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29B1 - Steam boiler - Google Patents

Steam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29B1
KR101187929B1 KR1020120029601A KR20120029601A KR101187929B1 KR 101187929 B1 KR101187929 B1 KR 101187929B1 KR 1020120029601 A KR1020120029601 A KR 1020120029601A KR 20120029601 A KR20120029601 A KR 20120029601A KR 101187929 B1 KR101187929 B1 KR 10118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eam
water
temperature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성
지성배
Original Assignee
지성배
고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배, 고재성 filed Critical 지성배
Priority to KR102012002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78Adaptations or mounting of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28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for direct heat transfer, e.g. by mixing water and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PURPOSE: A steam boiler is provided to rapidly generate steam by enhancing preheating efficiency and to make water convection current within a steam tank smooth. CONSTITUTION: A steam boiler comprises a water supply pump(10), a preheating tank(20), and a steam tank(30). The preheating tank comprises an electronic heater, thereby pre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through a water supply pipe. The steam tank comprises an electronic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preheated by the preheating tank and emits steam generated by being heated by the electronic heater. An inlet for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is diagonally arranged below an outlet for discharging to the steam tank. A horizontal tank and a vertical tank are formed into one body so that an internal space of the steam tank i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ivided.

Description

스팀보일러{STEAM BOILER}Steam Boiler {STEAM BOILER}

본 발명은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의 스팀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예열탱크가 구비되어 소규모의 실내공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보일러의 사용이 편리하고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스팀탱크내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른 전기히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불안정한 증기압의 변화와 급속한 온도 냉각을 막아 전력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유지비용을 절약하고, 예열효율성을 높여 신속하게 다량의 스팀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rovided with a preheating tank for stably discharging high-pressure steam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mall indoor space. In addition, by efficiently controlling the electric he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changes in the steam tank to prevent the unstable steam pressure change and rapid temperature cooling, to reduce the waste of power, to save the maintenance cost, and to increase the preheating efficiency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boiler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steam.

일반적으로 전기 스팀보일러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전환된 열에너지로 증기발생탱크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75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In general, the electric steam boiler is a device for generating water vapor by heating the water supplied into the steam generating tank with heat energy converted from electrical energy.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750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

130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9424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94-13123호에는 다양한 전기 스팀보일러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를 수용하는 증기발생탱크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증기발생탱크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증기발생탱크에 설치된 전열기와,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유입구를 증기발생탱크의 내부로 물이 직접 공급되며, 상기와 같은 스팀보일러를 통해 얻어지는 고압의 스팀은 세탁소, 봉제공장, 취사장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3018,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79424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4-13123 disclose various electric steam boilers, which are generally steam generating tanks for receiving inflow water and steam generated from the water. And,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to heat the water supplied into the steam generating tank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and a level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ing tank. It is.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steam boiler,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and the high pressure steam obtained through the steam boiler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laundry, a sewing factory, and a kitchen.

하지만, 종래의 스팀보일러는 수도관 등을 통해 물이 급수 탱크에 유입되어 체류 되는 상태로 저장된 다음 수조에 곧바로 공급되는 형태이므로 계절적으로 온도가 낮은 차가운 물이 수도관으로부터 급수 탱크를 통해 수조에 급수되는 경우에 수조에서는 이러한 차가운 물이 뜨거운 물과 혼합되면서 수조의 가열온도를 저하시키게 되므로 수조에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열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스팀발생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가열온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이에 따른 스팀발생량이 불규칙적으로 되기 때문에 스팀공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a conventional steam boiler is a form in which water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water enters a water tank through a water pipe and stays, and is immediately supplied to a water tank, when cold water is low in seaso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water tank. In the water tank, as the cold water is mixed with the hot water,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is lowered.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heat the steam in the water tank, so the steam generation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and the heating temperature is not consta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eam supply is not constant because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irregularly.

특히, 떡방앗간과 같은 장소에서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떡을 찌기 위해 지속적으로 스팀이 제공될 수 있는 스팀보일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종래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전기 스팀보일러는 가열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여 스팀 배출량과 스팀의 온도가 불안정해지게 되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데 따른 전기소비량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곧바로 난방관에 있는 고온수의 냉각이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스팀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주기적으로 보일러를 작동시켜 예열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 난방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되는 것이었다.In particular, in a place such as a rice cake mill, a steam boiler capable of continuously providing steam to steam rice cake using high temperature steam is required. In general, a conventional electric steam boiler has a constant heating temperature. This resulted in unstable steam discharge and steam temperature, which greatly increase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using the electric heater, and immediately when the boiler was shut down, Since the cooling proceeds rapidly, the heating cost is excessively generated, such as the need to operate the boiler periodically to preheat the steam for rapid discharge, thereby increasing the economic burden.

이에,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625호 "전기 스팀보일러"에서는 횡형으로 구비되어 받침대(110a)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분리구획되는 차단벽(115)을 설치하여 일측은 수조(120)이고, 타측은 상기 수조(120)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급수탱크(130)로 구성되어 상기 수조(120)에는 다수의 히터(122)가 횡설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탱크(130)의 입수구(132)는 물을 유입시키는 펌프(134)가 설치되고 출수구(136)는 체크밸브(137)를 거쳐 급수관(139)을 통해 수조(120)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팀실(145)을 구비하기 위한 스팀통체(140)가 직립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조(120)의 상부 중앙부분에 상향개구시킨 개구부(124)의 둘레에 스팀통체(140) 하단이 용접되는 형태로 부착되어 수조(120)내의 물이 스팀실(145)에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팀통체(40)의 상측에는 수위감지봉(150)이 설치되어 스팀실(145) 내에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수조 내의 물을 히터로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증기)을 다량 발생시키는 스팀보일러에서 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의 물이 수조의 가열된 열원에 의해 예열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us, in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1625 "electric steam boiler"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type and is installed vertic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s installed to rest on the pedestal (110a) One side is a water tank 120 by installing a partition wall 115 to be partitioned,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tank 130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120, and a plurality of heaters 122 are provided in the water tank 120. The water inlet 132 of the water supply tank 130 has a pump 134 installed therein and the water outlet 136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12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39 through a check valve 137. The water supply is made to the furnace, the steam cylinder 140 for providing the steam chamber 145 is installed in an upright state and the steam cylinder (around the opening 124 opened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tank 120) 140) the lower end is attached in a welded form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steam chamber 145 In order to be distributed, the water level detecting rod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cylinder 40 is installed so as to be upright in the steam chamber 145 to heat the water in the tank with a heater to heat the high temperature steam (vapor)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stably supplying steam by allowing the water of a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a water tank to a water tank in a large amount of generating a steam boiler to be preheated and supplied by a heated heat source of the water tank.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기 급수탱크(130)를 수조(120)의 히터(122)에 의한 열원이 상기 차단벽(115)을 통과하여 전달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일러를 초기 시동하여 예열시키기에는 많은 시간과 전력이 사용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며, 상기 수조(120)의 가열온도가 낮아지면 탱크 내부의 물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증기압도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급수탱크(130)의 내부의 물도 급속하게 냉각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보일러의 재시동을 위한 전력이 과도하게 소모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현상은 상기 히터(122)가 오랜 시간 동작되지 않았을 때 그 냉각속도가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heat source by the heater 122 of the water tank 120 is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tank 130 through the blocking wall 115, and initially starts the boiler. It is not efficient because a lot of time and power is used to preheat, and if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120 is lower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tank is sharply dropped and the vapor pressure drops sharply, and thus the water supply tank 130 The internal water may also be rapidly cooled, which may result in excessive consumption of power for restarting the boiler. This phenomenon may occur when the heater 122 is not operated for a long time. It's fast, so it's not efficient.

또한, 통상적으로 급수 탱크 내부의 물은 대류되면서 가열되는데, 상기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물이 빨리 가열되어 수증기가 빨리 발생된다. 그런데, 상기의 기술은 수조(120)와 스팀통체(140)가 용접을 통해 직립 방향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단순하게 냉크 내의 물 수위가 높아지도록 하고 있어 물이 가열되는 부분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 물의 대류에 의한 순환에 도움을 주는 특별한 구조로 이루어지 않는 것이며,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봉(150)이 상기 수조(12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증기량이 많아지거나 물이 끓어 상기 수위감지봉(150)이 오작동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is usually heated while convection, and the convection should be performed smoothly so that the water is heated quickly and steam is generated quickly. 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the water tank 120 and the steam cylinder 140 are installed in the upright direction by welding,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is simply increased, and the portion where the water is heated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It is not made of a special structure to help the circulation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rods 150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20, so that the amount of steam or water boils the water level detection rods 150 This was to have a malfunctioning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급수가 공급되는 예열탱크를 구비하여 예열된 급수부터 우선적으로 스팀탱크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예열효율성을 높여 신속하게 다량의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고, 스팀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시켜 스팀탱크 내에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온수가 증발로 인한 스팀실의 스팀 발생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압의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탱크 내의 지나친 압력상승 및 온도상승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다수개의 전기히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과도한 온도상승과 냉각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하여 과도하게 공급되는 전력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유지비용을 절약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안정적인 스팀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ving a preheating tank is supplied with the feed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steam tank preferentially from the preheated feed water to increase the preheating efficiency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steam quickly, steam By impro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ank, the convection of water in the steam tank is smooth, so that the steam generation in the steam chambe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water evaporates more quickly, thereby providing a stable supply of high-pressure steam as well as excessive pressure rise in the tank. And efficient control of a large number of electric heaters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changes in temperature, which prevents excessive temperature rise and cooling rapidly,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To provide a steam boi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와;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예열탱크에서 예열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하는 스팀이 배출되기 위한 스팀배출구가 구비된 스팀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예열탱크는, 상기 급수펌프에서 공급되는 급수가 들어오기 위한 입수구가 상기 스팀탱크로 배출되기 위한 출수구보다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팀탱크는, 바닥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평탱크와, 상기 수평탱크의 상부로 길게 설치되는 수직탱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이 가로와 세로로 분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A preheating tank provided with an electric heater for pre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eedwater pump through the feedwater pipe; An electric heater for receiving and preheating the water preheated from the preheating tank through a supply pipe, and a steam tank having a steam outlet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by the electric heater; In the steam boiler comprising a, the preheating tank is installed obliquely such that the inlet for ente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is located below the outlet for the discharge to the steam tank, the steam tank, The horizontal tank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bottom portion and the vertical tank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nk is integrally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so as to branc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상기 스팀탱크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부와; 상기 스팀탱크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스팀탱크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의 동력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예열탱크와 스팀탱크의 전기히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steam tank;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steam tank;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 the steam tan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water supply pump on and off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s of the preheating tank and the steam tank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상기 스팀탱크의 전기히터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탱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범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기히터 각각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 및 차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최고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팀탱크의 전기히터 전부 및 상기 예열탱크의 전기히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heater of the steam tank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r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tank maintains a set temperature Applied and cut off the pow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in sequence, and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the set maximum value to control to shut off all the electric heaters of the steam tank and the electric heater of the preheating tank.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예열효율성을 높여 신속하게 다량의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고, 스팀탱크 내에 물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온수가 증발로 인한 스팀실의 스팀 발생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압의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탱크 내의 과도한 온도상승과 냉각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하여 과도하게 공급되는 전력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유지비용을 절약하고, 스팀보일러의 사용이 편리하고 안정적인 장점을 갖는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preheating efficiency so that a large amount of steam is generated quickly, and the convection of water in the steam tank is smooth, so that the steam generation of the steam chambe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water evaporates more quickly. This ensures a stable supply of high-pressure steam, prevents excessive temperature rise and cooling in the tank rapidly, and reduces maintenance costs by reducing waste of excessively supplied power.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and stable.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steam boil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급수펌프(10), 예열탱크(20), 스팀탱크(30), 수위감지부(40), 압력센서(50), 온도센서(60),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ump 10, the preheating tank 20, steam tank 30,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40, pressure sensor 50, temperature sensor 60, the control part 70 is compri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세탁소, 봉제공장, 취사장, 방앗간 등 주로 일상 생활과 밀접한 장소에 비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 스팀보일러는 앵글 형태로 간편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이동형 본체(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 부분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1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형 본체(1)의 내부가 노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이동형 본체(1)의 내부를 가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place close to daily life, such as laundry, sewing factory, kitchen, mill, so as to be convenient for use. Therefore, the steam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ovable main body 1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n angle shape, and a caster 1a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portion to facilitate movement.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movable body 1 is configured in an exposed form,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movable body 1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상기 급수펌프(10)는 후술하기 위한 상기 예열탱크(20) 및 스팀탱크(30) 내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작동되도록 상기 이동형 본체(1)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water supply pump 10 is to supply water in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steam tank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movable main body 1 to b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70. .

상기 예열탱크(20)는 상기 급수펌프(10)에서 상기 스팀탱크(30)에 급수되는 물을 예열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21)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10)에서 급수관(15)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예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기히터(21)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전기히터봉인 것으로 물을 가열하기 위해 보일러 탱크 내에 설치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열수단이다.The preheating tank 20 is for pre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tank 30 from the water supply pump 10, the electric heater 21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e tank is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ump ( 10) to prehe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 The electric heater 21 is an electric heater rod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is a commonly used heating means that can be installed in a boiler tank to heat water.

상기 스팀탱크(30)는 상기 예열탱크(20)와 연결된 공급관(25)을 통해 상기 예열탱크(20)에서 예열된 물을 공급받아 가열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팀탱크(30)는 상기 이동형 본체(1) 내부 바닥부분에 구비될 수 있는 받침대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평탱크(31)와 상기 수평탱크(31) 상부로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직탱크(32)가 일체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분기되게 형성된다.The steam tank 3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the preheated water from the preheat tank 20 through a supply pipe 25 connected to the preheat tank 20. The steam tank 3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tank 31 and the horizontal tank 3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ase which can be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movable body (1). Vertical tank 32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is branch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상기 수평탱크(31)는 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전기히터(33) 즉, 상기 예열탱크(20)에 설치된 것과 같은 전기히터봉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25)을 통해 상기 예열탱크(2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horizontal tank 31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heater 33 for heating water in the tank, that is, an electric heater rod installed in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preheating tank 20 through the supply pipe 25. It is formed into a long cylindric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to be filled with water.

상기 수직탱크(32)는 상기 수평탱크(31) 내부의 전기히터(33)에 의해 가열된 물이 상승하여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수평탱크(31)와 내부가 통하게 형성되는데, 상부에는 스팀이 배출될 수 있는 스팀배출구(30a)가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는 내측 상부 공간으로 스팀실(35)이 구비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vertical tank 3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rizontal tank 31 so that the water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33 inside the horizontal tank 31 rises and fills, the steam is discharged in the upper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steam discharge port (30a), it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team chamber 35 is provided to the inner upper space filled with water.

또한, 상기 스팀탱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탱크(31) 및 수직탱크(32)의 내부공간이 통하도록 외측이 서로 융접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내부공간이 서로 분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수평탱크(31)는 수평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탱크(32)는 상기 수평탱크(31)의 중앙 상부에서 수평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 스팀보일러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tank 30 is integrally formed by fusion with the outer side so that the inner spaces of the horizontal tank 31 and the vertical tank 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spective inner spaces branch from each other. The horizontal tank 31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area is w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tank 32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tank 31 It is formed so that the area becomes wider.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steam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the following effects.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예열탱크(20)를 통해 예열된 물이 상기 수평탱크(31)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스팀탱크(3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수평탱크(31) 내에 설치된 전기히터(33)에 의해 가열이 진행되면서 뜨거워진 물은 상기 수평탱크(31) 상부로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의 면적이 좁아지게 설치된 상기 수직탱크(32)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스팀탱크(30) 내부에 담긴 물의 대류 현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전기히터(33)의 가열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대류 현상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탱크(32) 내의 스팀실(35)에 다량의 스팀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팀배출구(30a)를 통해 스팀탱크(30) 외부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스팀배출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water preheated through the preheating tank 20 flows into the horizontal tank 31, water filled in the steam tank 3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tank 31. The water heated as the heating proceeds by 33)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tank 31 and is contained in the steam tank 30 in order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tank 32 in which the area in the width direction is narrowed. The convection phenomenon of water becomes active. The convection phenomenon may be more actively perform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lectric heater 33 increases, and thus, a large amount of steam may be quickly provided to the steam chamber 35 in the vertical tank 32. And, through the steam outlet (30a) it is possible to supply a quick and stable steam discharge amount to the outside of the steam tank (30).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예열탱크(20)는 상기 스팀탱크(30) 측부에 브라켓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급수펌프(10)에서 공급되는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20a)가 상기 스팀탱크(30)로 배출되기 위한 출수구(20b)보다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예열탱크(2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preheating tank 2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team tank 30 by a bracket, and an inlet 20a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10 enters the steam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bliquely to be located below the outlet 20b for discharge into the tank (30). The preheating tank 2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예열탱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펌프(10)에서 공급되는 급수가 들어오는 입수구(20a)가 상기 스팀탱크(30)로 배출되기 위한 출수구(20b)보다 아래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예열탱크(20)는 탱크 내부로 급수된 물이 상기 전기히터(21)에 의해 우선적으로 가열되면서 탱크 내의 활발한 대류 현상을 유도하게 되고, 가열된 급수 중 고온의 급수가 상기 출수구(20b)를 통해 상기 스팀탱크(30)로 우선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탱크(30)에는 상기 예열탱크(20)에서 예열을 거친 물이 공급되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계절적으로 낮은 온도의 차가운 물이 수도관 등을 통해 유입이 되더라도 예열탱크(20)를 통해 예열된 물이 스팀탱크(30)에 급수되어 스팀(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preheating tank 20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than the outlet 20b for discharging the water inlet 20a for receiv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10 to the steam tank 30 as described above. The preheating tank 2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nduces active convection in the tank while the water supplied into the tank is preferentially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21, and the hot water of the h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outlet port ( 20b) to be first discharged to the steam tank 30. Therefore, the steam tank 30 is supplied with pre-heated water from the preheating tank 20, so if a deviation occurs in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water, for example, seasonally low temperature cold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pipes and the like. Even if this is the preheated water through the preheating tank 20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tank 30 to generate steam (steam),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steam stably and quickly.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는 상기 예열탱크(20) 및 상기 스팀탱크(30)의 상호간에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급수탱크에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배출하는 기술에 비해 지속적인 스팀량을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하에서 추가로 후술하게 되는 구성요소들의 편리한 제어를 통해 지속적인 스팀을 제공하는데에 따른 열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effect as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through the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steam tank 30 in the technique of discharging steam by heating water in a water supply tank having a conventional general structure In comparison,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 continuous amount of steam, and to further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of providing continuous steam through convenient control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상기 수위감지부(40)는 상기 스팀탱크(30)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종래의 전기 스팀보일러는 증기발생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상기 증기발생탱크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증기량이 많아지거나 물이 끓어 상기 수위센서에 튀김으로써 수위센서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감지부(40)가 상기 수직탱크(32) 외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관에 검수콕 등이 구비된 수주관으로 이루어져 수위센서와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수위감지부(40)와 같은 수주관에 전극봉을 삽입하고, 그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보일러 수위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한 수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70)의 조작 신호에 의해 회로를 개폐하여, 급수 조절기나 저수위 차단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위감지부(40)는 전극식 수위 검출기의 형태로 구조가 간단하고, 전극봉의 수를 증가함에 따라 수위 제어, 저수위 차단, 고수위 경보 등 임의의 신호를 얻을 수 있어 종래의 스팀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에 비해 고장률과 오작동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40 is a component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steam tank (30). The conventional electric steam boiler ha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is installed inside the steam generating tank, the amount of steam is increased or the water boils and splashes on the water level sensor malfunctions.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40 is composed of a water pipe provided with a check cock, etc. in a cylindrical pi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ank 32, such that a malfunction such as a water level sensor does not occur. And inserting an electrode rod into a water pipe such as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40, detecting a state of the boiler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and converting the detected water level into an electric signal to control the controller 70. It is connected to be able to transmit a signal to,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it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water regulator or a low water level breaker.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40 has a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n electrode type water level detector, and as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an arbitrary signal such as water level control, low water level blocking, and high water level alarm can be obtained. Compar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the failure rate and malfunction may be reduced.

상기 압력센서(50)는 상기 스팀탱크(30) 내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에 설정된 압력 이상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팀압력변(도면미도시) 등의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배기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압력센서(50)는 후술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70)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어부(70)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스팀배출구(30a)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스팀압력계 등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pressure sensor 50 senses the pressure in the steam tank 30 and detects that the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set in the controller 70, the pressure signal (not show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0. It i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exhausting through the device. The pressure sensor 50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may be installed arou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eam outlet (30a)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70 It would be desirable to be able to monitor it with a steam pressure gauge.

상기 온도센서(60)는 상기 스팀탱크(30)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직탱크(32) 상부에서 탱크 내측으로 길게 입설되는 온도측정봉(61)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에서 설정된 온도범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급수펌프(10)의 가동을 제어하여 상기 예열탱크(20) 및 스팀탱크(30) 내에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고, 상기 전기히터(21,33)의 가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팀탱크(30)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mperature sensor 60 is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the steam tank 30, the measurement in real time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rod (61) long in the tank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tank 32 in real time from the user Simultaneously with monitoring,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steam tank 30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10 in the controller 7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range set by the controller 70.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s adjus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tank 3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heaters 21 and 33.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수위감지부(40)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10)의 동력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6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예열탱크(20)와 스팀탱크(30)의 전기히터(21,33)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on / off power of the water supply pump 1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40, and the preheating tank 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 And the power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s 21 and 33 of the steam tank 30 on / off control.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상기 스팀탱크(30)는 상기 수평탱크(31)에 설치되는 전기히터(33)가 다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팀탱크(3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센서(60)에서 측정된 온도범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기히터(33) 각각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 및 차단하고, 상기 온도센서(6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최고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팀탱크(30)의 전기히터(33) 전부 및 상기 예열탱크(20)의 전기히터(21)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tank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33 installed in the horizontal tank 31, the control unit 70 is the steam tank 30, the pow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33 is sequentially applied and block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r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so as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sensor (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60 exceeds the set maximum value, the electric heater 33 of the steam tank 30 and the electric heater 21 of the preheating tank 20 may be controlled to shut off.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과 상기 제어부(70)의 제어를 통한 스팀보일러의 동작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effects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eam boiler through the control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상기 스팀탱크(30)의 전기히터(33)가 두 개 이상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팀탱크(30)에 세 개의 전기히터(33)가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각각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 전기히터(33)는 각각 제1 히터봉(331), 제2 히터봉(332), 제3 히터봉(333)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팀탱크(30)의 전기히터(33)와 상기 예열탱크(20)의 전기히터(21)를 상기 온도센서(60)에서 측정된 온도범위의 변화를 통해 각각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온도범위의 감지단계가 설정되어 그 범위에 따라 상기 제어부(70)에 제어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two or more electric heaters 33 of the steam tank 3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electric heaters in the steam tank (30) The 33 is configured to operate through the control unit 70, respectively, the electric heater 33 is the first heater rod 331, the second heater rod 332, the third heater rod 333, respectively. It consists of. For this reason,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electric heater 33 of the steam tank 30 and the electric heater 21 of the preheating tank 20 through a change in the temperature r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Each control method can be controlled, and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according to the sensing step of the following temperature range is set.

우선, 상기 제어부(70)에서 설정될 수 있는 온도범위의 감지단계는 상기 온도센서(60)에서 측정되는 온도범위 감지단계가 2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총 4단계의 온도범위 감지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70)에 설정되는 온도범위의 감지단계가 제1단계 감지단계(Tl), 제2단계 감지단계(Tm), 제3단계 감지단계(Th), 제4단계 감지단계(To)로 설정되어 설정 온도의 최저값과 최고값의 범위 안에서 순차적으로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탱크(30)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설정온도값이 120°이고 설정최고값이 150°인 경우, 설정값과 최고값의 범위가 120°부터 150°까지이고 이때, 제1단계 감지단계(Tl)는 120°~130°, 제2단계 감지단계(Tm)는 130°~140°, 제3단계 감지단계(Th)는 140°~150° 정도로 각각의 온도범위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제4단계 감지단계(To)는 150°를 초과하는 온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안정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설정최고값이 고압으로 팽창된 압력에 의한 위험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바람직한 온도를 정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range that can be set by the control unit 70 may be set such that the temperature range sensing step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is performed in two or more steps. Thu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 is configured to have a total temperature range detection step of four steps, and the detection step of the temperature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70 is the first step detection step (T). ), The second step detection step (Tm), the third step detection step (Th), and the fourth step detection step (To) are set to control the steps to proceed sequentially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set temperature. do. For example, when the set temperature valu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tank 30 at 120 ° and the set maximum value is 150 °, the range between the set value and the maximum value is 120 °. Up to 150 °, where the first detection step (Tl) is 120 ° ~ 130 °, the second detection step (Tm) is 130 ° ~ 140 °, and the third step detection step (Th) is 140 ° ~ 150 Each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to about °, and the fourth step detecting step T may be set so that a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70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150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generate stable steam continuously and to set the desired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that the set maximum value does not exceed the dangerous level caused by the pressure expanded to high pressur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온도범위 감지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70)는 다음과 같이 제어를 하게 된다. 우선, 상기 예열탱크(20) 및 스팀탱크(30) 내부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초기 시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70)에서 모든 가열수단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온도에 미치기까지 상기 전기히터(21,33)에 인가되는 전원을 ON 신호로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후 설정 온도 이상으로 점차적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단계 감지단계(Tl)에 해당하는 온도일 경우,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제1 히터봉(3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단계 감지단계(Tm)에 해당하는 온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제2 히터봉(3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추가로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제3단계 감지단계(Th)에 해당하는 온도일 경우에는 제3 히터봉(333)에 공급되는 전원을 추가로 차단하여 순차적으로 제1 히터봉(331) 내지 제3 히터봉(333)을 차례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최종 단계인 제4단계 감지단계(To)에 도달할 경우 즉,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설정된 온도범위의 설정최고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히터봉(331) 내지 제3 히터봉(333) 전부에 공급되는 전원를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예열탱크(20)의 전기히터(21)에 공급되는 전원을 함께 차단하여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모든 가열수단을 차단하여 탱크 내의 과도한 온도상승과 압력팽창으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팀탱크(30) 내에 물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미리 최저 온도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고, 설정 온도값을 현재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변경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범위 감지단계가 차단 신호에서 작동 신호 즉, OFF신호에서 ON신호로 변경되어 순차적으로 다시 상기와 같은 온도범위 감지단계가 반복되면서 제1단계 감지단계(Tl)에서 제4단계 감지단계(To)에 해당하는 온도 중 설정온도값에 도달하는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상기 제1 히터봉(331) 내지 제3 히터봉(33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the control as follows through the temperature range sensing step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the initial start-up to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steam tank 30,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apply power to all heating means, the user preset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s 21 and 33 is maintained as an ON signal until it reaches a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is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detection step T, as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after reaching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70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heater rod 331.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ep detection step (Tm),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further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heater rod 332, the third step detection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tep (Th) to furthe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hird heater rod 333 to sequentially block the first heater rod 331 to the third heater rod 333 in order. Will be.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 reaches the fourth stage detecting step T, which is the final stage, that is, when the set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range set by the controller 70 is exceeded, 1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all of the heater rods 331 to 333 and simultaneously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21 of the preheating tank 20 to supply water. Shut off all means of heating the heated water to prevent the risk of excessive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expansion in the tank.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in the steam tank 30 is cool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minimum temperature value in advance through the control unit 70, so that the set temperature value is set higher than the current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range dete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is changed from the blocking signal to the operation signal, that is, the OFF signal to the ON signal, and the temperature range detection step is repeated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er rod 331 to the third heater rod 333 is outputted so as to rise to a temperature reaching a set temperature value among the temperatures corresponding to the step detection step T.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은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때, 상기 온도센서(60)를 통해 고온에서 점차적으로 냉각되는 물의 온도 차이를 계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에서 새롭게 설정된 설정온도값에 해당되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온도범위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몇몇 단계로 세분화하여 설정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21,33)에 인가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operation is preferably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hrough the control unit 70, at this time,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water gradually cooled at a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60 The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s 21 and 33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by subdividing the temperature range into several steps as in the embodiment so that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newly set set temperature value is kept constant in the controller 70. It can be adjusted to minimiz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상기와 같은 제어부(70)의 제어를 통해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손실을 예방함은 물론, 스팀 배출에 따른 급격한 압력손실을 빠르게 보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어 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폭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스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 온도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보일러 유지에 따른 연료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event heat loss due to excessive temperature ris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as described above, but also quickly compensate for a sudden pressure loss due to steam discharg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ressure change inside the tank can be minimized to provide stable steam,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thereby maintaining the fuel cost of maintaining the steam boiler to generate steam. You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by saving.

또한, 상기 예열탱크(20) 및 스팀탱크(30)의 유기적인 결합 작용과 상기 제어부(70)의 편리한 제어를 통해 설정된 온도범위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고압의 스팀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organic coupling action of the preheating tank 20 and the steam tank 30 and the convenient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to reach the set temperature range more quick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high-pressure steam to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is generat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스팀보일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steam boiler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e embodiments which have been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이동형 본체 1a 캐스터
10 급수펌프 15 급수관
20 예열탱크 20a 입수구
20b 출수구 21 전기히터
25 공급관 30 스팀탱크
30a 스팀배출구 31 수평탱크
32 수직탱크 33 전기히터
331 제1 히터봉 332 제2 히터봉
333 제3 히터봉 40 수위감지부
50 압력센서 60 온도센서
61 온도측정봉 70 제어부
<Brief Description of Main Drawings>
1 movable body 1a caster
10 Water Pump 15 Water Pipe
20 Preheat Tank 20a Inlet
20b outlet 21 electric heater
25 Supply Line 30 Steam Tank
30a Steam outlet 31 Horizontal tank
32 Vertical Tank 33 Electric Heater
331 First Heater Rod 332 Second Heater Rod
333 3rd heater rod 40 water level detector
50 Pressure sensor 60 Temperature sensor
61 Temperature bar 70 Control unit

Claims (3)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와;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예열탱크에서 예열된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하는 스팀이 배출되기 위한 스팀배출구가 구비된 스팀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예열탱크는, 상기 급수펌프에서 공급되는 급수가 들어오기 위한 입수구가 상기 스팀탱크로 배출되기 위한 출수구보다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팀탱크는, 바닥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평탱크와, 상기 수평탱크의 상부로 길게 설치되는 수직탱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이 가로와 세로로 분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
A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A preheating tank provided with an electric heater for pre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eedwater pump through the feedwater pipe; An electric heater for receiving and preheating the water preheated from the preheating tank through a supply pipe, and a steam tank having a steam outlet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by the electric heater; In a steam boiler configured to include,
The preheating tank is installed obliquely such that an inlet for ente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eed water pump is located below the outlet for discharging to the steam tank.
The steam tank is a steam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tank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bottom portion and the vertical tank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nk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is divid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탱크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부와;
상기 스팀탱크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스팀탱크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의 동력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예열탱크와 스팀탱크의 전기히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water level in the steam tank;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steam tank;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 the steam tan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water supply pump on and off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s of the preheating tank and the steam tank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 Steam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탱크의 전기히터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탱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범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기히터 각각의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 및 차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최고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팀탱크의 전기히터 전부 및 상기 예열탱크의 전기히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 heater of the steam tank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apply and cut off pow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r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tank maintains a set temperature.
Steam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lock all the electric heater of the steam tank and the electric heater of the preheating tank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the set maximum value.
KR1020120029601A 2012-03-22 2012-03-22 Steam boiler KR101187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01A KR101187929B1 (en) 2012-03-22 2012-03-22 Steam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01A KR101187929B1 (en) 2012-03-22 2012-03-22 Steam b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929B1 true KR101187929B1 (en) 2012-10-08

Family

ID=4728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601A KR101187929B1 (en) 2012-03-22 2012-03-22 Steam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98B1 (en) 2018-03-14 2018-07-27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steam generator with display
CN110030541A (en) * 2019-05-15 2019-07-19 上海勋友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A kind of high-temperature low-pressure electric water heater and method
KR101991373B1 (en) * 2018-12-05 2019-09-30 (주)창화에너지 Electric steam boi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26B1 (en) 2008-03-24 2008-09-08 황성호 A steam device of rice cake an earthenware steamer
KR200442500Y1 (en) 2007-09-10 2008-11-13 박병옥 Electric steam boi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00Y1 (en) 2007-09-10 2008-11-13 박병옥 Electric steam boiler
KR100857526B1 (en) 2008-03-24 2008-09-08 황성호 A steam device of rice cake an earthenware steam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98B1 (en) 2018-03-14 2018-07-27 에스제이이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steam generator with display
US10753603B2 (en) 2018-03-14 2020-08-25 Sje Corporation, Ltd. Monitoring system for steam generating device mounted with display
KR101991373B1 (en) * 2018-12-05 2019-09-30 (주)창화에너지 Electric steam boiler
CN110030541A (en) * 2019-05-15 2019-07-19 上海勋友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A kind of high-temperature low-pressure electric water heater and method
CN110030541B (en) * 2019-05-15 2024-01-09 北大青鸟节能科技(浙江)有限公司 High-temperature low-pressure hydropower heat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795B1 (en) Water heater with automatic controller
US20120090559A1 (en) Economically-operated, dual-energy hot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187929B1 (en) Steam boiler
CA2761035C (en) Steam generator
KR20120033989A (en) Hot water tank capable of preventing overheat
KR101163414B1 (en) Steam generator
CN203777557U (en) Vehicle-mounted carbon dioxide/nitrogen dioxide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KR20110026549A (en) Hybrid electricity boi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50596A (en) A steam generating apparatus
KR101712017B1 (en) hot-water and heating boiler
KR101219907B1 (en) Eletric steam, hot-water boilor
KR101675550B1 (en) Hot-water boiler using carbon heater
KR20160048560A (en) Electric boiler
CN212183760U (en) Electric heater
US20180363949A1 (en) Safety system for a gas fueled water heater
CN103573282A (en) Liquid-gas state converter of carbon dioxide/nitrogen and conversion system
KR101308610B1 (en) Superheater for steam boiler
KR101392393B1 (en) The steam generator and an electric steam boiler having the same
KR20090125367A (en) In line block electric steam boiler
KR200451625Y1 (en) Electric steam boiler
CN204593331U (en) A kind of steam generator
CN204730166U (en) Steam boiler
KR101641698B1 (en) Apparatus for supply warm water using parallel type coil type heat exchanger
KR101991373B1 (en) Electric steam boiler
KR102160802B1 (en) Electronic steam boiler intergrated with water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