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044B1 -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044B1
KR101189044B1 KR20100033286A KR20100033286A KR101189044B1 KR 101189044 B1 KR101189044 B1 KR 101189044B1 KR 20100033286 A KR20100033286 A KR 20100033286A KR 20100033286 A KR20100033286 A KR 20100033286A KR 101189044 B1 KR101189044 B1 KR 10118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el
servic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265A (ko
Inventor
존 찰스 스트래스너
강준명
홍원기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EP20100009253 priority Critical patent/EP2339513A1/en
Priority to US12/878,244 priority patent/US8566293B2/en
Priority to JP2010218889A priority patent/JP5318835B2/ja
Publication of KR2011006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0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장비를 위한 정책기반, 상황인식, 선호도 및 프로파일 모델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정책 기반의 관리와 같은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관리 개념과, 주변의 변화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 객체들이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하고, 상황인식 관리체계 및 상황정보, 정책, 선호도 및 프로파일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확장 가능한 모델로 정의한다. 이를 통하여 상황정보가 정책 규칙(policy rule)을 만들고, 교대로 언제라도 개인화된 서비스들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현재 활성화된 정책 규칙들에 따라서 특정 시간에 가능하게 되어지는 선호도와 프로파일 정보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통신용 장비들이 사용자의 필요, 비즈니스 목적,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SERVICES}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통신용 장비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양한 통신용 장비들에 대해 정책 기반의 관리와 같은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관리 개념과, 주변의 변화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 객체들이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비즈니스 목적,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용 장비 관리를 위한 정책기반, 상황인식, 선호도 및 프로파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우터, 허브 등의 다양한 장비들이 혼재하는 네트워크는 각각 장비들이 다른 형태의 기능과 이러한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명령이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이 다 다르며, 심지어 같은 회사에서 나온 제품이라도 다양한 버전에 따라서 다른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다른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모든 형태의 장비들마다 각각 다른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비슷한 형태의 명령이라도 다 다른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다양한 장비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공통적인 관리 정보를 정의할 필요가 있고, 특히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 모델, 선호도 모델, 특성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프로파일 모델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선호도 및 개인적인 요구사항 및 경험정보를 저장하는 하나의 엔터티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기술 중에서 W3C에서 정의한 Composite Capabilities Preferences Profile (CC/PP)와 WAP Forum에서 정의한 User Agent Profile (UAProf)가 있다. UAProf는 CC/PP를 기반으로 하는 특수한 형태이다. CC/PP는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로 표현이 되고, 장비의 특성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술하고, 이 두개의 조합을 프로파일로서 정의를 하고 있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개인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Generic User Profile (GUP)를 정의하였다. 이것은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에 가입되어있는지,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사용자의 설정 정보(예, 이름, 전화번호) 및 선호도 정보, 모바일 네트워크 정보, 선호하는 네트워크 기술 및 GPRS 설정, 다른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설정,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요금체계와 관련된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선호도 모델은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낼 수 있는 값들을 정의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CC/PP와 Platform for Privacy Preferences Project(P3P)를 포함하여 이러한 선호도를 모델링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성(capability) 모델은 CC/PP에서 정의한 것에 더하여 미국특허번호 US 7,516,045 B2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target device in a network"에서 특성 모델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프로파일 모델, 선호도 모델, 특성 모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이 분야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정책 기반의 관리 기술들을 통하여 상황인식 기반의 개인화된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양한 통신용 장비들에 대해 정책 기반의 관리와 같은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관리 개념과, 주변의 변화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 객체들이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비즈니스 목적,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용 장비를 위한 정책기반, 상황인식, 선호도 및 프로파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호도와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상황인식 서비스를 위한 정책과 상황인식 기반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러한 정보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관리되어질 수 있는지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를 하고,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상황인식 관리체계 및 어떻게 상황정보, 정책, 선호도 및 프로파일이 상호작용하는지를 확장 가능한 모델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특정 장비에게 컨텐츠를 어떻게 가장 잘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대상 장비가 하나 이상의 capability 클래스들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통하여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Autonomic Communications Forum (ACF)에서 표준화시킨 DEN-ng(Directory Enabled Networks-next generation)라고 불리는 정보 모델을 사용하여 이것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모델링을 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정보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의 정보 모델링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방법으로 모델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한 정책 기반의 구조로서 FOCALE 오토노믹 구조를 정의하여, 어떻게 정책들이 정책 규칙들을 선택하고 다른 형태의 데이터들이 주변상황정보들이 변화하는 것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전처리부와, 상기 정규화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관리되어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의 상황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이 만족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을 상기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로 제공하는 개인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선호도 또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모델과, 상기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정보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모델과, 상기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장치 변환기와, 상기 장치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정규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상황정보 모델로 결합하는 객체 생성 로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DEN-ng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EN-ng 모델은,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된 센서 데이터와 각 장비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들에 대한 상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상황정보의 변화 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 정보를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맞도록 재할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화 서버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에 대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의 현재 상태를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해 등록된 가입정보에 맞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가입 정보에 맞게 상기 서비스와 자원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관리되어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의 상황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황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이 만족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을 상기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는,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선호도 또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정보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치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정규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상황정보 모델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DEN-ng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EN-ng 모델은,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된 센서 데이터와 각 장비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들에 대한 상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상황정보의 변화 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 정보를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맞도록 재할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화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에 대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의 현재 상태를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해 등록된 가입정보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 정보에 맞게 상기 서비스와 자원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양한 통신용 장비들에 대해 정책 기반의 관리와 같은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관리 개념과, 주변의 변화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 객체들이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비즈니스 목적,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 관리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의 상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N-ng 상황인식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과정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subscription)의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책 기반의 가입 관리의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책 기반의 선호도 관리의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N-ng 정보 모델의 최상위층 조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로서의 인코딩 제약사항(constraint)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방 통치(federation governance)를 위한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방화된(federated) 상황인식 모델을 위한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방화된 상황인식에 상황인식 기반의 정책 규칙을 적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정보 기반의 정책 모델을 위한 DEN-ng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상황정보를 위한 연관 함수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 장비에 대한 상황인식 기반 개인화 서비스 관리 장치의 개념적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객체 지향 개념을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 개념들은 개인화된 서비스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한 장치를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도 같이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지니며, 상황정보(context)는 복수의 도메인으로부터 오는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이 현재 시스템이 현재의 상황정보를 결정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황정보가 변할 때 제공되어지는 자원이나 서비스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전처리부(pre-processing unit)(100)에서의 전처리 과정, 분석부(analyze unit)(102)에서의 분석과정, 개인화 서버(personalization server)(104)에서의 개인화 서비스 과정을 통해 해결한다.
전처리부(100)는 특정 벤더(vendor)나 장치에 종속적인 센서 데이터(sensor data)를 정규화된(normalized) 형태로 변경한다. 또한 유사하게 특정한 벤더나 장치에 독립적인 정규화된 명령어를 이용하여 그와 동등한 벤더나 장치에 종속적인 명령어들로 변경한다.
분석부(102)는 정규화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관리되어지는 요소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현재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나 자원이 어떠한 방법으로든 위협받고 있는지 아닌지와 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받고 있는 서비스나 자원을 변경할지 안할지를 결정한다.
개인화 서버(104)는 전처리부(100)와 분석부(102)에서의 전처리 과정과 분석 과정에서 추천 명령어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는지, 어떤 할당된 서비스나 자원이 위협받고 있지는 않은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서 현재의 서비스나 자원이 위협받고 있지 않은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만들어낸다. 또한 개인화 서버(104)는 관리되어지는 요소가 새로운 상태로 합쳐져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도 정의한다.
이하, 전처리 과정, 분석과정, 개인화 서비스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처리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전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다. 이중 가장 선호하는 구현은 변환 과정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DEN-ng 모델(106)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2는 전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센서들로부터 만들어진 원시 데이터(raw data)를 다른 형태나 언어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각 장치가 자신의 관리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서 특정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각 장치(device)(204)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나 CLI(Command Line Interface)등의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다른 데이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것이 장치, 데이터 모델이(data model)(206)나 장치 변환기(device converter)(202)가 동일할지도 모른다는 이유가 된다.
선호하는 접근방법은 소프트웨어 패턴을 기반으로 해서 각 장치(204)로부터의 관리 정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특성, 상황정보, 선호도, 프로파일, 가입정보, 및 사용자 정보들을 위해 같은 정보모델(information model)(208)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장치 관리 데이터가 본 발명의 개념과 관련 있다는 것을 보증해준다.
정보 모델(208)은 기술, 벤더 및 장치 중립적인 형태로 지식을 정의한다. 개념적으로 이 모델의 목적은 관리되어지는 요소의 특징이나 행위를 정의하고 어떻게 이러한 요소들이 주어진 환경 내에서 서로 다른 요소들과 연관을 맺을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데이터 모델(206)은 이 상위레벨의 지식으로부터 각 장치에 특수화된 형태로 변경된다. 각 데이터 모델 요소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지원하고 각 장치의 제조사가 서로 다른 버전의 관리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장치 변환기(202)는 벤더나 장치에 종속적인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해서 구조나 패턴 일치의 조합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추후의 작업을 위해서 정규화된 형태로 변경한다. 이것은 두 가지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첫 단계에서는 감시(monitor)되는 장치를 표현하기 위해서 정보모델(208)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모델(206)로 나타낸다. 객체의 각 attribute들은 각 관리되어지는 객체를 위한 attribute-value 쌍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장치 인터페이스는 attribute들을 가지는 class로 표현되어질 수 있고, 센서 데이터는 이 attribute들의 각각을 위한 val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주어진 데이터들을 파싱(parsing)한 다음에 각 데이터 value들을 적당한 attribute들에 일치할 수 있다. 각 데이터 모델(206)은 효과적으로 DEN-ng 모델(106)을 조금만 확장하여 제공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들 사이에서 유사한 개념들을 재사용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게 주어진 컴퓨팅 시스템의 기능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모델로 확장할 수 있다.
"특성(capability)"의 개념은 특정 장치에서의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유연한 템플리트(template)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것은 조정(orchestrate)하는 것뿐만 아니라 협상(negotiation)하는 기능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각 장치(204)는 다른 암호화의 강점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른 옵션을 가진다. 이러한 옵션들은 각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다른 기능들 사이에서 종종 파묻혀 있다. 특성은 시스템이 빨리 각 장치의 분출하는 기능을 탐지하고, 현재 상황정보의 필요성을 지원하게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장치 변환기(202)의 결과물은 객체 생성 로직 모듈(object construction logic module)(200)로 보내진다. 객체 생성 로직 모듈(200)은 각 장치 변환기(202)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XML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응집력 있는 상황정보 모델로 결합한다. 이것은 어떻게 다른 센서 데이터들이 상황정보에 연관되어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정보 모델과 하나 이상의 적합한 데이터 모델의 조합을 사용한다.
도 3은 DEN-ng 모델(106)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ontext 객체는 상황정보를 완전하게 모델링하고, 전체 상황정보의 독특한 측면을 나타내는 ContextData 객체들로 이루어진다.
Context와 ContextData 객체는 지능적인 container들로 구현이 되어지고 그들의 정보를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도 포함한다. 컴포지트 패턴(composite pattern)이 Context와 ContextData 객체의 구조를 일관된 방법으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ContextAtomic(또는 ContextDataAtomic) 객체가 하나의 객체를 모델링할 때 Context(또는 Context의 aspect)를 표현한다. 대조적으로 ContextComposite(또는 ContextDataComposite)가 분리되어 관리되는 다수의 분별적인 Context(또는 ContextData) 객체를 이루어지는 객체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두개의 다른 네트워크 기술 사이에서의 핸드오버(hand over)하는 상황에서의 전화 상태를 모델링할 때, 두 기술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두개의 서로 다른 context의 aspect와 특정 네트워크 기술에 종속적인 ContextData 객체들의 집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장치 변환기(202)로부터 얻을 수 있고, 장치 종속적인 데이터는 정규화된 형태로 변경된다. 각 센서 데이터의 정규화된 형태는 그것이 적합한 Context나 ContextData 객체인지 결정하기 위해서 분석되어진다. 만약 적합하지 않다면, 그것은 폐기되어지고, 적합하다면 적합한 데이터 모델에 추가된다. ContextData 객체들은 관리되어지는 요소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분석되어지고 이 정보는 그런 다음에 다음 모듈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분석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분석 과정에서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계약된 서비스나 자원이 만족되어지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분석 과정에는 또한 서비스나 자원을 전달하는 계약 조건이 위배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분석 과정은 관리되어지는 요소의 원하는 상태와 현재의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개의 상태가 같다면 감시를 계속한다. 그러나 두개의 상태가 같지 않다면 하나 이상의 액션(action)이 취해질 필요가 있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 다음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추가적인 데이터를 감시한다.
(2) 관리자에게 구성의 변화를 위한 추천을 받는다.
(3) 하나 이상의 구성 변화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이 세 개의 액션을 다 포함하는 이유는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의 특수한 요청을 만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경우는 FOCALE 오토노믹 구조와 같은 많은 시스템들이 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기 위한 가설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제공되어져야 한다. 이 옵션은 시스템이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서 특수한 데이터들을 시스템으로부터 가져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옵션에 관련해서 특히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관리자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일단 관리자가 소프트웨어를 신뢰한다면 자동적인 재구성은 운영비용(OPEX, operational expenditures)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개인화 과정에서는 분석 과정으로부터의 상태와 관련된 상황 정보 데이터를 평가해서 필요하다면 어떤 액션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도 4는 개인화 과정의 동작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분석 과정의 동작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상황정보들을 위한 가입(subscription) 정보, 프로파일(profile) 정보 및 선호도(preference) 정보가 각각 읽혀지고 저장된다(S400~S404). 이것은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전달되고 관리되어져야 하는 서비스나 요구사항들을 나타내는 "tuple"을 형성한다. 일단 tuple이 만들어지면 상황정보는 그 시스템으로부터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조합한다(S406). 이러한 데이터들은 적절한 정규화 과정을 거친 뒤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데이터들은 그것들이 부분적으로만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사후 처리를 필요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화 서비스 관리장치의 분석부(102)는 사용자별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해 context data를 가져온 후(S500),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context data에 변경이 발생하여 추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S502).
이때,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context data에 변경이 발생하여 추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분석부(102)는 DEN-ng 모델(106)을 이용하여 context data를 추론하고(S504), 새로운 context data를 생성한다(S506).
즉, 시스템의 실제 상황 정보는 관리되어지는 시스템의 상황적인 필요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DEN-ng 모델(106)에서 정의한 Context와 ContextData 객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것은 상황정보의 일반적인 개념을 정의하는 템플리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 응용프로그램은 그 자신의 필요에 맞추어서 이 템플릿을 더 확장할 수 있다.
이어, 분석부(102)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상황정보의 변화에 따라 context data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508). 이때, 분석부(102)는 입력을 이용해서 검색된 센서 데이터가 상황정보 내에서의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만일 context data가 변화된다면, 분석부(102)는 구체적으로 말해서 존재하는 정책 규칙이 여전히 새로운 상황정보와 관련되어있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그러나, context data가 변화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관련된 정책 규칙들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분석부(102)는 context data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책 규칙을 선택하고(S510), 새로운 정책 규칙에 의해서 가입(subscription), 프로파일(profile) 및 선호도(preference) 정보를 갱신(update)시킨다(S512).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공용 장소에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한다면 안전한 장소에서는 공개 접근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책 규칙이 변해야 한다. 이것은 순서대로 가입, 프로파일 및 선호도 정보들이 새로운 상황정보의 요구사항에 맞게 업데이트 되어져야 한다. 이 방법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계약된 서비스와 자원을 상황정보 변화를 타나내는 함수를 변화시키는 것의 해서 상황정보가 변화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만일 상황정보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분석부(102)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여전히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점검 절차를 거친다(S514). 이때,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만족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검출하고(S516),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만족되는데 필요한 최적 상태 변화 조건을 산출한다(S518).
이어, 분석부(102)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만족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장비들에 대한 최적의 재구성 명령을 정의한 후(S520), 재구성 명령을 통해 네트워크 장비를 구동시킴으로써(S522)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만족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혼잡(congestion)이나 오류(fault)와 같은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하면 시스템의 계약상 의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이 사실상 일어난다면 분석부(102)는 상황정보의 함수로서 그 문제를 고치도록 최적의 재구성 명령어를 결정한다.
가입 관리
도 6은 DEN-ng 가입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입 정보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위해서 컴포지트 패턴을 사용해서 모델링된다. SubscriptionAtomic은 하나의 가입을 나타내고 반면 SubscriptionComposite는 상하체계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가입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모델은 다른 역할(role)의 형태로서 다른 종단 사용자(고객, 가입자, 사용자)를 나타낸다. DEN-ng 모델(106)은 이를 위하여 role-object 패턴을 사용한다. 이것은 더 명확하고 확장성 있게 하기 위하여 엔터티(entity)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델링하는 것으로부터 엔터티의 모델링을 분리한다.
Person 모델은 사람들이 사람이 아닌 엔터티(non-human entity)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과 행위를 모델링한다. PersonRole은 Person이 가지는 다른 기능을 모델링한다. ConsumerRole은 사용자가 어떻게 제품, 자원 및 서비스를 소비하는지를 모델링한다. ConsumerRoleHasSubscription 조합은 주어진 ConsumerRole이 가지는 Subscription들을 정의한다. 이 조합의 의미는 ConsumerRoleSubscriptionDetail과 연관된 class에서 정의되어진다.
ConsumerRole의 세 개의 subclass들은 이 조합을 상속받는다. 각각은 더 많은 ServiceProviders과의 관계를 정의한다. DEN-ng 모델(106)에서 ServiceProvider는 제품, 자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에 의해 수행되는 역할이다. 그러므로 이 관계들은 어떻게 고객(Customer), 가입자(Subscriber) 및 사용자(User)가 ServiceProvider와 상호 작용하는지를 정의한다.
도 7은 정책 규칙에 대한 가입 제어와 관리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간단한 예제만을 보이고 있다. 추가적인 관계는 도 7을 참고로 해서 각 응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맞게 정의될 수 있다.
먼저, ConsumerRoleSubscriptionDetails와 관련된 class는 ConsumerRoleHasSubscription 조합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가장 간단한 예제로서 validSusbscriptionPeriod attribute는 이 ConsumerRole의 Subscription의 시작하고 끝나는 날짜와 시간을 정의한다. ConsumerRole의 Subscription을 관리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정책 규칙들은 PolicyGovernsSubscription 관계에 의해 표현되어진다.
다른 정책 규칙이 다른 ConsumerRole들의 다른 Subscription을 관리하는데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도 7에서 보여지는 방법은 ConsumerRole과 Subscription의 의미를 정의하는 관련 class들에 정책 규칙들과 관련되어지는 것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특정 ConsumerRole의 Subscription이 어떻게 정책 규칙에 의해 관리되어지고 제어되어지는지의 의미는 정책 규칙(policy rules)의 액션(action)들이 ConsumerRoleSubscriptionDetails와 관련된 class들의 attribute들을 변화시키고, 차례대로 Subscription과 ConsumerRole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다른 형태의 정책 규칙들은 SubscribesToDetails와 관련된 class들에 포함된 attribute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ServiceProvider가 Subscriber와 Subscriber에게 제공되어지는 제품, 서비스 및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서, 도 7은 단지 두개의 간단한 예제들을 보였으나, 추가적인 제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책 규칙은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Consumer와 User의 제품, 자원 및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class들이 CustomerOfServiceProvider와 UserOfServiceProvider에 각각 정의되어지고, 정책 규칙들이 이 관련된 class의 attribute와 행위를 제어하는 것을 정의한다. 정책 규칙은 그 자체적으로 메타 정책을 사용해서 조정될 수 있다.
프로파일(Profile) 및 선호도(Preference) 관리
도 6와 도 7에서 보듯이 프로파일과 선호도는 PersonRole과 관련이 있다. 도 8은 선호도를 관리하는 간단한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가입 관리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이 경우에도 적용이 된다. 즉, 어떻게 선호도가 프로파일과 가입을 선택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는지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이 더 좋아하는 가입과 각 가입과 연관된 프로파일을 차례대로 결정하는 것으로 PersonRole에 의해 선택되어진 선호도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약(constraint) 관리
정책 계층(Policy Continuum)은 하나의 특정 문법으로 하나의 단체를 위해 쓰여진 정책들을 다른 문법을 사용해서 다른 단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은 비즈니스 용어로 기능성에 대한 제약들을 정의하고, 그것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나 자원에 일치하는 제약조건들로 변경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9는 DEN-ng 정보 모델의 가장 상위 레벨을 도시한 것이다. 이 모델의 root는 RootEntity class이다. 이것은 Entity, Value, MetaData라는 세개의 subclass들을 가지고 있다. Entity class는 별도의 존재로 관리되어지는 환경에 중요한 객체를 나타낸다. 몇몇은 하나 이상의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하고, 반면에 다른 것은 환경에서 엔터티들의 특성과 행위를 나타내기 위해 요구되어진다.
Value class는 명확한 아이덴터티(identity)를 가지지 않고 존재하는 것들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객체를 나타낸다. MetaData는 어떻게 데이터 요소나 attribute들이 정의되어지는지를 나타내고 그들이 어떻게 물리적으로 위치하는지를 나타낸다. MetaData는 상황정보, 품질, 조건 및 데이터의 특성에 관한 서술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제약은 Entity의 attribute, Value class의 subclass 및 MetaData의 subclass로 직접적으로 정의된다. 첫 번째 방법은 가장 간단하지만, 객체로 직접적으로 제약을 인코딩하면 재 사용성에 제한을 가져온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법은 제약이 적용되어지는 Entity로부터의 제약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재 사용성을 증가한다. 두 번째 방법은 관찰되어지거나 측정되어지는 특정 객체로서 제약을 정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반면에 세 번째 방법은 Entity가 제약되어지는 것과 관련된 객체로서 제약을 기술한다. DEN-ng 모델(106)에 의해 충분히 유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특수한 행위를 모델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화된 서비스를 모델링하는데 적용되어지는 제약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위 언급된 DEN-ng 모델(106)의 특성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ConsumerRoleSubscriptionDetails와 관련된 class는 ConsumerRole의 Subscription에 위치할 수 있는 제약들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서 제약들은 ConsumerRoleSubscriptionDetails class에 직접적으로 들어가거나 분리된 Value subclass로 관련되어지거나 추가적인 MetaData subclass로 관련되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된 세 번째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LocationSubscriptionDetails와 관련된 class는 이 특정 LocationRole과 연관되어질 때 특정 Subscription의 행위를 제약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예를 들면, 이것은 특정 ConsumerRole에 이용 가능한 Service와 Resource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보안과 같은 LocationRole의 특성을 가능하게 한다.
PolicyConstrainsLocationsubscriptionService는 특정 LocationRole에서 ConsumerRole에 전달되어지는 Service와 Resource에 위치한 제약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정책들을 정의한다.
연방(federation) 관리
도 11은 DEN-ng 도메인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도 컴포지트 패턴을 이용해서 홀로 사용되는 DomainAtomic class와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되어지는 DomainComposite class를 모델링하였다. 이 둘다 상황정보를 합치는데 사용되어진다.
ManagementPolicy class는 PolicyRule의 실제 구조에서 사용되어지는 것과 독립적인 의무나 권한과 같은 의무적인 행위를 구체화한다. ManagementPolicy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PolicyRules를 위한 superclass이다.
GoverningAuthority는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ManagedEntities의 개별적이거나 집합적인 것을 나타낸다. 즉, GoverningAuthority는 사람(human)이거나 사람이 아닌(non-human) 형태가 될 수 있다.
ManagementDomain은 Domain에 포함된 ManagedEntities의 논리적인 집합을 나타내는 반면에, GoverningAuthority는 Domain에서 관리 그 자체 뿐만 아니라 Domain에서 ManagedEntities를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ManagementPolicies로도 사용한다. 즉, Domain은 그 자체적으로 관리되어질 수 없다. 관리 행위는 GoverningAuthority에 의해 수행되고, 관리 행위를 위해서 ManagementPolicy를 사용한다. 다른 형태의 정책 행위를 위해서 PolicyRuleStructure로부터 상속받은 정책 규칙들을 사용한다.
GoverningAuthorityForManagementDomain은 이 ManagementDomain을 관리하기 위한 GoverningAuthorities들을 정의한다.
GovernsMgmtDomainUsingMgmtPolicies는 ManagementDomain 그 자체 뿐만 아니라 특정 ManagementDomain에 있는 ManagedEntities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이것은 연관 class이고 GoverningAuthorityForMgmtDomain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 둘의 관계는 그들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해서 연관 class를 사용한다.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방(federation)은 중심 권한에 의해 관리되어지는 엔터티들로서 정의되지만, 내부 관심사에 따라 제한된 파워들을 가진다. 이 연방은 하나의 중앙 집중적이거나 관리체계의 계층에 따라서 여러 개의 분산된 관리 기관(authority)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Context를 연방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FederatedContext는 FederatedDomain을 위한 상황정보를 전체적으로 합치는 것을 나타낸다. 그것은 Federation에 지역적인 Context 데이터를 각 지역 Domain으로부터 수집한 다음 Context-Aware Policy Rules에 따라서 상황 정보들을 필터링한다. FederatesContextInfo의 FederatedContextDetails와 관련된 class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FederatedContextData는 Federation에 개개의 Domain을 위한 상황정보를 전체적으로 모으는 것을 나타낸다. 각 ContextData 객체가 다른 상황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ContextData 객체는 다른 가시성, 접근성 및 그것의 사용성을 관리하는 다른 규칙들을 가진다.
FederatedDomain은 ManagedEntities를 포함하고 있는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전역 Policy Rule이나 0개 이상의 지역 Policy Rule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는 Federation에 있는 각 Domain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Federation은 그 자체가 ManagedEntity이고 전형적으로 지역적으로는 중앙 집중적이지만, 물리적으로는 분산되어져 있다. 그러나 DEN-ng 모델(106)은 논리적인 분산을 허용한다.
도 13은 상황정보의 연방화를 관리하기 위해서 상황 정보 기반의 정책 규칙을 적용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ManagementPolicy가 규칙의 구조와는 독립적인 규범(deontic) 규칙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정책 규칙 내용은 이벤트-조건-행위(event-condition-action), 목적(goal) 또는 유용성(utility) 함수 기반의 정책 규칙으로 표현되어질 수 있다. 세개의 association class (FederatedContextDataDetails, FederatedContextDetails, FederatedAggregateContextDetails)는 그 자체와 ManagementPolicy 사이에 aggregation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association class의 특성(attribute)와 행위(behavior)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그러므로 외부의 응용프로그램은 어떻게 상황정보가 연방화되어지는지 행위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지정된 ManagementPolicy를 사용할 수 있다.
장치 구성의 상황 정보 변화
도 14는 DEN-ng 상황 인식 정책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ContextSelectsPolicies와 ContextDataSelectsPolicies는 특정 Context와 ContextData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정책 규칙들을 정의한다. PolicyRuleStructure는 event-condition-action 규칙, goal, utility 기능과 같은 정책 규칙 class들의 다른 형태들의 parent가 되는 abstract superclass이다.
PolicyDeterminesContextDataStateDetails는 ContextDataHasSTate의 의미를 정의한다. 이것은 주어진 ContextData와 연관된 특정 상태를 정의한다. PolicyDeterminesContextDataState는 어떻게 특정 상황에 대한 상태가 결정되어지는지의 의미를 제어하는 정책들을 정의한다.
장치에 대한 구성 명령어들은 특정 상태와 연관되어진 tuple로 보여질 수 있다. DEN-ng 모델(106)의 attribute와 class들은 장치 명령어들 뿐만 아니라 개별 장치 명령어도 모델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관리되어지는 엔터티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장치에 대한 명령어들이 변화하는 것은 장치의 상태가 변화하는 것과 일치한다.
상황정보 데이터와 관련된 변경 반영
상황 정보는 사실들(facts)의 집합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어진 시간에 어떤 값이 현재의 상황에 대한 사실에 적용가능한지를 함수로서 주어진 사실들의 관계를 모델링한다. 이것은 상황정보 데이터의 실제 컨텐트(content)가 아니기 때문에 상황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의 특정을 하기 위해서 metadata로서 인코딩된다. 도 15는 이 함수의 그래프 예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용 장비에 대한 상황인식 기반 개인화 서비스 관리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양한 통신용 장비들에 대해 정책 기반의 관리와 같은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관리 개념과, 주변의 변화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한 상황인식(context-awareness)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 객체들이 서로간에 상호 작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객체들을 객체지향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비즈니스 목적,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존재하는 시스템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선호하는 구현은 FOCALE과 같은 구조가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FOCALE에서는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 FSM)의 집합이 행위들을 조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FOCALE FSM에 있는 노드들은 상태를 나타내고, 각 상태는 엔터티의 구성을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액션과 관련되어진다. 엣지(edge)는 상태 전이를 나타내고 관리되어지는 엔터티의 상태를 변화하기 위한 구성을 변화시키는 권한을 암시한다. 정적인 행위는 FSM들의 집합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서 FOCALE에서 프로그램되어진다. 동적인 행위는 하나 이상의 FSM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정의되어진다.
선호하는 구현에서 DEN-ng 정보 모델은 FOCALE과 같은 구조의 특성을 가지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어진다. 이것은 노드들과 전이들이 정보 모델에서 하나 이상의 class와 association과 연관되어지는 행위들을 조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상태 기계의 집합을 가능하게 한다. 각 서비스와 자원은 그것의 행위를 관리하는 정책들의 집합을 가진다. 이것은 서비스나 자원과 정책들의 집합 사이에 association을 만드는 것에 의해 정의되어진다. 정보와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이점은 기능상 관리되어지는 시스템이 변화하는 것과 이러한 변화를 모델의 업데이트로 반영하는 것이다. 이것은 차례대로 서비스나 자원 그들의 관리 정책들 사이의 관계를 업데이트한다. 개념적으로 각 정책 규칙은 하나 이상의 액션을 포함하고 각 액션은 잠재적으로 하나 이상의 장치의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전처리부 102 : 분석부
104 : 개인화 서버 106 : DEN-ng 모델

Claims (12)

  1.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전처리부와,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관리되어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의 상황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이 만족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을 상기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로 제공하는 개인화 서버
    를 포함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선호도 또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모델과,
    상기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정보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모델과,
    상기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장치 변환기와,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상황정보 모델로 결합하는 객체 생성 로직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DEN-ng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EN-ng 모델은,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된 센서 데이터와 각 장비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들에 대한 상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상황정보의 변화 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 정보를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맞도록 재할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서버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에 대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의 현재 상태를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가입정보에 맞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가입 정보에 맞게 상기 서비스와 자원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7.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관리되어지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의 상황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황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이 만족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을 상기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다수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선호도 또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정보를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상황정보 모델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DEN-ng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정규화된 데이터로 사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EN-ng 모델은,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종속된 센서 데이터와 각 장비의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들에 대한 상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상황정보의 변화 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 정보를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맞도록 재할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장비에 대한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서비스와 자원의 현재 상태를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해 등록된 가입정보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 정보에 맞게 상기 서비스와 자원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방법.
KR20100033286A 2009-12-08 2010-04-12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8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00009253 EP2339513A1 (en) 2009-12-08 2010-09-06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services in communication system
US12/878,244 US8566293B2 (en) 2009-12-08 2010-09-09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services in communication system
JP2010218889A JP5318835B2 (ja) 2009-12-08 2010-09-29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個人化サービスを提供及び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19 2009-12-08
KR20090121119 200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65A KR20110065265A (ko) 2011-06-15
KR101189044B1 true KR101189044B1 (ko) 2012-10-08

Family

ID=4439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3286A KR101189044B1 (ko) 2009-12-08 2010-04-12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931B1 (ko) * 2013-03-14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을 결합한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928B1 (ko) 2006-09-27 2007-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928B1 (ko) 2006-09-27 2007-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6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services in communication system
EP4046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policies-based information governance
Pantsar-Syväniemi et al. Situation-based and self-adaptive applications for the smart environment
Villalonga et al. Mobile ontology: Towards a standardized semantic model for the mobile domain
Jaroucheh et al. CANDEL: product line based dynamic context management for pervasive applications
Cordier et al.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Beyond 3G service delivery: the SPICE service platform
KR101189044B1 (ko)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Zhou et al. Toward semantic qos aware web services: Issues, related studies and experience
Strassner et al. The design of a novel context-aware policy model to support machine-based learning and reasoning
Bellavista et al. Cosmos: A context-centric access control middleware for mobile environments
Rukzio et al. Policy based adaptive services for mobile commerce
Alti et al. Dynamic semantic‐based adaptation of multimedia documents
Allen et al. A user-centric approach to dynamic adaptation of reusable communication services
Tarkoma et al. SPICE: Evolving IMS to next generation service platforms
Theilmann et al. Multi-level SLAs for Harmonized Management in the Future Internet.
Cordier et al. Advanced Beyond 3G service delivery environment: the SPICE service platform design principles
Haddar et al. Towards MCDA method based service broker for SLA selection in IMS environment
Madeira et al. Building a platform for pervasive personalization in a ubiquitous computing world
Haddar et al. Towards a Service Broker for Telecom Service Provision and Negociation in IMS Network
Miloucheva et al. User-centric identity enabled QoS policy management for Next Generation Internet
Roman et al. Aligning wsmo and ws-policy
Suzic Towards Secure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Roman et al. The Place of Policy in Semantically Enabl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
Prudêncio et al. Application and network QoS mapping using an ontology-based approach
Strassner Context-aware, policy-based seamless mobility using the focale autonomic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