 의해 커스터마이징 되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정해진 값들만을 표시하고 관리하도록 할 수 밖에 없으며, 관리 포인트도 고정된 경험치를 갖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관리에 있어서도, 스테이션 단위의 관리를 주로 실시하고 있어, 공정 사이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분석이나, 주요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생산라인의 과학적, 통계적 예측과 같은 고차원적인 분석을 실시할 수가 없다.These static systems are being developed and customized by professional IT companies when building production facilities. Therefore, only fixed values are displayed and managed, and the management point is managed with a fixed experience value. Also, in the management, the management by the station is mainly performed, and high-level analysis such as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es and the scientific and statistical prediction of the production line due to the change of the main parameters cannot be performed.

통계 분석 방법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차원적 분석 방법을 생산 현장에 적용 한다면, 공정간의 상호 관련성 분석이나,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생산라인의 예측할 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고차원적 분석 방법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f various types of high-dimensional analysis methods are applied to the prod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inter-process correlation analysis or parameter chan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se various types of high-level analysis methods to the field.

즉, 복잡한 통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려면, 전문가의 긴 분석 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작업 역시, 통계 분석 처리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 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로 인해, 매시간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생산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인력적인 문제나 시스템적인 문제가 많아 적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더구나, 다양한 생산 시스템마다 그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적절한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역시, 생산현장에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apply complex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t must be done through expert analysis. In addition, such an analysis task should be preceded by a task of extracting and transforming data suit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processing.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manpower problems or systemic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to the production site where important decisions must be made every hour. Moreover, since various types of appropriate analysis algorithms have to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ion systems, such customization is also difficult to perform at the production site.

따라서 보다 복잡 다양한 통계분석을 위해, 데이터 획득, 분석, 데이터 출력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간단하게 정의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다.
Therefore, for a variety of more complex statistical analysi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easily define a series of processes from data acquisition, analysis, and data outpu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획득, 분석, 출력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로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출력)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generates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data acquisition, analysis, and output to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unit operations, and receives data for each unit operation of the grap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at processes and displays (outputs) final processing resul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의 입력창을 구비하여 단위작업들 사이의 연속되는 처리 관계를 직접 표시하면서 모델링을 할 수 있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modeled while directly displaying a continuous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unit operations with an input window of a user graphical interface (GUI).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획득부; 입력과 출력을 갖는 통계처리 단위작업과 상기 단위작업 사이의 입출력 관계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의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되,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는 노드와 방향성 에지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는 단위작업에 대응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은 단위작업의 출력에 대응되고 상기 에지의 종점은 단위작업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생성하는 흐름도 디자인부;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의 방향 순서대로 상기 그래프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되, 상기 그래프의 에지의 방향에 따라 단위작업의 출력을 단위작업의 입력으로 입력시켜 처리하는 흐름도 실행부; 및, 상기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at generates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receives data and processes each unit operation of the graph to display a final processing result. A data acquisition unit receiving the data; Generates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of the data by receiving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task having an input and an output and an input / output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 operations, wherein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rises a node and a directional edge, and the node corresponds to the unit task. A flow chart design unit for generating a point of time of the directional edge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a unit task and an end point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unit task; A flow chart execution unit which processes the unit operations of the graph in the order of direc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inputs and processes the output of the unit operations as input of the uni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graph; And a resul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이 2개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지는 경우,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의 단위작업 노드에는 각 입력 또는 출력을 모두 표시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는 하나의 입력 또는 출력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when the unit operation has two or more inputs or outputs, the unit operation node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s displayed on each input or output and the directional edge is one It corresponds to the input or output of.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출력은 단일값의 입출력과 어레이(array)값의 입출력으로 구분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은 동일한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e input or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is divided into input and output of a single value and input and output of an array (array), the starting point input and output and the endpoint input and output of the directional edge is the same forma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이 어레이 형식의 입출력이면, 어레이의 크기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array is the same, if the starting point input and output of the directional edge i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rray type.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에서 시작되는 노드는 데이터 입력 노드이고, 상기 데이터 입력 노드의 단위작업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가져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e node starting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s a data input node, the unit operation of the data input node is to take the data file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to input data It is characterized by the operation.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은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작업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작업이 표시작업인 경우 상기 단위작업의 출력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e unit operation includes a display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in a statistical graph, when the unit operation is a display operation, there is no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do.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표시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표시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e result display unit performs the display operation to display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 operation in a statistical graph.

또, 본 발명은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흐름도 디자인부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의 입력창을 구비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창은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단위작업을 선택하는 작업선택창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작업선택창에서 선택된 단위작업을 표시창으로 이동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단위작업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창에서 단위작업 사이를 연결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향성 에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wherein the flowchart design unit includes input means including an input window of a user graphic interface (GUI), wherein the input window includes a display window and a unit for display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a job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job, wherein the input means displays the unit job on the display window when receiving an input for moving the unit job selected from the job selection window to the display window, and connects the unit jobs in the display window. When the input is received, the directional edge is generated and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복잡 다양한 분석을 위해, 데이터 획득, 분석, 출력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흐름 정의 기반을 통해서 간단히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생산 현장에 적합한 분석법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variety of complex analysis,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data acquisition, analysis, output to simple implementation through the flow definition base, to various production sites The effect of easily implementing a suitable assay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구한 결과를 리포트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이 없이도 정의된 흐름만으로 다양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form of a report, outputs a variety of analysis results in the flow defined only without a separate complex programming process in the field A possible effect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된 통계처리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과 출력이 표시된 통계처리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통계처리 그래프 디자인 작업을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통계 그래프의 일례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조생산 시스템 11 : 작업공정
12 : 작업흐름 13 : 현장 데이터
14 : 데이터 로드부 15 : 데이터 집합소
20 : 네트워크 21 : 관리자 단말
22 : 사용자 단말
30 : 통계처리 시스템 31 : 데이터 획득부
32 : 흐름도 디자인부 33 : 결과표시부
34 : 흐름도 실행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단위작업DB
42 : 그래프DB 50 : 입력창
51 : 작업선택창 52 : 표시창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n which inputs and outputs ar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desig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examples of statistical graphs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11: work process
12: workflow 13: field data
14: data load unit 15: data set
20: network 21: administrator terminal
22: user terminal
30: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1: data acquisition unit
32: flow chart design unit 33: result display unit
34: flowchart execution unit
40: database 41: unit work DB
42: graph DB 50: input window
51: job selection window 52: display window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예들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examples of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제조생산 시스템(10), 데이터 집합소(15), 통계처리 시스템(30), 및,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1, 2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10, a data collection unit 15, a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and a manager or user terminal 21, 22. .

제조생산 시스템(10)은 산업현장에서 제품을 제조하여 생산하는 제조 라인 또는 생산 라인을 말한다. 제품의 제조 생산 공정은 일련의 작업공정(11)을 통해 최종적인 제품이 생산된다. 하나의 작업공정(11)이 끝나면 다음 작업공정(11)이 수행된다. 즉, 하나의 제품은 작업흐름(12)에 따라 각 작업공정(11)이 수행되어, 모든 작업공정(11)이 마무리되면 최종적인 제품이 생산된다.The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10 refers to a manufacturing line or a production line that manufactures and produces a product at an industrial site.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is the final product is produced through a series of work processes (11). When one work process 11 is finished, the next work process 11 is performed. That is, one product is each work process 11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work flow 12, the final product is produced when all the work process 11 is finished.

제조생산 시스템(10)에 대한 공정관리 또는 품질관리를 위해, 현장 데이터(13)를 수집한다. 현장 데이터(13)는 작업공정(11)에 각종 센서 등을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데이터로서 수집되거나, 현장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On-site data 13 is collected for process control or quality control of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10. The site data 13 may be collected as measurement data in real time by installing various sensors or the like in the work process 11 or may be collected manually by a site worker.

수집된 현장 데이터(13)는 데이터 로드부(14)를 통해 데이터 집합소(15)에 수집되어 저장된다. 데이터 로드부(14)는 저장할 현장 데이터(13)를 추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형한다.The collected field data 13 is collected and stored in the data set 15 through the data load unit 14. The data load unit 14 transforms the data so as to extract or store the field data 13 to be stored.

데이터 집합소(15)는 데이터웨어하우스(data-ware house) 또는 데이터 마트(data mart) 등으로 구현된다. 즉, 수집된 데이터는 정형화되어 저장되고, 필요한 데이터가 요구되면 요청되는 형태로 추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data set 15 is implemented as a data-ware house or a data mart. In other words, the collected data is stored in a standardized form, and when necessary data is required, the collected data can be extracted and used.

통계처리 시스템(30)은 데이터 집합소(15)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서, 통계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또는 분석자에게 출력해주는 시스템이다. 통계처리 시스템(30)은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흐름(또는 통계처리 그래프)을 정의하고, 정의된 통계처리 흐름대로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결과를 출력한다.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is a system that takes the data required from the data set 15,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and outputs the result to a user or an analyst. The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defines a statistical processing flow (or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processes the uni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efined statistical processing flow, and outputs a final result.

통계처리 단위작업은 미리 정의되고 모듈화된 통계처리 단위 모듈들이다. 따라서 통계처리 흐름은 이미 만들어진 통계처리 단위작업들의 흐름들만으로 정의됨으로써, 필요한 통계작업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단위작업을 처리할 때, 데이터 집합소(15)에 저장된 현장 데이터가 입력되어 사용된다.Statistics processing units are predefined and modularized processing units modules. Therefore, the statistical processing flow can be defined only by the flows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already made, thereby defining the necessary statistical operations. On the other hand, when processing the unit work, the field data stored in the data set 15 is input and used.

통계처리 흐름은 관리자에 의해 정의되고, 일반 사용자에 의해 처리된다. 관리자와 사용자가 동일인일 수도 있다. 이때,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21) 또는 사용자 단말(22)을 통해, 통계처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상기 관리자 단말(21) 또는 사용자 단말(22)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또, 도면부호 21, 22를 단말 이외에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도 붙이기로 한다.Statistics flow is defined by the administrator and handled by the end user.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may be the same person. In this case, the manager or the user accesses the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1 or the user terminal 22 and performs necessary tasks. Therefor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a manager or a user performing a task means a task performed by the manager terminal 21 or the user terminal 22. Incidentally, reference numerals 21 and 22 are also attached to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in addition to the terminal.

관리자 단말(21) 또는 사용자 단말(22)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넷북, PDA, 모바일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The manager terminal 21 or the user terminal 22 is a conventional computing terminal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netbook, a PDA, a mobile device used by an administrator or a user.

관리자(21)는 분석하고자 하는 통계분석을 하기 위한 통계처리 흐름(또는 통계처리 그래프)을 정의한다(또는 디자인한다). 통계처리 흐름의 디자인 작업은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를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작업은 통계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관리자 또는 분석자 등에 의해 수행된다.The manager 21 defines (or designs) a statistical processing flow (or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o be analyzed. Designing a statistical flow involves designing how the data will be analyzed. These tasks require basic knowledge of statistics and are therefore performed by administrators or analysts.

일반 사용자(22)는 만들어진 통계처리 흐름을 실행시킴으로써 원하는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일반 사용자(22)는 데이터 집합소(15)에 저장된 현장 데이터를 입력시켜 원하는 통계분석을 수행시킨다.The general user 22 performs the desired statistical analysis by executing the generated statistical processing flow and outputs the result. At this time, the general user 22 inputs the field data stored in the data set 15 to perform the desired statistical analysis.

한편,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계처리 시스템(30)은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온라인 상에서 웹서버 또는 웹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21) 또는 사용자 단말(22)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such a service, the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20 may be implemented as a web server or a web application server online. That is, a web page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manager terminal 21 or the user terminal 22 is provided, and the processed result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or necessary inpu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web page. The web page is meant to include driving software for performing a specific task, such as a web application, in addition to simple text, images, multimedia, and the like. Since such a technique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데이터베이스(40)는 통계처리 시스템(3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상의 저장매체로서, 통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단위 모듈들을 저장하는 단위작업DB(41), 및 정의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저장하는 그래프DB(4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atabase 40 is a general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and stores a unit operation DB 41 for storing unit modules capable of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and a defined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a graph DB 42.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40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and in developing a specific device, the database 40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structure by a database construction theor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and efficiency of access and search.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계처리 시스템(30)은 데이터 획득부(31), 흐름도 디자인부(32), 흐름도 실행부(33), 및, 결과 표시부(3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31, a flowchart design unit 32, a flowchart execution unit 33, and a result display unit 34.

데이터 획득부(31)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받는 데이터는 통계분석을 하고자 하는 원 데이터들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데이터웨어하우스 또는 데이터 마트 등 데이터 집합소(15)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데이터가 파일로 입력될 수도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31 receives data. The input data is the raw data for statistical analysis. As described above, data may be imported from the data set 15 such as a data warehouse or a data mart, or data may be directly input to a file by a user.

흐름도 디자인부(32)는 입력과 출력을 갖는 통계처리 단위작업과 상기 단위작업 사이의 입출력 관계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의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한다.The flowchart design unit 32 receives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task having an input and an output and an input / output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 operations and generates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of the data.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처리 그래프는 노드(A1,A2,...,A8,A9)와 방향성 에지(f13,f24,...,f68)로 구성되고, 노드는 단위작업에 대응되고 방향성 에지의 시점은 단위작업의 출력에 대응되고 상기 에지의 종점은 단위작업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생성한다.As shown in Fig. 3,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s composed of nodes A1, A2, ..., A8, A9 and directional edges f13, f24, ..., f68, and the nodes correspond to unit operations. The start point of the directional edge corresponds to the output of the unit task and the end point of the edge corresponds to the input of the unit task.

도 3에서, 노드는 A1, A2, ..., A8, A9 등 모두 9개의 노드(또는 단위작업)로 표시된다. 노드는 하나의 단위작업과 대응되므로, 특별히 구별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노드 또는 단위작업을 혼용하여 사용한다.In FIG. 3, nodes are represented by nine nodes (or unit operations), such as A1, A2, ..., A8, and A9. Nodes correspond to one unit of work, so use a combination of nodes or unit of work unless you need to distinguish them.

각 단위작업은 A1로부터 시작되어, A7 또는 A8의 단위작업으로 종료되는 일련의 흐름으로 작성된다. 이때, 흐름을 표시하는 방향성 에지는 f13, f24, ..., f67, f68로 표시된다. 즉, fij로 표시되고 i는 에지의 시점에 대응되는 노드 번호를 의미하고, j는 에지의 종점에 대응되는 노드 번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에지 f24의 시점과 종점은 각각 노드(또는 단위작업) A2와 A4이다. Each unit task is created as a series of flows beginning with A1 and ending with unit operations in A7 or A8. At this time, the directional edges indicating the flow are represented by f13, f24, ..., f67, f68. That is, fij and i denote a n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edge, and j denotes a n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edge. For example, the start and end points of edge f24 are nodes (or unit operations) A2 and A4, respectively.

도 3의 통계처리 그래프는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켜 신경망 모델의 계수들을 구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가져와서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여 예측 데이터를 계산하는 통계처리 작업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는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통계분석 처리 작업을 일련의 단위작업으로 구성하여 표시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of FIG. 3 uses the first data to train the neural network model to obtain coefficients of the neural network model, and to take the second data to be analyzed and apply the trained neural network model to a statistical processing operation for calculating prediction data. It is displayed.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shows a statistical analysis processing task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composed of a series of unit opera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s follows.

단위작업 A1과 A2는 처음 시작을 하는 단위작업이다. 처음 시작하는 단위작업은 입력이 없다. 입력이 없다는 것은 이전 작업이 없다는 의미와 같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시작되는 노드는 데이터 입력 노드이고, 상기 데이터 입력 노드의 단위작업은 데이터 획득부(31)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가져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이다.Unit tasks A1 and A2 are the unit tasks that start first. The first unit of work starts with no input. No input means no previous work. Further, preferably, the node to be started is a data input node, and the unit operation of the data input node is a job of importing a data file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31 and inputting data.

A1은 엑셀 파일을 오픈 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위작업이다. 따라서 단위작업 A1은 오픈할 엑셀파일, 엑셀파일에서 데이터가 위치하는 시트 또는 열과 행 등에 관한 정보들을 정의한다. 이때, 단위작업 A1에서 엑셀파일로부터 읽어들이는 데이터는 입력값(input)과 출력값(output)의 쌍이다. 즉,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한 입력값과 출력값의 쌍들에 대한 집합이다.A1 is a unit operation of opening an Excel file and acquiring data. Therefore, unit operation A1 defines information about an Excel file to be opened, a sheet on which data is located in the Excel file, or a column and a row. At this time, the data read from the Excel file in the unit operation A1 is a pair of an input value and an output value. That is, a set of pairs of input and output values for training a neural network model.

한편, 단위작업 A1의 입력은 없다. 단위작업 A1의 출력은 엑셀 파일로부터 읽어들인 (입력값 input, 출력값 output) 쌍의 집합이다. A1의 출력은 2개의 어레이(array) 형식의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입력값 input에 대한 어레이(array)값과 출력값 output에 대한 어레이(array)이다. 따라서 A1의 출력은 2개의 출력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input of the unit operation A1. The output of unit operation A1 is the set of pairs read from the Excel file.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of A1 is a value of two array types. That is, an array for the input value input and an array for the output value output. Thus, the output of A1 has two outputs.

단위작업 A3과 A9는 입력된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작업이다.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것은 데이터를 일정한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변환하거나 노이즈 등을 제거하는 단위작업이다. 예를 들어, 입력된 데이터가 1~1000까지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다면, 이 데이터의 범위를 -1.0 ~ 1.0 사이로 스케일링하는 등의 작업을 말한다.Unit operations A3 and A9 are operations for outputting standardized data by standardizing input data. Standardizing data is a unit of work that transforms data into a certain range or removes noise. For example, if the input data has a value in the range of 1 to 1000, the operation such as scaling the range of the data to -1.0 to 1.0 is described.

이때, 단위작업 A3은 단위작업 A1의 출력 중 하나인 입력값 input 어레이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고, 단위작업 A9는 A1의 출력 중 두 번째인 출력값 output 어레이를 입력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에지 f13의 시점은 A1의 첫 번째 출력이고, f19의 시점은 A1의 두 번째 출력에 대응된다.At this time, the unit operation A3 receives as input the input value input array which is one of the outputs of the unit operation A1, and the unit operation A9 receives as its input an output value output array which is the second of the outputs of the A1. Thus, the time point at edge f13 is the first output of A1, and the time point at f19 corresponds to the second output of A1.

단위작업 A3과 A9는 모두 어레이값을 받아들여 표준화하는 단위작업이다. 관리자(21)가 정의하는 것에 따라 표준화의 구체적인 방식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A3은 -1.0 ~ 1.0의 범위 내로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나, A9는 5개의 선택(또는 5개의 숫자 1,2,3,4,5)으로 표준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위작업 A3과 A9의 입력과 출력은 하나의 어레이값이다. 즉, 입력과 출력의 개수는 각각 1개씩이다.Unit operations A3 and A9 are both unit operations that accept and standardize array values. As the manager 21 defines, the specific way of standardization may differ. For example, A3 may be scaled and output within a range of -1.0 to 1.0, but A9 may be output by being standardized into five selections (or five numbers 1,2,3,4,5). The inputs and outputs of unit operations A3 and A9 are one array value. That is, the number of inputs and outputs is one.

단위작업 A5는 (입력값 input, 출력값 output)쌍의 집합을 입력받아 학습하는 단위작업이다. 따라서 입력은 2개의 어레이값을 갖는다. 단위작업 A5의 입력 중 첫 번째는 A3의 출력으로부터 입력받고, 두 번째 입력은 A9로부터 입력받는다. 각각을 표시하는 에지는 f35와 f95이다. 즉, 에지 f35의 시점은 A3의 출력이고, f35의 종점은 A5의 첫 번째 입력이다. 에지 f95의 시점은 A9의 출력이고, f95의 종점은 A5의 두 번째 입력이다.Unit task A5 is a unit task that learns by receiving a set of pairs (input, output). Thus the input has two array values. The first of the inputs of the unit operation A5 is input from the output of A3 and the second is input from A9. The edges representing each are f35 and f95. In other words, the start of edge f35 is the output of A3, and the end point of f35 is the first input of A5. The start of edge f95 is the output of A9 and the end of f95 is the second input of A5.

한편, 단위작업 A5의 출력은 히든 신경노드의 개수와 계수들이다. 이때 히든 신경노드는 1개의 층으로만 형성된다고 가정한다. 다수의 층으로 히든 신경노드를 구성하는 경우, 그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의 형식은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unit operation A5 is the number and coefficients of hidden neural nodes.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hidden neural node is formed of only one layer. When the hidden neural node i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the format of the output data may vary accordingly.

출력 중 개수 출력은 히든 신경노드의 숫자이고, 출력 중 계수들은 각 히든 신경노드와 입력값 input 또는 출력값 output 사이의 계수들이다. 즉, 후자는 어레이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은 하나의 값을 갖는 단일값인 개수와 어레이로 구성된 계수로, 2개를 갖는다.Number of outputs Output is the number of hidden neural nodes, and coefficients during output are coefficients between each hidden neural node and an input value input or output value output. That is, the latter can be represented as an array. Thus, the output is two, the number consisting of a single value and the coefficient consisting of an array.

앞서 예에서,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출력을 단일값의 입출력과 어레이(array)값의 입출력으로 구분한 실시예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일값과 어레이 이외에 데이터 구조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조체는 통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정의 형식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상기 신경노드의 출력을 하나의 구조체로 정의할 수 있고, 구조체로 정의하면 출력은 구조체로 하나만 갖을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input or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is divided into a single value input and output and an array value input and output. Alternatively, data structures may be used in addition to single values and arrays. Since the data structure is a technology used in a data definition form used in a general programming languag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neural node may be defined as a structure, and when defined as a structure, only one output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이하 설명에서는, A5의 출력이 단일값과 어레이값의 2개의 출력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output of A5 has two outputs, a single value and an array value.

단위작업 A5 이후의 단위작업은 A6이나, A6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그 이전 작업인 A2, A4가 수행되어야 한다.The unit work after the unit work A5 is A6, but in order for A6 to be performed, the previous work A2 and A4 must be performed.

단위작업 A2는 DB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작업이다. A2는 예측 데이터를 구하기 위하여, 현장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단위작업 A2에서 읽어와야 하는 데이터는 신경망에서 입력값 input에 해당되는 값이다. 따라서 DB파일에서 입력받는 데이터는 하나의 값이나 일련의 값 모두 가능하다. 일련의 값은 여러 데이터 각각을 입력값 input으로 하여, 각각에 대한 출력값 output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일련의 값의 개수가 1이면 하나의 값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일련의 값을 입력받는 것으로 가정한다.Unit operation A2 is a task of obtaining data from a DB file. A2 is a task of inputting field data to obtain predictive data. Therefore, the data to be read in unit operation A2 is the value corresponding to input value in neural network. Therefore, data input from DB file can be one value or a series of values. The sequence of values is to get each of several pieces of data as an input, to get the output of each. If the number of values in the series is 1, it is a single valu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a series of values is inp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따라서 단위작업 A2의 출력은 하나의 어레이값이다.Therefore, the output of unit operation A2 is one array value.

단위작업 A4는 표준화하는 작업으로서, 단위작업 A3과 동일한 작업이다. 즉, A3과 A4는 모두 신경망의 입력값 input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므로 동일하게 처리해야하기 때문이다.Unit operation A4 is a standardization operation and is the same operation as unit operation A3. That is, since A3 and A4 are both standardized operations for input of neural networks, they must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따라서 에지 f24의 시점은 단위작업 A2의 출력인 하나의 어레이값이고, 종점은 단위작업 A4의 입력인 하나의 어레이값이다. 즉, 에지 f24의 시점과 종점의 데이터 형식은 동일하다.Therefore, the start point of the edge f24 is one array value which is the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A2, and the end point is one array value which is the input of the unit operation A4. In other words, the data format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edge f24 is the same.

다음으로, 단위작업 A4의 출력은 표준화된 일련의 입력값 input으로서, 하나의 어레이값이다. 이 값은 에지 f46을 통해, 단위작업 A6의 입력으로 들어간다.Next, the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A4 is a standardized series of input values input, which is an array value. This value enters input of unit operation A6 via edge f46.

단위작업 A6은 신경망 계수를 입력받고 실제 일련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일련의 입력값에 해당되는 일련의 출력값 output을 출력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단위작업 A6의 입력은 단일값과 2개의 어레이값을 갖는다. 단일값과 1개의 어레이값은 단위작업 A5로부터 받고(이때 에지 56을 통해 받는다), 나머지 하나의 어레이값은 단위작업 A4로부터 받는다(이때 에지 46을 통해 받는다).Unit operation A6 is a task of receiving neural network coefficients, receiving a series of input values, and outputting a series of outpu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eries of input values. Thus, the input of unit operation A6 has a single value and two array values. The single value and one array value are received from unit operation A5 (this is received via edge 56), and the other array value is received from unit operation A4 (this is received via edge 46).

단위작업 A6의 출력은 일련의 출력값 output으로서, 하나의 어레이값이다.The output of unit operation A6 is a series of output values, one array value.

단위작업 A7과 A8은 결과물을 출력하는 작업이다. 즉, 통계처리 그래프의 단위작업은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작업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작업이 표시작업인 경우 상기 단위작업의 출력은 없다.Unit operations A7 and A8 are the output of the output. That is, the unit opera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ncludes a display operation for displaying input data in a statistical graph, but there is no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when the unit operation is a display operation.

단위작업 A7은 표로 출력하는 작업이고, A8은 막대그래프로 출력하는 작업이다. 이때, 단위작업 A7과 A8의 입력은 하나의 입력을 갖고, 그 입력은 하나의 어레이값이다. 즉, 에지 f68과 f67에 의해 이어진다. 또한, 에지 f67과 f68의 시점은 모두 하나의 어레이값이고, 동일한 출력을 갖는다.Unit work A7 is for printing as a table and A8 is for printing with a bar graph. At this time, the inputs of the unit operations A7 and A8 have one input, and the input is one array value. That is, it is followed by edges f68 and f67. In addition, the viewpoints of edge f67 and f68 are all one array value, and have the same output.

또한, 단위작업 A7과 A8은 출력을 갖지 않는다. 단위작업 A1과 A2가 입력을 갖지 않는 것과 대비된다.In addition, unit operations A7 and A8 have no output. Contrast that unit operations A1 and A2 have no input.

한편, 단위작업 A7과 A8과 같이, 결과를 표시하는 단위작업은 출력의 다양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결과 데이터는 표, 막대 그래프, 원형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ike unit operations A7 and A8, unit operations for displaying results may have various forms of output. The result data can be output in various forms such as a table, bar graph, and pie graph.

앞서 도 3의 예제에서 본 바와 같이, 통계처리 그래프는 노드에 해당하는 단위작업으로 구성된다. 이때 단위작업은 이미 만들어진 단위작업 모듈을 이용한다. 즉, 단위작업 모듈은 템플릿과 같이, 실행모듈과 형태는 사전에 정해져 있고, 관리자(21)에 의해, 구체적인 인자들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단위작업 A3, A4, A9는 표준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단위작업 모듈을 이용한다. 다만, A9의 표준화의 기준과 A3의 표준화 기준은 관리자에 의해 달리 정해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s composed of uni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nodes. At this time, the unit task uses the already created unit task module. That is, in the unit work module, like the template, the execution module and the form are predetermined, and the specific factors are determined by the manager 21. For example, unit operations A3, A4, and A9 use the same unit task module to perform standardization functions. However, the standard of A9 and the standard of A3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by the administrator.

한편,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에서, 단위작업이 2개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지는 경우, 단위작업 노드에는 각 입력 또는 출력을 모두 표시되고 방향성 에지는 하나의 입력 또는 출력에 대응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when the unit task has two or more inputs or outputs, the unit task nodes display each input or output and the directional edges correspond to one input or output.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단위작업을 네모로 표시하고 각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출력을 작은 동그라미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단일값의 입력 또는 출력은 일반적인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어레이값의 입력 또는 출력은 이중 동그라미로 표시한다. 앞서 데이터 구조체를 이용하는 경우, 각 구조체에 따라 표시하는 이미지를 달리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each unit task may be displayed in a square and the input or output of each unit task may be displayed in a small circle. In addition, the input or output of a single value is indicated by a general circle, and the input or output of the array value is indicated by a double circle. In the case of using a data structure, an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ach structure.

또한, 각 방향성 에지들은 하나의 출력에서 하나의 입력을 연결한다. 특히, 단위작업 A5에서 단위작업 A6으로 표시되는 에지는 2개가 표시된다. A5의 출력 2개가 모두 A6의 입력 2개로 입력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each directional edge connects one input at one output. In particular, two edges indicated by the unit operation A6 in the unit operation A5 are displayed. This is because both outputs of A5 are input to two inputs of A6.

또한, 각 에지의 시점의 출력과 에지의 종점의 입력은 모두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이어야 한다. 즉,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출력은 단일값의 입출력과 어레이(array)값의 입출력으로 구분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은 동일한 형식이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start point of each edge and the input of the end point of the edge must be data of the same format. That is, the input or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is divided into input and output of a single value and input and output of an array value, and the start point input and output of the directional edge and the end point input and output are the same format.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값과 어레이값 이외의 데이터 구조체를 이용하는 경우도 에지의 시점과 종점의 구조체는 서로 동일해야 한다.Even in the case of using a data structure other than a single value and an array value in another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edge must be the same.

또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처리 그래프에서 각 단위작업을 이미지화한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b, it is preferable to display each of the unit operations in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s an icon imaged, so that the user or administrator can intuitively understand.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흐름도 디자인부(32)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의 입력창(50)을 구비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flow chart design unit 32 is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having an input window 50 of the user graphical interface (GUI).

이때, 입력창(50)은 통계처리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창(52) 및 단위작업을 선택하는 작업선택창(51)으로 구분된다. 또, 입력수단은 상기 작업선택창(51)에서 선택된 단위작업을 표시창(52)으로 이동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단위작업을 상기 표시창(52)에 표시하고, 표시창(52)에서 단위작업 사이를 연결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향성 에지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In this case, the input window 50 is divided into a display window 52 for displaying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a job selection window 51 for selecting a unit job. In addition, the input unit displays the unit work on the display window 52 when receiving the input of moving the unit work selected in the job selection window 51 to the display window 52, and connects the unit jobs in the display window 52. When the input is received, the directional edge is generated and displayed.

흐름도 실행부(33)는 통계처리 그래프의 방향 순서대로 상기 그래프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되, 상기 그래프의 에지의 방향에 따라 단위작업의 출력을 단위작업의 입력으로 입력시켜 처리한다.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processes the unit work of the graph in the order of the direc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but inputs and processes the output of the unit work as an input of the unit work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graph.

즉, 앞서 흐름도 디자인부(32)에서 통계처리 그래프를 정의한 후, 흐름도 실행부(33)는 정의된 통계처리 그래프 대로 각 단위작업을 수행한다.That is, after the statistical process graph is defined in the flowchart design unit 32, 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performs each unit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fined statistical process graph.

도 3의 예에서, 시작 노드인 단위작업 A1과 A2를 수행한다. 이들의 순서는 임의로 정한다. 즉, 통계처리 그래프에서 방향성 에지를 따라 단위작업이 수행된다. 하나의 노드에서 이전 노드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노드는 수행되지 않는다. 즉, 도 3에서, 단위작업 A5와 A4가 종료되어야만, 단위작업 A6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3, unit operations A1 and A2 which are start nodes are performed. The order of these is determined arbitrarily. That is, the unit operation is performed along the directional edge in the statistical graph. If the execution of the previous node is not completed in one node, the node is not performed. That is, in FIG. 3, unit operations A6 may be performed only when unit operations A5 and A4 are completed.

또한, 단위작업 A1과 A2에서, 흐름도 디자인부(32)에서는 단지 입력할 파일이름인, 파일형식, 또는 파일 내에서의 데이터 위치만 정의하였다면, 흐름도 실행부(33)는 실제 데이터 파일을 입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Also, in unit operations A1 and A2, if the flowchart design unit 32 defines only a file name, a file format to be input, or a data position in the file, 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inputs the actual data file. Do the work.

각 단위작업의 단위작업 모듈은 함수 또는 프로그램으로 정의된 모듈이다. 흐름도 실행부(33)는 상기 모듈을 호출하고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정의된 내용에 따라 모듈의 입력 인수를 넣어 수행시킨다.The unit task module of each unit task is a module defined as a function or a program. 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calls the module and executes the input argument of the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nit task or the defined content.

또한, 흐름도 실행부(33)는 하나의 단위작업이 완료되면 단위작업의 출력을 다음 단위작업의 입력에 입력시켜 다음 단위작업을 수행시킨다. 이때 그래프의 에지 정보를 이용한다.In addition, when one unit task is completed, 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inputs the output of the unit task to the input of the next unit task to perform the next unit task. At this time, the edge information of the graph is used.

또, 흐름도 실행부(33)는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이 어레이 형식의 입출력이면, 어레이의 크기도 동일한 것을 검증한다. 즉, 흐름도 디자인부(32)은 단지 어레이 형식을 정의만 하였으나, 실제 수행할 때는 에지 시점의 출력에서의 어레이 크기와 에지 종점의 입력에서의 어레이 크기는 같아야 한다. 이를 실행시 검증하여, 만약 다르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flowchart execution unit 33 verifies that the size of the array is also the same if the starting point input and output of the directional edge are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rray type. That is, the flowchart design unit 32 only defines the array format, but in practice, the array size at the output of the edge time point and the array size at the input of the edge end point should be the same. This is verified at run time and, if different, an error message is printed.

마지막으로, 결과 표시부(34)는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결과 표시부(34)는 표시작업(또는 표시기능을 갖은 단위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표시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한다.Finally, the result display unit 34 displays the processing result. The result display unit 34 performs a display operation (or a unit operation having a display function) to display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 operation in a statistical graph.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래프 출력을 위한 단위작업은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결과 표시부(34)는 각 단위작업에 따라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6, a unit operation for outputting a graph may be output as various types of graphs. The result display unit 34 displays the result in a graph according to each unit opera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계처리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developing a flow modeling 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that generates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receives data and processes each unit opera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to display a final processing result.

Claims (8)

통계처리 단위작업들로 구성된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프의 각 단위작업들을 처리하여 최종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획득부;
입력과 출력을 갖는 통계처리 단위작업과 상기 단위작업 사이의 입출력 관계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의 통계처리 그래프를 생성하되,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는 노드와 방향성 에지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는 단위작업에 대응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은 단위작업의 출력에 대응되고 상기 에지의 종점은 단위작업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생성하는 흐름도 디자인부;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의 방향 순서대로 상기 그래프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되, 상기 그래프의 에지의 방향에 따라 단위작업의 출력을 단위작업의 입력으로 입력시켜 처리하는 흐름도 실행부; 및,
상기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2개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지는 경우,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의 단위작업 노드에는 각 입력 또는 출력을 모두 표시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는 하나의 입력 또는 출력에 대응되고,
상기 단위작업의 입력 또는 출력은 단일값의 입출력과 어레이(array)값의 입출력으로 구분되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은 동일한 형식이고,
상기 방향성 에지의 시점 입출력과 종점 입출력이 어레이 형식의 입출력이면, 어레이의 크기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In the flow modeling-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osed of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perations, receiving data and processing the respective unit operations of the graph to display the final processing result,
A data obtaining unit which receives the data;
Generates a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of the data by receiving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task having an input and an output and an input / output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 operations, wherein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comprises a node and a directional edge, and the node corresponds to the unit task. A flow chart design unit for generating a point of time of the directional edge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a unit task and an end point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unit task;
A flow chart execution unit for processing the unit work of the graph in the order of the direction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inputting and processing the output of the unit work as an input of the unit work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graph; And,
A resul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When the unit job has two or more inputs or outputs, the unit job node of the statistical graph displays all the inputs or outputs, and the directional edge corresponds to one input or output,
The input or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is divided into input and output of a single value and input and output of an array value, the starting point input and output of the directional edge is the same type,
If the starting point input and output endpoints of the directional edge i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rray type, the flow modeling 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ar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에서 시작되는 노드는 데이터 입력 노드이고, 상기 데이터 입력 노드의 단위작업은 상기 데이터 획득부에 의해 데이터 파일을 가져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de starting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is a data input node, and the unit operation of the data input node is a task of importing a data file and inputting data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은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작업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작업이 표시작업인 경우 상기 단위작업의 출력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operation includes a display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in a statistical graph, if the unit operation is a display operation, the flow modeling 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output of the unit oper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표시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표시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통계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result display unit displays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 operation as a statistical graph by performing the display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도 디자인부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의 입력창을 구비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창은 상기 통계처리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단위작업을 선택하는 작업선택창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작업선택창에서 선택된 단위작업을 표시창으로 이동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단위작업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창에서 단위작업 사이를 연결하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향성 에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모델링 기반 통계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chart design unit may include input means including an input window of a user graphic interface (GUI), the input window including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graph and a job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unit job,
The input unit displays the unit work on the display window when receiving the input of moving the unit work selected from the work selection window to the display window, and generates and displays the directional edge when receiving the input connecting the unit work on the display window. Flow modeling base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127321A 2010-12-14 2010-12-14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KR101192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21A KR101192592B1 (en) 2010-12-14 2010-12-14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21A KR101192592B1 (en) 2010-12-14 2010-12-14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26A KR20120066126A (en) 2012-06-22
KR101192592B1 true KR101192592B1 (en) 2012-10-18

Family

ID=4668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21A KR101192592B1 (en) 2010-12-14 2010-12-14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9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26A (en)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15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composite applications
Adu-Amankwa et al. A predictive maintenance cost model for CNC SMEs in the era of industry 4.0
JP4927448B2 (en) Time-series pattern generation system and time-series pattern generation method
US20090281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structing and exploring kpi networks
US20050165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 automation, analysis, and optimization
CN110942086B (en) Data prediction optimiz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10085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program product for structured data capture
US8620852B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dictive accuracy for strategic decision support
Gröger et al. The data-driven factory-leveraging big industrial data for agile, learning and human-centric manufacturing
EP1779272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sualization of probabilistic models
Gontareva et al. Efficiency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Analysis for Industrial Entrepreneurship
US20180284709A1 (en) Closed loop nodal analysis
CN112651817A (en) Intelligent financial decision big data analysis system
US202202919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 mining us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for automating orchestration of workflows
Folmer et al. Scenario-based Assessment of Software Architecture Usability.
WO20210241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 mining us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for automating orchestration of workflows
EP1672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risk of a project
US20220083940A1 (en) Intelligent and Automatic Generation of Construction Rule Set
Nidumolu et al. Object-oriented business process modeling and simulation:: A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ramework
JP4770495B2 (en) Simulation model generator
KR101192592B1 (en) A flow-model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Nakatumba et al. A meta-model for operational support
CN115409541A (en) Cigarette brand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data blood relationship
JP4922644B2 (en) Time series analysis program, time series analysis system, and time series analysis apparatus used therefor
Zhen et al. A structured modelling approach to simulating dynamic behaviours in complex organis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