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98B1 -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 Google Patents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298B1
KR101188298B1 KR1020110114238A KR20110114238A KR101188298B1 KR 101188298 B1 KR101188298 B1 KR 101188298B1 KR 1020110114238 A KR1020110114238 A KR 1020110114238A KR 20110114238 A KR20110114238 A KR 20110114238A KR 101188298 B1 KR101188298 B1 KR 10118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connection
headset
rotating shaf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상부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한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를 다른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부재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Headset having the Plural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휨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국가방위산업 전반에 있어, 군수 전략, 전술의 원활한 수립 및 수행을 위해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및 지시 전달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군용 통신장비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군용 통신장비 중,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헤드셋은 사용이 간편하고 무게가 가벼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던 헤드셋의 경우, 사용자의 양측 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이어폰과,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이어폰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밴드가 구비된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헤드셋은 연결밴드 부분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재질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방식을 가진다. 이때, 헤드셋의 연결밴드 부분은 그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에 따라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가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헤드셋의 탄성에 의해 강하게 조여져 사용자가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장시간 착용 시에는 통증이 수반되기도 한다. 또한, 이는 사용자의 작전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규격의 헤드셋을 생산할 경우,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생산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크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가 기준 이상인 경우 두부를 강하게 압박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상부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한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를 다른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부재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의 내부에는 각각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다른 연결부재 하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축부재 하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연결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홀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축부재를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 외측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에 따라 연결부재 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체 헤드셋의 규격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사용자에게 미려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연결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헤드셋 자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다양한 종류의 헤드셋을 생산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이 뛰어나며, 제조 비용 역시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에 있어서, 한 쌍의 연결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에 있어서, 연결부재 간의 연결 방식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에 있어서, 토션스프링과 연결부재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에 있어서, 조절레버를 회전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1)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은 복수 개의 연결부재(30)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복수 개의 연결부재(30) 중 가장 외측에 위치된 한 쌍의 연결부재에는 소리전달부재(10)가 구비된다.
소리전달부재(10)는 사용자의 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유, 무선통신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일반적인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 소리전달부재(10)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30)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므로, 연결 부분의 형상이 연결부재(3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연결부재(30)에 대한 설명 후 서술하도록 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연결부재(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는 몸체부(32)와, 몸체부(32)의 상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34)와, 몸체부(32)의 하부에 상부연결부(34)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부(36)를 포함한다.
즉, 몸체부(32)는 상부연결부(34)와 하부연결부(36)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부연결부(34)와 하부연결부(36)는 몸체부(32)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부연결부(34)의 아래쪽에는 타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가 위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연결부(36)의 위쪽에는 타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가 위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연결부(34)와 타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 또는 하부연결부(36)와 타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 간을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헤드셋(1)의 밴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연결부(34)와 하부연결부(3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나, 이와 달리 상부연결부(34)와 하부연결부(36)가 반대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부연결부(34)와 타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 또는 하부연결부(36)와 타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 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연결부재와 다른 연결부재 간이 회전축부재(2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재(30)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위해 완충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재(30)의 측면 부분에 상부연결부(34), 몸체부(32), 하부연결부(36)에 걸쳐 완충재(7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의 분해 구조가 자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0)의 상부연결부(34) 및 하부연결부(36) 내부에는 각각 수용공간(S1, S2)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부재(20)는 상부가 상부연결부(34)의 수용공간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연결부(34)의 아래쪽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부연결부(34)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회전축부재(20)의 하부는 다른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 내측 수용공간에 결합시킴에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30)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된 한 쌍의 연결부재는 회전축부재(20)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도 1과 같이 자연스러운 굽힘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부재 간의 회전각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굽힘 정도 역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가 달라질 경우에도 해당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여러 규격으로 생산할 필요가 없으며, 굽힘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임에 따른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미려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부연결부(34)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회전축부재(20)의 하부는 다른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 내측 수용공간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의 회전축부재(20) 하부와 하부연결부(36)의 결합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하부연결부(36)의 수용공간(S2)에는 걸림턱(37)이 형성되고, 회전축부재(20)의 하부에는 걸림턱(37)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정돌기(22)는 한 쌍이 회전축부재(2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축부재(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재(20) 사이에는 탄성부재(24)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돌기(22)는 하부연결부(36)의 수용공간(S2) 입구 부분에서는 회전축부재(20)의 중심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하부연결부(36)의 수용공간(S2) 입구 부분을 통과한 뒤에는 탄성부재(2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걸림턱(37)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 간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후 서로 연결된 연결부재 간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돌기(22)를 회전축부재(20)의 중심측 방향으로 밀어 걸림턱(37)으로부터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부재 간의 고정을 위해 고정돌기(22)와 걸림턱(37)의 걸림 방식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와 달리, 보다 다양한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고정돌기(22)는 탄성부재(24)에 의해 복원력을 가질 수도 있으나, 고정돌기(22)의 상단이 회전축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재질 자체의 탄성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부재(30) 중 양단에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에는 소리전달부재(10)가 구비된다. 소리전달부재(10)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부재(3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리전달부재(10)가 연결부재(30)에 연결되는 부분이 각각 연결부재(30)의 상부연결부(34) 또는 하부연결부(36)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일측 소리전달부재(10)의 연결 부분이 상부연결부(34) 또는 하부연결부(36)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측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1)은 사용자의 두부 사이즈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굽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미려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0) 간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재(30) 간을 서로 연결 시 회전 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션스프링(40)이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S1)에 구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션스프링(40)은 소정 횟수 감긴 스프링몸체(42)를 가지며, 일측(44)은 회전축부재(20)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46)은 몸체부(32)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38)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재(20) 회전 시에는 토션스프링(20)에 의한 저항력이 인가된다.
상기 삽입홀(38)은 회전축부재(20)의 둘레 바깥쪽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이 어느 한 삽입홀(38)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이 어느 삽입홀(38)에 고정되는가에 따라 토션스프링(40)의 비틀림 정도가 달라져 연결부재(30) 간의 회전 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홀(38)이 총 3개소 형성되어, 3단계로 회전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부재(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부재(20)의 하부는 하부연결부(36)에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삽입홀(38)은 본 실시예와 같이 몸체부(3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부연결부(34)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삽입홀(38)의 개수 역시 3개소보다 적거나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복수 개의 삽입홀(38)에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와 회전축부재(20)의 단면이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은 삽입홀(38)에 삽입되고, 이때 회전축부재(20)의 상단에는 조작레버(50)가 구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조작레버(50)는 상부연결부(34)의 수용공간(S1)을 차폐하는 커버(60)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부재(20)의 상단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토션스프링(40)의 일측(44)은 회전축부재(20)에 고정되므로, 조작레버(50)의 조작에 따라 토션스프링(40)의 비틀림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조작레버(50)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에 접촉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52)가 구비된다.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은 하에서 상으로 삽입홀(38)에 결합되므로, 연장부(52)를 하향시킬 경우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을 삽입홀(3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레버(50)를 눌러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을 현재 결합된 삽입홀(38)로부터 분리한 뒤, 조작레버(50)를 회전시켜 회전축부재(20) 및 토션스프링(40)을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조작레버(50)에서 외력을 제거 후 토션스프링(40)의 상하 방향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레버(50)가 다시 상향되도록 하여, 토션스프링(40)의 타측(46)이 다른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조작레버(50)를 조작하여 토션스프링(40)을 복수의 삽입홀(38) 중 어느 하나에 선택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30) 간의 회전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작레버(50)의 조작 예시가 도시된다. 중앙에 도시된 그림은 조작레버(50)가 중립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양측에 도시된 그림은 각각 조작레버를 어느 일측으로 조작하여 내측의 토션스프링(40)이 고정되는 삽입홀(38)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헤드셋(1)의 각 연결부재(30) 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와 같은 조작레버(50)는 각 연결부재(30)마다 구비되므로, 부위 별로 세밀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어 어느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도 두부의 형상에 적합하게 세팅된 헤드셋(1)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헤드셋
10: 소리전달부재
20: 회전축부재
22: 고정돌기
30: 연결부재
32: 몸체부
34: 상부연결부
36: 하부연결부
37: 걸림턱
40: 토션스프링
50: 조작레버
60: 커버
70: 완충재

Claims (7)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상부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한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를 다른 연결부재의 하부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연결부재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의 내부에는 각각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다른 연결부재 하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헤드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헤드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축부재 하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헤드셋.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에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연결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홀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헤드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축부재를 상기 상부연결부의 수용공간 외측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더 구비된 헤드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완충재가 구비된 헤드셋.
KR1020110114238A 2011-11-04 2011-11-04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KR10118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38A KR101188298B1 (ko) 2011-11-04 2011-11-04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38A KR101188298B1 (ko) 2011-11-04 2011-11-04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298B1 true KR101188298B1 (ko) 2012-10-08

Family

ID=4728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38A KR101188298B1 (ko) 2011-11-04 2011-11-04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2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33B1 (ko) 1999-05-14 2007-01-15 지엔 넷컴 에이에스 헤드셋용 헤드밴드
KR101159795B1 (ko) 2011-06-08 2012-06-26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헤드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33B1 (ko) 1999-05-14 2007-01-15 지엔 넷컴 에이에스 헤드셋용 헤드밴드
KR101159795B1 (ko) 2011-06-08 2012-06-26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5555B2 (en) Adjustable and convertible audio headphones
US8605935B1 (en) Headphones with a pair of glasses
US9900681B2 (en) Earbud headphone adapter
US9788099B2 (en) Ear tip with stabilizer
US8515115B2 (en) Audio earbud headphone with extended curvature
EP2606659B1 (en) Audio ear bud headphone with extended curvature
US8542859B2 (en) Interchangeable headphone audio system
US20110176699A1 (en) Earphone with a fixed function and earplug with a fixed function
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070253587A1 (en) Ear cana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A2723000A1 (en) Earhook and earbud headset
EP2081401A2 (en) Headphone
CN105392080A (zh) 一种新型自适应耳套
US20130195310A1 (en) Earphone with fixing function and earplug thereof
CN107172512A (zh) 耳机耳翼
WO2014033472A2 (en) Headphones and headsets
WO2008044819A1 (en) Head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1015235A (ja) ヘッドホン
US20140270318A1 (en) Necklace-type audio output apparatus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CN103124391B (zh) 助听器保持配件
US20140211977A1 (en) Over/under dual-fit wearing option earphones
EP1969897B1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KR101188298B1 (ko) 복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헤드셋
US20220078537A1 (en) Performance neckband for wireless earbu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