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193B1 -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193B1
KR101191193B1 KR1020060021373A KR20060021373A KR101191193B1 KR 101191193 B1 KR101191193 B1 KR 101191193B1 KR 1020060021373 A KR1020060021373 A KR 1020060021373A KR 20060021373 A KR20060021373 A KR 20060021373A KR 101191193 B1 KR101191193 B1 KR 10119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ntennas
transmit
signa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1798A (en
Inventor
구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193B1/en
Publication of KR2007009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안테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control method in a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채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channel state and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n antenna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transmit / receive antenna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이중 안테나, 채널 환경, 활성화, 선택 Dual antenna, channel environment, activation, optional

Description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도 1은 GSM/EDGE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이중 반송파를 사용하여 특정한 타임 슬롯을 특정한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llocating a specific time slot to a specific user by using a dual carrier when performing packet transmission in a GSM / EDGE system.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300)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3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안테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control method in a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바,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종래의 GSM/EDGE 통신 방식을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conventional GSM / EDGE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상기 GSM/EDGE 이동통신기술분야에서 진화(evolution)를 목적으로 현재 이중 반송파(Dual-Carrier)와 이중 안테나(Dual-antenna)의 사용이 거론되고 있다.In the GSM / EDG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dual carriers and dual antennas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for the purpose of evolution.

상기 이중 반송파(Dual-carrier)라는 것은, 송신 측(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데, 각각의 안테나가 서로 다른 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 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상기, 각각의 안테나가 전송하는 데이터에는 제한이 없는바, 각각의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현재 GSM/EDGE 이동통신기술분야에서는 총 데이터 피크 스루풋(data peak throughput)을 높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서로 다른 데이터를 각각의 안테나에 보내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The dual-carrier (dual-carrier) is, when the transmitting sid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uses two antennas, each antenna transmits data using a different carrier. The data transmitted by each antenna is not limited, and each antenna may transmit different data from each other or may transmit the same data. Currently, the GSM / EDG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 considers sending different data to each antenna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total data peak throughput.

도 1은 GSM/EDGE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이중 반송파를 사용하여 특정한 타임 슬롯을 특정한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GSM/EDG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수신 측(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하나의 타임 슬롯만을 관찰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GSM/EDG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의 Capability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timeslot)을 할당하여 이동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 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GSM/EDGE은 8개의 타임슬롯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약, 특정한 사용자를 위해 가장 많은 타임슬롯을 할당한다 하더라도 그 개수는 8개로 한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이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를 위하여 타임 슬롯을 할당하면서도, 특정한 사용자를 위해 8개 이상의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llocating a specific time slot to a specific user by using a dual carrier when performing packet transmission in a GSM / EDGE system. When the voice call is performed in the GSM / EDG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receiving sid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signal by observing only one time slot assigned to the receiving side. When the packet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the GSM / EDG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least one time slot may be alloca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As illustrated, when transmitting data on the uplink or the downlink using a single carrier, the GSM / EDGE transmits data in units of eight timeslots. If you allocate the most timeslots for a specific user, the number is limited to eight.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aforementioned dual carrier, it is possible to allocate eight or more time slots for a specific user while allocating time slots for another user.

그러나, 상술한 이중 반송파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dual carrier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기지국이 하향링크 방향으로 이중 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두 개의 반송파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해야하므로 기존의 하나의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신호를 처리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처리하는 데이터의 양도 많아져서 결국에는 이동 단말의 배터리 사용량도 이와 함께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using a dual carrier in the downlink direction, the mobile station needs to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wo carriers, so it takes more time to process the signal than when using a single carrier. As the amount of data consumed and processed increases, the battery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also increases.

또한, 상기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특정한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타임슬롯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는바, 특정한 사용자가 관찰해야 하는 타임슬롯의 개수가 증가하여 배터리의 사용량이 종전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lots allocated to a specific user may increas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single carrier, and thus the number of timeslots that a specific user needs to observe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battery usage. have.

상술한 이중 반송파 기술 이외에, 이동 단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중 안테나(dual antenna)의 사용이 거론되고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기지국에서 하향링크로 전송한 데이터를 두 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상기 이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인바, 상기 이중 안테나를 통해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의 효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이중 안테나를 사용하면 종전의 한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신 성능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o the dual carrier technology described above, the use of a dual antenna has been discussed to improv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n downlink using two reception antennas. The use of the dual antenna is to use antenna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effect of space diversity occurs through the dual antenna. Therefore, the use of the dual antenna improves the reception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single transmit / receive antenna.

그러나, 상술한 이중 안테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ual antenna technology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기존의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가 증가하여 이동 단말의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한다. Using two antennas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that needs to be processed rather than using a single antenna. That is, the data to be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is increased, the battery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reased.

상기 이중 안테나 및 이중 반송파 기술 외에도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제안되는 대부분의 기술은 상기 GSM/EDGE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피크 쓰루풋(peak throughput)을 높이는 것에 초점이 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레이트 또 는 피크 쓰르풋을 높이는 기술은 이동 단말에 데이터 처리 요구량을 증가시켜 상기 이동 단말의 배터리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In addition to the dual antenna and dual carrier technolog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but most of the proposed technologies focus on increasing the data rate and peak throughput of the GSM / EDGE. The technique of increasing the data rate or peak throughput increases the data processing requirements for the mobile terminal, resulting in an increase in battery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근래에 통신 환경과 사용자의 요구에 비추어 이동 단말의 배터리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나,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상기 배터리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였다. Rec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adjust the battery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in view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user's needs, but the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do not effectively control the battery usage.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의 배터리 사용량을 감소시키며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battery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o propose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채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channel state and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n antenna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transmit / receive antenna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채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antenn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determining a channel stat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activated transmit / receive antenna.

본원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 는 이동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바,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의 송수신 안테나는 각각 서로 다른 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동일한 부 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Antenn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rough the at least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In addition, the at least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may receiv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arriers, or may receiv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subcarrier.

본원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채널 부호화를 통해 채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 부호는 부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채널에서 발생한 오류를 제거하는 부호화 방법으로서, 본원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채널 부호의 종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길쌈 부호(convolution code), 터보 코드, LDPC 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errors occurring in the channel through channel encoding. The channel code is an encoding method for removing an error occurring in a channel by adding additional bi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hannel code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onvolutional codes, turbo codes, LDPC code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채널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오류가 발생하여도 수신 측에서는 정확한 데이터의 복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채널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정확한 데이터의 복원가능함을 전제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hannel code as described above is used, even if some error occurs, the receiver can accurately restore the data. Therefore, when the channel codes are us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at least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under the assumption that accurate data can be restored even if some errors occur.

본원 발명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은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tenna control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효과 및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될 것이다. Specific operations, effect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embodied by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인 경우를 설명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GSM/EDGE 규격에 따른 경우를 설명 한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is two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GSM / EDGE standard.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SM/EDGE 규격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CS) 방식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PS) 방식 및 DTM(Dual Transfer Mode) 방식을 지원한다. 상기 CS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지 모드(idle mode)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 단말을 위한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용 모드(dedicated mode)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PS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패킷 휴지 모드(packet idle mode)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 단말을 위한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에는 패킷 전달 모드(packet transfer mode)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DTM 모드는, 특정한 사용자를 위해 복수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되,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에는 상기 CS 방식의 데이터와 상기 PS 방식의 데이터가 함께 할당하는 모드이다. 상기 DTM 모드에서 CS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PS 데이터만 있게 되면 패킷 전달 모드 (packet transfer mode) 상태로 전환하고, CS 데이터만 있고 PS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용 모드 (dedicated mode) 상태로 전환한다. 혹은 DTM 모드에서 CS 데이터와 PS 데이터 모두 존재하지 않게 되면 휴지 모드 (idle mode) 혹은 패킷 휴지 모드 (packet idle mode) 상태로 전환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data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GSM / EDGE standard supports a circuit switching (CS) scheme, a packet switching (PS) scheme, and a dual transfer mode (DTM) scheme. According to the CS scheme, the mobile terminal maintains an idle mode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enters a dedicated mode when traffic for the mobile terminal occurs. Swit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S scheme, the mobile terminal maintains a packet idle mode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when a traffic for the mobile terminal occurs, packet transfer mode). The DTM mode is a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time slots are allocated for a specific user, and the CS type data and the PS type data are allotted to the plurality of time slots. In the DTM mode, if CS data is not present and only PS data is present, the packet is switched to a packet transfer mode, and if only CS data is present and PS data is not present, the device is switched to a dedicated mode. Alternatively, when neither CS data nor PS data exist in the DTM mode, the controller switches to the idle mode or the packet idle mode.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휴지 모드 상태 또는 패킷 휴지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송수신 안테나만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휴 지 모드 상태 또는 상기 패킷 휴지 모드 상태로부터 다른 모드,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의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2개의 송수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단말이 휴지 모드 상태 또는 상기 패킷 휴지 모드 상태로부터 벗어난 경우 곧바로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동작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일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휴지 모드 상태 또는 상기 패킷 휴지 모드 상태로부터 벗어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송신 측에서의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인가할 수도 있다.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idle mode or the packet idle mod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only one transmit / receive antenna.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o operate with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when switching from the idle mode state or the packet idle mode state to another mode, that is, a mode in which there is traffic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ut of the idle mode or the packet idle mode,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may be operated immediately, or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may be operated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For example,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ut of the idle mode or the packet idle mode,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or when there is a separate request from the transmitting side, or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Only the operations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may be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according to channel conditions. Hereinafter, specific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상기 GSM/EDGE 규격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이 채널 상태를 보고한다. 상기 채널 보고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채널 상태에 대한 보고를 특정한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은 특정한 셀(cell)에 위치할 것인바 상기 셀에서의 채널 상태를 보고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GSM / EDGE standard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station reports a channel state. The channel report may be repeated periodically, and the report on the channel state in the reg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may be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specific message. In more detail, the mobile terminal may be located in a specific cell and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through information included in a message reporting a channel state in the cell.

상기 GSM/EDGE 규격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현재 이동 단말의 채널 상태를 보고하는 메시지 중에 MEASUREMENT REPORT 메시지가 있다.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는 Measurement Results IE(Information Element)라는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바, 상기 Measurement Results IE는 상기 셀에 대한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4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파라미터는 RXLEV-FULL-SERVING-CELL, RXLEV-SUB-SERVING-CELL, RXQUAL-FULL-SERVING-CELL, RXQUAL-SUB-SERVING CELL이다. 상기 파라미터 중 RXLEV-FULL-SERVING-CELL 파라미터와 RXLEV-SUB-SERVING-CELL 파라미터는 수신 신호의 수준(level), 즉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의 대상이 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의 대상이 되는 신호는 이동 단말이 속해 있는 셀에서 방송(broadcast)되는 방송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의 세기는 수신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등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술한 RXLEV-FULL-SERVING-CELL 파라미터는, 특정한 개수의 TDMA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세트의 TDMA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값을 나타내며, 상술한 RXLEV-SUB-SERVING-CELL 파라미터는, TDMA 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셋(subset)에 대하여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TDMA 시스템에서는 특정한 개수의 타임 슬롯을 하나의 TDMA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TDMA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RXLEV-FULL-SERVING-CELL 파라미터는 특정한 개수의 TDMA 프레임 전부에 대한 신호 세기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In the GSM / EDGE standard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 MEASUREMENT REPORT message among the messages for periodically reporting the channel state of the current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ncludes an information element called Measurement Results Information Element (IE). The Measurement Results IE includes four parameters indicating a channel state for the cell. The four parameters are RXLEV-FULL-SERVING-CELL, RXLEV-SUB-SERVING-CELL, RXQUAL-FULL-SERVING-CELL, and RXQUAL-SUB-SERVING CELL. Among the parameters, the RXLEV-FULL-SERVING-CELL parameter and the RXLEV-SUB-SERVING-CELL parameter represent information on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Various kinds of signals may be signals that are the target of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However, the signal that is the target of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is preferably a broadcast signal broadcasted in the cell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broadcast). The strength of the signal may be indicated by a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the received signal. The RXLEV-FULL-SERVING-CELL parameter described abov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for all sets of TDMA frames consisting of a specific number of TDMA frames, and the RXLEV-SUB-SERVING-CELL parameter described above is TDMA. It represents the value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for one subset of the frames. As described above, in a TDMA system, a specific number of time slots may be configured as one TDMA frame. That is, the TDMA frame includes at least one time slot, and the RXLEV-FULL-SERVING-CELL parameter represents a measure of signal strength for all of a specific number of TDMA frames.

상기 GSM/EDGE 규격에서는 8개의 타임 슬롯으로 하나의 TDMA 프레임을 형성하는바, Full rate의 TCH(Traffic CHannel) 또는 Full rate의 PDTCH(Packet Data Traffic CHannel)인 경우 모든 세트의 TDMA 프레임은 100개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Half rate의 TCH(Traffic CHannel) 또는 Half rate의 PDTCH(Packet Data Traffic CHannel)인 경우 하나의 서브셋에 속하는 TDMA 프레임은 52개의 프레임을 나타낸다.In the GSM / EDGE standard, one TDMA frame is formed with eight time slots. In the case of full rate traffic channel (TCH) or full rate packet data traffic channel (PDTCH), all sets of TDMA frames are 100 frames. In the case of half rate TCH (Traffic CHannel) or half rate PDTCH (Packet Data Traffic CHannel), TDMA frames belonging to one subset represent 52 frames.

상기 파라미터 중 RXQUAL-FULL-SERVING-CELL, RXQUAL-SUB-SERVING CELL 파라미터는 수신 신호의 품질(quality)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방송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상기 RXQUAL-FULL-SERVING-CELL, RXQUAL-SUB-SERVING CELL 파라미터를 통해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의 품질은 수신 신호에 대한 BER(Bit Error Rate) 등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술한 RXQUAL-FULL-SERVING-CELL 파라미터는, 특정한 개수의 TDMA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세트의 TDMA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며, 상술한 RXQUAL-SUB-SERVING CELL 파라미터는, TDMA 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셋(subset)에 대하여 상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Among the parameters, the RXQUAL-FULL-SERVING-CELL and RXQUAL-SUB-SERVING CELL parameters represent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report a value measured by measuring a specific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RXQUAL-FULL-SERVING-CELL and RXQUAL-SUB-SERVING CELL parameters. The quality of the signal may be indicated by a bit error rate (BER) for the received signal. The above-mentioned RXQUAL-FULL-SERVING-CELL parameter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signal with respect to all sets of TDMA frames consisting of a specific number of TDMA frames.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signal with respect to one subset.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은 2 종류로 구분되는 상기 4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채널 상태를 알 수 있다. In conclusion, the mobile terminal can know the channel state of the reg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by using the four parameters divided into two types.

본 실시예에 다른 이동 단말은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4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에 불과한바, 본 발명이 상술한 4개의 파라미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술한 파라미터 또는 정보요소(IE)의 명칭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The four parameters described above are merely variables representing the channel stat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sing various types of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four parameter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ames of the parameters or information elements IE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2 종류의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 즉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방법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RXLEV-FULL-SERVING-CELL 파라미터와 RXLEV-SUB-SERVING-CELL 파라미터) 만을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두 번째 방법으로,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RXQUAL-FULL-SERVING-CELL 파라미터와 RXQUAL-SUB-SERVING CELL 파라미터) 만을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세 번째 방법으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와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를 함께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whether the two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s are activated, that is, operating by using the two types of parameter values. First, there is a method of considering only parameters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XLEV-FULL-SERVING-CELL parameter and RXLEV-SUB-SERVING-CELL parameter). In addition, as a second method, there is a method of considering only parameters related to the quality of a received signal (RXQUAL-FULL-SERVING-CELL parameter and RXQUAL-SUB-SERVING CELL parameter). In addition, as a third method, there is a method of considering the parameters of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parameters of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together.

우선 상기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First, the first method will be described.

상기 첫 번째 방법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와 특정한 기준 값(threshold)을 비교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더 큰 경우에는 채널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 만을 동작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부호화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기준 값은 채널 부호화의 부호화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GSM 시스템에서는 변조 방법으로 GMSK 방법을 사용하고, 상기 EDGE 시스템에서는 변조 방법으로 8-PSK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GMSK의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Data rate CSi(i=1,2,3,4)에 따라 상기 기준 값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값은 사용자가 느끼기에 원활한 수신이 가능한 정도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PSK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MCSj(j=1,2,3..., 9)에 따라 상기 기준 값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by comparing a parameter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specific threshold. If the mobile station compares a parameter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if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greater, the mobil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channel state is good and operates only one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hannel coding is applied,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ding rate of channel coding. That is, in the GSM system, the GMSK method is used as the modulation method, and in the EDGE system, the 8-PSK method is used as the modul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GMSK,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rate CS i (i = 1, 2, 3, 4) representing the coding rate.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to the extent that the user can feel the smooth reception. In the case of the 8-PSK,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MCS j (j = 1, 2, 3 ..., 9) representing the coding rate.

상기 두 번째 방법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와 특정한 기준 값(threshold)을 비교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수치가 더 큰 경우에는 채널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 만을 동작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부호화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기준 값은 채널 부호화의 부호화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화 부호에 따라 수신 품질이 영향을 받는바 상기 기준 값도 상기 채널화 부호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Data rate CSi(i=1,2,3,4) 및 상기 MCSj(j=1,2,3..., 9)에 따라 상기 기준 값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by comparing a parameter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specific threshold. If the mobile station compares the parameter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lar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state is good and any one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is determined. It only work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hannel coding is applied,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ding rate of channel cod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ption quality is affected by the channelization code,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nelization code rate. That is,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rate CS i (i = 1, 2, 3, 4) and the MCS j (j = 1, 2, 3 ..., 9).

상기 세 번째 방법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와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파라미터 모두가 특정한 기준 값(threshold)을 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GSM 및 EDGE 시스템에서는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와 상기 수신 신호의 세 기에 관한 파라미터를 모두 고려하여 핸드 오버를 결정하거나 셀(cell)을 다시 선택한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2 종류의 파라미터의 수치가 더 큰 경우에는 채널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2개의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 만을 동작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부호화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기준 값은 채널 부호화의 부호화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화 부호에 따라 수신 품질이 영향을 받는바 상기 기준 값도 상기 채널화 부호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Data rate CSi(i=1,2,3,4) 및 상기 MCSj(j=1,2,3..., 9)에 따라 상기 기준 값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method considers both a parameter relating t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a parameter relating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of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exceed a specific threshold, and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according to the result. . In general, in the GSM and EDGE systems, a handover is determined or a cell is reselected in consideration of both a parameter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a parameter related to three of the received signal. If the mobile terminal compares the parameter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parameter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two types of parameters is lar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state is good. Only one of the two transmit / receive antennas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channel coding is applied,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ding rate of channel cod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ption quality is affected by the channelization code, the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nelization code rat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rate CS i (i = 1, 2, 3, 4) and the MCS j (j = 1, 2, 3 ..., 9).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300)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은 제1 송수신 안테나(301), 제2 송수신 안테나(302), 상기 이동 단말의(300) 동작을 제어하고 송신 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부(310),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301) 및 제2 송수신 안테나(302)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안테나 선택부(320), 상기 송수신 안테나(301,302)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301,302)로 전달하는 RFIC(무선주파수 집적회로)(330)와, 특정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340) 및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외부에 특정한 음성/영상/데이터 신호 등을 출력하는 입/출력부(35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3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rol unit 31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301,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302, the mobile terminal 300, and receives and processes data from a transmitting side. An antenna selector 320 that controls whether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301 and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302 are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and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s 301 and 302.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330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the control unit 310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301 and 302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10. And an input / output unit 350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a specific audio / video / data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이동 단말(300)은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301) 및 제2 송수신 안테나(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특정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수신 신호의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정보는 다시 기지국으로 보고되는바,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수신 신호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상술한 기준 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제어부(31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은 상술한 세 가지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기준 값과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품질을 비교하여 만약 2개의 송수신 안테나(301,302) 모두를 활성화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안테나 선택부(320)를 제어하여 상기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310)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안테나 선택부(320)를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 선택부(320)는 상기 RFIC(330) 또는 상기 제어부(31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동작이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pecific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301 and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302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reported back to the base station. The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described above. The comparing oper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the controller 310,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three methods described above. If the reference value is compared with the strength /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two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301 and 302 need to be activated,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antenna selector 320 to perform the activation operation. do. Even when activating any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the antenna selection unit 320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10 is used. The antenna selection unit 320 may be included in the RFIC 330 or the control unit 31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o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hannel state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hardware devices or softwar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나 특허청구범위 에 의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seen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이 이중 안테나 모드(dual-antenna mode)를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의 동작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사용을 줄일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ous effect of reducing the use of a battery because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controlling the dual antenna mode (dual-antenna mode).

Claims (15)

적어도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송신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신호의 품질 중 적어도 하나와 특정한 기준 값(threshold)을 비교하여 채널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ler which determines a channel state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and a signal quality received from a transmitter with a specific threshold, and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or receive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를 포함하며,An antenna selector for selecting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기준 값은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parameter including a coding rate according to channel coding. 상기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 및 신호의 품질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에 반복적으로 보고되는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에 의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And a plurality of antennas based on information elements included in a report message repeatedly reported to a base st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the quality of the signal is receiv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The control unit, when the channel state is good,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any one of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The control unit, when there is no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side,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any one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특정한 개수의 TDMA 프레임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The control unit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channel state by using a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a certain number of TDMA frames. 적어도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송신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신호의 품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특정한 기준 값(threshold)을 비교하여 채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a channel state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and a signal quality received from a transmitter with a specific threshol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활성화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activated transmit / receive antenna, 상기 기준 값은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parameter including a coding rate according to channel coding.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신호의 품질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에 반복적으로 보고되는 보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에 의하는, The information about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quality of the signal is based on an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a report message repeatedly reported to a base station.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안테나 제어 방법.An antenna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21373A 2006-03-07 2006-03-07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KR101191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73A KR101191193B1 (en) 2006-03-07 2006-03-07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73A KR101191193B1 (en) 2006-03-07 2006-03-07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798A KR20070091798A (en) 2007-09-12
KR101191193B1 true KR101191193B1 (en) 2012-10-15

Family

ID=3868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373A KR101191193B1 (en) 2006-03-07 2006-03-07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1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19B1 (en) * 2008-01-09 2010-05-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External Antenna for TDMB and GSM Ro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798A (en)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7944B (en) Sub-band notification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KR100761322B1 (en) Channel quality measurements for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KR1010240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tables for feedbac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37582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relating to mobile radio systems with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channel coding schemes
EP2280516B1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KR101158708B1 (en) Communication system, primary station and method of transmit power control
JP3187190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base station
CA2397897A1 (en) Multi-carrier arrangement for high speed data
WO200003359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itrate indicator
US20070218917A1 (en) Channel quality signaling
GB2329796A (en) Increased data rate by reduction of training data
WO2008068803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6778831B1 (en) Handover determination and power control adjust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with frequency hopping
US20040170148A1 (en) Frequency hopping control channe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19119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KR200700827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back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422835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170200B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erforming cell selection in a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6279857A (en) Radio receiver and transmitting/receiving mode determin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