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17B1 -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17B1
KR101191617B1 KR1020110087987A KR20110087987A KR101191617B1 KR 101191617 B1 KR101191617 B1 KR 101191617B1 KR 1020110087987 A KR1020110087987 A KR 1020110087987A KR 20110087987 A KR20110087987 A KR 20110087987A KR 101191617 B1 KR101191617 B1 KR 10119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sculpture
fingerpri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현
신동목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KR102011008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함에 따라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 중에서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나아가, 캡쳐 가능영역의 재설정 여부를 감지하여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하고 장기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지문입력장치 연결단계 또는 이미지 캡쳐 프로세스 이전단계에서 조형물의 방해 없이 일관된 고품질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미지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Apparatus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daptive method for detecting capturable area using thereof}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인식을 위한 이미지 획득 및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안 및 방범 시스템 기술에서 건조물의 출입자나 특정 기기의 사용자 등에 대한 정당성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인증을 위한 생체정보로 지문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기반의 인증 시스템은 건조물의 출입자에 대한 인증뿐만 아니라, 정보의 보호나 개인의 신분증명을 위한 방법으로서, 패스워드 방식이나 ID 카드 방식 대신 사용된다.
그런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인식장치는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이 물리적인 조형물에 의해 가려지거나 오염되는 등의 침범을 받는 경우, 일관된 고품질의 영상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침범받은 영역에 의한 이미지 처리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 789607에는 지문 센서로 읽어들인 지문 영상들에 대한 ROI(Region Of Interest) 픽셀들을 찾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조형물의 방해 없이 일관된 고품질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미지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른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하는 조형물 감지부와,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입력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를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 중에서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를 포함한다.
이때 조형물 감지부는 지문입력장치 연결시에 조형물을 감지하는 제1 조형물 감지부와, 지문입력장치 연결 이후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를 통한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조형물을 감지하는 제2 조형물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캡쳐 가능영역의 재설정 여부를 감지하고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하는 설정값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지문인식장치가 지문인식을 위해 캡쳐 가능영역을 적응적으로 탐지하는 방법은,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와,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 중에서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이 재설정된 경우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하여, 장치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입력장치 연결 프로세스 단계 또는 이미지 캡쳐 프로세스 이전 단계에서 조형물을 회피하도록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함에 따라 이미지 캡쳐시에 일관된 고품질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미지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브래킷(bracket) 또는 플래튼(platen) 상에 놓인 맴브래인(membrane) 등을 포함하는 조형물에 의해 입력창에 음영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해당 음영지역에 의해 지문인식에 필요한 이미지들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문입력장치 연결 프로세스 단계 또는 이미지 캡쳐 프로세스 이전 단계에서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함에 따라, 캡쳐 이미지 획득 이후 이미지 정합 및 특징 추출을 통한 지문인식 프로세스 단계에서 캡쳐 이미지를 대상으로 이미지 보정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캡쳐 가능영역의 재설정 여부를 능동적으로 감지하고,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설정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장치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함에 따라, 고품질의 이미지를 기초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형물에 의해 침범된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형물을 회피하여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래킷 등의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래튼 상에 놓인 맴브래인 등의 둘러싸인 형태의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형태가 아닌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인식장치가 캡쳐 가능영역을 적응적으로 탐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 연결시 하드웨어 설정값 변경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 연결시 소프트웨어 설정값 변경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인식장치(10)는 조형물 감지부(110), 영역 설정부(120) 및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를 포함하며, 설정값 결정부(130) 및 지문 인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형물 감지부(110)는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한다. 조형물은 물리적인 형태의 외부 추가 물체로, 브래킷(bracket) 등의 외부물체 또는 플래튼(platen) 상에 놓인 실리콘 패드 등의 맴브래인(membrane)일 수 있다. 조형물은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 곡선 형태 또는 액자 틀과 같은 둘러싸인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조형물이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 내 캡쳐 가능영역(capturable area)을 침범하는 경우, 지문인식을 위해 일관된 고품질의 영상을 확보하기 어렵고 이미지 처리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캡쳐 가능영역은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입력창 내의 물리적 픽셀 영역을 말한다(도 2 참조). 캡쳐 가능영역은 지문입력장치(12) 출하 이후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조형물에 의해 물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도 3 참조). 이 경우 지문인식을 위한 캡쳐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캡쳐 성능이 떨어지는 등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형물 감지부(110)는 조형물을 벗어나도록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기 위해 조형물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형물 감지부(110)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센싱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입력창 내에서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그레이 레벨값보다 낮게 표현되는 음영영역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위치가 파악된 음영영역을 조형물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한다. 한편, 그레이 레벨값을 이용한 조형물 감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그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형물 감지부(110)는 제1 조형물 감지부(1100)와 제2 조형물 감지부(1110)를 포함한다.
제1 조형물 감지부(110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에 조형물을 감지한다. 제1 조형물 감지부(110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시 처음 한 번 조형물을 감지하며, 연결이 지속되는 경우 이를 다시 수행하지는 않는다. 제1 조형물 감지부(1100)의 조형물 감지는 후술할 영역 설정부(120)의 캡쳐 가능영역 재설정 및 설정값 결정부(130)의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하드웨어적인 장치 설정값 변경에 이용된다.
제2 조형물 감지부(111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이후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를 통한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조형물을 감지한다. 제2 조형물 감지부(1110)의 조형물 감지는 후술할 영역 설정부(120)의 캡쳐 가능영역 재설정 및 설정값 결정부(130)의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설정값 변경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시 변경된 캡쳐 가능영역이 캡쳐 수행 시의 캡쳐 가능영역과 달라지는 일은 없으나,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시 변경된 캡쳐 가능영역이 사용 중 더 작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적으로 축소된 캡쳐 가능영역 위에 실리콘 패드 등의 맴브래인이 올려지는 등의 사용 조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캡쳐 수행 시 캡쳐 가능영역을 재계산하면 소프트웨어적인 대응만으로도 캡쳐 이미지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영역 설정부(120)는 조형물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부(120)는 음영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캡쳐 가능영역으로 재설정한다. 이때, 최대 크기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120)의 캡쳐 가능영역 재설정 프로세스에 관한 실시예들은 도 5 내지 도 7에서 후술한다.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는 입력창을 통해 센싱 이미지(sensing image)들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센싱 이미지들 중에서 영역 설정부(120)를 통해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captured image)를 획득한다. 센싱 이미지들 중 하나가 캡쳐 이미지가 된다. 캡쳐 이미지는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의 이미지 캡쳐를 통해 출력되는 최종 이미지이지만, 후술할 지문 인식부(140)가 특징 추출과 지문인식을 위해 입력받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이미지들과 캡쳐 이미지는 지문인식장치(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설정값 결정부(130)는 영역 설정부(120)를 통해 캡쳐 가능영역이 재설정되면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한다. 이때,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는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값 결정부(13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하드웨어 설정값을 변경한다. 하드웨어 설정값은 조명 또는 게인 레벨일 수 있다.
설정값 결정부(130)의 하드웨어 설정값 변경예를 들면,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출하 시 100으로 세팅되어 있었다고 가정한다. 그런데, 캡쳐 가능영역이 조형물에 의해 가려지면 영역 설정부(120)는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며, 이때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값은 처음의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 값과 차이가 나게 된다. 이 값이 50이라고 가정하면, 설정값 결정부(130)는 평균을 처음의 100으로 올리기 위하여 조명이나 게인 설정값을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값 결정부(130)는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소프트웨어 설정값을 변경한다. 소프트웨어 설정값은 예를 들면 콘스라스트 레벨일 수 있다.
지문 인식부(140)는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를 통해 획득된 캡쳐 이미지를 대상으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분석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한다. 지문 인식부(140)는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100)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입력받으며, 이후 지문 인식부(140)가 수행하는 특징 추출 및 지문인식 프로세스는 일반적인 지문인식 기술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캡쳐 가능영역(1200a)은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120) 내에 위치하여, 입력창(120)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물리적 픽셀 영역이다. 캡쳐 가능영역(1200a)의 픽셀값은 지문입력장치(12)의 생산 단계에서 고정값으로 세팅되어 출하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미지 캡쳐 동안에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캡쳐 가능영역(1200a)은 지문이 포함된 지문영상에서의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ROI)과는 다르다. 즉, 캡쳐 가능영역(1200a)은 이미지 캡쳐 프로세스 이전에 지문인식을 위해 지문을 받아들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지 캡쳐 이후 지문을 인식하는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지문영역이 아님을 명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형물에 의해 침범된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쳐 가능영역(1200b)은 지문입력장치(12) 출하 이후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조형물(124)에 의해 물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지문인식을 위한 캡쳐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캡쳐 성능이 떨어지는 등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시 한 번 읽어들인 캡쳐 가능영역 값은 모든 캡쳐 프로세스에서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외부의 추가 조형물(124)로 인해 캡쳐 가능영역의 상태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가능영역(1200b) 상단에 하단부와 다른 그레이 레벨의 음영영역(122)이 발생한다. 이 변화가 캡쳐 프로세스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되어 캡쳐 이미지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형물을 회피하여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형물(124)에 의해 캡쳐 가능영역이 침범되는 경우 영역 설정부(120)는 조형물(124)에 의해 가려진 음영영역(122)을 피해 캡쳐 가능영역(1200c)을 재설정한다. 캡쳐 가능영역(1200c) 재설정 정보는 전체 영상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도록 설정값 결정부(130)를 통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설정값들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데 이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래킷 등의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120)는 캡쳐 가능영역이 브래킷(5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경우, 이전 캡쳐 가능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최대 크기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캡쳐 가능영역(510)을 재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래튼 상에 놓인 맴브래인 등의 둘러싸인 형태의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120)는 캡쳐 가능영역이 맴브레인(6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경우, 이전 캡쳐 가능영역의 중심영역을 캡쳐 가능영역(610)으로 재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형태가 아닌 조형물을 회피하여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120)는 캡쳐 가능영역이 사각형 형태가 아닌 조형물(7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경우, 이전 캡쳐 가능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넓은 영역 내에서 최대 크기의 사각형을 갖도록 캡쳐 가능영역(710)을 재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인식장치가 캡쳐 가능영역을 적응적으로 탐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한다(800). 이때,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와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이후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조형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지문인식장치(10)는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한다(8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의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창 내에서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그레이 레벨값보다 낮게 표현되는 영역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가 파악된 음영영역을 조형물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음영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캡쳐 가능영역으로 재설정한다. 이때, 최대 크기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추가 양상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10)는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이 재설정된 경우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한다(8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하드웨어 설정값을 변경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인식장치(10)는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소프트웨어 설정값을 변경한다.
이어서, 지문인식장치(10)는 장치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입력받은 센싱 이미지 중에서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83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 하드웨어 설정값 변경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와 연결되면, 장치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900). 이어서, 캡쳐 가능영역을 감지(910)하고, 감지 결과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920). 확인 결과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된 경우 하드웨어 설정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한다(930). 하드웨어 설정값은 조명 또는 게인 레벨일 수 있다.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또는 설정값이 변경되면 장치 연결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예를 들면,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출하 시 100으로 세팅되어 있었다고 가정한다. 그런데, 캡쳐 가능영역이 조형물에 의해 가려지면 지문인식장치(10)는 캡쳐 가능영역을 재조정하게 되며, 이때 재조정된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값은 처음의 캡쳐 가능영역 내 평균 그레이 레벨 값과 차이가 나게 된다. 이 값이 50이라고 가정하면, 지문인식장치(10)는 평균을 처음의 100으로 올리기 위하여 조명이나 게인 설정값을 조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12) 연결시 소프트웨어 설정값 변경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문인식장치(10)는 지문입력장치(12) 연결 시 변경된 캡쳐 가능영역을 캡쳐 수행 전에 한 번 더 확인한다. 이는 변경된 캡쳐 가능영역 정보에 따라 지문인식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정값을 재조정하기 위함이다. 소프트웨어 설정값은 예를 들면 콘스라스트 레벨일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10)는 캡쳐가 시작되면, 캡쳐 가능영역을 감지(1000)한다. 감지 결과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되었는지를 확인(1010)하고, 확인 결과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되었으면 소프트웨어 설정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한다(1020). 캡쳐 가능영역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또는 설정값이 변경되면 캡쳐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문인식장치 12 : 지문입력장치
100 :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 110 : 조형물 감지부
120 : 영역 설정부 130 : 설정값 결정부
140 : 지문 인식부 1100 : 제1 조형물 감지부
1110 : 제2 조형물 감지부

Claims (10)

  1.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하는 조형물 감지부;
    상기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 중에서 상기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감지부는,
    상기 지문입력장치 연결시에 조형물을 감지하는 제1 조형물 감지부; 및
    상기 지문입력장치 연결 이후 상기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를 통한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조형물을 감지하는 제2 조형물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감지부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기 입력창 내에서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그레이 레벨값보다 낮게 표현되는 음영영역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음영영역을 조형물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음영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캡쳐 가능영역으로 재설정하되, 최대 크기를 갖는 사각형이 되도록 상기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캡쳐 가능영역의 재설정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하는 설정값 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싱 및 캡쳐부는 상기 설정값 결정부를 통해 장치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변경부는
    상기 지문입력장치 연결시에 상기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하드웨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변경부는
    이미지 캡쳐 착수시에 상기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평균 그레이 레벨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의 평균 그레이 레벨값으로 조정되도록 소프트웨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분석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9. 지문인식장치가 지문인식을 위해 캡쳐 가능영역을 적응적으로 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문입력장치의 입력창 내 조형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조형물을 회피하여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이미지 중에서 상기 재설정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 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이미지 캡쳐 가능영역이 재설정된 경우에 상기 재설정된 캡쳐 가능영역에 대한 장치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KR1020110087987A 2011-08-31 2011-08-31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KR10119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87A KR101191617B1 (ko) 2011-08-31 2011-08-31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87A KR101191617B1 (ko) 2011-08-31 2011-08-31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617B1 true KR101191617B1 (ko) 2012-10-17

Family

ID=4728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87A KR101191617B1 (ko) 2011-08-31 2011-08-31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80B1 (ko) 2011-12-30 2013-04-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적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US9311519B2 (en) 2013-03-26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0A (ja) 2007-12-10 2009-06-25 Mega Chips Corp 指示デバイスおよび指紋認証半導体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0A (ja) 2007-12-10 2009-06-25 Mega Chips Corp 指示デバイスおよび指紋認証半導体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80B1 (ko) 2011-12-30 2013-04-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적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US9311519B2 (en) 2013-03-26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94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34980B2 (ja) 顔認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顔認証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顔認証装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74708B1 (ko) 회전영상의 보정에 의한 비접촉식 홍채인식방법
US9710691B1 (en) Touchless fingerprint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32912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TWI640929B (zh) 指紋辨識方法以及指紋辨識裝置
WO2013127162A1 (zh) 支票紫外防伪验证方法
JP2007072861A (ja) なりすまし検出装置及び顔認証装置
US2007017212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8205177A1 (zh) 指纹匹配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191617B1 (ko) 지문인식장치 및 지문인식장치의 적응 캡쳐 가능영역 탐지방법
CN112507767B (zh) 脸部辨识方法及其相关电脑系统
WO2017206913A1 (zh) 移动终端的指纹注册方法和指纹识别方法
US20120076418A1 (en) Face attribute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720836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48915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detecting fraud by examination using two different focal lengths during automatic face recognition
JP5179329B2 (ja) 顔認証システム
JP6772059B2 (ja) 電子制御装置、電子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方法
US783555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face area extraction method
KR101362597B1 (ko) 사용자 인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사용자인증방법
KR101249680B1 (ko)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적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US10666840B2 (en) Processing data representing images of objects to classify the objects
KR20210024877A (ko) 라이브니스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070041816A (ko) 모폴로지를 이용한 지문영상의 방향성 검출장치 및검출방법
KR101384784B1 (ko) 모바일 기기 카메라 화면의 사물 위치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