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759B1 -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759B1
KR101190759B1 KR1020110012548A KR20110012548A KR101190759B1 KR 101190759 B1 KR101190759 B1 KR 101190759B1 KR 1020110012548 A KR1020110012548 A KR 1020110012548A KR 20110012548 A KR20110012548 A KR 20110012548A KR 101190759 B1 KR101190759 B1 KR 10119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conn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2469A (en
Inventor
문지은
Original Assignee
문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은 filed Critical 문지은
Priority to KR102011001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759B1/en
Publication of KR2012009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연결을 연결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장치의 제어하에 제어 신호나 상태 신호를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접속 시스템으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 단말기와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다양한 이동 단말기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nd a control signal or a status signal is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ion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It relates to a connection system that can provide for sharing between display devices.
With such a connection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 effect that can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and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the various mobile terminals.

Description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시키는 시스템 및 그와 관련된 단말기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necting a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using a connection device, and a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associated therewith.

최근 TV 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 제공하는 컨텐츠를 단순히 재생하는 수준을 넘어서 인터넷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TV 로 진화되고 있다.Recently, display devices such as TVs have evolved into smart TVs that can use the Internet and applications in various ways beyond simply playing contents provided to broadcasting stations.

스마트 TV는 TV와 휴대폰, PC등 3개 스크린을 자유롭게 넘어들면서 데이터의 끊김없이 동영상을 볼 수 있는 TV를 의미하며, 인터넷 TV 또는 커넥티드 TV 라고도 불릴 수도 있다. 이러한 스마트 TV는 콘텐츠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볼 수 있고, 뉴스, 날씨, 이메일 등을 스마트 TV 를 통해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센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Smart TV refers to a TV that can freely watch video without breaking the three screens such as TV, mobile phone, and PC. It can also be called an Internet TV or a connected TV. Such smart TVs can download and view contents from the Internet in real time, and can act as a communication center that can directly check news, weather, email, etc. through the smart TV.

이러한 스마트 TV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사용자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리모콘, 조이스틱과 같은 전용 컨트롤러를 통하여 TV 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스마트 TV 와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기의 경우 종래의 전용 컨트롤러만으로는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데 한계가 존재했다.In order to use such a smart TV, a user input device is required. Conventionally,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TV can be controlled through a dedicated controller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d a joystick. However, in the case of a device having a complex and diverse function such as a smart TV in recent years, there is a limit to fully exhibit its function with a conventional dedicated controller.

또한, 최근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TV 를 제어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지만, 서비스 선택 및 채널 변경 등에서 제한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그 기능과 서비스는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although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TV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recent smart phone has been developed, there is a problem that its functions and services are limited because it is provided in a limited form in service selection and channel chang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시키고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managing a plurality of connected mobile terminals and display apparatuses using a connection apparatus in connecting and controlling the mobile apparatus and th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기 위한 제 1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접속으로 제 1 페어링(Pairing) 접속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제 1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연결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시켜 상기 제 1 페어링 접속을 구성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연결 장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제 1 프로그램을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제 2 프로그램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controlled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and the first A first mobile terminal for sending a control command to a first display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first pairing conn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Identify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obile terminal; 1 configure a first pairing connection b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and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device downloads a first program capable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a specific applic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downloading a second program controlled based on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와 관련된 연결 장치는,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하기 위해,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애플리 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프로그램과 제 2 프로그램을 각각 다운로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onnection device related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first display device, in order to connect with a first display device from a first mobile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an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and storing programs for a specific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in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and at least one display device.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identifi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a signal, and the first program and the first progra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pplication are identified by the identified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t includes control unit which each downloads 2 program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명령 및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접속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nection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input unit and an input of the connection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a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connect to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unit, when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nputs the control command. Depending on the control signal It generates and controls the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접속 시스템은 이미지 코드 또는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통하여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 단말기와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Th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easily connecting a display devic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n image cod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접속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장치의 다양한 저장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in the use of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utilize various storage media of the connection device. Is present.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접속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access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allowing various applications to be shared with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연결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 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for a specific applic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sha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imple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접속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 (100) - 연결 장치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기본적 접속 시스템 개념도이다. 1 (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asic connectio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100-a connection device 200-a display device 300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접속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지만, 이동 단말기 (100) 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 (200) 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conn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300. Here,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rectly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eferably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300 using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연결 장치 (200) 에 송신한다. 연결 장치 (200) 는 수신한 제어 정보의 내용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의 내용이 진행되는 동영상의 재생 중지인 경우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 (200) 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송신하며, 송신한 제어 정보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내용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The connection device 200 analyzes the content of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cess relat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the control information is the reproduction stop of the moving imag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be controlled by contents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by the transmitted control information.

여기서 연결 장치 (200) 에서 수신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송신되는 제어 정보는 반드시 동일한 필요는 없으며, 연결 장치 (200) 에서 재 처리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재처리된 제어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는 이동 단말기 (100) 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 메뉴에 대한 특정 메뉴의 선택 명령일 수 있고, 이때에 연결 장치 (200) 는 해당 선택 명령을 분석하여 선택 명령에 대한 처리를 연결 장치 (200) 가 직접 수행하고, 수행된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 (300)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재 처리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 처리된 제어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이거나 이러한 명령과 함께 이미지를 더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300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and the control reprocessed to the display device 300 through the reprocessing process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Information can be sent. For example,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selection command of a specific menu for a user input menu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vice 200 analyzes the selection command.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may directly perform the processing for the selection command, and may transmit reprocessed control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performed processing result on the display apparatus 300. Here, the reprocessed contro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command for displaying a specific image that may be easily processed by the display apparatus 300, or may further transmit an image together with the command.

또한, 연결 장치 (20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접속된 경우에 해당 접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continuously manage the connection stat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manag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require the same applic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stor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접속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상호간에 페어링 (pairing) 접속되었다고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페어링 접속' 된 상태는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상호 쌍 (pair) 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접속 정보를 공유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 (100) 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각종 제어 신호와 같은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 (100) 가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접속 상태인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그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각도에 반영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connected, it may be expressed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paired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airing connection'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connected in pairs to share respective conn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such as various control signals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eive st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that are in a pairing connection stat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display apparatus 3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inclination. It can also be reflected in the display angle of the reproduced image.

또한 이동 단말기 (100)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상호 간에 페어링 된 경우에 연결 장치 (200) 는, 연결 장치 (200) 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은 동일한 프로그램이거나 혹은 각각이 다른 프로그램일 수 있다. 만일 다른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에 다운로드 된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디스플레이될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 (200) 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구동하여,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간의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 장치 (200) 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 (제어 신호) 또는 상태 정보를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포맷으로 재처리하여 이동 단말기 (100) 나 디스플레이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pair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device 200 moves a program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to execute an application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can be downloaded to th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The programs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the same programs or different programs. In the case of another program, for example,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user interface program for controlling a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300.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directly drive a program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downloaded application to implement an interface between the progra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in which case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driven program reprocesses the control information (control signal) or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each application program, thereby reproducing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can be sent.

여기서 제어 정보 (제어 신호)는 이동 단말기 (100) 에서 발생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동작 또는 액션을 처리해 달라는 처리 명령일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명령은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 입력부 (130) 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버튼을 통해 혹은 이동 단말기 (100) 의 위치 변화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control signal) may be a processing command for processing a specific operation or action for a specific application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 processing command may be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change or a speed 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button or the like. Can be received via

도 1(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접속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b) shows a plurality of connection system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100) - 연결 장치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구성된 일 접속 시스템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접속 시스템일 수도 있다. 즉, 연결 장치 (200) 는 다수의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접속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connection system composed of a mobile terminal 100-a connection device 200-a display device 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urality of connection systems. That is,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configure a plurality of connected mobile terminals and display devic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systems.

도 1(b) 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단말기 (100a) 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00a) 가 제 1 접속 (10) 되어 있으며, 제 2 이동 단말기 (100b) 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300b) 가 제 2 접속 (20) 되어 있으며, 제 3 이동 단말기 (100c) 와 제 3 디스플레이 장치 (300c) 가 제 3 접속 (30) 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각 이동 단말기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페어링 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일부의 이동 단말기는 페어링이 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and the first display apparatus 300a are first connected 1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and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30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20 is established, and the third mobile terminal 100c and the third display device 300c may be the third connection 30. In this example, each mobile terminal and each display devic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ai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ertain mobile terminals may be configured not to be paired.

여기에서, 각각의 접속 (10, 20, 30) 된 단위들은 동일한 연결 장치 (200) 를 공유한다. 즉, 하나의 연결 장치 (200) 를 통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상호간에 동일한 연결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Here, each of the connected units 10, 20, 30 share the same connecting device 200. That is,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one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this, each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nnection device.

여기서, 각각의 접속 (10, 20, 30) 된 단위들에서의 이동 단말기들 (100a, 100b, 100c) 에서 사용될 프로그램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연결 장치 (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300a, 300b, 300c)에 사용될 프로그램은 동일한 프로그램으로서 연결 장치 (200) 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ere, a program to be used in the mobile terminals 100a, 100b and 100c in the respective connected units 10, 20, and 30 may download the same program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may display the respective display devices. Programs to be used for the 300a, 300b, and 300c may be download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as the same pro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연결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연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2(a) 는 본 발명인 접속 시스템의 일 측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2 (a)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system.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테블릿(Table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 tablet, and the like. This may includ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식별부 (120), 사용자 입력부(130), 전원 공급부 (140), 디스플레이부(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 (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dentification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memory 160, a controller 170, and the like. Can b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 장치 (2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무선 통신부 (110) 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통신 모듈등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300)나 다른 이동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위한 제어 신호, 접속 신호등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 (110) 는 연결 장치 (200) 에 접속 요청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연결 장치 (200) 로부터 상태 신호 또는 접속 구성 신호등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and connection signals for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display devices 300 or other mobile terminal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r a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may receive various signals such as a status signal or a connection configuration signal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식별부 (12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부근 또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식별부 (12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접속 대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부 (12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QR 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 코드 인식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20 may function to identify the display apparatus 300 that is present in the vicinity or a long dist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identification unit 12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apparatus 300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e identifica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capable of identifying the display device 300.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image code recognition module such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 QR code,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Binary-CDM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Fi, Binary-CDMA, etc. Can b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동 단말기 (100) 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WPS(WiFi Position System) 모듈, XPS(Hybrid Position System) 등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 단말기 (100) 의 위치를 GPS 모듈로부터 확인한 경우에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연결 장치 (200)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위치 정보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a WPS (WiFi Position System) module, an XPS (Hybrid Position Syste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firmed from the GPS modul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located in the vicinity may be confirmed from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이미지 코드 인식 모듈은 QR(Quick Response) 코드, 2 차원 및 3차원의 바코드, MS-Tag 또는 Wi-Mo 등과 같은 표시된 이미지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듈이다. 인식 대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예를 들어 QR 코드를 생성한 경우에 이미지 코드 인식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QR 코드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코드 인식 모듈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등을 이용해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image code recognition module can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mage code through a technology capable of writing information on displayed images such as QR (Quick Response) codes,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barcodes, MS-tags, or Wi-Mo. This module can identify. When the display device 300 to be recognized generates a QR code, for example, the image code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the QR code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300 within the QR code. Can be. The image cod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image code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mage code by using a camera or the like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에는 연결 장치 (200)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연결할 수 있는 무선 또는 유선의 네트워크 주소나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모델 정보,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예를 들어 OS 버전 정보)나 디스플레이 장치 (300)에 저장된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display apparatus 300.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wireless or wired network address to which the connecting device 200 may connect to the display device 300, model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300, software 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OS version information) or a display. Serial number, etc., stored in the device 300.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이 스틱(Joy Stick), 조이 디스크(Joy Disk) 등으로 구성되거나 음성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특정 명령을 사용자 입력부 (130) 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명령은 연결 장치 (200) 을 통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전송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 joy stick, a joy disk, or the like. It may include a voice input module. For example, a user may input a specific command for the display device 3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input comm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or to the display device 300. .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4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디스플레이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빛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emitting light.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연결 장치 (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and temporarily stores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n audio,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perform a function for. The memory unit 16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for example,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for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download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for example,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300).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 (110), 식별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부 (150), 및 메모리 (160) 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 (17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 (170) 는 본 발명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opera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identification unit 120, the user input unit 130,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memory 160 are performed. In addition, when identifying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splay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300 through the stored program.

여기서 접속 요청 신호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식별 정보 뿐 아니라, 이동 단말기 (100) 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연결 장치 (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100) 의 식별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 (100) 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 ID 정보와 이동 단말기 (100) 를 연결 장치 (200) 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나 핸드폰 주소 나 이동 단말기 (100) 에서 구동되는 OS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300 as well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for example, a network address, a mobile phone address, or a mobile terminal, which allows the user ID of the user who use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OS version information driven at 100 may be included.

또한 제어부 (170) 는, 연결 장치 (200) 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할 프로그램을 무선 통신부 (110)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고, 제어부 (170) 는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직접 혹은 연결 장치 (200) 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연결 장치 (200) 로부터 제어 신호의 처리 결과나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나 처리 결과는 디스플레이부(150) 나 이동 단말기 (100) 에 탑재된 진동 모듈, 또는 음성 출력 모듈 등을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download a program to be use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70 may use the downloaded program to display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or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user may be notified by outputting through the vibration module or the voice output module mounted in the display unit 150 or the mobile terminal 100.

또한 제어부 (170) 는, 연결 장치 (200) 와 연결되어, 연결 장치 (200) 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입력부 (130) 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 (100) 에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과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은 동일한 프로그램이거나 다른 프로그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o select various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select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To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be the same program or different programs.

만일 다른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 (100) 에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반응하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나 연결 장치 (200)으로부터 연속적인 패킷의 스트림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과 같은 특정 용도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 되는 프로그램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체 프로그램 중 일부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예를 들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는 랜더링 프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장치 (3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f another program is downloaded,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user interface program for guiding a user's input used for control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download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program may be a special-purpose program such as a video reproducing program that respond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user interface, or a program that can receive a continuous packet stream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In this case,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as a program of some of the entire programs capable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example, a rendering program capable of drawing an image) to reduce the load on the display device 300. You can do that.

도 2(b) 는 본 발명인 접속 시스템의 다른 일 측인 연결 장치 (200) 의 구성도이다.2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nection device 200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system.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접속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 접속되며, 접속될 때 연결 장치 (200) 의 관리 또는 제어에 의해서 동작한다.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system consists of a mobile terminal, a display device and a connection device.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when connected, operates by the management or control of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결 장치" 는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1 대 1 또는 1 대 1로 접속된 단위 연결을 N 대 N 으로 확장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 장치를 의미하며, 연결 장치 (200) 는 연결된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간에 제어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장치 (200) 의 일 예로서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서버가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혹은 연결 장치 (2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 하나의 장치에 예를 들어 스마트 TV 나 IP TV 등과 같은 텔레비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장치 (200)는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접속시키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onnecting device” refers to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by expanding a unit connection connected in a one-to-one or one-to-one connection to N-N,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required for control between the connected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n example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a server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servers.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300 and a single device, for example, in a television such as a smart TV or an IP TV.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nd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연결 장치 (200) 와 접속되는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할 필요는 없으며, 연결 장치 (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실행할 정도의 저장 공간과 성능이 있으면 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device 300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does not need to store all programs, and has enough storage space and performance to download, store, and execute a program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All you need is

또한 본 발명의 연결 장치 (200) 는 연결 장치 (200) 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가 게임, 홈 쇼핑, 워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고 할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연결 장치 (200) 가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ies to execute a game, home shopping, or word applica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rovide the application.

이하에서는, 연결 장치 (200) 의 구조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연결 장치 (200) 는 통신부(210), 저장부 (220) 및 제어부 (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b)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연결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nd the like.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b) are not essential, so that a connection device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통신부 (210)는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부터 다양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 (210) 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 (100) 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재전송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 (3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접속된 이동 단말기 (100)에 재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 (210) 는 제어부 (230) 에 의해 처리된 제어 신호 또는/및 상태 정보의 결과를 이동 단말기 (100) 또는/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로 재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receive various stat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3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lternatively,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be retransmitted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100. Alternatively, the communicator 210 may retransmit the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and / or stat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30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여기서 통신부 (21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연결 장치 (200) 간의 네트워크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 연결 장치 (200)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두 네트워크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와 연결 장치 (200) 간의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등을 이용한 인터넷 망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간의 네트워크는 유선 랜이나 혹은 유선 버스 타입의 유선 네트워크 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responsible for connecting a network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a network between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two networks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identical. . For example, the network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an internet network using a wireless network, and the network between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a wired LAN or a wired bus type wired network.

저장부 (220) 는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저장부 (220) 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식별 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That is, when the access request signal for the display apparatus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be identifi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220.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updated periodically.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하고, 연결 장치 (200) 가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각각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소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 (100) 의 무선 또는 유선의 IP 주소나, 핸드폰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무선 또는 유선의 IP 주소나 이와 유사한 연결 장치 (200) 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identified, and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respectively. Contains address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The address information may include a wireless or wired IP address or a mobile phone addr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or wired IP address of the display device 300 or a similar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used as the display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us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ing address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300 to form a network.

여기서 저장부 (220) 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과, 이동 단말기 (100) 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예를 들어 사용자 ID 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예를 들어 게임, 홈 쇼핑, 워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각 프로그램들은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추가로 연결 장치(200) 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 용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 (100) 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전송할 수 있고 연결 장치 (200) 에는 연결 장치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로딩된 프로그램에서 다운로드 된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싱을 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나 상태 정보 등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재전송하거나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200) 에 저장되는 프로그램들은 OS와 각 OS 버전 별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별 정보에 OS 버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OS 버전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각 이동 단말기 (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 (220) 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로 구성될 수 있고, 하드디스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includes programs for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s and user inform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user ID and a password for authenticating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various applications may include, for example, games, home shopping, word applications, and the like. Each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configure a program to be us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a specific applicatio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program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loaded with a program to be used by the connection device. The program can interface with the downloaded program, process the received control signals or status information, and retransmit or bypass the processed results. In addition, the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may be separately stored for each OS and OS version, and accordingly, when the O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the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OS version are included. Alternative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The storage un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database,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 hard disk and a nonvolatile memory.

제어부 (23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연결하여 페어링 접속을 구성하고 연결된 페어링을 통해 구현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한다. The controller 230 connects the display apparatus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gure a pairing connection and download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pai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이동 단말기 (100) 에 다운로드 된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 (130) 등을 통해 수신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연결 장치 (200) 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다운로드 된 프로그램은 연결 장치 (200) 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제어 신호는 연결 장치 (200) 를 통하지 않고 직접 이동 단말기 (100) 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연결 장치 (200) 에서 처리 과정을 통해 처리된 제어 신호 또는 상태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lik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It may transmit to the display device 300. In addition, the program download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generate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3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Of course, the specific control signal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bile terminal 100 directly to the display device 3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or the control signal or state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ing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Can be resent.

여기서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재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는 이동 단말기 (100)로 재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장치 (200) 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동작을 연결 장치 (200) 가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제어 신호를 전달한 이동 단말기 (100) 로도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 (100) 가 처리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진동 모듈 등을 사용하여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100) 는 수신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서의 제어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 등)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진동 모듈 등을 사용하여 알릴 수 있다. 이렇게 이동 단말기 (100) 에 처리된 결과를 피드백하거나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100) 의 각종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진동 모듈 이나, 오디오 출력)를 통해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사용자가 실시간 반응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re re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300 is re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nection device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processes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a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lso transmits the processed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control signal.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the user or notified using a vibration modul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rocessed result.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in the display apparatus 300, etc.) to the user or inform the user using a vibration module. By feeding back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various interfaces (for example, a vibration module or audio)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user possesse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Output), so that the user can react in real time.

또한 제어부 (230) 는 앞에서 언급한 페어링 접속(여기서 제 1 페어링 접속 이라 한다) 과는 별도의 다른 이동 단말기 (100b) 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페어링 접속 (여기서 제 2 페어링 접속이라 한다)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른 이동 단말기 (100b) 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요청 신호 따라 또 다른 페어링인 제 2 페어링 접속을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further configure a pairing connection (herein referred to as a second pairing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b, which is separate from the aforementioned pairing connection (herein referred to as a first pairing connection). have.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b).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여기서 제 1 페어링 접속과 제 2 페어링 접속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자간에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다자간에 게임을 할 수 있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거나, 화상 통신을 할 수 있는 화상 통신 애플리케이션이거나, 인터넷으로 강의를 시청할 수 있는 인터넷 강좌 프로그램 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and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may be an application that can be shared by accessing multiple parties. For example, the application may be a game application capable of playing a multi-party game, an image communication application capable of video communication, or an Internet course program capable of watching a lecture on the Internet.

다자간에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현을 위해 제어부 (230) 는 제 1 페어링 접속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 (100a) 또는 제 2 페어링 접속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 (100b)로부터 다자간 접속을 요청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자간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 (230) 는 요청받은 페어링 접속에 속한 이동 단말기에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따른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양자 간의 페어링을 연결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an application that can be shared by accessing a multiparty, the controller 230 requests a multi-party conne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a included in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or the mobile terminal 100b included in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Can be received. When receiving the multi-party access request, the control unit 230 may transmit such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belonging to the requested pairing connection, and receive the permission message accordingly to connect the pairing between the two.

양자 간의 페어링 접속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 (230) 는 제 1 페어링 접속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또는 상태 정보를 제 2 페어링 접속으로 전달할 수 있고, 역으로 제 2 페어링 접속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또는 상태 정보를 제 1 페어링 접속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페어링 접속 또는 제 1 페어링 접속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와 상태 정보는 상대편 페어링 접속의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전달될 수 있고, 수신 받은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의 프로그램에서 이에 따른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장치 (200) 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나 상태 정보 중 특정 신호(정보)는 전달을 생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pairing connection between them is connected, the controller 23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 or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to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and conversel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and / or Alternatively,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Therefore, the control signal and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or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of the opposite pairing connection, and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program of 300, control according to this can be executed. Meanwhile, a specific signal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or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omit the transmission.

제 1 페어링 접속과 제 2 페어링 접속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동일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의 텔레비전이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텔레비전의 화면은 각 페어링을 구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도록 구성하거나 각 페어링에 대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300 included in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and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may be the same one display device, for example, one television may play a role. To this end, the screen of one television may be configured to distinguish display areas for distinguishing each pairing, or may be configured to share a display area for each pairing.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측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특정 이동 단말기 (100) 에 1:1 로 매칭되는 관계는 아니다. 즉,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이더라도, 이동 단말기 (100) 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이동 단말기 (100) 와 접속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300 in charge of another side of the access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or playing specific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300 does not have a 1: 1 match with a specific mobile terminal 100. That is, even if the display device 300 is arbitrary,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 30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스마트 TV 나 IP TV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역시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A display device that store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smart TV or an IP TV may also be a display device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접속될 수 있는 기기이며, 이동 단말기 (100) 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기기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외부인 이동 단말기 (100) 또는 연결 장치 (200) 에 의해서 제어 신호 또는 접속 구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300 is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an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nd a sound module capable of playing various contents.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or a connection configuration signal by an external mobile terminal 100 or the connection device 200.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또한 연결 장치 (2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TV 등과 같은 텔레비젼에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for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a television such as a smart TV.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접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er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이동 단말기 (100) 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 접속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이미지 코드의 일 예인 QR (Quick Response) 코드 인식 방식으로 페어링 접속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Quick Response (QR) code recognition scheme.

QR (Quick Response) 코드는 기존의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이다. 기존의 바코드가 전용 단말기를 통해서 파악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QR 코드의 경우 QR 코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 용이하게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QR (Quick Response) code is a grid patterned two-dimensional code that can hold more information than a conventional barcode. Although it was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obtai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existing barcode through the dedicated terminal, the QR code can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rogram such as a QR code application is installed.

또한, QR 코드는 QR 코드 생성 사이트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에 포함된 QR 코드 생성 애플리케이션을 통하면 용이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QR code may be easily generated through a QR code generatio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generation site or the display device 300.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일정 방식을 통하여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의 QR 코드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generate a QR code through a predetermined method. The QR code herei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3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QR 코드를 생성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는 해당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100) 의 식별부 (120) 는 카메라 모듈 등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QR 코드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100) 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함과 함께 이동 단말기 (100) 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 (100) 가 연결 장치 (200) 에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apparatus 300 generates the QR c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QR code. The identification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ognize a QR code through a camera module or the like, and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apparatus 300 by recognizing the QR code.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and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an be transmitted.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생성된 QR 코드를 항상 디스플레이지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만약 하나의 이동 단말기 (100) 와 접속이 이미 되어 있고, 다른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공유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관리하는 외부 장치에 의해서 QR 코드의 생성의 시기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not to display the generated QR code at all times. For example, when the QR code is displayed periodically, or if one mobile terminal 100 is already connected and an application that cannot share the display device 300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100 is running, You can configure the QR code to be generated and not displayed. Alternatively, the external device managing the display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timing of generation of the QR code.

여기서 이동 단말기 (100)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연결 장치 (200) 가 각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서, 각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ID 와 패스워드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is information used by the connection device 200 to connect th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nd includes a network address of each device.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연결 장치 (200) 는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연결 장치 (200) 는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을 접속하기 위해서 각각의 장치가 어떠한 장치인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연결 장치 (200) 에 수신된 접속 요청 신호는 이동 단말기 (100) 에 대한 정보 및 접속 대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연결 장치 (200) 가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식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identify each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order to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needs to confir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which device each apparatus is. In additio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by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 300 to be connected. Such information may be used by the connection device 200 to identif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한편, 연결 장치 (200) 의 저장부 (220) 는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로 사용자 ID, 사용자 패스워드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를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220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store a user ID, a user password, and the lik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and identify wheth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valid through the stored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연결 장치 (200) 가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각각 식별한 경우에 연결 장치 (200) 는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상대편 식별 정보 또는 연결 장치 (200) 와 각각 설정된 네트워크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구성 신호를 송신하고, 접속 구성 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연결 장치 (200) 간에 접속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device 200 identifie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device 200 may identify the other party'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ng devi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that transmit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signal including the network channel information respectively set and receive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signal may be in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연결 장치 (200) 는 페어링 접속된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간에 접속 라인을 설정하며,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상호간에 제어 신호 또는 상태 정보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200 sets up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that are paired and connected, and through thi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mutually control signals or status informa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도 3(b) 는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기술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의 식별 정보를 이동 단말기 (100) 가 수신하는 경우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통신 기술 이외에 적외선 통신기술, RFID 기술등이 존재하며,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외에 상기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3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are infrared communication technology, RFID technology, and the lik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through the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란 스웨덴의 에릭슨, 미국의 IBM과 인텔, 핀란드의 노키아, 일본의 도시바 등이 개발한 무선데이터통신 규격의 개발코드명을 의미하며,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에 최대 전송거리 10m의 무선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refers to the development code nam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tandard developed by Ericsson of Sweden, IBM and Intel of USA, Nokia of Finland, Toshiba of Japan, etc. Communication can be enab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devices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먼저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는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블루투스 검색으로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first establish a Bluetooth connection. When the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heck the display device 300 located near the device through Bluetooth search.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identified display apparatus 300.

이동 단말기 (100) 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연결 장치 (200) 에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apparatus 3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이 경우에 연결 장치 (200) 는 도 3(a) 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게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각각 식별하고, 해당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접속 구성 신호를 송신한다. 접속 구성 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상호간에 접속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device 200 identifie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respectively, similarly to the description of FIG. 3 (a), and connects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Send a configuration signal.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apparatus 300 which have receive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sig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설명에서, QR 코드 인식 및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100) 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와 접속되는 방식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그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nn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using QR code recognition and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가 접속하려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가 알고 있던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필요 없이 연결 장치 (200) 에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has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apparatus 300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to be connected, 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knows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display apparatus 30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without having to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4 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illustrate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throug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연결 장치 (200) 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에 본 발명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 (100) 와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연결 장치 (200) 를 통해서 접속되는 것으로, 연결 장치 (200) 의 다양한 기능을 접속 상태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300 in connection with operations of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her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used in the connection state.

도 4(a) 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다.4A illustrates an operation of executing a game application a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이동 단말기 (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동일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연결 장치 (200) 는 각각의 장치에 실행가능한 동일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할 수도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may store the same game application, but may not. In this case, the connecting device 200 may transmit the same game application executable to each device.

한편,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은 실제로 연결 장치 (200) 가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 (100) 는 단순히 조작 기능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가지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아닌 디스플레이 결과만을 재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실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저장 주체는 연결 장치 (200) 가 되고, 입력 주체는 이동 단말기 (100) 가 되며, 디스플레이 주체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장치 (200) 는 이동 단말기 (100) 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결과를 이동 단말기 (100) 로 전송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 (100) 는 수신된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진동 또는 오디오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gram such as a game application is actually stored by the connecting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simply has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function, and the display device 300 to play only the display result, not the game application itself. You may. That is, the operation and storage subject of the actual game application may be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the input subject may b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subject may be divided into the display apparatus 300. Her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roces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processed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know the received processed resul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or notified to the user via vibration or audio output.

이동 단말기 (100) 를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리모컨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를 터치하거나 움직이는 방식 또는 음성 입력 등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 신호는 연결 장치 (200) 에 송신될 수 있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used as a remote controller in connection with a game application, various control signals such as a touch method or a moving method or a voice input may be generate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연결 장치 (200) 에 수신된 제어 신호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할 액션을 결정하고, 결정된 액션에 해당하는 처리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전송하고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기 (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 (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전송되는 처리된 제어 신호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 에 전송되는 처리된 제어 신호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가 제어 신호의 결과를 알릴 수 있는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전송되는 처리된 제어 신호는 연결 장치에서 액션의 처리 결과에 따른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등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서 별다른 처리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장치 (200) 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처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수행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결과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nnection device 200 determines an action to be processed in the game applica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gam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ction to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processing result.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ame application. The processe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apparatus 300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For example, the processed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may be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of a form that can inform the result of the control signal, the process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300 is displayed such as to display a specific imag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action in the connection device It may be a control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in the device 300 without any processing. To this end,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load and execute a program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a game application and generate a processing result thereof,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esult processed by the corresponding program.

한편, 이동 단말기 (100) 는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와 같은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는 다양한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조작 신호를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ing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mobile terminal 100 may generate various manipulation signals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nd ma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game application through the generated manipulation signals.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있어서, 1 인이 아니라 복수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접속 시스템은 복수의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연결 장치 (200) 는 해당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주체가 될 수도 있다. In driving the game application, a plurality of people may participate in the game application instead of on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ed mobile terminals and display devices. Accordingly, a plurality of user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may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the gam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a subject that operates the game application.

또한 연결 장치 (200) 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 (100) 로 재 전송하거나 또는 처리하여 재전송할 수 있어, 해당 게임의 결과나 현재의 상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장치 (200) 는 해당 상태 정보 중 결과 정보 (예를 들어 게임의 종료 등)를 저장부 (220) 의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 계정에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retransmit or process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back to the mobile terminal 100 again to inform the result of the game or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configure the resul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nd of the game) of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to be written in the user accou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storage unit 220.

도 4(b) 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다른 예로 워드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다.4B illustrates an operation of executing a word writing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이동 단말기 (100) 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 입력부 (130) 를 이용하여 워드 작성을 하는 경우에 그 결과물을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various user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word is written using the user input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connected display apparatus 300.

워드 작성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 (100) 는 워드 작성을 하는 키보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워드 작성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모니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connection with a word writing applic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rve as a keyboard for word writing.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a monitor showing a result of word writing.

이동 단말기 (100) 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를 가질 수도 있으며, QWERTY 키나 천지인 등과 같은 키 입력 포맷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 (100) 에 디스플레이된 QWERTY 키를 통해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연결 장치 (200) 에 송신된다. 연결 장치 (200) 에 송신된 제어 신호는 연결 장치 (200)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동시에 연결 장치 (200) 는 제어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입력된 문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하여, 입력한 문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장치 (200) 는 워드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워드 작성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이동 단말기 (100) 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300) 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현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a display unit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nd may display a key input format such as a QWERTY key or a heavenly man. When a specific character is input through the QWERTY key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input character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rocess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300. The input characters included in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300. Through this, the input charact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300. The connection device 200 drives a word writing application, receive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user input, processes the word writing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result so tha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e processed result. Can be. By building the system in this manner, the display device 300 can be simply and quickly performed without having to directly implement a specific application.

도 5(a) 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로 화상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5A illustrates an operation of executing a video call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된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단위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접속된 접속 단위별로 상호간에 연결 장치 (200) 를 통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apparatus may exist in a plurality of units, and video calls may be possible through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for each connected connection unit.

이동 단말기 (100) 는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의 입력 장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동 단말기 (100) 의 카메라 모듈 및 음향 모듈을 통해서 가능하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nction as an input device for audio and video capable of capturing a user's own appearance and receiving a user's voice. Such a func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the sound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이동 단말기 (100) 는 화상 통화와 관련하여 자신의 영상과 관련된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신호를 상대방 측에 송신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generate a video signal related to its own video in connection with a video call, and transmit the video signal to the counterpart.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속된 제 1 단위의 제 1 이동 단말기 (100a) 는 음성 및 영상을 입력받고 해당 영상 신호a 를 연결 장치 (200) 에 송신한다. 연결 장치 (200) 에 송신된 영상 신호a 는 접속된 다른 제 2 그룹의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300b) 에 송신된다. 또한, 반대로, 접속된 제 2 그룹의 제 2 이동 단말기 (100b) 는 음성 및 영상을 입력받고 해당 영상 신호b 를 연결 장치 (200) 에 송신하며, 연결 장치 (200) 에 송신된 영상 신호b 는 접속된 제 1 그룹의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00a) 에 송신된다. In detail, the connected first mobile terminal 100a receives a voice and a video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ideo signal a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video signal a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300b of the other second group which is connected. 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e connected second mobile terminal 100b receives audio and video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ideo signal b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video signal b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is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first display device 300a.

이를 통하여, 접속된 제 1 및 제 2 그룹은 상호간에 화상 통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장치 (200) 는 접속된 제 1 및 제 2 그룹의 화상 통화를 매개하여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nected first and second groups may implement a video call function with each other. Her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rovide a function for connec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oups of video calls connected.

도 5(b) 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로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5 (b) illustrates an operation of executing a home shopping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본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 (100) 는 주문하는 주체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물품에 대한 주문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홈 쇼핑과 관련된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연결 장치 (200) 는 홈 쇼핑과 관련된 제반 제어 동작을 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system.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eive an order for a specific item from a user as an ordering subject,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display an article related to home shopping, and the connection apparatus 200 may be home shopping.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도 5(b) 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100) 는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는 입력부로서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300) 는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는 이동 단말기 (100) 또는 연결 장치 (200) 로부터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연결 장치 (200) 는 홈 쇼핑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 동작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 (200) 는 해당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제어 동작을 할 수도 있지만,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장치 (200) 는 홈 쇼핑 서비스 를 통하여 홈 쇼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주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연결 장치 (200) 는 홈 쇼핑과 관련한 매개 기능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연결 장치 (200) 는 이동 단말기 (100) 로 이동 단말기 (100) 가 주문한 제품의 주문 관련 정보의 결과값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관련 정보의 결과값에는 주문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와 배송 정보, 배송 예정 정보, 주문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mobile terminal 100 serves a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rder from a user in relation to a home shopping application. The display apparatus 30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related to a home shopping application.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home shopping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serve as a subject of various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home shopping. In addition, alth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erform all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shopping application,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provide a related service using an external service.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home shopping through a home shopping service, and may provide order 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serve to connect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n intermediary function related to home shopping,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orders the product order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provide a result of related information. Here, the result value of the order-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rder, shipping information, scheduled delivery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order.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쇼핑과 관련한 결재 서비스를 연결 장치 (200) 가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연결 장치 (200) 를 통하여 외부 결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ion device 200 may directly provide a payment service related to home shopping, or may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by accessing an external payment server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200.

또한, 이동 단말기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물품이 QR 코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통하여 물품 주품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ticl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300 has a QR c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make an article cast through recognizing the QR code.

상기 설명에 있어서, 몇몇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하여 접속 시스템의 적용 동작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인 접속 시스템은 상기 설명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동영상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연결 장치 (200) 에서 저장하면서 이동 단말기 (100) 의 제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300) 에서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pplica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on system has been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some applications. However, the inventors' access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relation to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a video or an application may be controlled to play the video on the display apparatus 300 through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being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200.

또한 연결 장치 (100) 는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연결 장치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거나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빈도나 사용 횟수 등과 같은 사용 정보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후의 결과(예를 들어 게임의 경우 : 종료된 게임의 최종 스테이지 획득된 아이템 등 , 워드의 경우 최종 워드 생성 파일 등)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저장된 결과 이후에서부터 시작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사용 정보를 활용하여 광고료 등의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100 may use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such as usage information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or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application executed or used by the user on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result after using the specific appl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ame). The final stage of the finished game, such as the acquired item, the final word generation file for a word, etc.), so that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application, the user can decide whether to start after the saved results for that particula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used as an objective criterion such as an advertisement fe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접속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식별부 130 사용자 입력부
170 제어부
200 연결 장치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300 디스플레이 장치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dentification unit 130 User input unit
170 controls
200 connection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Storage 230 Control
300 display device

Claims (12)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으로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기 위한 제 1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접속으로 제 1 페어링(Pairing) 접속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제 1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연결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시켜 상기 제 1 페어링 접속을 구성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연결 장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제 1 프로그램을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제 2 프로그램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A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A first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controlled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in accordance with a received control command;
A first mobile terminal for sending a control command to said first display device, sa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said first display device for establishing a first pairing connection in connection with said first display device; A first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pri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identifying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connecting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to form the first pairing connection;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device downloads a first program capable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a specific applic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downloads a second program controlled based on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ognizing the image code generated by the first display device to extra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텔레비전상에서 구현되며, 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implemented on one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gram is a user interface program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control command,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기 위한 제 2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접속으로 제 2 페어링(Pairing) 접속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제 2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연결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속시켜 상기 제 2 페어링 접속을 더 구성하며,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처리된 제어 명령을 적어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처리된 제어 명령을 적어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establish a second pairing connection by connecting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device identifies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urther configures the second pairing connection by connecting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control command processed by process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processed by process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Send a command to at least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텔레비전상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on one televis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nection system using a connection device.
이동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
제 1 이동 단말기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프로그램과 제 2 프로그램을 각각 다운로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so that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torage unit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stores programs for a specific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re identifi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he identified first And a control unit for respectively downloading a first program and a second progra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Connecting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 2 이동 단말기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제 2 이동 단말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제 2 이동 단말기로부터 더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 2 이동 단말기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프로그램과 제 2 프로그램을 각각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order for the second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use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Identifying a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downloading the first program and the second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identified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respectively;
Connect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처리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재전송하며,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처리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retransmit the processed control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retransmitting the processed control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Connecting device.
이동 단말기로서,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명령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접속 명령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의 수신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As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 device;
Genera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nnection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a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cess;
The access request signal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When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command,
Mobil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상기 연결 장치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ler receives a control program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nection device to drive the control program,
The control program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Mobil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장치에 의해 접속된 외부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더 수신하며, 외부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further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an external mobile terminal connected by the connection device, and controls to notif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further received control command from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연결 장치가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network address to which the connection device can access.
Mobile terminal.
KR1020110012548A 2011-02-11 2011-02-11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KR101190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48A KR101190759B1 (en) 2011-02-11 2011-02-11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48A KR101190759B1 (en) 2011-02-11 2011-02-11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69A KR20120092469A (en) 2012-08-21
KR101190759B1 true KR101190759B1 (en) 2012-10-12

Family

ID=4688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48A KR101190759B1 (en) 2011-02-11 2011-02-11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7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56B1 (en) * 2013-06-20 2016-07-28 (주)휴즈플로우 An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092731B1 (en) * 2013-05-30 2020-03-2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iring service
CN107181807B (en) 2013-08-14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Application hosting method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server
KR101529520B1 (en) * 2013-11-29 2015-06-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button in mobile terminal
KR102222370B1 (en) * 2013-12-27 2021-03-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System and method of servicing invitation of a game
KR102344580B1 (en) * 2021-05-18 2021-12-29 주식회사 아이엠파인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a content control interface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open type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KR102516278B1 (en) * 2022-06-08 2023-03-30 (주)이브이알스튜디오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55B1 (en) 2006-06-19 2007-09-07 인포뱅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elevi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55B1 (en) 2006-06-19 2007-09-07 인포뱅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elevi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69A (en)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59B1 (en)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US10235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71579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screen mirroring and apparatus thereof
CN102523519B (en) Automatic multimedia slideshows for social media-enabled mobile devices
US99611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US202202009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virtual collaboration via network
CN103081494B (en) Adaptive media content cleaning on remote equipment
AU20122543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US20130031261A1 (en) Pairing a device based on a visual code
KR101894394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contents
KR20190086517A (en) A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 live video stream,
CN110585699A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cloud game and storage medium
CN103748609A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playback from a different device
US10114543B2 (en) Gestures for sharing data between devices in close physical proximity
CN102884537A (en) Approaches for device location and communication
RU2647683C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CN1046202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device
CN112995759A (en) Interactive service processing method, system,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50108096A (en)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 with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WO2023103956A1 (en) Data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04854574A (en) Updating services during real-time communication and sharing-experience sessions
KR101127569B1 (en) Using method for service of speech bubble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mobile,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150049900A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