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045B1 -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 Google Patents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045B1
KR101192045B1 KR1020120041707A KR20120041707A KR101192045B1 KR 101192045 B1 KR101192045 B1 KR 101192045B1 KR 1020120041707 A KR1020120041707 A KR 1020120041707A KR 20120041707 A KR20120041707 A KR 20120041707A KR 101192045 B1 KR101192045 B1 KR 10119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roll
cleaner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김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102012004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0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leaner for eliminating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to prevent a roll type bonding tape from directly contacting a surface to be cleaned, thereby maintaining bonding power of the roll type bonding tape. CONSTITUTION: A first roller unit(11) bonds foreign substances of a surface to be cleaned to an external surface. A second roller unit(12) is connected to a support fixture(13) by a hinge. The second roller uni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ller unit by frictional power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The second roller unit eliminates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roller unit.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면에 롤러 유닛을 밀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청소면에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can remove various foreign matters on the cleaning surface by rotating the roller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일반적으로 방바닥 등과 같은 곳에 각종 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가 사용된다.In general, a cleaner using a rolled adhesive tape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hairs in places such as a floor.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통상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에 축설되는 롤형 점착테이프로 구성된다.The cleaner us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is usually installed on the handle to be gripped by the user, a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a roller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shaft, and rotated and replaceable in conjunction with the roller. It consists of a rolled adhesive tape.

상기와 같은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회전되면서 청소면에 부착되거나 떨어져 있는 각종 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에 부착됨으로써 청소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vacuum cleaner us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as described above, the roll-type adhesive tape closely adheres to the cleaning surface, and then moves the handle back and forth. I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eaning surfac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초기 사용 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이 강하여 청소면에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However, the cleaner using the conventional roll-type adhesive tape as described above frequently occurs when the roll-type adhesive tape sticks to the cleaning surface due to the strong adhesive force of the roll-type adhesive tape during initial use.

또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각종 이물질뿐만 아니라 청소면과도 직접 접촉됨으로써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이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leaner using the rolled adhesive tape h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rolled adhesive tape does not last long because the rolled adhesive tape is in direct contact with not only various foreign matters but also with a cleaning surface.

한편, 침대, 이불이나 베개 등과 같은 침구류, 카펫 등과 같은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 등에는 머리카락이나 애완견 털 또는 진득이 등과 같은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dding material such as bedding, duvets or pillows, textile materials such as carpets or fabric materials, such as hair, dog hair, or other foreign materials such as hair sticking or sticking between the very often occurs.

그러나,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제거할 수 있으나,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에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와 롤형 점착테이프가 직접 닿게 됨으로써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까지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에 부착되어 떨어져 나가게 됨으로써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가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leaner us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can remove foreign matters stuck to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but when used in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and the roll-type adhesive tape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ber material or the fabric material is damaged by being attached to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and falling off even the fine fiber of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그리고,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가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에 부착되어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에 밀착시킨 후 1회전만 시켜도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ne fiber of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and the roll-typ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only one rotation after the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is sharply lowered there was.

한편,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는 상기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각종 먼지나 애완견 털 또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은 전혀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us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any foreign matter, such as various dusts or pet dog hair or hair sandwiched between the fiber fibers or the fine fibers of the fabric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can sustain the adhesive force of a rolled adhesive tap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사용 시 롤형 점착테이프가 청소면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can prevent the roll-type adhesive tape from sticking to the cleaning surface during initial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평한 청소면뿐만 아니라 카펫이나 침구류 등과 같은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에 부착되거나 끼어 있는 각종 이물질도 소재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can easily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or stuck to a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such as carpet or bedding as well as a flat cleaning surfa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지지구에 설치되어 청소면에 직접 닿아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외주면에 붙여 회전시키는 제1 롤러유닛과, 상기 제1 롤러유닛과 자중에 의해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롤러유닛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유닛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롤러유닛의 외주면에 붙어 회전되는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제1 롤러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제2 롤러유닛을 포함한다.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ller unit installed on a support and directly contacting a cleaning surface to rotate and attach a foreign material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roller unit and its own weight. It is rotatably hinged to the suppo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and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ller unit by a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is rota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a second roller unit which attache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roller unit.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롤러유닛은 상기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붙여서 회전시키는 롤형 브러쉬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first roller unit includes a roll-shaped brush that is rotated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attach and rotat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롤러유닛은, 상기 지지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롤형 브러쉬가 외주면에 축설되어 상기 롤형 브러쉬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1 롤러를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first roller unit, the first shaft fixed to the support and the roll-shaped brush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arranged on the first shaft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ll-shaped brush It further comprises a roller.

한편, 상기 롤형 브러쉬는 상기 제1 롤러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shaped brush is detachably arranged on the first roller.

또한, 상기 롤형 브러쉬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의 끝단부가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ll-shaped brush is preferably th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needle ear.

한편, 상기 부착부의 하단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의 상단부는 빗자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may be formed in a broom shape.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롤러유닛은 상기 제1 롤러유닛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유닛의 외주면에 붙어 회전되는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제1 롤러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롤형 점착테이프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econd roller uni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ller unit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unit is rotated And a rolled adhesive tap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first roller unit.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롤러유닛은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샤프트와, 상기 롤형 테이프가 외주면에 축설되어 상기 롤형 테이프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econd roller unit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such that the second shaft rotatably hinged to the support and the rolled tape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lled tape.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ller to be.

여기서, 상기 롤형 테이프는 상기 제2 롤러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oll-shaped tape is arrange | positioned detachably to the said 2nd roller.

한편,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는 일정간격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롤에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shap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wound around the ro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상기 지지구에 상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to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상기 제1 롤러유닛과 제2 롤러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면에 의해 상기 제1, 2 롤러유닛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are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2 롤러유닛의 상단부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지지하여 상기 제2 롤러유닛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a pair of guide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 to support and suppor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to prevent the second roller unit from rotating. can do.

또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구와 상기 제2 롤러유닛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upport brackets for supporting the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ller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롤형 브러쉬가 회전되면서 청소면에 부착되거나 떨어져 있는 각종 이물질을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롤형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상기 롤형 브러쉬와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롤형 브러쉬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롤형 점착테이프에 부착되어 제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various foreign matters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while the roll-type brush is rotated, and the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roll-type brush are attached to the roll-type brush by its own weight. It is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ro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the roll-shaped brush by fri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롤형 점착테이프가 직접적으로 청소면에 접촉되지 않아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을 오랜 시간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소모품인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adhesive force of the rolled adhesive tape for a long time since the rolled adhesive tap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leaning surface.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extend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직접적으로 청소면에 접촉되지 않아 초기 사용 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청소면에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adhere to the cleaning surface because the roll-type adhesive tap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leaning surface, and thus the roll-type adhesive tape does not occur on the cleaning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롤형 브러쉬가 청소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부착시킴으로써 평평한 청소면뿐만 아니라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로 형성된 침대, 침구류, 카펫 등에 부착된 이물질도 소재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ll-type brush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and attaches the foreign matter so that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ed, bedding, carpet, etc., formed of a textile or fabric material, as well as a flat cleaning surface It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e.

한편, 상기 롤형 브러쉬의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의 끝단부가 절단됨으로써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로 형성된 침대, 침구류, 카펫 등에 끼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애완견 털 또는 진득이 같은 이물질도 견인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cutting th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needle ear of the roll-shaped brush can be easily removed by pulling hair, pet hair, or other foreign matter stuck to the bed, bedding, carpet, etc. formed of a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clean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상세도
도 3은 도 1의 다른 A-A 상세도
도 4는 도 1에서 롤형 브러쉬와 롤형 점착테이프를 제거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롤형 브러쉬와 롤형 점착테이프를 제거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의 상세도
도 7은 스탠드에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를 세워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 AA of Figure 1
3 is another AA detail view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d brush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removed from FIG. 1; FIG.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removing the rolled brush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in FIG.
FIG. 6 is a detail view of A of FIG. 5;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n the stand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제1 롤러유닛(11)과 제2 롤러유닛(1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leaner 1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ller unit 11 and a second roller unit 12.

상기 제1 롤러유닛(11)은 지지구(13)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롤러유닛(11)은 청소면에 직접 닿아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외주면에 붙여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유닛(11)은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다.The first roller unit 1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3). The first roller unit 11 directly rotates by attaching a foreign material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directly touching the cleaning surface. Here, the first roller unit 11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leaning surface.

상기 제2 롤러유닛(12)은 상기 제1 롤러유닛(11) 자중에 의해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구(1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4)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롤러유닛(12)은 상기 제1 롤러유닛(11)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유닛(11)과 연동되어 상기 제1 롤러유닛(11)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롤러유닛(11)의 외주면에 붙어 회전되는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제1 롤러유닛(11)으로부터 제거한다.The second roller unit 12 is rotatably hinged 14 to the support 13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unit 11 by its own weigh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ller unit 12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roller unit 11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11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11 I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unit 11 attached to the foreign material to be rotated to remove from the first roller unit (1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2 롤러유닛(11)(12)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11 and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롤러유닛(11)은 제1 샤프트(110), 제1 롤러(111), 롤형 브러쉬(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roller unit 11 includes a first shaft 110, a first roller 111, and a rolled brush 112.

상기 제1 샤프트(110)는 상기 지지구(13)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샤프트(110)는 하단부가 길게 연장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13)는 후술되는 손잡이(15)에 연장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15)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손잡이(15)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구(13)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샤프트(110)의 끝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한 번 더 절곡됨으로서 상기 지지구(13)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샤프트(110)가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haft 110 is fixed to the support 13. For example, the first shaft 110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c' shape with the lower end extended. In this case, the support 13 is formed to extend to the handle 15 to be described later, or as inclined to move away from the handle 15 toward the lower end toward the lower end as being connected to the handle 15.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nd of the first shaft 110 connected to the support 13 is bent once more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haft 110 around the support 13.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that is rotated.

상기 제1 롤러(111)는 상기 제1 샤프트(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The first roller 111 is rotatably arrang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110.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상기 제1 롤러(11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롤러(111)에 축설된다. 여기서,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롤러(111)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붙여서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5)를 잡고 상기 롤형 브러쉬(112)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5)를 앞으로 밀게 되면, 상기 롤형 브러쉬(112)가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롤러(111) 또한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연동되어 제1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가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상기 롤형 브러쉬(112)에 붙어 회전을 하게 된다.The rolled brush 112 is arranged on the first roller 111 t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oller 111. Here, the roll-shaped brush 112 is preferably detachably arranged on the first roller 111 to be used interchangeably. The roll brush 112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attach and rotat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hat is,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5 and pushes the handle 15 forward while keeping the roll-shaped brush 112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he roll-shaped brush 112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leaning surface.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111 also rotates about the first shaft 110 in conjunction with the roll-shaped brush 112 so that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At this time, various dusts and foreign matter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are attached to the roll-shaped brush 112 to ro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롤형 브러쉬(112)가 청소면과 밀착되어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바닥이나 대리석 바닥 등과 같은 평평한 청소면의 이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로 형성된 침대나, 각종 침구류, 카펫 등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거나 부착된 머리카락이나 애완견 털 또는 진득이 등도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oll-type brush 11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remove various dusts and foreign matters,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flat cleaning surface such as the floor or marble floor, as well as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Hair, pet dog hair, or squeezed or stuck between fine fibers such as beds, various beddings, carpets, and the like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textile material or the fabric material.

도 2는 도 1의 A-A 상세도이다.FIG. 2 is a detail A-A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12a)의 끝단부가 절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각종 먼지나 이물질은 물론 실이나 머리카락, 애완견 털 등도 용이하게 붙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브러쉬는 부착부가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실이나 머리카락 또는 애완견 털 등은 붙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롤형 브러쉬(112)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12a)의 끝단부가 절단됨으로써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실이나 머리카락, 애완견 털, 진득이 등도 상기 절단된 부착부(112a) 사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roll-shaped brush 112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formed in the shape of the needle ear to be easily attached to a variety of dust or foreign matter, as well as yarn, hair, pet hair. That is, the conventional general brush has a problem that th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needle ears or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does not adhere to the thread, hair or dog hair, etc. sandwiched between the fine fibers of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roll-shap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112 is cut by the end por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formed in the shape of a needle ear, and thus the cut attachment portion 112a is also cut into a thread, hair, pet hair, and the like, which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ne fibers of the fiber material or the fabric material.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towed between.

한편,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12a)의 끝단부가 절단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의 청소 방향성에 상관없이 상기 부착부(112a)에 의해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실이나 머리카락, 애완견 털, 진득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의 롤형 브러쉬(112)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청소기(10)를 밀면서 청소를 할 경우나 상기 청소기(10)를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청소를 할 시 모두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실이나 머리카락, 애완견 털, 진득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shaped brush 112 is a fiber material or fabric by the attachment portion (112a) regardless of the cleaning direction of the cleaner 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formed in the shape of a needle ear It can easily pull out foreign materials such as thread, hair, dog hair, and ear lodged between the fine fibers of the material. That is, when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shaped brush 112 of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eaning surface to push the cleaner 10 or to clean the cleaning while pulling the cleaner 10 to the user side. The city can easily tow foreign materials such as threads, hair, dog hair, and ear lodged between the fiber material or the fine fiber of the fabric material.

도 3은 도 1의 다른 A-A 상세도이다.3 is another A-A detail view of FIG.

도 3은 참조하면, 상기 롤형 브러쉬(112)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12a)의 끝단부가 절단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부착부(112a)의 하단부(L)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112a)의 상단부(H)는 복수개의 가닥이 상기 원기둥 형태의 부착부(112a)의 하단부(L) 상단에 빗자루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 있는 실이나 머리카락, 애완견 털, 진득이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한층 더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3, the roll-shaped brush 112 is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formed in the shape of the needle ear, the lower end portion L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end portion (H)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is a plurality of strands ar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lower end portion (L) of the cylindrical attachment portion (112a) in the form of a broom thread between the fiber material or the fine fibers of the fabric material or It can make it easier to pull foreign objects such as hair, dog hair, and lice.

예를 들면, 상기 부착부(112a)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부착부(112a)의 하단부(L)는 일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나일론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112a)의 상단부(H)는 상기 바클 귀 형태로 형성된 상기 부착부(112a)의 끝단부를 절단 시 상단부가 복수개의 가닥이 빗자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tachment part 112a may be formed of nylon and polyester. In more detail, the lower end portion L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is formed of nylon so as to have a constant support force, and the upper end portion H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is the attachment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the bark ears ( When cutting the end of 112a), the upper end may be formed of polyester so that a plurality of strands may be formed in a broom.

여기서, 상기 나일론으로 형성된 부착부(112a)의 하단부(L)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상단부(H)의 길이는 7 : 3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ngth of the lower end portion (L) of the attachment portion (112a) formed of nylon and the upper end portion (H) formed of polyester is preferably formed in a ratio of 7: 3.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롤러유닛(12)은 제2 샤프트(120), 제2 롤러(121), 롤형 점착테이프(122)를 포함한다.Again, 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roller unit 12 includes a second shaft 120, a second roller 121, and a rolled adhesive tape 122.

상기 제2 샤프트(120)는 상기 지지구(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4)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구(13)에는 연결구(120a)가 힌지(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120a)에 상기 제2 샤프트(120)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샤프트(120)는 하단부가 길게 연장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구(120a)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샤프트(120)의 끝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한 번 더 절곡됨으로서 상기 연결구(120a)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샤프트(120)가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haft 120 is connected to the hinge 14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support 13. That is, the connector (13a) is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14) and the second shaft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0a). For example, the second shaft 120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 shape with the lower end extend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nd of the second shaft 12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0a is bent upward once more so that the second shaft 120 is rotated about the connector 120a.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상기 제2 롤러(121)는 상기 제2 샤프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The second roller 121 is rotatably arranged on the second shaft 120.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는 상기 제2 롤러(12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롤러에 축설된다. 여기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는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롤러(121)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는 접착면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접착력이 저하된 경우 상기 접착력이 저하된 접착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롤에 권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lled adhesive tape 112 is arranged on the second roller t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roller 121. In this case, the rolled adhesive tape 112 may be detachably arranged on the second roller 121 so as to be used interchangeably. On the other hand,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112 is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when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the perforated lin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is reduced, the adhesive line is wound around the roll is wound It is preferably formed.

이와 같은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는 상기 제1 롤러유닛(11)의 롤형 브러쉬(112)와 외주면이 접촉되어 상기 롤형 브러쉬(1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롤형 브러쉬(11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롤형 브러쉬(112)에 붙어서 회전되는 이물질을 상기 롤형 브러쉬(112)로부터 제거한다.The rolled adhesive tape 112 is generated between the rolled brush 112 and the rolled brush 112 as the rolled brush 12 is rotated b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d brush 112 of the first roller unit 11. The foreign matter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ed brush 112 by the frictional force and attached to the rolled brush 112 is removed from the rolled brush 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이물질이 떨어져 있거나 붙어 있는 청소면에 롤형 점착테이프(112)가 직접 접촉되어 청소면의 각종 먼지 또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청소면에는 롤형 브러쉬(112)가 접촉되어 상기 롤형 브러쉬(112)가 회전되면서 청소면에 떨어져 있거나 붙어 있는 각종 먼지 또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상기 롤형 브러쉬(112)의 외주면에 붙임으로써 제거를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1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various dusts or hairs of the cleaning surface by directly contact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112 with the cleaning surface o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or stuck. The roll-shaped brush 112 is in contact with the roll-shaped brush 112 to rotat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hair stuck on the cleaning surfac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shaped brush (112).

한편, 상기 제2 롤러유닛(12)은 상기 지지구(13)에 힌지(14) 연결됨으로써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가 자중에 의해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ller unit 12 is hinged to the support 13,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112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shaped brush 112 by its own weight.

따라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는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의 마찰력에 의해 청소면의 이물질을 붙이면서 회전되는 상기 롤형 브러쉬(11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롤형 브러쉬(112)에 붙어 회전되는 각종 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롤형 브러쉬(112)로부터 제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lled adhesive tape 112 is attached to the rolled brush 112 while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ed brush 112 which is rotated while attaching a foreign matter on the cleaning surface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rolled brush 112. Foreign matter such as various dust or hair to be rotated is attached and removed from the rolled brush 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청소면에 부착되거나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시 상기 청소면에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가 직접 접촉되지 않음으로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112)의 접착력이 오래 지속된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cleaner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roll-type adhesive tape 112 with the roll-type adhesive when the foreign matter attached o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is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tape 112 is long lasting.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롤형 점착테이프를 사용하는 청소기(10)는 초기 사용 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이 강하여 청소면에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가 들러붙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는 롤형 점착테이프(112)가 청소면에 직접 닿지 않음으로써 청소면에 롤형 점착테이프(112)가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10 using a conventional roll-type adhesive tape has a problem that the roll-type adhesive tape sticks to the cleaning surface due to the strong adhesive strength of the roll-type adhesive tape during the initial use,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lled adhesive tape 112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leaning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lled adhesive tape 112 does not stick to the cleaning surfac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롤형 브러쉬(112)가 청소면과 밀착되어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침대, 각종 침구류, 카펫 등과 같이 섬유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미세 섬유 사이에 끼어져 있는 머리카락, 애완견 털, 실, 진득이 등도 상기 섬유 소재나 패브릭 소재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10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type brush 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remove various foreign matters, such as bed, various beddings, carpets, etc. Hair, pet dog hair, yarn, and the like, which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ne fibers, can also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fi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2 롤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도 1에서 롤형 브러쉬와 롤형 점착테이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d brush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removed from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2 롤러(111)(121)는 일측 끝단부에 개구부(111a)(12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구부(111a)(121a)는 상기 제1, 2 롤러(111)(112)에 각각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를 보다 용이하게 축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2 롤러(111)(112)에 각각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를 축설할 시 상기 개구부(111a)(121a)를 형성하는 상기 제1, 2 롤러(111)(121)의 일측 끝단부 양측면을 상기 개구부(111a)(121a)의 중앙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2 롤러(111)(121)의 일측 끝단부의 직경을 일시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상기 제1, 2 롤러(111)(121)에 각각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를 용이하게 축설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may further have openings 111a and 121a formed at one end thereof. The openings 111a and 121a as described above allow the rolled brush 112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122 to be easily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1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which form the openings 111a and 121a when the roll-shaped brush 112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122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12, respectively.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one end 121 are urged toward the center of the openings 111a and 121a to temporarily decrease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temporarily reduced. The roll-shaped brush 112 and the ro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122 may be easily stacked on the 111 and 121,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1, 2 롤러(111)(121)의 일측 끝단부 양측면을 상기 개구부(111a)(121a)의 중앙부 방향으로 가압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1,2 롤러(111)(112)의 일측 끝단부 양측면은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are removed when the force appli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one end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openings 111a and 121a is removed. Both sides of one end portion of the one end 11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여기서, 상기 개구부(111a)(121a)를 형성하는 상기 제1, 2롤러(111)(12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상기 제1, 2 롤러(111)(121)의 일측 끝단부 양측면을 상기 개구부(111a)(121a)의 중앙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홈부(111b)(12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Here, a user puts a finger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to form the openings 111a and 121a, and one sid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Groove portions 111b and 121b may be further formed to easily press both side surfaces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nings 111a and 121a.

도 5는 도 1에서 롤형 브러쉬와 롤형 점착테이프를 제거한 다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의 상세도이다.FIG.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d brush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removed from FIG. 1, an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A of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2롤러(111)(11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탄성돌기(111c)(12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탄성돌기(111c)(121c)는 상기 제1, 2 롤러(111)(112)에 각각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를 축설하였을 시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의 내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2 롤러(111)(112)로부터 각각 상기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22)가 빠져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5 and 6,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111c and 121c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12. The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111c and 121c may be formed when the roll-shaped brush 112 and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122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12, respective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122 is elastically pressed to prevent the rolled brush 112 and the rolled adhesive tape 122 from escap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12, respectively.

다시,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손잡이(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1, 4, and 5, the cleaner 10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5.

상기 손잡이(15)는 지지구(1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5)를 파지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15)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13)에는 버튼 홀(130)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5)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구(13)에 삽입 시 상기 버튼(150 )이 상기 버튼 홀(13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5)가 상기 지지구(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handle 1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3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holding the handle 15. For example, at least one button 150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andle 15, and a button hole 130 is formed in the support 13 so that the handle ( When the lower end of the 15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3, the button 150 is coupled to the button hole 130 to prevent the handle 1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13.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는 스탠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clea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nd (16).

도 7은 스탠드에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를 세워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s placed on a stan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16)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1, 2 롤러(111)(121)에 축설된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12)를 상기 스탠드(116)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6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tand 16 has roll-shaped brushes 112 and roll-type adhesive tapes 112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tand 16. The opening 160 which can be formed is formed.

상기 스탠드(16)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60)를 통해 상기 스탠드(16) 내부로 상기 제1, 2 롤러(111)(121)에 축설된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12)를 삽입하게 되며, 상기 스탠드(16) 내부로 상기 제1, 2 롤러(111)(121)에 축설된 롤형 브러쉬(112)와 롤형 점착테이프(112)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탠드(16)의 상부면에 의해 제1, 2 샤프트(110)(120)의 상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스탠드(16)에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를 세워 놓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and 16 is a roll-shaped brush 112 and a roll-type adhesive tape which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into the stand 16 through an opening 160 form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When inserting the roll 112 and roll-shaped adhesive tape 112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1 and 121 into the stand 16, the stand (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ar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16 so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al cleaner 10 is placed on the stand 16 so that it can be stored.

한편, 상기 스탠드(16)의 상부면 양측에는 제1, 2 롤러유닛(11)(12)의 상기 제1, 2 샤프트(110)(120)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지지하여 상기 제2 샤프트(120)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1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61)는 상기 스탠드(16)의 상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만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shafts 110 and 120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11 and 12 are guided and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 16 to support the second shaft 120. ), A pair of guides 16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inge 14 to be rotated about the hinge 14. Here, the guide 161 may be formed to protrude only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 16.

또한, 상기 스탠드(16)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구(13)와 상기 제2 롤러유닛(12)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162)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래킷(162)은 상기 지지구(13)와 연결구(120a)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구(13)로부터 상기 연결구(120)가 이격된 간격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를 상기 스탠드(16)에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air of support brackets 162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3 and the second roller unit 12 may be further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 16. That is,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162 support the support 13 and the connector 120a so that th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3 from the connector 120 no longer opens.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more stably placed on the stand 16.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13)의 하부면과 상기 제2 샤프트(120)를 상기 지지구(13)에 힌지 연결하는 연결구(120a)의 하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구(13)와 연결구(120a)가 상기 스탠드(16)의 상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스탠드(16)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er 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120a for hinge-connecting the second shaft 120 to the supporter 13 are formed flat so that the supporter ( 13) and the connector (120a) is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 16 can be more stably placed on the stand 16, the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 sur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청소기 (11) : 제1 롤러유닛
(12) : 제2 롤러유닛 (13) : 지지구
(15) : 손잡이 (16) : 스탠드
(110) : 제1 샤프트 (111) : 제1 롤러
(112) : 롤형 브러쉬 (120) : 제2 샤프트
(121) 제2 롤러 (122) 롤형 점착테이프
(10): vacuum cleaner (11): first roller unit
(12): second roller unit 13: support
15: handle 16: stand
110: first shaft 111: first roller
(112): roll brush 120: second shaft
(121) Second Roller (122) Roll Adhesive Tape

Claims (14)

지지구에 설치되어 청소면에 직접 닿아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외주면에 붙여 회전시키는 제1 롤러유닛;
상기 제1 롤러유닛과 자중에 의해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롤러유닛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유닛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롤러유닛의 외주면에 붙어 회전되는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제1 롤러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제2 롤러유닛; 및
상기 제1 롤러유닛과 제2 롤러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면에 의해 상기 제1, 2 롤러유닛의 상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1, 2 롤러유닛의 상단부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지지하여 상기 제2 롤러유닛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스탠드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A first roller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and directly touching the cleaning surface to rotat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ably hinged to the suppo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unit by its own weight, and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ller unit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first A second roller unit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unit to attach to the foreign matter to be rotated and removed from the first roller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ncluding a stand protruding at least a pair of guides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second roller unit is rot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유닛은,
상기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청소면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을 붙여서 회전시키는 롤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oller unit,
And a roll-type brush rotated by friction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attach and rotat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유닛은,
상기 지지구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롤형 브러쉬가 외주면에 축설되어 상기 롤형 브러쉬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1 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oller unit,
A first shaft fixed to the support; And
And a first roller rotatably arranged on the first shaft such that the roll-shaped brush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ll-type brus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브러쉬는 상기 제1 롤러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ll type brush is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to the first 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브러쉬는 바늘 귀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의 끝단부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roll-shaped brush is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needle ear is cu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하단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의 상단부는 빗자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is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room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유닛은,
상기 제1 롤러유닛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롤러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유닛의 외주면에 붙어 회전되는 이물질을 부착시켜 상기 제1 롤러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롤형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oller unit,
By interlocking with the first roller uni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oller unit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unit to attach the foreign matter rotated to remove from the first roller unit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a rolled adhesive t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유닛은,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샤프트;
상기 롤형 테이프가 외주면에 축설되어 상기 롤형 테이프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roller unit,
A second shaft rotatably hing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roller rotatably arranged on the second shaft such that the rolled tape is arrang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lled ta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테이프는 상기 제2 롤러에 탈착 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roll-type tape is detachably installed on said second rol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점착테이프는 일정간격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롤에 권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ll-shaped adhesive tape is a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ed lin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wound around the ro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에 상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urther compris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to the sup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구와 상기 제2 롤러유닛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nd is,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for supporting the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ller unit.
KR1020120041707A 2012-04-20 2012-04-20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KR101192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07A KR101192045B1 (en) 2012-04-20 2012-04-20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07A KR101192045B1 (en) 2012-04-20 2012-04-20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045B1 true KR101192045B1 (en) 2012-10-17

Family

ID=4728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707A KR101192045B1 (en) 2012-04-20 2012-04-20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0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767U (en) 1987-04-14 1988-10-25
US6032318A (en) 1995-07-21 2000-03-07 Mclaughlin; Hugh Rogers Apparatus for drying hard floors
JP2003339603A (en) * 2002-05-22 2003-12-02 Azuma Industrial Co Ltd Cleaning 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767U (en) 1987-04-14 1988-10-25
US6032318A (en) 1995-07-21 2000-03-07 Mclaughlin; Hugh Rogers Apparatus for drying hard floors
JP2003339603A (en) * 2002-05-22 2003-12-02 Azuma Industrial Co Ltd Cleaning 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190B2 (en) Portable hair/lint roller
US8850649B2 (en) Cleaning tool with upstanding stems and method of cleaning a surface
US20060265822A1 (en) Grooming/cleaning apparatus
US20090032059A1 (en) Cleaning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a surface
US8510894B2 (en) Surface cleaning system
KR20150101857A (en) Cleaner with rotating brushes centrifugal
KR20100001735U (en) Adhesive tape cleaner
KR101192045B1 (en)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KR102265954B1 (en) Roll cleaner easy to cut an adhesion tape
JP5271787B2 (en) Cleaning device
JP2015531262A (en) Tape cleaner
JP6037666B2 (en) Cleaning tool
KR101273838B1 (en) Cleaner
JP4409148B2 (en) Roll cleaning tool
US20050039287A1 (en) Mop head hav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extensions
CN212186404U (en) Mop capable of being renewed by rolling and rolling disposable mop through ground friction
JP2008279097A (en) Pet brush device
WO2006131029A1 (en) Rolling brush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ing entwined
JPH10262887A (en) Floor cleaner
KR200463212Y1 (en) A rolling Cleaner having lug
JP3151481U (en) Cleaning tool
KR102337019B1 (en) cleaning device
JP2007512026A (en) Grooming / cleaning device
JP2006068272A (en) Suction type mop
KR101202965B1 (en) Adhesive tape winding roll having cut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