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421B1 -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421B1
KR101185421B1 KR20100050325A KR20100050325A KR101185421B1 KR 101185421 B1 KR101185421 B1 KR 101185421B1 KR 20100050325 A KR20100050325 A KR 20100050325A KR 20100050325 A KR20100050325 A KR 20100050325A KR 101185421 B1 KR101185421 B1 KR 10118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te
slope
main body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815A (ko
Inventor
채병곤
김만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10005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4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42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는 경사지를 따라 흘러내린 토사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지에 설치되며 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수용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가 유입시 토사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위의 토사가 제거되면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 및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플레이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은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가 복수 개 설치되며,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각 변위계로부터 각 플레이트가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의 양을 산출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quantity of soil loss}
본 발명은 산사태 등의 지질재해를 예방 및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지에서 강우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거나 이동될 때 그 유실량 또는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산지나 흙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강우가 내릴 경우 표토층에서는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와 물이 사면의 낮은 곳으로 경사방향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로 인해 사면 상부 또는 중부는 토층의 침식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는 상부로부터 이동된 토사가 퇴적된다.
이와 같은 토층의 침식 및 퇴적은 자연적인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 되고, 침식이 심한 경우는 산사태 또는 사면붕괴로 전이되기도 한다. 또한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는 소하천 등을 만날 경우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일부는 하천 저부에 퇴적되어 하상고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상고의 증가는 궁극적으로는 하천의 통수단면을 감소시켜 홍수의 잠재적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토층의 침식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유실 또는 이동량의 측정은 지형의 변화 관찰은 물론 향후 발생하게 될 잠재적 토사재해 및 산사태재해의 예측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경사지에서 토사의 유실량 또는 이동량을 지속적이고 일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토사의 유실량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에 의한 토사 유실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산사태,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 및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일상적으로 토사 유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우에 의해 경사지에서 발생되는 토사 유실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토사 유실량에 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는 경사지를 따라 흘러내린 토사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지에 설치되며 상기 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사가 유입시 토사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위의 토사가 제거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 및 상기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플레이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는 상기 토사와 함께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공질 유공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단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본체부의 저면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위계는 상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 및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변위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은 상기한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며, 상기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각 변위계로부터 상기 각 플레이트가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의 양을 산출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에서는 상기 측정장치가 경사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 상의 동일 높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및 측정장치는 강우시에 발생되는 토사 유실량을 일상적이고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송 가능하므로, 강우사상 및 경사도 등에 따른 토사 유실량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체계적 접근에 의하여, 산사태 및 홍수 등 토사 유실에 따른 자연재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재해의 사전 예방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의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토사가 유입된 후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및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의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300)은 자연산지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절토사면 등의 경사지에서 강수, 강설 등에 의해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 유실되는 양 또는 이동되는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강우 또는 강설이 발생하면 사면의 표토층 침식으로 인해 토사와 물은 사면의 경사방향에 지배를 받아 경사가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며, 최종적으로 경사가 낮은 곳에 퇴적되는데, 본 발명은 강우사상 및 사면 경사도에 따른 표토층의 토사 유실량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300)은 복수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와 콘트롤러(200)를 구비한다.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배치되는데, 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즉 상부에서 하부측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사면의 동일 높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토사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양을 측정하는 견지에서는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가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경사면의 동일 높이에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가 하나만 배치되면 해당 높이에서의 토사 유실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으므로, 동일 높이에 복수의 측정장치(100)를 배치하여 각 측정장치(100)로 유입된 토사의 양을 평균함으로써 유실량에 대한 오차범위를 줄일 수 있다.
각각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는 콘트롤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연산 프로그램을 통해 토사 유실량을 산출한다. 또한 각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에 개별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200)로부터 각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콘트롤러(2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사 유실량을 산출한 후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측에 그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지만,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자측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의 구성 및 측정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는 본체(10), 플레이트(20), 복원수단 및 변위계(4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경사지(s)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유실된 토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부(11)만 형성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가로, 세로가 각각 100Cm, 높이가 40Cm 정도의 규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경사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데, 후술할 플레이트(20)에 토사가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플레이트(20)와 경사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자세로 본체(10)가 매립된다.
본체(10)의 하측면(12)은 토사와 함께 수용부(11)에 유입된 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공질 유공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공질 유공판(12)은 토사는 유출되지 못하고 물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다공질 유공판(12)은 소량의 실트와 점토 크기의 입자만이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인 0.075mm 메쉬의 그물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사면 상단부에서 본체(10)의 수용부(11)로 유입된 토사와 물이 다공질 유공판(12)을 통해 물과 극히 소량의 실트 및 점토질 물질만이 빠져나갈 뿐 대부분의 조립질 토사 이상의 매질은 본체(10)에 그대로 남게 된다.
플레이트(20)는 본체(10)의 수용부(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가 유입되면 토사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회동구조를 채택하였다.
즉, 플레이트(20)는 상단부 양측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본체(10)에도 위 돌기에 대응되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플레이트(20)의 돌기가 본체(10)의 홈부에 끼워짐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다. 또한, 이 돌기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경첩과 같이 플레이트(20)의 하단부가 자유단부로 작용하여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플레이트(20)가 상하로 유동되는 구조는 본 실시예와 같이 회동하는 구조 이외에도 가이드레일 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20)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강우 등에 의하여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토사(g)는 측정장치(100)의 플레이트(20) 위로 유입되며, 토사의 자중에 의하여 플레이트(20)는 눌리게 됨으로써 플레이트(20)는 회동포인트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20)로부터 토사를 제거하면 다시 플레이트(20)가 원위치로 복원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복원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원수단으로는 스프링(30)이 사용된다. 스프링(30)은 플레이트(20)의 하면과 본체(10)의 저면 사이에서 지지되며, 플레이트(20)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30)이 플레이트(20)의 하단부에 3개 마련되어 플레이트(20)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한다.
스프링(30)의 계수는 경사도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즉, 토사 유실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하중이 큰 경우에도 압축량이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으로 유실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하중이 작은 경우에도 압축량이 큰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다. 후술하겠지만, 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에서는 변위계(4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20)가 하방으로 눌린 변위를 측정하여 토사 유실량을 산출해야 하므로 토사의 무게와 플레이트(20)의 이동 변위가 정확하게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중이 작은 경우에도 압축량이 많은 스프링을, 토사 유실량이 많은 경사지에 사용하게 되면 약간의 토사 유실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20)의 상하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부재(51)와 제2가이드부재(52)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51)와 제2가이드부재(52)는 모두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스프링(30)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제1가이드부재(51)는 플레이트(2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2가이드부재(52)는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제1가이드부재(51)의 내주면 양측에는 플레이트(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54)이 형성되어 있고, 제2가이드부재(52)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54)에 끼워져 삽입되는 레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가이드부재(52)의 레일부(56)가 제1가이드부재(51)의 가이드홈(54)에 끼워짐으로써 제1가이드부재(51)와 제2가이드부재(52)가 상호 결합되며, 제1가이드부재(51)는 제2가이드부재(52)의 레일부(56)를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다.
플레이트(20)는 제1가이드부재(51)와 제2가이드부재(52)에 의하여 승강시 괘도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30)의 가압에 의하여 플레이트(20)가 본체(10)의 수용부(1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는 스토퍼(18)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8)는 바 형상으로 본체의 하단부 상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20)의 상방이탈을 차단한다.
변위계(40)는 플레이트(20)가 하방으로 눌려 이동된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변위계가 채택된다. LVDT 변위계(40)는 제1가이드부재(51)와 제2가이드부재(52)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플레이트(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는데,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하므로 플레이트(20)가 하강될 때 압축되고 플레이트(20)가 상승될 때 신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LVDT 변위계는 공지의 부재로서 움직이는 자석심(magnetic core), 하나의 1차 코일(primary coil)과 두 개의 2차 코일(secondary coil)로 구성된다. 교류가 1차 코일에 흐르면 자석심과 2차 코일의 근접정도에 따라 2차 코일에 유도된다. LVDT의 출력값은 두 개의 2차 코일의 전압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자석심이 중간 위에 있으면 LVDT는 0 볼트를 나타내고, 중간위치에서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 또는 - 전압값을 나타낸다. LVDT의 장점은 코일에 접촉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영향이 없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LVDT 변위계(40)는 도선(150)에 의하여 콘트롤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플레이트(20)의 하방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콘트롤러(200)에 전송한다.
본 변위계(40)가 빗물 등 외부의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LVDT 변위계를 감싸며 결합되는 절연튜브(60)를 더 구비한다. 이 절연튜브(60)의 상하단도 각각 플레이트(20)와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플레이트(20)의 승하강시 압축 및 신장가능하다.
즉, 변위계(40)는 위 절연튜브(60)에 의하여 보호되며, 다시 제1가이드부재(51) 및 제2가이드부재(52)에 의하여 보호되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300)의 설치를 위해서는 복수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를 경사지에 매설해야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와 경사면이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강우에 따라 토사 유실이 발생하면, 토사는 표층수와 함께 경사를 따라 흘러 내리는 과정에서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의 플레이트(20) 위로 유입되며, 플레이트(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리게 된다.
플레이트(20)가 하방으로 눌리면 스프링(30)은 압축되며, 변위계(40)도 함께 압축된다. 변위계(40)는 압축된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콘트롤러(200)에 전송하며, 사용자 등은 기설정된 연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사 유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강우가 끝나면 사용자 등에 의하여 측정장치(100) 내의 토사가 제거되며,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하여 플레이트(2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재차 발생하는 강우시에 토사 유실량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우시에 발생되는 토사 유실량을 강우사상 및 경사도 등 다양한 팩터에 따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사 유실량과 이에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플레이트(20)의 승하강 구조가 회동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실시예 등도 가능하다. 즉, 앞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회동하는 구조였지만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100')에서는 플레이트(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가능하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하강하면 플레이트의 단부와 본체(10)의 단부 사이가 약간 벌어지게 되므로, 토사가 플레이트(20)의 하부로 일부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도 7과 같이 플레이트(20')가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스프링(30')이 플레이트(20')의 하면 전체적으로 고르게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앞의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단지 도면부호만 동일 번호에 프라임(')을 붙여 구별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150 ... 도선
200 ... 콘트롤러 300 ...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10 ... 본체 20 ... 플레이트
30 ... 스프링 40 ... 변위계
51,52 ...제1,2가이드부재 60 ... 절연튜브
s ... 경사지 g ... 토양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경사지를 따라 흘러내린 토사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지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측면은 상기 토사와 함께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다공질 유공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사가 유입시 토사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위의 토사가 제거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 및 상기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플레이트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 및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Transformer) 변위계와,
    상기 LVDT 변위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LVDT 변위계를 감싸며 결합되는 절연튜브와,
    상기 플레이트가 하강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끼워져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상기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의 각 변위계로부터 상기 각 플레이트가 토사에 의하여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변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의 양을 산출하며,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스템에 상기 토사의 양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는 경사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경사지의 동일 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유실량 측정시스템.
KR20100050325A 2010-05-28 2010-05-28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KR10118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325A KR101185421B1 (ko) 2010-05-28 2010-05-28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325A KR101185421B1 (ko) 2010-05-28 2010-05-28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815A KR20110130815A (ko) 2011-12-06
KR101185421B1 true KR101185421B1 (ko) 2012-10-05

Family

ID=4549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0325A KR101185421B1 (ko) 2010-05-28 2010-05-28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06B1 (ko) * 2019-01-11 2019-09-18 서해석 비탈면 식생 기반용 토양 조성물의 통합 관리 장치
KR20230015158A (ko) 2021-07-22 2023-01-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 침식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2594B (zh) * 2022-10-26 2023-02-21 南昌工程学院 一种水土流失的动态监测系统及其监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034A (ja) 2001-06-04 2002-12-18 Takuwa Corp 流砂系における堆積層厚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034A (ja) 2001-06-04 2002-12-18 Takuwa Corp 流砂系における堆積層厚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06B1 (ko) * 2019-01-11 2019-09-18 서해석 비탈면 식생 기반용 토양 조성물의 통합 관리 장치
KR20230015158A (ko) 2021-07-22 2023-01-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 침식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815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unt et al. Water availability and land subsidence in the Central Valley, California, USA
Laursen et al. Scour around bridge piers and abutments
Savage et al. Strain accumulation in western Washington
Katz et al. Slope‐area thresholds of road‐induced gully erosion and consequent hillslope–channel interactions
Bombino et al. Check dam influence on vegetation species diversity in mountain torrents of the Mediterranean environment
Musa et al. The Niger Delta's vulnerability to river floods due to sea level rise
KR101185421B1 (ko) 토사 유실량 측정장치 및 토사 유실량 측정 시스템
Knott et al. Modeling groundwater rise caused by sea-level rise in coastal New Hampshire
Devkota et al. Effect of the barrage and embankments on flooding and channel avulsion case study Koshi River, Nepal
Lotsari et al. Topographical change caused by moderate and small floods in a gravel bed ephemeral river–a depth-averaged morphodynamic simulation approach
Monecke et al. Beach ridge patterns in West Aceh, Indonesia, and their response to large earthquakes along the northern Sunda trench
Holdahl Recomputation of vertical crustal motions near Palmdale, California, 1959–1975
Akay et al. Hydrologic assessment approach for river bridges in western Black Sea basin, Turkey
Atwood Geomorphology applied to flooding problems of closed-basin lakes… specifically Great Salt Lake, Utah
Bandyopadhyay et al. Entropy application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landscape in Kunur River Basin, West Bengal, India
Boengiu et al. River undercutting and induced landslide hazard. The Jiu river valley (Romania) as a case study
Talampas et al. Catchment characterization to understand flooding in Cagayan De Oro river basin in Northern Mindanao, Philippines
Josifovski et al. Some experience in numerical modelling of unsaturated slope instabilities
Alredaisy Mitigating the catastrophic impacts of torrential rivers in semi-arid environments: A case of the Gash River in eastern Sudan
Nielsen et al. The middle and late Holocene barrier spit system at Vejers, Denmark: structure and development
Haugen A design method for landslide surface water drainage control
Walker et al. A detached breakwater system for beach protection
Zakaria et al. Morphometric analysis of Reju Khal drainage basi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SRTM data
Sharma et al. Changes in river channel dynamics of the Satluj river, Punjab: Using a geospatial approach
El Bastawesy et al. The hydrology of Wadi Ibrahim Catchment in Makkah City,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interplay of urban development and flash flood haz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