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898B1 -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898B1
KR101188898B1 KR20100098975A KR20100098975A KR101188898B1 KR 101188898 B1 KR101188898 B1 KR 101188898B1 KR 20100098975 A KR20100098975 A KR 20100098975A KR 20100098975 A KR20100098975 A KR 20100098975A KR 101188898 B1 KR101188898 B1 KR 10118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screw member
container
screw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302A (ko
Inventor
정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10009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8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89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 이송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스스로 씹거나 삼킬 수 없는 환자들의 장내로 유동식을 공급하기 위한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는 내부에 유동식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수용용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식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식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마련된 피딩하우징과, 피딩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딩하우징으로 유입된 유동식을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수용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며 구동모터가 설치된 캡과,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Feeding device for liquid food using screw transfer type}
본 발명은 유동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 이송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스스로 씹거나 삼킬 수 없는 환자들의 장내로 유동식을 공급하기 위한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스로 음식을 씹거나 삼킬 수 없는 의식 불명 및 기력이 없는 환자들에게는 정맥 주사로 알려진 주사에 의한 칼로리 보충 이외에 유동식(流動食)을 이용한 장내(腸內, 예: 위 또는 십이지장)급식이 실행되어 왔다.
장내 급식은 환자의 비강 또는 입을 통하여 피딩튜브(feeding tube)를 장내까지 삽입한 후 수분이나 유동식을 담은 주사기를 피딩튜브에 연결하고, 주사기를 높이 들어 올려 중력에 의해 유동식이 장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간호사 또는 보조자가 주사기를 가압하여 주사기 내의 수분 또는 유동식이 장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유동식을 직접 주입시켜야 하므로 유동식을 주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유동식의 주입시 주사기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을 경우 환자의 식도 점막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주사기를 수차례 교체하여 유동식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교체 시의 접촉에 의한 세균침투에 따른 위생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링거액 수용팩과 같은 용기에 유동식을 담은 후 링거액 수용팩을 높이 매달아 유동식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 일회용의 한계로 인해 두 번 정도 사용하면 찢겨져 사용할 수 없고, 외관이 세울 수 있도록 고정된 형상이 아니므로 유동식을 담아 이동하고 매달아 고정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09884호에는 환자용 유동식 공급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유동식 공급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가 측벽에 형성된 커버, 상단부가 개구되고 상단부에 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커버와 결합하며, 하단부에 토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식이 충진되는 몸체 및 몸체의 토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밀봉 결합되는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유동식 공급용기는 몸체가 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여 기존의 링거액 수용팩을 이용하는 것이 비해 불편함이 다소 제거되기는 하였으나 유동식의 주입시 간호사나 보호자가 공기흡입구의 면적을 조절하여 공기의 주입량을 수작업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간호사나 보호자가 지켜보면서 계속적으로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시간 낭비로 인한 간호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를 열어 중력에 의해 유동식을 주입하므로 공급시간 및 공급속도의 조절이 어렵고, 유동식의 공급이 완료되면 다시 공기흡입구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929051호에는 음식물주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음식물주입장치는 가압용기에 주입된 가압용 액체의 무게에 의해 유동식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유동식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서 유동식을 균일한 압력으로 환자에게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동식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유동식을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려보내거나 유동식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유동식을 배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유동식이 채워지는 용기의 내부에서 스크류를 회전시켜 균일한 압력과 속도로 유동식을 배출할 수 있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식의 공급속도를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각 환자의 특성에 맞추어 유동식을 공급할 수 있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는 내부에 유동식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식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식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마련된 피딩하우징과; 상기 피딩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딩하우징으로 유입된 유동식을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며 구동모터가 설치된 캡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작하여 상기 유동식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을 분리 및 결합시키는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식이 상기 수용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커플링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마련된 축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채워진 유동식의 이동을 상기 피딩하우징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로 진행할수록 상기 수용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이 포물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보스와,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형성되고 회전시 유동식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식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배출구의 반대방향으로 유동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브에 다수의 반송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식이 채워지는 수용용기의 하부에 별도의 피딩하우징을 마련하고, 피딩하우징에 설치된 스크류부재를 회전시켜 유동식을 배출시키므로 균일한 압력과 속도로 유동식을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각 환자의 특성에 맞추어 배출되는 유동식의 양과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비강 또는 입으로 연결된 피딩튜브를 통해 이동하는 유동식이 멈추게 되면 리브에 형성된 반송홈들을 통해 유동식이 수용용기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유동식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여 환자의 식도 점막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식 공급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동식 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동식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류부재가 피딩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크류부재가 피딩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유동식은 의식 불명 및 기력이 없는 환자 또는 위장병 환자 등과 같이 스스로 음식을 씹거나 삼킬 수 없는 사람들에게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장내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미음, 우유, 죽, 수프 따위와 같이 씹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의미한다. 또한, 유동식은 수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동식 공급장치는 크게 수용용기(10)와, 피딩하우징(20)과, 스크류부재(50)와, 캡(70)과,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수용용기(10)는 내부에 유동식이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13)이 형성된다. 수용용기(10)의 외관 및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수용용기(1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구조를 가진다. 개방된 상부를 통해 일정량의 유동식을 수용용기에 주입한다. 바람직하게 수용용기(10)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수용공간(13)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은 포물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용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유동식의 이동을 하부에 마련된 피딩하우징(20)으로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용용기(10)의 구조에 의해 유동식은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식의 양만큼 수용용기(10)에서 피딩하우징(20)으로 유동식이 원활하게 유입된다.
수용용기(10)는 수지나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용기(10)는 외부에서 유동식의 주입 상태, 남아 있는 유동식의 양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투광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하우징(20)은 수용용기(1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피딩하우징(20)은 수용용기(10)와 일체로 제작되지만, 이와 달리 피딩하우징(20)을 수용용기(10)와 별도로 제작하여 피딩하우징(20)을 수용용기(1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딩하우징(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은 수용용기910)의 수용공간(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피딩하우징(20)의 하부는 음식물이 고이지 않고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돔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돔형태를 갖는 피딩하우징(20)의 하부 중앙, 즉 가장 낮은 지점에는 연결부(22)가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부(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시된 나사산은 생략될 수 있다. 연결부(22)에는 유동식이 배출되는 배출구(25)가 마련된다.
피딩하우징(20)의 연결부(22)에는 단속부(30)가 결합된다. 단속부(30)는 피딩하우징의 연결부(22)에 나사결합하는 이송관(31)과, 이송관(21)에 설치되어 이송관(21)의 통로를 개방 및 차단시키는 개폐밸브(35)를 구비한다. 개폐밸브(35)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손잡이(37)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개폐밸브(35)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전자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관(31)의 하부에는 급식튜브(5)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급식튜브(5)는 이송관(31)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급식튜브(5)는 환자의 비강 또는 입을 통하여 장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비위관 등의 피딩튜브(feeding tube)를 의미한다.
스크류부재(50)는 피딩하우징(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류부재(50)는 피딩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수용용기(10)에서 피딩하우징(20)으로 유입된 유동식을 배출구(25)로 밀어낸다.
스크류부재(50)는 삽입홈(미도시)이 상부에 형성된 보스(51)와, 보스(5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형성되는 리브(55)를 구비한다. 리브(55)는 보스(5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보스(51)를 감아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리브(55)의 직경은 피딩하우징(2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리브(55)의 가장자리는 피딩하우징(2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딩하우징(20)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55)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하면서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부재(50)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딩하우(20)징에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식을 배출구(25)로 밀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용기(10)에 채워진 유동식을 수용용기(10)에서 바로 배출구(25)로 배출하는 구조가 아니라 수용용기(10)에서 피딩하우징(20)으로 유동식을 이동시킨 후 피딩하우징(20)에서 스크류부재(50)로 유동식을 밀어내어 배출구(25)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크류부재(5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유동식의 배출 제어가 용이하다.
수용용기(10)의 상부에는 유동식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4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0)는 수용용기(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수용용기(10)에 결합한다. 이 경우 커버(4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40)와 수용용기(10) 사이의 결합부위에서 유동식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40)는 패널(41)과, 패널(41)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축지지부(45)를 구비한다. 패널(41)의 가장자리는 수용용기(1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축지지부(45)는 후술할 회전축(9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후술할 커플링(91)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마련된다. 커버(40)는 수용용기(1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용용기(10)의 내주면에는 패널(41)의 가장자리가 걸릴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70)이 결합된다. 캡(70)의 하부에는 나사부(71)가 형성되어 수용용기(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달리 수용용기(10) 및 캡(70)은 나사결합 대신에 캡(70)의 하부가 수용용기(10)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캡(70)은 하부에는 격벽(73)이 설치되어 캡(70)의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격벽(70)은 캡(7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캡(70)의 내부공간에는 구동모터(97)가 설치된다. 구동모터(97)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동력전달부에 의해 스크류부재(50)에 전달된다.
또한, 캡(70)에는 유동식의 배출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모터(97)의 회전속도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마련된다. 조작부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버튼(81)과,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버튼(83)(85)과, 리셋버튼(8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부는 캡(70)의 상면에 마련된다. 외부에서 연장된 전원 케이블(89)이 캡(70)의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된다. 상용전원 외에 배터리가 캡(70) 내부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작부를 통해 각 환자의 특성에 맞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유동식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 옆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8)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캡(7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와, 전기회로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작동을 위한 각종 구성들이 내장된다.
동력전달부는 스크류부재(50)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90)과, 회전축(90)과 구동모터(97)의 구동축(99)을 분리 및 결합시키는 커플링(91)을 구비한다.
회전축(90)은 스크류부재(50)의 보스(51)에 결합된다. 보스(51)에 형성된 결합홈에 회전축(90)의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보스(51)에 결합된 회전축(90)은 수용용기의 중심에 배치된다. 회전축(90)은 커버의 축지지부(45)에 형성된 관통홀(46)을 통과하여 축지지부(45)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으로 연장된다.
구동모터(97)의 구동축(99)은 격벽(73)을 관통하여 축지지부(45)의 장착공간으로 연장된다. 회전축(90)과 구동축(99)은 축지지부(45)의 내부에서 커플링(91)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커플링(91)으로 회전축(90)의 상부에 결합된 제 1연결부재(93)와, 구동축(99)의 하부에 결합된 제 2연결부재(95)로 이루어진다. 제 1연결부재(93)의 하부에는 회전축(90)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연결부재(95)의 상부에는 구동축(99)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 1연결부재(93)의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연결부재(93)(95)의 요철부는 서로 치합하여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커플링(91)에 의해 회전축(90)과 구동축(99)을 결합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식 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속부(30)의 개폐밸브(35)를 잠근 상태에서 일정량의 유동식을 수용용기(10)의 수용공간에 채운 다음 커버(40)를 수용용기(10)의 상부에 결합하고 캡(70)을 수용용기(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회전축(90)과 구동축(99)은 커플링(91)에 의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관(31)에 환자의 장내로 연장된 급식튜브(5)를 연결한 후 개폐밸브(35)를 조작하여 이송관(31)의 통로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전원버튼(81)을 온 상태로 위치시킨 후 속도조절버튼(83)(85)을 조작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게 유동식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97)의 회전속도를 선택하여 구동모터(97)를 가동시킨다. 선택된 적절한 속도로 스크류부재(50)가 회전하면서 스크류부재(50)가 유동식을 배출구(25)로 밀어낸다. 유동식은 급식튜브(5)를 통해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공급되어 환자의 장내로 주입된다.
이때 환자의 일회 섭취량에 대응되는 유동식이 환자의 장내로 유입되면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의 가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가동되어 유동식을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동식 공급장치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스크류부재의 리브(65) 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그외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5 및 도 6에 적용된 스크류부재는 리브(65)에 다수의 반송홈들(67)이 형성된다. 반송홈(67)은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식의 압력이 상승하면 유동식을 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반송홈(67)을 통해 유동식은 배출구(25)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반송홈(67)은 보스(51)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나선형의 리브(65)를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반송홈(67)은 리브(65)의 가장자리에서 보스(51) 중심방향으로 패여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반송홈(67)은 반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송홈(67)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스(5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반송홈(67)은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90도, 18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송홈(67)의 수와 크기는 반송되는 유동식의 양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환자의 장내로 유동식이 더 이상 주입이 되지 않아 급식튜브에서 유동식이 이송이 중단된 경우 스크류부재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급식튜브의 유동식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높은 압력에 의해 유동식이 강제로 주입되면 환자의 식도 점막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스크류부재가 계속 회전을 하더라도 유동식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유동식이 반송홈(67)을 통해 상부로 밀려서 올라가게 되므로 배출구(25)로 유동식이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급식튜브로 유동식이 주입되지 않으므로 급식튜브 내에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용용기 20: 피딩하우징
25: 배출구 30:단속부
40: 커버 45: 축지지부
50: 스크류부재 51: 보스
55: 리브 70:캡
90: 회전축 97: 구동모터

Claims (6)

  1. 내부에 유동식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식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식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마련된 피딩하우징과;
    상기 피딩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딩하우징으로 유입된 유동식을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며 구동모터가 설치된 캡과;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작하여 상기 유동식의 배출속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을 분리 및 결합시키는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식이 상기 수용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커플링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마련된 축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채워진 유동식의 이동을 상기 피딩하우징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로 진행할수록 상기 수용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이 포물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보스와,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비틀어져 형성되고 회전시 유동식을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식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배출구의 반대방향으로 유동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브에 다수의 반송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KR20100098975A 2010-10-11 2010-10-11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KR101188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975A KR101188898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975A KR101188898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302A KR20120037302A (ko) 2012-04-19
KR101188898B1 true KR101188898B1 (ko) 2012-10-08

Family

ID=4613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8975A KR101188898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4846B (zh) * 2018-04-23 2020-10-30 吉林省中医药科学院(吉林省中医药科学院第一临床医院) 消化内科用流食供给装置
CN109011121A (zh) * 2018-08-31 2018-12-18 李安生 电动流食助推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884Y1 (ko) 2003-01-23 2003-04-16 이종웅 환자용 유동식 공급용기
EP2248507A2 (en) 2009-05-07 2010-11-10 Tyco Healthcare Group LP Medical fluid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884Y1 (ko) 2003-01-23 2003-04-16 이종웅 환자용 유동식 공급용기
EP2248507A2 (en) 2009-05-07 2010-11-10 Tyco Healthcare Group LP Medical flui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302A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5020C2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120197191A1 (en) Enteral feeding tube and housing
US20070235405A1 (en) Nursing device
US9636280B1 (en) Programmable nursing bottle
US20130186915A1 (en) Nursing device
US8568351B2 (en) Nursing device
WO2008098190A1 (en) Enteral feed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1188898B1 (ko) 스크류형 유동식 공급장치
CN113116727A (zh) 一种消化内科使用的供药供食设备
CN212308456U (zh) 一种临床用肠内营养温控装置
US11464712B2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infant gavage feeding
CN111150661A (zh) 一种重症监护护理喂食装置
KR101005294B1 (ko) 유동식 공급장치
CN113827851A (zh) 一种耳鼻喉护理用便携式喷药器
CN113397985A (zh) 一种消化系统治疗医用流食供给设备
CN219963486U (zh) 一种临床护理用鼻饲喂药器
KR20100134493A (ko) 모유와 우유를 동시에 수유 가능한 젖병
CN112370360B (zh) 一种吞咽障碍患者使用的具有加热功能的定量喂食器
CN109549856A (zh) 一种消化系统疾病患者用流食喂送装置
CN211835416U (zh) 一种具有防倒流功能的临床护理用胃管
CN218166660U (zh) 一种肠内营养液搅拌加温装置
CN215780043U (zh) 一种改良结构的ioe营养管
TWM493382U (zh) 自動餵食裝置
CN213190313U (zh) 一种雏鸭药浴用均匀分撒药物机
CN114272138A (zh) 一种消化科辅助进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