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931B1 -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 Google Patents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931B1
KR101191931B1 KR1020090088461A KR20090088461A KR101191931B1 KR 101191931 B1 KR101191931 B1 KR 101191931B1 KR 1020090088461 A KR1020090088461 A KR 1020090088461A KR 20090088461 A KR20090088461 A KR 20090088461A KR 101191931 B1 KR101191931 B1 KR 10119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treatment
treatment tank
tank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0837A (en
Inventor
장진택
최영화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장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장진택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09008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931B1/en
Publication of KR2011003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8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렉서블 재질 부분과 결합되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분리벽(30,60);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relates to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or cleanly treating the wastewater genera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eatment chamber 22 for the treatment of filthy wa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is formed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coupled to a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resents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a; partition partition support (4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60) can be expanded.

오탁수, 처리, 침전, 조립, 이동, 가물막이, 구획 분리벽 Sewage water, treatment, sedimentation, assembly, transfer, clam, partition partition wall

Description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가물막이 시공시 등에 발생되는 오탁수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relates to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or cleanly treating the wastewater genera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etc.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운하의 정비 및 주변 개발 등을 위해 가물막이 공사나 간척공사 등을 하는 경우에는, 토사나 부유물질로 혼탁,오염된 오탁수가 발생된다.In general, when the temporary screening or reclamation work is carried out for the maintenance of rivers, lakes, canals, and the surrounding development, contaminated or contaminated sewage water is generated.

발생된 오탁수를 정화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오탁수가 이동, 확산됨에 따라서 주변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가 오염될 수 있다.If the generated polluted water is left untreated, the polluted water may be polluted by adversely affecting the surrounding ecosystem as the polluted water moves and spreads.

따라서, 가물막이 공사 등의 건설, 토목 공사시에는 발생되는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Therefore,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a constant demand for research on a method for easily and efficiently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filthy water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of temporary curtai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탁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that can be discharged by purifying the wastewater easily and efficientl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렉서블 재질 부분과 결합되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분리벽(30,60);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tment chamber body 20 having a treatment space 22 for treatment of filthy water,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coupled to a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resents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a; partition partition wall support 4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60 can be unfolded.

상기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는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구획 분리벽(30,60)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처리조 본체(20) 또는 주변 구조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ition wall support 4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can be pulled taut and the other side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 42 coupled to.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그 상단부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와이어(42)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parts to which the wires 42 are coupled at both edges of the upper end thereof.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상단부(30D)는 2번 이상 겹쳐진 형태이며, 상기 와이어(42)가 끼워지는 와이어(42)용 홀(30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artition separation walls 30 and 60 may be overlapped two or more times, and at least one hole 30A for the wire 42 into which the wire 42 is inserted may be formed.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폭방향(화살표 W)에 따른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양 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시접부(34,35)가 구비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re divided into two parts at both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arrow W)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respectively, and are paired to be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Seam allowances 34 and 35 may be provided.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각 시접부(34,35)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웰딩(welding)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seam allowances 34 and 35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may be weld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The partition separation walls 30 and 60 may be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처리공간(22)의 일측에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22)을 구획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separation walls 30 and 6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22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ocessing space 22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22. The treatment space 22 may be partitio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d thereof may be installed to be fluttered by the polluted water for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레시블 재질 부분은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have a tube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며,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처리조용 프레임(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support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and may further include a treatment tank frame 25 that is prefabricated.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상단부(30D)에 결합되며 상기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nd supported by the treatment tank frame 25 and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artition wall frame 5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can do.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처리공간(22)으로 압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탁수 유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and the filthy water inlet 10 is provided to be pumped into the treatment space 22 by the power in a state mixed with the coagulant supplied from the coagulant supply unit can do.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오탁수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초기침전공간(22A)을 구획하고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30A)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0); 상기 처리공간(22) 내에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통과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방류공간(22C)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2C)을 향하는 오탁수의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간벽(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partition the initial sedimentation space 22A through which the sedimentation walls 30 and 60 enter the sewage water and in which sludge S in the introduced sewage water is sedimented, and the foul water passes. A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30A are formed; The discharge space 22C is divid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C in which the waste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is overflowed in the treatment space 22, and the flow of the wastewater toward the discharge space 22C is upwardly upward. It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60 leading to.

상기 방류공간(22C)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오탁수가 통과하는 유로(70A)가 형성되며, 이 유로(70A)를 통과하는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low path 70A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space 22C to allow the overflowed discharged filthy water to pass, and the filter medium 70 adsorbs sludge S from the filthy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ssage 70A.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조립, 이동식으로 구비되어 오탁수를 침전방식에 의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으며, 특히 건설, 토목분야에 매우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harged by easily and effectively treated by the sedimentation method is provided by assembly, mobile, and is particularly useful in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특히 본 발명은 구획 분리벽이 구획 분리벽 지지체에 의해 쫙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처리조 본체 및 구획 분리벽이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지라도 구획 분리벽인 다공성 정류벽의 홀들이 좁아지거나 겹쳐져 막힐 염려가 없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can be unfolded by the partition partition supporter, even if the treatment tank body and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re is no fear that the holes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which is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become narrowed or overlapp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은, 기본적으로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의 건설 토목 공사 등으로 발생되는 오탁수가 정화 처리되는 오탁수처리부(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in which wastewater generated by construction works such as rivers 2, lakes, canals, and the like is purified.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 정화 처리 방법이나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can tak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the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 and the like.

예를들어, 가물막이공사 등의 건설,토목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는 화학약품 등에 의해 오염된 것보다는 흙이나 유기물질 등에 의해 혼탁된 경우가 보편적이다. For example, polluted water generated in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works, etc., is usually turbid by soil or organic material rather than contaminated by chemicals.

따라서, 이 경우의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로부터 침전방식에 의해 흙이나 유기물질 등의 슬러지(S)를 침전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may have a more preferable method of precipitating and treating sludge (S) such as soil and organic substances from the wastewater by precipitation.

나아가, 침전방식의 오탁수처리부(1A)는 다단계에 걸쳐서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침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방식의 오탁수처리부(1A)는 오탁수가 유입되며 그 유입 수류에 의해 슬러지(S)를 활성화시켜서 침전,침강시키는 초기침전단계(A)와, 수류를 안정화시킨 상태에서 슬러지(S)를 침전,침강시키는 정류단계(B)와, 침전방식에 의해 정화처리된 오탁수, 즉 처리수가 오버플로우(overflow)방식으로 방류되는 방류단계(C) 순으로 오탁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류단계(C)는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처리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sedimentation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precipitates sludge S from the wastewater in multiple stages.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 the sewage water treatment unit (1A) of the sedimentation method is the initial sedimentation step (A) for sedimentation and sedimentation by activating the sludge (S) by the influent water flow, and the water flow In the stabilization state of the sludge (S) in the rectification step (B), and the sewage water purified by the sedimentation method, that is, the discharged step (C) in which th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in an overflow (flow) method It may be provided to treat the effluent. Here, the discharge step (C)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medium (60) for adsorbing and filtering the sludge (S) from the treated water is overflow dischar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은 상술한 오탁수처리부(1A)에 의해 오탁수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기계장비부(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chanical equipment portion (1B) so that the wastewater can be more easily and efficiently purified by the above-mentioned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기계장비부(1B)는 오탁수의 정화 처리 방법, 오탁수 처리 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mechanical equipment 1B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urifying wastewater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

기계장비부(1B) 중 하나로는 강(2)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부터 오탁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오탁수처리부(1A)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동력에 의해 오탁수를 압송하는 펌프(4)가 구성될 수 있다.One of the mechanical equipments 1B includes a pump 4 for pumping the wastewater by power so that the waste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1A quickly and easily from the river 2, the lake, the canal,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초기침전단계(A)에서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슬리저(S)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6)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echanical equipment 1B, a coagulant supply unit 6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 coagulant for agglomeration of the sludge S so that the coagulation of the sludge S may be more activated in the initial precipitation step (A). have.

응집제 공급부(6)는 응집제가 오탁수와 신속히 혼합되어 슬러지(S)의 응집이 신속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탁수처리부(1A)와 연결되어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유입부(20)와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coagulant supply unit 6 is connected to the effluent treatment unit 1A to guide the inflow of the effluent so that the coagulant is rapidly mixed with the effluent so that the coagulation of the sludg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tively (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connect with 20).

이때, 오탁수와 응집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혼합된 오탁수와 응집제는 오탁수처리부(1A)에 유입되기 전에 오탁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위해 인라인 믹서(inline mixer) 등의 혼합부(7)를 통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xed water and the coagulant mixed with each other, such as inline mixer (inline mixer) for mixing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before entering the waste water treatment unit (1A) so that the mixed well and the coagulant ( Can pass 7).

또한 기계장비부(1B)로서, 오탁수 유입량 조절을 위해, 펌프(4)에 의해 압송된 오탁수를 강이나 호수, 운하 등으로 다시 되돌려보내는 바이패스(by-pass)(8)가 구성될 수 있다.Also, as the mechanical equipment 1B, a by-pass 8 for returning the polluted water pumped by the pump 4 back to a river, a lake, a canal, or the lik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influent water. Can be.

이외에도 오탁수 정화처리를 위해서라면 기계장비부(1B)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o the dirty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the mechanical equipment 1B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이하,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 오탁수처리부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오탁수처리부는, 기본적으로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2)을 갖는 처리조 본체(20)와, 구획 분리벽(30,60) 중 하나로서 처리조 본체(20)에 결합되어 처리공간(22)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오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A)들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is basically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as one of the partition walls 30 and 60 and the treatment tank body 20 having the treatment space 22 for treatment of the wastewater. )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may include a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30A are formed to allow effluent water to pass therethrough.

즉, 기본적으로 오탁수를 처리공간(22)에 머물게 하면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sludge)를 침전시켜서 정화처리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sludge (S) (sludge) in the sewage water while basically remaining the waste water in the treatment space 22.

그리고, 오탁수를 다공성 정류벽(30)의 좁은 홀(30A)로 통과시킴으로써, 오탁수 속의 부유물을 걸러낼 수 있고, 오탁수의 흐름을 지연시켜서 오탁수를 다공성 정류벽(30) 이전 공간에 오랜시간 머물게 하여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오탁수의 활성 에너지를 크게 감소시켜서 다공성 정류벽(30) 이후 공간의 수류를 안정화시켜서 다공성 정류벽(30) 이후 공간에서 오탁수 속의 슬러지(S)를 보다 충분히 침전시킬 수 있다.And, by passing the wastewater through the narrow hole (30A)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suspended matter in the contaminated water, delaying the flow of the polluted water in the space before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by making it stay for a long time, and by greatly reducing the active energy of the sewage water to stabilize the water flow in the space after the porous rectification wall 30 to improve the sludge (S) in the sewage water in the space after the porous rectification wall (30) It can be precipitated more sufficiently.

여기서, 다공성 정류벽(30) 이전 공간은 처리공간(22) 중 오탁수가 다공성 정류벽(30)을 통과하기 전에 머무는 공간(이하, '초기침전공간(22A)'이라 한다)으로 상술한 초기침전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다공성 정류벽(30) 이후 공간은 처리공간(22) 중 오탁수가 다공성 정류벽(30)을 통과한 후 머무는 공간(이하, '정류공간(22B)'이라 한다)으로서 상술한 정류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Here, the space before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a space where the waste water stays before passing throug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the processing space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itial precipitation space 22A'). The step may proceed, and the space after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described above as a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tifying space 22B') in which the waste water in the processing space 22 passes after passing throug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One rectification step can proceed.

이와 같은 처리조 본체(20) 및 다공성 정류벽(30)은 용도 등에 따라서 다양 한 재질에 의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by a variety of material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특히 처리조 본체(20)는 텐트(tent)와 같이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작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천막이나 라이너(liner) 등의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처리조 본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텐트처럼 작은 부피로 접힐 수 있다면 일부분만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tent or a liner so that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may be unfolded or folded into a small volume for the treatment of dirty water, such as a tent. At this time,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s shown in the entirety,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a part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이에 따라서 오탁수처리부는 해체, 운반될 수 있는 조립, 이동식 구조를 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may take a disassembled and transported assembly and a mobile structure.

또한, 처리조 본체(20)가 다수개의 부재들에 의해 조립, 해체되는 분리형 구조가 아닌 텐트처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조 본체(20)의 조립, 해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오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처리조 본체(20)의 기밀성을 위한 기밀재 등의 부가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can take an integral structure consisting of one member, such as a tent, rather than a separate structure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a plurality of members, the assembly and dismantling of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is performed. It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easily, and the airtightness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so that filthy water does not leak, and accordingly, it may have an advantage that an additional member such as an airtight material for the airtightness of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is not required.

이와 아울러, 플렉서블 재질의 처리조 본체(20)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tank body 20 of the flexible material may have a tube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이에 따라서, 설치시에는 처리조 본체(20)가 팽창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으로 펼쳐진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해체시에는 처리조 본체(20)가 팽창압력해제에 의해 수축되어 용이하게 작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처리조 본체(20)는 공압이나 유압, 수압, 충진재 등 용이하게 팽창, 수축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다할 수 있다.Accordingly, during installation,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may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pressure to maintain the expanded shape in the form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and during disassembly,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may be contracted by releasing the expansion pressure. Can be easily folded into small volumes. At this time,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it can be easily expanded and contracted, such as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pressure, filler.

한편, 처리조 본체(20)는 밀폐형 구조는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형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처리조 본체(20)의 제조는 물론 오탁수처리부의 조립/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하며 오탁수의 정화처리과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eatment tank body 20 may have an open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s well as the sealed structure, and in the latter case, the assembly / disassembl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may be made as well as the treatment tank body 20.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operation is easier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effluent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이와 같은 플렉서블 재질의 처리조 본체(20)는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는데는 구조적으로 약하므로, 강성체인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Such a flexible treatment tank body 20 is structurally weak to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caused by the inflow of tainted water, and thus may be more preferably supported by the rigid treatment frame 25.

즉,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처리조 본체(20)가 오탁수 유입에 따른 수압을 견디면서 오탁수 처리를 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the treatment tank frame 25,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can maintain the shape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while withstanding the water pressur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waste water.

이때, 처리조용 프레임(25)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 본체(20)와 함께 조립, 이동식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treatment tank frame 25 is also assembl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treatment tank body 20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처리조용 프레임(25)은,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서로 링형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테두리부재(25A)와,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테두리부재(25A)와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테두리부재(25A)는 처리조 본체(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조용 프레임(25)은 수압력 등에 따라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eatment tank frame 2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 plurality of edge members 25A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ing shape, and the outside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25B) which are installed in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order members (25A) and detachabl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dge members 25A may be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so that the plurality of edge members 25A may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The treatment tank frame 25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aluminum, steel, and the like according to water pressure.

한편, 처리조 본체(20)에는 일측에 오탁수를 유입을 안내하는 오탁수 유입 부(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 처리된 오탁수, 즉 방류공간(22C)의 상등수 방류을 위한 방류부(15)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may be connected to the wastewater inlet 10 for guiding the inflow of wastewater on one side, the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e of the supernatant of the treated wastewater, that is, the discharge space (22C) ( 15) can be connected.

여기서, 오탁수 유입부(10)는 기본적으로 오탁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로(70A)가 형성된 유입용 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wastewater inlet 10 is bas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let pipe 12 is formed with a flow path (70A) for guiding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22) 측 단부는 처리공간(22)의 상측부, 하측부, 중앙부 등 어디든 구비될 수 있는데, 다만 처리공간(22)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다음과 같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space 22 side end portion of the inflow pipe 12 may be provided anywhere i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the center portion, etc. of the processing space 22, but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cessing space 22 as follows. Likewise, it may be more preferable.

즉, 슬러지(S)는 미세한 입자인 경우는 부유됨으로써 침강, 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 응집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인 덩어리를 이루는 것이 침강, 침전되는데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유입용 관(12)에 의해 오탁수가 슬러지(S)가 침강,침전되어 있는 처리공간(22)의 하측부로 유입됨으로써 슬러지(S)의 응집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ludge S is suspended in the case of fine particles, it is difficult to settle and settle because of flotation, so that the sludge S is agglomerated to form a mass of relatively heavy particles. Therefore,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sludge S may be activated by the inflow pipe 12 being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space 22 in which the sludge S is settled and settled.

또한 슬러지(S)의 응집을 활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난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데, 유입용 관(12)에 의해 오탁수가 처리공간(22) 내 수중으로 유입되며 오탁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처리공간(22)의 하측부에 침강,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S)가 활성됨으로써 충분한 난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urbulent flow can be formed as one of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flocculation of the sludge (S), the filthy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in the treatment space 22 by the inlet pipe 12 and treated by the inlet pressure of the filthy water. Sufficient turbulent flow can be formed by activating the sludge S settled and sett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22.

이 결과, 슬러지(S)의 침강,침전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라서 오탁수 정화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dimentation and sedimentation efficiency of the sludge S is very excellent, and accordingly, the sewag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is very excellent.

여기서,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 측 단부(12A)는 가능한 처리공간(22)의 바닥면에 가깝도록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되, 너무 낮으면 처리 공간(22)에 침강, 침전된 슬러지(S)의 무게 등에 의해서 오탁수 유입이 방해를 받거나 난류 발생이 저하될 수 있는 바, 처리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유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ing space side end portion 12A of the inflow pipe 12 is more effectively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a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22 as possible, but if it is too low, it is settled in the processing space 22. In addition, bar water may be disturbed due to the weight of precipitated sludge (S) or the like, and turbulence may be reduced, and thus,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tment space 22.

나아가, 유입용 관(12)의 처리공간 측 단부(12A)는 난류유동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특히 도 14 및 도 1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가 상측을 향해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되면서 상승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홀(12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ocessing space side end portion 12A of the inflow pipe 12 is introduced in the processing space 22 toward the upper side in order to further activate turbulent flow, in particular, as shown by arrows in FIGS. 14 and 16. At least one hole 12B may be formed to form an upward flow.

한편, 오탁수 유입부(10)는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용 관(12)으로부터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되는 오탁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유입용 관(12)의 상기 처리공간 측 단부(12A)에 설치되며 유입용 관(1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4A)이 형성된 캡(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ffluent water inlet 10 is particularly shown in Figure 15,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filthy water flowing into the processing space 22 from the inlet pipe 12, of the inlet pipe 12 The cap 14 may further include a cap 14 installed at the side end portion 12A of the processing space and having at least one hole 14A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ipe 12.

즉, 오탁수 유입에 의해 캡(14)이 회전됨에 따라서 오탁수가 유입용 관(12)으로부터 상승류는 물론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처리공간(22)으로 유입됨에 따라, 난류 유동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That is, as the cap 14 is rotated by the inflow of the wastewater, the turbidity flow may be more activated as the wastewater flows from the inflow pipe 12 into the treatment space 22 while forming the upflow as well as the rotational flow. have.

여기서, 캡(14)의 홀(14A)은 그 개수 및 형상 등이 회전류 형성을 위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캡(14)은 무동력 구동으로서 오탁수의 유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수에 유입에 의한 캡(14)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도록 날개(13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holes 14A of the cap 14 may be variously designed to form a rotational flow, and the cap 14 may be rotated by the inflow force of the tap water as a non-powered drive. As shown in FIG. 15, a wing 13B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re smoothly rotate the cap 14 due to inflow into the wastewater.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수처리부의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처리조 본체(20)와 같이 천막, 라이너 등의 플렉서블 재질로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also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tent or a liner, such as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for assembling and moving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아울러, 다공정 정류벽(30)이 처리조 본체(20)와 동일, 유사한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처리조 본체(20)와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multi-process rectifying wall 30 is formed of the same and similar flexible material as the treatment tank body 20, it can be simply combined with the treatment tank body 20.

이때,용접(welding)이나 봉제 방법 등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은 처리조 본체(2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퍼(zipper)나 벨크로 테이프 방법 등에 의해 다공성 정류벽(30)은 처리조 본체(2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by welding or sewing method, as shown,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integrally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tank body 20.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by a zipper or Velcro tape method.

아울러, 다공성 정류벽(30)은 플렉서블 재질적 특성때문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바, 다공성 정류벽(30)의 폭방향(화살표 W)에 따른 양쪽 가장자리가 각각 오탁수에 의한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처리조 본체(20)와 다중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structurally weak due to the flexible material characteristics, so that both edg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row W)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can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septic water, respectively.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multiplexed with (20).

즉, 다공성 정류벽(30)은 처리조 본체(20)를 구획하는 구획부(32)의 폭방향(화살표 W)에 따른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양 갈래로 나뉘어져 처리조 본체(2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시접부(34,35)가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at both edg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row W) of the partition 32 which partitions the treatment tank body 20, respectively, and is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A pair of seam allowances 34 and 35 may be provided.

또한, 다공성 정류벽(30)이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수압에 따른 처리조 본체(20)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flexibl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ccording to water pressure.

즉, 처리조 본체(20)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며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전둘레가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 등에 의해 그 하측부가 상대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취할 수 밖에 없다. That is, since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front circumference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the treatment tank frame 25,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may have a relatively convex shape by water pressure or the like. There is nothing else.

이에 대응하여 다공성 정류벽(30)의 하측부가 상대적으로 쫙 펼쳐지거나 인 장될 수 있기 때문에, 다공성 정류벽(30)과 처리조 본체(20)의 결합부분의 기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다공성 정류벽(30) 또는 처리조 본체(20)가 찢어질 염려가 없다.Correspondingly, since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can be relatively expanded or stretched, the airtightness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nd the treatment tank body 20 can be maintained firmly, and the porous There is no fear that the rectifying wall 30 or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will tear.

한편, 다공성 정류벽(30)은 쭈글쭈글하게 주름(30B)이 잡히면, 다공성 정류벽(30)의 홀(30A)들이 좁아지거나 겹쳐져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수류 저항이 커져서 오탁수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다공성 정류벽(30)에 과수압이 걸려서 다공성 정류벽(30)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wrinkled (30B) crumpled, holes 30A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can be narrowed or overlapped. As a result, the water flow resistance may increase, so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may be reduced, and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damaged due to excessive water pressure being applied to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이와 같은 문제들은 다음과 같이 구획 분리벽 지지체(40)가 다공성 정류벽(30)이 쫙 펼쳐질 수 있도록 다공성 정류벽(30)을 지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Such problems can be prevented by supporting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so that the partition separating wall support 40 can be unfolded as follows.

특히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특히 도 3,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2)의 일측을 다공성 정류벽(30)과 결합시켜서 와이어(42)에 의해 다공성 정류벽(30)을 팽팽하게 당기고, 이 상태로 와이어(42)의 타측을 처리조 본체(20) 또는 처리조용 프레임(25) 등의 주변 구조물에 결합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artition wall support 40 may comprise at least one wire 42. That is,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3, 5, and 9, one side of the wire 42 is coupled wit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to pull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taut by the wire 42, and in this state. The other side of the wire 42 may be coupled to a peripheral structure such as the treatment tank body 20 or the treatment tank frame 25.

이때, 와이어(42)는 다공성 정류벽(30)과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처리조용 프레임(25)과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거나, 다공성 정류벽(30) 및 처리조용 프레임(25) 모두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 42 is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frame 25, or detachable from bot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nd the treatment tank frame 25. Can be combined.

이와 같이 구획 분리벽 지지체(40)가 와이어(42)로 구비됨으로써, 와이어(42)의 결합, 해제가 용이하여 오탁수처리부의 조립,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정류벽(30)이 구획 분리벽 지지체(40)에 의해 지지될 지라도 처리조 본체(20)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다. As the partition wall support 40 is provided as the wire 42 as described above, the wire 42 may be easily coupled and released, so that the sewage water treatment unit may be easily assembled and dismantled. In addition, even i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supported by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support 40, it can flexibl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의 하측부가 처리조 본체(20)와의 결합에 의해 쫙 펼쳐지는데 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 본체(20)의 상측부의 폭이 처리조 본체(20)의 하측부의 폭보다 좁음에 따라서 폭차이로 인해 다공성 정류벽(30)의 상측부는 쭈글쭈글하게 주름(30B)이 많이 잡힐 수 밖에 없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unfolded by the coupling with the treatment tank body 20, wherea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is larger than the treatment tank body 20 as shown. Due to th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ide of th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upper side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the wrinkles (30B) is bound to be caught a lot.

따라서, 구획 분리벽 지지체(40)의 와이어(42)는 다공성 정류벽(3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wire 42 of the partition wall support 4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즉, 다공성 정류벽(30)은 그 상단부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와이어(42)가 결합되는 결합부(30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 양쪽 가장자리 쪽은 주름(30B)이 잡혀도 오탁수 처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바, 무방하다할 수 있다.That is,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30C to which the wires 42 are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end thereof. At this time, both edges of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waste water treatment even if the wrinkles 30B are caught.

다공성 정류벽(30)의 결합부(30C)는 와이어(42)와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와이어(4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홀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30C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upling method with the wire 42, and may be provided as a hole so that the wire 42 may be simply inserted and coupled as shown. .

여기서,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는 와이어(42)의 당김에 의해 직접적으로 외력을 받는 바, 2번 이상 겹쳐진 형태를 취함에 따라서 다공성 정류벽(30)의 하측부보다는 튼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는 다공성 정류벽(30)을 이루는 자재가 2번 이상 접혀서 겹쳐진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따로따로 재단된 여러겹의 시트가 겹쳐진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여러겹의 시트는 서로 같은 재질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재질로 이루 어질 수도 있다.Here,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directly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by pulling the wire 42, and thus is strong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s the overlapping shape is taken two or more times.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material forming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folded two or more times or overlapped, or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cut separately are overlapped. have. In the latter case, the multiple sheets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나아가,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는 특히 도 1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체인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다 튼튼하게 지지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structurally supported more robustly by the frame 50 for partition partition walls,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12 and 11.

이때,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은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 구조 등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공성 정류벽(3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가 2번 이상 겹쳐진 형태를 취하는 경우,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은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frame 50 may be coupled to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s an example, when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overlaps two or more times, the partition wall frame 50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the inserted state.

특히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은 다공성 정류벽(30)의 상단부(30D)를 지지하되, 다공성 정류벽(30)에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의 중량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처리조용 프레임(25)과 결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frame 50 supports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but the processing tank frame 25 so that the weight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frame 50 does not affect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t may be combined with the treatment tank frame 25 to be supported by).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과 처리조용 프레임(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특히 도 12,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방법 등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frame 50 and the treatment tank frame 25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tting method as shown in FIGS. can do.

한편, 다공성 정류벽(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침전공간(22A)과 정류공간(22B)을 구획하되, 다공성 정류벽(30)에 의한 오탁수 흐름의 과부하방지를 위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H)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partitions the initial settling space 22A and the rectifying space 22B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overload of the effluent flow by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FIGS. 2 to FIG. As illustrated in FIG. 7,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height H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22.

즉, 다공성 정류벽(30)과 처리공간(22)의 바닥면 사이 공간을 통해 오탁수가 다공성 정류벽(30)에 의해 저항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That is, filthy water can flow smoothly without being resisted by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22.

또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은 처리공간(22)의 일측에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특히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에 의한 오탁수 흐름의 과부하방지를 위해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ocessing space 22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22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particular shown in 'C' of FIG. 8.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end of the bottom of the polluted water may be configured to be fluttered by the polluted water in order to prevent overload of the polluted water flow by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즉, 다공성 정류벽(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부(30F)가 오탁수의 흐름에 의해 펄럭거릴 수 있도록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부(30F)인 상기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까지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결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공성 정류벽(30)은 그 나머지 부분만이 처리조 본체(20)에 결속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s the lower end portion 30F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ottom portion 30F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can be fluttered by the flow of dirty water. From the lower en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to the predetermined height upward is not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coupled so that only the remaining portion can be boun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이때,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부(30F)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랩(flab)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화살표 W)을 따라서 다수개의 플랩(30F)이 서로 인접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플랩(30F)이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portion 30F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may be formed as one flap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the width direction (arrow W) as shown in FIG. 10. Therefore, the plurality of flaps 30F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or the plurality of flaps 30F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 11.

이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60)의 하단부(30F)가 다수개의 플랩(30G)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플랩(30F)이 오탁수의 유동 및 슬러지(S) 응집상태, 슬러지(S) 함수량 등에 대응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펄럭거릴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는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고 응집 슬러지(S)는 보다 효과적으로 걸려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end portion 30F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aps 30G, each of the flaps 30F has a flow of muddy water, a sludge (S) aggregation state, a sludge (S) water content, and the like. Correspondingly, the sewage water can flow more smoothly and the flocculating sludge S can be caught more effectively because it can be fluttered more a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부가 오탁수의 흐름에 의해 펄럭 거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ower end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flutters due to the flow of dirty water,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오탁수는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지만, 초기침전공간(22A)에서 응집된 슬러지(S)는 오탁수에 휩쓸리더라도 펄럭거리는 다공성 정류벽(3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That is, the polluted water may flow smoothly, but the sludge S aggregated in the initial settling space 22A is caught by the bottom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even if it is swept by the polluted water.

또한, 응집 슬러지(S)의 유동이 저항을 받음에 따라서 응집 슬러지(S)가 초기침전공간(22A)에서 머물면서 농축되어 더 원활하게 응집될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low of the flocculating sludge S is resisted, the flocculating sludge S may be concentrated while remaining in the initial settling space 22A, so that the flocculat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may be improved. .

또한 오탁수가 다음 단계로 유동됨에 따라서 슬러지(S) 함수율이 현격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udge (S) moisture conten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sewage water flows to the next stag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sewage water can be very excellent.

한편, 오탁수처리부는 또 다른 구획 분리벽(30,60)으로서 상술한 방류단계를 위한 방류공간(22C)을 구획하기 위한 간벽(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60 for partitioning the discharge space 22C for the discharge step described above as the other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간벽(60)은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0)과 같이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처리조 본체(20)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6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tank body 20 or at least partially detachable.

이와 같은 간벽(60)은 오탁수가 간벽(60)의 하측을 통해 정류공간(22B)에서 방류공간(22C)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Such a partition wall 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dirty water may flow from the rectifying space 22B to the discharge space 22C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60.

즉, 간벽(60)은 상술한 다공성 정류벽(30)과 같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처리공간(22)의 일측에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되 오탁수 흐름을 위해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artition wall 6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22, as shown in FIGS. 2 to 6, like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on one side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space 22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olluted water may be configured to be fluttered by the polluted water.

이와 같이 오탁수가 간벽(60)의 하측을 통해 유동됨에 따라서, 정류공간(22B)의 상측부에 부유된 미세 입자의 슬러지(S)가 방류공간(22C)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류공간(22C)의 상등수가 간벽(60)을 월류하여 정류공간(22B)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탁수가 간벽(60)의 하측을 통해 유동됨에 따라서 방류공간(22C)으로 유동되는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방류공간(22C)에 침전되어 있는 응집 슬러지(S)와 보다 용이하게 응집될 수 있기 때문에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As the filthy water flow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60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S of the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tifying space 22B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space 22C, and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ernatant water in the space 22C from flowing over the trunk wall 60 and flowing back into the rectifying space 22B. In addition, the sludge (S) in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space 22C is more easily aggregated with the coagulation sludge (S) precipitated in the discharge space (22C) as the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barrier wall (60). Because of this, the treatment efficiency of waste water is very good.

여기서, 간벽(60)은 다공성 정류벽(30)과의 배치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초기침전단계, 정류단계, 그리고 방류단계 순서에 대응하여, 간벽(60)은 다공성 정류벽(30)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침전공간(22A), 정류공간(22B) 그리고 방류공간(22C)이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서 수류가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수류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인한 유동저항이 배제될 수 있어서, 수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artition wall 60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initial settling step, rectifying step, and discharge step, the partition wall 60 may be arranged in a line with the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this case, as the initial settling space 22A, the rectifying space 22B and the discharge space 22C are arranged in a line, the water flow can be form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flow resistance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water flow can be excluded. , The water flow can be formed smoothly.

한편, 오탁수처리부는 방류공간(22C)으로부터 방류되는 상등수가 통과하는 유로(70A)가 형성되며, 이 유로(70A)를 통과하는 상등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is formed with a flow path (70A) through which the supernatan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pace 22C, and further includes a filter medium (70) for adsorbing the sludge (S) from the supernatant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70A). Can be.

즉, 방류공간(22C)으로부터 방류되는 상등수에 포함된 슬러지(S), 특히 미세 입자형태로 부유된 슬러지(S)가 여과재(70)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됨으로써, 오탁수의 처리효율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That is, the sludge S contained in the supernat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pace 22C, in particular, the sludge S suspended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is adsorbed and removed by the filter medium 70, so that the effluent water treatment efficiency is more excellent. Can be done.

이와 같은 여과재(70)는 방류공간(22C)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특히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70A)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슬러지(S)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Such a filter medium 70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space 22C, an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 and 8, the flow path 70A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By doing so, the sludge S can be adsorbed more effectively.

여과재(70) 또한 상술한 조립, 이동식 구조를 위해,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여과재(70) 자체 또한 고형구조보다는 조립,이동식 구조를 위해 플렉서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medium 70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for the above-described assembly and mobile structure, and the filter medium 70 itself may also be formed in a flexible structure for the assembly and mobile structure, rather than a solid structure. hav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1 or less relates to the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도 2는 제1실시예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실시 예에 있어서, 다공성 정류벽이 펼쳐진 상태의 정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in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6은 제1실시 예에 있어서, 다공성 정류벽이 주름진 상태의 정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in the corrugated state in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8은 제2실시예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2실시예의 정단면도.9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3실시예의 다공성 정류벽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ous rectifying wall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1은 제4실시예의 다공성 정류벽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ous rectifying wall in a fourth embodiment.

도 12은 제5실시예의 일부 사시도.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도 13은 도 12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도 14 내지 도16은 오탁수 유입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14 to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the waste water inle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A: 오탁수처리부 1B: 기계장비부1A: Sewage water treatment part 1B: Mechanical equipment part

4; 펌프 6; 응집제 공급부4; Pump 6; Flocculant supply

7; 혼합부 8; 바이패스7; Mixing section 8; Bypass

10; 오탁수 유입부 15; 방류부10; Dirty water inlet 15; Discharge

20; 처리조 본체 22; 처리공간20; Treatment tank main body 22; Treatment space

25; 처리조용 프레임 30; 다공성 정류벽25; Treatment tank frame 30; Porous rectifying wall

40; 정류벽 지지체 42; 와이어40; Rectifying wall support 42; wire

50; 정류벽용 프레임 60; 간벽50; Frame 60 for the rectifying wall; Wall

70; 여과재70; Filter media

Claims (14)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와,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렉서블 재질 부분과 결합되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분리벽(30,60)과,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를 포함하며;A treatment tank body 20 having a treatment space 22 for treatment of effluent wat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nd partition partition supports 4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can be unfolded;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폭방향(화살표 W)에 따른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양 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시접부(34,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re divided into two parts at both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arrow W)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respectively, and are paired to be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m contact portion (34,35) is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는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구획 분리벽(30,60)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처리조 본체(20) 또는 주변 구조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partition partition wall support 4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can be pulled taut and the other side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at least one wire (42) coupled to.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그 상단부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와이어(42)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partition wall (30, 60) is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wire 42 is coupled to each of both edges of the upper en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상단부(30D)는 2번 이상 겹쳐진 형태이며, 상기 와이어(42)가 끼워지는 와이어(42)용 홀(30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Prefabricated filthy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artition separation walls 30 and 60 is overlapped two or more times, and at least one hole 30A for the wire 42 into which the wire 42 is fitted is formed. Treatment facilit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각 시접부(34,35)는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웰딩(welding)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each seam (34, 35)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30, 60) is weld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partition wall (30, 60) is 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e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tank body 20,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레시블 재질 부분은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튜브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has a tube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처리조 본체(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20)를 지지하며,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처리조용 프레임(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urther comprises a treatment tank frame (25) that is coupled to the treatment tank body (20) so as to be detachable and supports the treatment tank body (20).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의 상단부(30D)에 결합되며 상기 처리조용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용 프레임(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It is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30D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nd supported by the treatment tank frame 25 and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artition wall frame 5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처리조 본체(20)와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가 응집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응집제와 혼합된 상태로 동력에 의해 상기 처리공간(22)으로 압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탁수 유입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It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tank main body 20, and the filthy water inlet 10 is provided to be pumped into the treatment space 22 by the power in a state mixed with the coagulant supplied from the coagulant supply unit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오탁수 처리를 위한 처리공간(22)을 갖으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되는 처리조 본체(20)와, 상기 처리조 본체(20)의 플렉서블 재질 부분과 결합되며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는 구획 분리벽(30,60)과,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지지하는 구획 분리벽 지지체(40)를 포함하며;A treatment tank body 20 having a treatment space 22 for treatment of effluent wat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flexible material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body 20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and partition partition supports 40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so that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can be unfolded;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처리공간(22)의 일측에 상기 처리공간(22)의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22)을 구획하며 그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탁수의 유동을 위해 상기 오탁수에 의해 펄럭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partition separation walls 30 and 6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22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ocessing space 22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22.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space 22 is partitio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fluttered by the wastewater for the flow of the wastewat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은 오탁수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오탁수 속의 슬러지(S)가 침전되는 초기침전공간(22A)을 구획하고 상기 오탁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홀(30A)이 형성된 다공성 정류벽(30);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partition the initial sedimentation space 22A through which the sedimentation walls 30 and 60 enter the sewage water and in which sludge S in the introduced sewage water is sedimented, and the foul water passes. A porous rectifying wall 3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30A are formed; 상기 처리공간(22) 내에 상기 구획 분리벽(30,60)을 통과한 오탁수가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방류공간(22C)을 구획하며, 상기 방류공간(22C)을 향하는 오탁수의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간벽(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The discharge space 22C is divid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C in which the waste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partition partition walls 30 and 60 is overflowed in the treatment space 22, and the flow of the wastewater toward the discharge space 22C is upwardly upward.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a; partition wall 60 to guide to.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방류공간(22C)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방류되는 오탁수가 통과하는 유로(70A)가 형성되며, 이 유로(70A)를 통과하는 오탁수로부터 슬러지(S)를 흡착하는 여과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A flow path 70A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space 22C to allow the overflowed discharged filthy water to pass, and the filter medium 70 adsorbs sludge S from the filthy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ssage 70A. Prefabricate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urther comprising.
KR1020090088461A 2009-09-18 2009-09-18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1191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61A KR101191931B1 (en) 2009-09-18 2009-09-18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61A KR101191931B1 (en) 2009-09-18 2009-09-18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37A KR20110030837A (en) 2011-03-24
KR101191931B1 true KR101191931B1 (en) 2012-10-17

Family

ID=4393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461A KR101191931B1 (en) 2009-09-18 2009-09-18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9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37A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US6875350B2 (en) Chitosan enhanced dewatering bag
KR200483464Y1 (en) 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using solar power generating
JP5281094B2 (en)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804805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334884B1 (en)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CN107151085A (en) A kind of sewage integrated treatment device
KR100807192B1 (en) Vortex type treatment apparatus for early rainwater
KR970061796A (en)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CN212026150U (en) Purifying and dirt blocking type water retaining weir
KR101191931B1 (en)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2014004252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early rain contaminant and combined system of sewer cso
KR101147216B1 (en)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2216422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device
KR101113899B1 (en) Honeycomb structure an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using the same
KR101183533B1 (en)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1120094B1 (en)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1147214B1 (en)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2216421B1 (en) the nonpoint pollution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the selectiv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KR20120069862A (en)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KR101139814B1 (en)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and settling culture for the same
CN207412948U (en) A kind of filtering cloth filtering pool
KR101113681B1 (en) Jointed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using the same
KR20110022996A (en) Treatment facility for muddy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