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298B1 -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298B1
KR101186298B1 KR1020110038981A KR20110038981A KR101186298B1 KR 101186298 B1 KR101186298 B1 KR 101186298B1 KR 1020110038981 A KR1020110038981 A KR 1020110038981A KR 20110038981 A KR20110038981 A KR 20110038981A KR 101186298 B1 KR101186298 B1 KR 10118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response
voice
stimulus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명
한종혜
최지연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말소리를 구성하는 낱자소리, 음절, 단어, 문장 및 단어와 문장이 조합되어 피검자의 소리인식에 필요한 말소리 자극파일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말소리 자극을 피검자의 유형에 맞춰 제공할 수 있도록 청각적 코드로 저장되는 음성자극 D/B; 상기 음성자극 D/B에 입력된 말소리 자극으로 피검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음성(音聲)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음성출력수단; 상기 음성외부반응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청각반응에 따른 행동반응을 유도하여 피검자의 시지각반응을 파악하도록 실험관찰자에 의해 조작되어 명령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음성외부반응에 상응하는 빛이 방출되도록 피검자의 주변에 시지각(視知覺)외부반응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조명수단; 상기 음성 및 시지각 외부반응의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피검자의 반응과 키입력이 로그파일로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에서의 말소리 자극파일 입력과 로그파일 기록의 1차적 처리 및 상기 음성외부반응의 자극 제시로 피검자의 습관화 유도와, 이의 회피 또는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는 경우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시지각외부반응이 입력되어 피검자의 인식능력을 처리하는 인식처리모듈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Evaluation system of sonic stimulation partial suggestion and auditory preference for infants}
본 발명은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소리를 이루고 있는 음절 및 이의 구성요소인 음운에 대하여 영유아의 음운 변별능력과 음운 범주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향신호로 이루어지는 말소리를 배우기 위해서는 말소리를 이루고 있는 음절, 그리고 이의 구성요소인 음운에 대한 표상이 습득되어야 한다.
따라서, 언어습득 초기에 있는 영유아들에게 소리인식과정이 정상적으로 발달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밀한 평가는 영유아가 추후 정상적 혹은 지연적 언어발달을 보일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영유아대상의 소리인식 실험방법으로 Auditory preference procedure(Jusczyk et al., 1992)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동일한 소리의 청취로 유발되는 영유아의 습관화(habituation) 과정에 근거한 회피반응과 이어지는 새로운 자극간 청취시간에 그 근거를 둠으로써, 새로운 자극과의 직접적인 비교나 변별을 유도할 수 있는 모듈이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자극의 분석 및 선호의 결과로 나타났다고 가정하는 영유아의 머리움직임은 실제로 영유아의 짧은 주의력에 의해 판단키 힘든 혼란스런 지그재그 반응이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영유아의 반응행동에 대한 경향을 애써 무시하고 상대적으로 더 길었던 청취자극에 대한 청취시간이라는 측정치를 기준으로 선호도를 인위적으로 구분함으로써 반응선택의 적절한 해석에 있어 신뢰도 문제가 야기되었다.
따라서, 이를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여 기존의 습관적 자극에서 벗어나 달라진 자극에 대한 변별과정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모듈의 개발과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치가 연동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말소리 반응선택에서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영유아의 음운 변별능력과 음운 범주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특정소리 청취현상을 기계적으로 구현하여 영유아의 소리 청취 선호 및 인식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청취능력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이에 따른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은 말소리를 구성하는 낱자소리, 음절, 단어, 문장 및 단어와 문장이 조합되어 피검자의 소리인식에 필요한 말소리 자극파일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말소리 자극을 피검자의 유형에 맞춰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말소리 자극이 청각적 코드로 저장되어 있는 음성자극 D/B; 상기 음성자극 D/B에 입력된 말소리 자극으로 피검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음성(音聲)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음성출력수단;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제공되는 음성 외부반응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청각반응에 따른 행동반응을 유도하여 피검자의 시지각(視知覺) 반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험관찰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일정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음성자극에 상응하는 일정한 빛이 방출되도록 피검자의 주변에 설치되어 시지각(視知覺)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조명수단; 상기 음성 및 시지각 외부반응으로 제공된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피검자의 반응과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이 로그파일로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에서의 말소리 자극파일 입력과 로그파일 기록의 1차적 처리 및 상기 음성 외부반응 제시로 피검자의 습관화를 유도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는 경우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시지각 외부반응이 입력되어 피검자의 인식능력을 처리하는 인식처리모듈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피검자의 행동반응 모호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오반응, 지연반응, 판단보류 등의 반응결과를 종합하여 획득한 실험결과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는 후처리부;가 더 포함되어 있어 영유아의 소리청취 및 인식여부 판단을 객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말소리 자극을 통한 청각반응과 더불어 빛을 통한 시지각(視知覺)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조명수단이 한 개 이상의 LED램프로 구성되어 피검자의 좌우 및 전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성출력수단 또는 조명수단의 일측에는 피검자의 행동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영상출력수단과, 피검자의 행동상태를 촬영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은 말소리자극을 통한 반응선택에서 좀더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데이터를 제공하고, 특히 말소리 자극과 빛을 통한 시지각(視知覺) 자극을 동기화시켜 청각자극은 물론 시지각 자극을 통해 영유아의 언어이해 및 말소리 습득과정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말소리 학습과정의 양태과정 연구를 통해 언어지체아동이나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 상황을 정량화된 지표로 검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목표과제는 물론 훈련방법의 제시에 있어서도 그 효율적 가치가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의 주요 구성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 레이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시스템의 설치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음운반응 동기화시스템의 기본원리를 설명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의 구성은 피검자에게 제시될 자극파일을 제어부에 입력하는 입력부(200)와,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말소리 자극이 저장된 음성자극 D/B를 통해 음성이나 빛으로 피검자에게 제공되는 외부반응(100)과, 상기 외부반응(100) 중에서 음성으로 제공되는 자극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시지각(視知覺)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실험관찰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일정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210)와, 상기 외부반응(100)으로 제공된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피검자의 반응과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이 로그파일로 출력되는 출력부(300)와, 상기 입력부 (200) 및 출력부(300)에서의 말소리 자극파일 입력과 로그파일 기록의 1차적 처리 및 상기 외부반응의 자극 제시로 피검자의 습관화를 유도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는 경우 키입력부(210)의 조작에 따라 시지각 외부반응이 입력되어 피검자의 인식능력을 처리하는 인식처리모듈(420)이 구비된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서 처리되는 피검자의 행동반응 모호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오반응, 지연반응, 판단보류 등의 반응결과를 종합하여 획득한 실험결과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는 후처리부(5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피검자의 행동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조명수단은 한 개 이상의 LED램프로 구성되어 피검자의 좌우 및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음성출력수단 또는 조명수단의 일측에는 피검자의 행동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영상출력수단이 추가로 설치되고, 피검자의 행동상태를 촬영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도 추가로 설치 구성되는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부에 대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200)는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음성(말소리) 자극을 구성하는 낱자소리, 음절, 단어, 문장 및 단어와 문장이 조합되어 피검자의 소리인식에 필요한 말소리 자극파일이 입력되며,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말소리 자극을 피검자의 유형에 맞춰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말소리 자극이 청각적 코드의 형태로 변환되어 음성자극 D/B(410)로 저장 제어부(400)의 명령에 따라 제어된다.
즉, 상기 입력부(200)에 입력되는 말소리 자극은 여러 유형의 자극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낱자소리 자극, 2음절 1단어 자극, 3단어 1문장 자극 등이 입력되어 청각적 코드로 변환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호출에 따라 응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피검자에게 제공되는 외부반응(100)은 피검자의 주의를 유도하고 진행되는 소리자극에 대한 피검자의 습관화 및 탈습관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음성자극 D/B(410)에 입력된 말소리 자극으로 피검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음성(音聲)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음성출력수단(20, 22)과, 상기 음성 출력수단(20, 22)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외부반응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청각반응에 따른 행동반응을 유도하여 피검자의 시지각반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험관찰자의 키입력부 조작으로 일정한 명령어가 입력되어 동작되는 시지각(視知覺) 외부반응으로 조명수단(10, 12, 14)이 제공된다.
상기 음성(音聲) 외부반응은 복수개의 음성출력수단(20, 22)을 통해 음성자극D/B에 저장된 음성자극이 프로그래밍화된 순서로 제시되고, 상기 시지각(視知覺) 외부반응은 상기 음성 외부반응에 상응하는 일정한 빛이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을 통해 각 방향에서 순서대로 조사되는 조명수단(10, 12, 14) 및 영상출력수단(15)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음성(音聲)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음성출력수단(20, 22)이나 시지각(視知覺)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조명수단(10, 12, 14) 및 영상출력수단(15)은 피검자의 테스트를 위해 적절한 위치와 개수로 설치되어 상술한 키입력부 및 제어부(400)에 의해 연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에 출력되는 내용은 상기 제어부(400)의 통제 및 프로그래밍화된 내용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입력부(200)와 출력부(300) 및 제어부(400)는 프로그래밍화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컴퓨터장치(30)를 이용하여 피검자에게 일정한 말소리(음성) 자극이 분할 제시 되고 말소리자극에 대응하여 조명이 동기화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피검자가 제시 자극의 위치를 예측하지 못하도록 임의적 자극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후처리부(500)는 피검자의 행동반응의 모호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오반응, 지연반응, 판단보류 등의 반응결과를 종합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상술한 키입력부(210)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상기 키입력부(210)는 상기 입력부(200)에 입력된 말소리 자극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청각반응에 따른 행동반응을 유도하여 피검자의 시지각(視知覺) 반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험관찰자가 직접 키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의 동작내용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술한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 평가시스템이 피검자 주위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소리인식과정 및 청취능력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입력부(200)에 의해 입력되어 음성자극 D/B(410)에 저장된 말소리 자극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20, 22)으로 복수의 스피커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음성출력수단(20, 22)이 설치된 피검자의 양측과 전방으로 상기 음성출력수단(20, 22)에서 제시되는 말소리 자극에 대응하여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에 따라 말소리 자극과 동기화되어 점소등 되는 조명수단(10, 12, 14)으로 LED램프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20, 22)으로 제공되는 스피커는 피검자의 청각기능에 적합하도록 피검자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명수단(10, 12, 14)으로 제공되는 LED램프 역시 피검자의 좌?우 양쪽 및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조명수단(10, 12, 14)으로 제공되는 LED램프는 피검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휘도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평가시스템이 설치된 일측에는 피검자의 인식 및 반응상태를 촬영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3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설치로 피검자에 대한 평가시스템이 수행되는 것으로, 음성자극 및 외부반응의 제시로 피검자에 대한 행동반응을 평가하는 수행과정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키입력부(210)의 키입력과정을 통해 외부반응이 제시되고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실험관찰자는 준비된 상태에서 먼저, Ready버튼을 누르면 가운데 불이 켜지고 버튼 레이블이 Ready에서 Start버튼으로 바뀐다.
Start버튼을 누르면 피검자 전방에 설치된 외부반응의 조명수단(10, 12, 14)으로 제공된 Led램프에 불이 점등되고, 피검자가 전방에 위치한 조명램프를 바라볼 때, Start버튼을 누르면 Start버튼이 비활성화 되면서 전방의 조명램프가 소등되고 피검자의 양측에 설치된 조명수단중 일측의 조명램프에 불이 점등된다.
버튼레이블은 Start에서 Stop으로 바뀌고, Look버튼이 활성화된다.
피검자가 불이 점등된 일측의 조명램프를 바라볼 때 Look버튼을 누르면, 조명램프가 깜박거리기 시작하고, 소리 자극이 제시된다.
이후 Look버튼은 비활성화되고 AWAY버튼이 활성화되며, 습관화(Habituation)가 될 때까지 소리자극은 계속되며, 피검자가 고개를 돌리면 AWAY버튼을 누르고, 이에 따라 점등된 조명램프의 깜박임은 계속되지만 말소리 자극은 중단된다. 이후 AWAY버튼이 비활성화되면서 Look버튼이 활성화되고, 다시 Look버튼을 누르면 자극이 제시되는 형태로 음성자극 및 빛에 의한 외부반응을 통해 피검자에게 청각 및 시지각 자극을 제공하는 즉, 피검자의 소리반응에 따른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으로 동기화된 조명수단이 점등되면서 피검자의 행동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출력부에서의 출력치는 두가지로서, 1차적으로는 피검자인 영유아 반응의 성공여부이다. 즉, 영유아가 새로운 청각자극에 반응하여 고개를 돌리면 키입력부의 AWAY버튼을 눌러 성공을 저장한 후, 고개를 원위치하면 AWAY버튼을 재차누르면 프로그램상에 청취시간도 기록되어 출력된다.
또한, 피검자인 영유아에게 제시된 새로운 자극에 반응이 없거나 틀리면 바로 STOP버튼을 눌러 실패를 저장한다.
피검자에게 자극이 다시 제시되어 제시된 반응에 대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영유아에게 제시된 자극에 대한 반응의 성공여부와 반응시간이 기록되어 어떤 종류의 소리자극에 민감하며 선호를 보이는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검자에 대한 평균치를 구해서 다른 피검자들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치를 토대로 피검자의 정상적 혹은 비정상적인 언어발달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평가완료된 피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영유아에 대한 평가기준표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며, 동일집단 대비 평균 이하의 목록들을 선별하여 개별 영유아 특성에 알맞는 맞춤식 청취훈련을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상술한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요소를 기초로 설계되는데, 그 기본원리는 기존의 인지심리학에 밝혀진 Ellis와 Young(1996)이 제안한 소리입력에 관한 언어처리모형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피검자(영유아)의 청각 인지체계에서 일어나고 처리되는 기본적인 언어처리모형에 대해 도 4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에게 다양한 유형의 말소리 자극이 제공되는데, 이때 제공되는 말소리자극인 음성단어는 녹음된 소리파일의 형태(*.WAV)가 컴퓨터장치(30)의 제어부(400)의 통제하에 외부반응(100)의 한 형태인 음성자극으로 스피커를 통해 제시된다.
피검자는 제시되는 음성단어의 말소리 자극을 청각적 음성입력 분석시스템을 통해 소리자극을 구별하고, 피검자의 머리속에 들어 있는 구별가능한 소리목록 또는 어휘목록인 청각어휘집으로 이동한 후, 입력된 음성단어가 청각어휘집에 있는 것과 동일하여 그 뜻을 알고 있다면 의미센터에서 처리하고 그렇지 않다면 소리의 연쇄만을 가진 채 낱자 혹은 낱자 하위의 음소로의 음운인식이나 이들이 묶인 음절 연쇄체로의 음운인식이 진행된다.
상기 청각적 음성입력 분석시스템은 피검자의 청각기관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자극이 자연, 동물 혹은 사람의 소리인지, 그리고 사람의 조음기관을 통해 들리는 말소리(특히, 엄마의 말소리)인지를 구별하고, 그 말소리의 높낮이, 장단, 크기 등이 분별되는 피검자의 청각인지시스템을 가리킨 것이며, 상기 청각 어휘집 역시 피검자인 영유아의 머리속에 들어있어 사람의 말소리를 구별가능한 소리목록 혹은 의미와 연결될 수 있는 어휘들의 목록으로 피검자가 인식 가능한 청각사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청각소리 분절시스템과 청각입력 음소인식 거르개는 이전에 제시된 말소리자극을 청취한 후, 새로운 소리자극에 반응하게 되었다면 이는 당해 자극에 대해 소리의 연쇄들(주로 음절)에서 어떤 소리가 달라졌는지, 그리고 이마저 비슷하다면 그 하위소리에서 어떻게 차이(각, 갈-> ㄱ, ㄹ; 맘, 감->ㅁ, ㄱ; 난, 넌->ㅏ, ㅓ 등의 차이)가 있는지를 상술한 분석시스템 및 과정을 통해 판단하게 된다.
즉, 피검자(영유아)에게 제공된 자극에 대해서 나타난 행동반응에 대해서 실험측정자는 피검자가 얼마동안 보면서 들었는지 시간을 측정하며, 새로운 자극제시되었을 때 이 자극에 반응했다면 얼마동안 지켜보며 들었는지, 무반응이었는지 등을 판단하여 키입력을 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그 반응시간을 로그파일로 기록하게 되며, 새로운 자극으로 피검자의 행동반응의 방향이 바뀌었다면 이는 이전과는 다른 소리에 반응한 것으로 간주하게 되며, 청취능력 평가는 이렇게 유사한 소리들이 제시되었을 경우, 평균 성공률 등을 통해 판정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은 언어습득 초기에 있는 영유아들에게 소리인식과정이 정상적으로 발달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가 추후 정상적 혹은 지연적 언어발달을 보일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객관화 할 수 있는 영유아 말소리 학습과정의 양태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10, 12, 14 : 조명수단 15 : 영상출력수단
20, 22 : 음성출력수단 30 : 컴퓨터장치
35 : 녹화수단
100 : 외부반응 200 : 입력부
210 : 키입력부 300 : 출력부
400 : 제어부 410 : 음성자극D/B
420 : 인식처리모듈 500 : 후처리부

Claims (4)

  1. 말소리를 구성하는 낱자소리, 음절, 단어, 문장 및 단어와 문장이 조합되어 피검자의 소리인식에 필요한 말소리 자극파일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말소리 자극을 피검자의 유형에 맞춰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말소리 자극이 청각적 코드로 저장되어 있는 음성자극 D/B;
    상기 음성자극 D/B에 입력된 말소리 자극으로 피검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해 음성(音聲)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음성출력수단;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제공되는 음성 외부반응에 대응하여 피검자의 청각반응에 따른 행동반응을 유도하여 피검자의 시지각(視知覺)반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험관찰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일정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음성자극에 상응하는 일정한 빛이 방출되도록 피검자의 주변에 설치되어 시지각(視知覺) 외부반응을 제공하는 조명수단;
    상기 음성 및 시지각 외부반응으로 제공된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피검자의 반응과 실험관찰자의 키입력이 로그파일로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에서의 말소리 자극파일 입력과 로그파일 기록의 1차적 처리 및 상기 음성 외부반응 제시로 피검자의 습관화를 유도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는 경우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시지각 외부반응이 입력되어 피검자의 인식능력을 처리하는 인식처리모듈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피검자의 행동반응 모호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오반응, 지연반응, 판단보류 등의 반응결과를 종합하여 획득한 실험결과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는 후처리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한 개 이상의 LED램프로 구성되어 피검자의 좌우 및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수단 또는 조명수단의 일측에는 피검자의 행동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영상출력수단이 설치되고, 피검자의 행동상태를 촬영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KR1020110038981A 2011-04-26 2011-04-26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KR10118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81A KR101186298B1 (ko) 2011-04-26 2011-04-26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81A KR101186298B1 (ko) 2011-04-26 2011-04-26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298B1 true KR101186298B1 (ko) 2012-09-26

Family

ID=4711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81A KR101186298B1 (ko) 2011-04-26 2011-04-26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3519A (ko) 2022-11-18 2024-05-27 주식회사 보이노시스 음소 지각 검사에 따른 평가를 기반으로, 음소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4499A2 (en) 2008-03-10 2009-09-17 Anat Thieberger Ben-Haim Methods and devices for language skill develo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4499A2 (en) 2008-03-10 2009-09-17 Anat Thieberger Ben-Haim Methods and devices for language skill develo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3519A (ko) 2022-11-18 2024-05-27 주식회사 보이노시스 음소 지각 검사에 따른 평가를 기반으로, 음소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ldman et al. Word-level information influences phonetic learning in adults and infants
Cutler Prosody and the word boundary problem
Kooijman et al. Predictive brain signals of linguistic development
Mills et al. Language experience and the organization of brain activity to phonetically similar words: ERP evidence from 14-and 20-month-olds
Wong et al.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lexical tones by 3-year-old, Mandarin-speaking children
Mayr et al. Explaining individual variation in L2 perception: Rounded vowels in English learners of German
Wanrooij et al. What do listeners learn from exposure to a vowel distribution? An analysis of listening strategies in distributional learning
Cornell et al. Inequality across consonantal contrasts in speech perception: evidence from mismatch negativity.
Gonzalez‐Gomez et al. Phonotactic acquisition in healthy preterm infants
De Luca et al. The eye-voice lead during oral reading in developmental dyslexia
Sulpizio et al. Italians use abstract knowledge about lexical stress during spoken-word recognition
Blazej et al. Can we hear morphological complexity before words are complex?
Ordin et al. Perception of speech rhythm in second language: the case of rhythmically similar L1 and L2
Mintz et al. Infants' sensitivity to vowel harmony and its role in segmenting speech
Quam et al. Processing of lexical stress cues by young children
Fernald et al. Infants' developing competence in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words in fluent speech
Hamann Phonological changes
Syrett et al.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listener-oriented clear speech in child language
Curtin Twelve-month-olds learn novel word–object pairings differing only in stress pattern
Mani et al. Speaker identity supports phonetic category learning.
Jia et al. Right hemisphere advantage in processing Cantonese level and contour tones: evidence from dichotic listening
KR101186298B1 (ko) 영유아 대상의 음성자극 분할제시 및 청취능력 평가시스템
Paquette-Smith et al. Spanish-accented English is Spanish to English-learning 5-month-olds.
Petinou et al. Language skills in Cypriot-Greek speaking toddlers with specific language delay
Fort et al. A novel form of perceptual attunement: Context-dependent perception of a native contrast in 14-month-old inf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