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437B1 - Bathroom speaker case - Google Patents

Bathroom speaker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437B1
KR101184437B1 KR1020110031020A KR20110031020A KR101184437B1 KR 101184437 B1 KR101184437 B1 KR 101184437B1 KR 1020110031020 A KR1020110031020 A KR 1020110031020A KR 20110031020 A KR20110031020 A KR 20110031020A KR 101184437 B1 KR101184437 B1 KR 10118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artition
housing
bathroom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준모
이성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4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bathroom speaker case is provided to easi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by storing the electronic device inside a receiving chamber while being placed on a surface of a partition film to be sloped. CONSTITUTION: A housing(200) has a receiving chamber storing an electronic device. The housing stores and draws out the electronic device. A partition(300) i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chamber in order to divide the receiving chamber. An acoustic output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acoustic output unit outputs sou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receiving sound sources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partition divide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chamber. The partition includes a partition film wher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placed.

Description

욕실 스피커 케이스{Bathroom Speaker Case}Bathroom Speaker Case {Bathroom Speaker Case}

본 발명은,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으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며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 가능한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speaker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and withdraw electronic devices so as to protect electronic devices from moisture, and to receive electronic sound sources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s, which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Relates to a bathroom speaker case.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이 되었으며, 현대인은 업무 중에는 물론이고 사적인 시간에도 상기 휴대폰을 소지하거나 휴대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는 근거리에 두고 상기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휴대폰의 진화형으로서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phone, has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and modern people use the mobile phone at a short distance where they can carry the mobile phone or know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at work as well as in private time. In particular,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a smartphone has been developed as an evolution of a mobile phone,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gradually increasing.

상기 휴대폰을 항상 소지하는 사용자도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외출 전이나 귀가 후에 욕실에서 세수나 샤워, 목욕을 하는 경우에도 휴대폰을 필요에 따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는 휴대폰을 소지하거나 휴대폰을 확인할 수 있는 욕실 내의 특정위치에 두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휴대폰의 특정 기능, 예를 들면 MP3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기도 한다.It is known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possess the mobile phones at all times. Especially, even if the user washes, showers, or baths in the bathroom before going out or after returning home, the user can carry the mobile phone or check the mobile phone as needed. It is placed in a specific location in the bathroom, and moreover, it also listens to music us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for example, the MP3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욕실에서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수분(습기)에 취약하고, 더 나아가 세수나 샤워 또는 목욕을 하는 과정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전자기기가 물기 젖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욕실에서의 전자기기 사용은 전자기기의 손상이나 기능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used in a bathroom, the electronic device is vulnerable to moisture (humidity), and furthermore, there is a risk tha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wet with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washing or showering or bathing. have. Therefore,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bathroom can cause damage or dys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한편, 현재 욕실에는 일반 유선전화가 연결되어 전화연결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복합기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사용에 있어서 활성화되지 못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설치에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athroom, a multimedia multifunct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telephone by a general landline telephon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but such a multimedia multifunction device cannot be used in practice due to its complicated structure, and it is rarely used, and a high cost of installation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의 보관이 가능한 동시에 욕실 내의 습기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전자기기의 음악 청취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that can stor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electronic devices from moisture in the bathroom while using the music listening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동시에 수분이나 습기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며, 복수의 전자기기를 상호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speaker case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at can listen to music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from moisture or moisture, and which can keep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전자기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한 구조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speaker cas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visually check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이나 습기로부터 음향출력유닛를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자기기와 음향출력유닛의 연결이 용이한 구조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d bathroom speaker case which can protect the sound output unit from moisture or moisture, and furthermore,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ound output unit is easy.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납 챔버를 가지며, 상기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하우징(Housing);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를 구획하는 파티션(Partition);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수분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를 보호하며,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수납 챔버의 둘레가 밀폐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ousing)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housing and the take-out of the electronic device; A partition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to partition the storage chamber; And a sound outpu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a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o output sou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Here, the housing protects the electronic device from moistur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chamber is sealed as the door is closed.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를 구획하며 상기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구획막, 그리고 상기 구획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artition; It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and partitions the storage chamber and comprises a partition film o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film.

상기 구획막은 가죽 재질을 가지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막의 전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rane may have a leather material, and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chamber back and forth,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inclined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여기서, 상기 구획막은 상기 구획막의 후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된다.Here, the partition membrane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rear sp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상기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음향 출력유닛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되는 음향구를 가진다.The bathroom speaker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lide cover slidingly coupled to the housing, wherein the slide cover has an acoustic hole for emitting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음향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향구를 통한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포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lide cover further includes a waterproof cloth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coustic sphere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the acoustic sphere.

한편, 상기 음향출력유닛은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향출력유닛과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납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output unit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는 전자기기의 수납/인출 및 보관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실용성이 높으며, 욕실 내에서 복수의 전자기기를 상호 구획하여 동시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이용한 음향 청취도 가능하므로, 욕실의 수분이나 습기로부터 영향을 받지않고 전자기기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practicality because the structure for storing / withdrawing and storing electronic devices is simple, and not only can store and simultaneously sto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bathroom, Acoustic listening is also possible, so electronics can be used safely without being affected by moisture or moisture in the bathroom.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따르면, 구획막이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적용되고 전자기기가 구획막의 표면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로 수납 챔버의 내부에 보관되므로, 전자기기의 작동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tion membrane is applied to the holde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inclinedly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it is easy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t the same time electronic devices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커버가 하우징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방수포의 수명이 다하거나 방수포에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흡착된 경우에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 cover is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th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life span of the tarpaulin expires or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is adsorbed on the tarpaulin.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와 음향출력유닛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커넥터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ound output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can be easily performed.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는, 음악청취 기능, 예를 들면 MP3 기능을 가지지 않는 휴대폰을 보관하면서 별도의 MP3 장치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Fifth,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isten to music using a separate MP3 device while storing a mobile phone that does not have a music listening function, for example, an MP3 function.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음향출력유닛을 통하지 않고도 음악을 듣거나 휴대폰의 벨소리를 들을 수 있다.Six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from moisture and at the same time can listen to music or hear the ringtone of the mobile phone without going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실 스피커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욕실 스피커 케이스의 슬라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구비되는 수납 챔버의 바닥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적용되는 구획막를 걷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throom speaker cas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 cover of the bathroom speaker case illustrated in FIG. 1.
4 is a plan view briefly illustrating a bottom of a storage chamber provided in the bathroom speaker case of FIG. 1.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walking a partition membrane applied to the bathroom speaker case of FIG. 1.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of a bathroom.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understoo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present the same configuration.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실 스피커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욕실 스피커 케이스의 슬라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throom speaker case shown in Figure 1, Figure 3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 cover of a bathroom speaker case illustrated in FIG. 1.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구비되는 수납 챔버의 바닥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욕실 스피커 케이스에 적용되는 구획막를 걷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plan view briefly illustrating a bottom of a storage chamber provided in the bathroom speaker case of FIG. 1,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walking a partition membrane applied to the bathroom speaker case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이하, '케이스'라 한다)는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전자기기 보관용 케이스로서, 욕실공간 내에서 전자기기를 수분과 습기로부터 보호함과 더불어 음향출력기능, 즉 오디오기능을 겸비하여 전자기기에서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자체 스피커가 없는 전자기기, 예를 들면 이어폰으로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대폰이나 MP3에도 적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Bathroom speaker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for storing and withdrawing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s the electronic devices from moisture and moisture in the bathroom space. In addition, it has a sound output function, that is, an audio function, and receives a sound source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s the sound to the outside.It is also used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out a speak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an MP3 that can only listen to earphones. It is a case that can be appli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전자기기(100)를 수용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파티션(Partition; 300) 및 음향출력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200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 partition 300 provided in the housing 200, and a sound output. The unit 400 is configured.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전자기기(10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챔버(240)를 가지며 상기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납 챔버(240)를 갖는 하우징 몸체(210)와 상기 하우징 몸체(21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240)를 개폐하는 도어(2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using 200 has an accommodating chamber 240 that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nd withdraw the electronic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chamber 240 will be describ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body 210 having a and a door 285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210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chamber 240.

상기 하우징(200)은 욕실공간의 습기, 즉 수분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100)를 보호하도록 둘레가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공간, 즉 상기 수납 챔버(24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은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전달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구성, 즉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가청의 소리로 변환하는 장치이다.The housing 200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circumference is sealed to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moisture, that is, moisture, in a bathroom space. In addition, the partition 300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200, that is,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controls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the sound output, that is, a device for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audible sound.

상기 하우징 몸체(210)는, 상기 전자기기(100), 예를 들면 핸드폰, 스마트폰, PMP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몸체(220)에 의해 지지된다.The housing body 210 forms a receiv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accommod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PMP, and the like, and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body 210 is It is supported by the base body 2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1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는 두 개 이상의 공간, 예를 들면 상기 수납 챔버(240)를 이루는 상부 공간과 하부 챔버(250)를 이루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납 챔버(240)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230)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body 21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paces, for example, an upper space constituting the storage chamber 240 and a lower space constituting the lower chamber 250, more specifically, the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are partitioned by the bottom plate 230 forming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240.

상기 상부 공간, 즉 상기 수납 챔버(240)에는 전술한 상기 전자기기(100)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 챔버(250)에는 상기 음향 출력유닛(40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 챔버(250)를 형성하는 별도의 구조체를 상기 수납 챔버(240)의 하측에 조립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2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 몸체(210)가 상기 바닥판(230)에 상하 공간으로 구획되는 구조를 갖는 하우징(200)이 설명된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pace, that is,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lower chamber 250. Of course, a separate structure forming the lower chamber 250 may be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40 to form the housing body 210. Hereinafter, the housing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body 21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on the bottom plate 230 will be described.

상기 하우징(200)에는 슬라이드 커버(270)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에는 상기 음향 출력유닛(400)의 스피커(410, Speaker)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향구(2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는 상기 하우징(200) 즉, 하우징 몸체(21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housing 200 is provided in the slide cover 270, the slide cover 270 is an acoustic sphere 260 for emit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410, Speaker) of the sound output unit 400 to the outside Is formed. Here, the slide cover 27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at is, the housing body 210.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210)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는 상기 조립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에 탈착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와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조립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다. To this end, an assembly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using body 210 to guide the assembly of the slide cover 270, and the slide cover 270 slides along the assembly hole while the housing body is moved. Desorption at 210. Although not shown, a protrusion is formed in one of the assembly holes of the slide cover 270 and the housing body 210 for the slide movement of the slide cover 270,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do.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는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 특히 상기 하부 챔버(25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음향구(260)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 즉 가청의 소리는 상기 음향구(260)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방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e cover 27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00, in particular, the front of the lower chamber 250, the acoustic sphere 26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lide cover 270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400, that is, the audible sound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0 through the sound sphere 26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챔버(250)의 내부에는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이 내장되며, 상기 음향출력유닛(400)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 챔버(250)에는 상기 음향출력유닛의 전방을 커버하는 격벽(28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280)의 일측 영역(후방)에는 상기 음향 출력유닛(400)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280)의 타측 영역(전방)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격벽(280)의 전방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2 and 3,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built in the lower chamber 250, and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between the sound output unit 400 and the slide cover 270. Is formed. In more detail, the lower chamber 25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280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disposed in one region (rear) of the partition wall 280. The slide cover 270 is disposed in the other area (front) of the partition 28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in front of the partition 280.

그리고 상기 격벽(280)에는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홀(2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유닛(400)에 의해 상기 스피커홀(28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음향구(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발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커홀(281)과 상기 음향구(260)는 일렬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280 is provided with a speaker hole 281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ly,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hole 281 by 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cause the sound hole 260 to be output.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0 through. Here, the sputter holes 281 and the acoustic sphere 260 is installed in a line.

또한,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에는 상기 음향구(260)를 커버하는 방수포(271)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포(271)는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 내측으로 물 또는 수증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에 결합되는데, 상기 방수포(271)는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lide cover 270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 cloth 271 covering the acoustic sphere 260, the waterproof cloth 271 is water o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0 into the housing body 210 inside It is coupled to the slide cover 270 to prevent water vapor from penetrating, the waterproof cloth 271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slide cover 270 by Velcro coupling.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의 후면에는 루프 구조를 갖는 암벨크로(272)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포(271)는 후크 구조를 갖는 수벨크로(273)가 구비되어 상기 방수포(271)가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 특히 상기 음향구(260)의 배면 가장자리에 벨크로(Velcro)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포(271)의 교체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방수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커버(27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 몸체(21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방수포(271)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arm velcro 272 having a loop structure is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slide cover 270, and the waterproof cloth 271 is provided with a male velcro 273 having a hook structure such that the waterproof cloth 271 is provided. Velcro is coupled to the rear edge of the slide cover 270, in particular the acoustic sphere 260. When the waterproof cloth 271 needs to be replaced or washed, the slide cover 270 is slid to move the slide cover 27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n separated from the housing body 210. Then, the waterproof cloth 271 is removed.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or cleaned.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바닥판(230), 특히 상기 수납 챔버(240)의 바닥에는 상기 음향구(260)와 연통하도록 통공(2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210)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100)가 자체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100)로부터 발산되는 음향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면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이 고장나거나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기기에 의한 음악청취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hole 231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230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0, in particular the bottom of the receiving chamber 240 to communicate with the acoustic sphere 26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210 has its own speaker function, if the sound e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the sound output unit 400. Listening to music by the electronic device is possible even when the) is broken or has a disability.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통공(231)을 통과하여 상기 격벽(280) 전방의 빈 공간과 상기 음향구(260)를 순차적으로 거쳐 욕실 공간으로 발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공(231)에는 개폐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통공(231)을 선택에 따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31 and is radiated to the bathroom space through the empty space in front of the partition 280 and the acoustic sphere 260 sequentially. Although not shown, the through hole 231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to allow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231 according to a selection.

그리고 상기 베이스 몸체(220)는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2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body 22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10 to support the housing body 21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10.

상기 도어(285)는 상기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상기 수납 챔버(24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몸체(2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회전식으로 개폐한다.The door 285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ng chamber 240 for accommodating and withdrawing the electronic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door 285 is hinged to the housing body 210 to be in front of the housing body 210. Rotating the opening is formed.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전방에는 상기 도어(285)의 개방을 위한 스위치(287)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287)의 조작(누름)을 통해 상기 도어(285)에 대한 록킹(Locking)이 해제되면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도어(285)가 열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85)와 상기 스위치(287) 구조는 통상의 록킹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housing body 210 is provided with a switch 287 for opening the door 285, the locking (locking) to the door 285 through the operation (pressing) of the switch 287 When released, the door 285 may be opened in a one-touch manner. Here, since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door 285 and the switch 287 may be applied, a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하우징 몸체(210)와 상기 도어(285)의 상호 접촉 부위, 예를 들면 상기 도어의 테두리나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고무패킹 등의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욕실 내의 수분 기타 습기가 상기 도어(285)의 틈새를 통해 상기 수납 챔버(24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acking member such as a rubber packing is provided at the mutual contact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10 and the door 285, for example, the edge of the door or the opening of the housing, so that moisture or moisture in a bathroom is prevente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penetration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through the gap of the 285.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285)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 몸체(210) 내에 수용된 전자기기(100)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투명 플라스틱이나 유리 소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285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plastic or glass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ained in the housing body 210 from the outside. have.

그리고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은 전기적 신호를 가청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41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 형태의 음원은 앰프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은 볼륨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include a speaker 410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The sound source in the form of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mplified and output by an amplifier.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volume.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기기(100)와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을 연결하는 커넥터(29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90)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기기(100)의 음원이 상기 음향 출력유닛(400)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전자기기(100)와 상기 음향출력유닛(400)를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하나, 상기 음향출력유닛(400)과 상기 전자기기(100)가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Th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290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Here, the connector 2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so that the user is transferred to the sound output unit 400, the sound sour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ound output unit 4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relessly.

상기 하우징(200)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100)는 종류에 따라 사이즈 및 상기 커넥터의 연결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커넥터(290)가 상기 수납 챔버(24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29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몸체(210)의 바닥판(230), 즉 상기 수납 챔버(240)의 바닥에 상기 커넥터(29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onnector may vary according to types, the connector 290 may be moved to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in consideration of such a condition. It is preferably provided th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290 can be variab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or 29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230 of the housing body 210, that is,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to be slidably movable.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230)에는 슬롯(Slot; 232)과 가이드 레일(Guide Rail; 233)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90)는 상기 슬롯(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33)은 상기 슬롯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홈(Groove)이고, 상기 커넥터(290)는 상기 가이드 레일(233)에 결합되는 돌기(29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의 포트(port)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상기 커넥터(290)에서 연장될 수 있다.To this end, a slot 232 and a guide rail 233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230, and the connector 290 is movably mounted along the slot 232.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guide rail 233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lot, and the connector 290 has a protrusion 291 coupled to the guide rail 233. In addition,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a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xtend from the connector 290.

상기 파티션(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 특히 상기 수납 챔버(24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파티션(300)에 의해 복수의 전자기기들이 상호 구획된 상태로 상기 수납 챔버(2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partition 300 is configured to partitio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0, in particular, the storage chamber 24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electronic devices are partitioned with each other by the partition 300.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300)은 지지부재(310, 311)와 구획막(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10, 311)는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구획막(320)을 지지하며, 상기 구획막(320)은 상기 수납 챔버(2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240)를 복수의 영역, 예를 들면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300 includes the support members 310 and 311 and the partition membrane 320. The support members 310 and 311 support the partition film 320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partition film 320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240 to provide the storage chamber 240. It divides into several area | region, for example, two area | regions.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310, 311)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납 챔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봉(310, 3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봉(310, 311)은 각각 양단이 상기 수납 챔버(240)의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봉 중 어느 하나(310)는 상기 구획막(320)의 일측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311)는 상기 구획막(320)의 타측을 지지한다.In more detail, the support members 310 and 311 include a pair of support rods 310 and 311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311 are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by both side walls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4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ing rods 310 supports one side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and the other 311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상기 구획막(320)은 상기 수납 챔버(24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285)를 개방한 후 상기 전자기기(100)를 상기 구획막(320)의 표면상에 안착시켰을 때, 상기 전자기기(100)가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도록 표면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240, and after the user opens the door 285,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ade of a friction material having excellent surface frictional force so as to minimize or prev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slid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즉 상기 구획막(320)은 상기 전자기기(100)와의 사이에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고무, 가죽 재질 등의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획막(320)은 가요성의 유연한 소재로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전자기기(100)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기대어서 거치되는 형태가 된다.That is, the partition film 3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predetermined or more friction for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may be applied to a material such as rubber, leather.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a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be mounted such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clined backward.

그리고 상기 구획막(320)에는 상기 전자기기(100)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재(33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재(331)는 상기 구획막(320)의 하단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rane 32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331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33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구획막(320)의 일단(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제1지지봉(310)이라 칭하고, 타단(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제2지지봉(311)이라 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upporting rod supporting one end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ing rod 310, and a supporting rod supporting the other end (lower end)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pporting rod 311. .

상기 구획막(320)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지지봉(310)과 제2지지봉(311)과 각각 연결되기 위한 걸림부(3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획막(320)의 하단이 상기 걸림부(33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봉(311)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되고, 상기 구획막(320)의 상단은 상기 제1지지봉(310)에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부(330)는 고리 형태 등 후크(Hook)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331)는 상기 걸림부(3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하단을 받쳐준다.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may be provided with a catching portion 3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rod 310 and the second support rod 311, respectively.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separably locked to the second support rod 311 by the locking portion 330, and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rod 310. to be. The catching part 330 may be implemented in a hook type such as a ring shape. The support member 331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cking portion 33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구획막(320)은 상기 수납 챔버(240)의 내부 공간을 전후 영역으로 구획하여, 상기 구획막(320)의 전후 영역에 각각 별도의 전자기기가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막(320)은 후방 공간, 즉 후방 영역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artition membrane 320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hamber 240 into a front and rear region, so that separate electronic devices may be stored in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configured to open a rear space, that is, a rear region.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상기 구획막(320)을 칠 수도 있고 상기 구획막(320)의 후방 영역에 전자기기를 놓을 수 있도록 걷을 수도 있는 구조이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330)와 상기 제2지지봉(311)과의 걸림 관계를 해제할 경우, 상기 구획막(320)이 상기 제1지지봉(310,311)에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user may strike the partition membrane 320 according to a selection or may walk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placed in the rear region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When the locking relationship with the second support rod 311 is released,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first support rods 310 and 311.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획막(320)의 일단, 즉 상단은 상기 수납 챔버(240)의 상부 후방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지지봉(310)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막(320)의 타단, 즉 하단은 상기 걸림부(33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봉(311)에 걸림되는데, 상기 걸림부(330)이 제2지지봉(311)에서 탈거되면 상기 구획막(320)의 하단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어, 상기 구획막(320)이 상기 제1지지봉(310)에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봉(311)은 상기 내부 챔버(240)의 하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one en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rod 31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rear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40, and the The other end, that is, the lower end, is locked to the second support rod 311 by the locking portion 330. When the locking portion 330 is removed from the second support rod 311,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Constraints are released,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first support rod (310). Here, the second support rod 311 is installe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wer front of the inner chamber 240.

상기 제1지지봉(310)은 상기 하우징 몸체(210), 즉 상기 수납 챔버(2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봉(31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봉(310)의 둘레에 상기 구획막(320)이 감긴다.The first support rod 3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210, that is, the receiving chamber 240, and the first support rod 31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support rod 310 is rotated around the first support rod 310. The partition film 320 is wound.

상기 제1지지봉(310)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지지봉(310)에 회전력을 가하는 롤장치(34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롤장치(340)로는 테옆장치나 토션 스프링이나 모터 등 공지의 다양한 회전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장치(340)는 상기 제1지지봉(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봉(310)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가한다.The first support rod 310 may be rotated by a user's manual operation, but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by a roll device 340 that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support rod 310. The roll device 340 may be applied to a variety of known rotation devices such as a frame device, a torsion spring or a motor, in this embodiment the roll device 340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rod 310 1 Apply a rotational force by elasticity to the support rod 310.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은 상기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하우징(200)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 battery mounted in the housing 200 or through a power cabl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housing 200.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배면에는 상기 하우징(200)을 욕실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83)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의 저면, 즉 상기 베이스 몸체(220)의 저면에는 고무 또는 연성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283)의 예로는 소위 빨판이라 불리우는 흡착기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283 for fixing the housing 200 to the bathroom wall, the housing 200 The bottom of the base, that is, the bottom of the base body 220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not shown) made of rubber or soft plastic. As an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283, an adsorber called a sucker may be appli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가 핸즈프리(Handsfree)로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마이크(Mike)가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microphone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00 so that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hands-fre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봉(311)이 상기 구획막(32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획막(320)의 하단은 상기 제2지지봉(311)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획막(320)이 상기 제2지지봉(31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1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구획막(320)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더라도 상기 제2지지봉(311)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지지봉(310)도 상기 구획막(32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구획막(320)이 상기 제1지지봉(310)의 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rearward of the second support rod 311 such that the second support rod 311 protrudes forward from the bottom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t is good to be connected.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membrane 320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ing rod 311. Accordingly, even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slides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film 320 by its own weight, the second support rod 311 ma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course, the first support rod 310 may also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top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that is, the partition membrane 320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rod 310 to the lower side. It becomes the form that becom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의 사용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and operation of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상기 도어(285)를 개방한 후 상기 전자기기(100), 예를 들면 핸드폰이나 MP3를 상기 수납 챔버(210) 내부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100)는 상기 구획막(320) 표면에 경사지게 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200)의 전방에서 상기 전자기기(100)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opening the door 285, the user stores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an MP3, in the storage chamber 210.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clinedly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film 3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front of the housing 200.

상기 전자기기(100)가 상기 커넥터(290)를 통해 상기 음향출력유닛(400)과 연결되면,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음원이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에 의해 가청의 소리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목욕이나 샤워를 하면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400 through the connector 290,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output as audible sound by the sound output unit 400. As such,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while taking a bath or shower.

한편, 사용자가 핸드폰을 단지 통화수단으로만 사용하고 별도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도어(285)를 개방한 후 상기 구획막(320)의 후방 영역에 MP3 플레이어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30)를 상기 제2지지봉(311)에 걸어서 상기 구획막(32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봉(310, 311)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구획막(320)의 전면에 핸드폰이 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listen to music using only a mobile phon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us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eparate MP3 player, the door 285 is opened and then placed in the rear region of the partition 320. Place your MP3 player. In addition, when both ends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rods 310 and 311 by hooking the hook portion 330 to the second support rod 311, the front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320 is provided. The phone can be mounted on.

이때, 상기 MP3 플레이어는 상기 커넥터(290)에 의해 상기 음향출력유닛(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출력유닛(400)는 상기 MP3 플레이어로부터 음원을 전달받아 가청의 소리, 즉 음향으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MP3 play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400 by the connector 290, the sound output unit 400 receives a sound source from the MP3 player to audible sound, that is, sound Output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스피커 케이스는 욕실의 특정위치에 고정된 고정식일 수도 있으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욕실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bathroom spea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xed typ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bathroom, but can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 be placed in a desired position as a movable movable position, it is used to be attached to the bathroom wall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전자기기 200: 하우징
230: 바닥판 231: 통공
232: 슬롯 260: 음향구
270: 슬라이드 커버 271: 방수포
280: 격벽 290: 커넥터
300: 파티션 310, 311: 지지부재
320: 구획막 400: 음향 출력유닛
100: electronic device 200: housing
230: bottom plate 231: through hole
232: slot 260: sound port
270: slide cover 271: tarpaulin
280: partition 290: connector
300: partition 310, 311: support member
320: partition 400: sound output unit

Claims (7)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납 챔버를 가지며, 상기 전자기기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하우징(Housing);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를 구획하는 파티션(Partition);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를 구획하며 상기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구획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ng chamber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s, the housing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withdrawing the electronic device;
A partition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to partition the storage chamber; And
And a sound output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a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o output sou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partition,
And a partition membrane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to partition the storage chamber and to allow th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구획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Bathroom speaker case for receiving electronic devices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membra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막은 가죽 재질을 가지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 챔버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막의 전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경사지게 거치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partition membrane is made of a leather material,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partitions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hamber back and forth, and the electronic device storage bathroom speaker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inclined in front of the partition membran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막은, 상기 구획막의 후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partition membrane is a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that can selectively open the rear space of the parti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유닛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방출되는 음향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hroom speaker cas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lide cover sliding to the housing, the sound outlet emitting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음향구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향구를 통한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포를 더 갖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slide cover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detachment to the acoustic sphere, the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has a waterproof cloth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the acoustic sphe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유닛은,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음향출력유닛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납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자기기 수납용 욕실 스피커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 output unit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ound output unit; The connector is a bathroom speaker case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torage chamber.
KR1020110031020A 2011-04-05 2011-04-05 Bathroom speaker case KR101184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20A KR101184437B1 (en) 2011-04-05 2011-04-05 Bathroom speaker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20A KR101184437B1 (en) 2011-04-05 2011-04-05 Bathroom speaker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437B1 true KR101184437B1 (en) 2012-09-20

Family

ID=4711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020A KR101184437B1 (en) 2011-04-05 2011-04-05 Bathroom speaker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4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31U (en) * 2015-04-10 2016-10-19 박태진 Waterproof support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68Y1 (en) 2005-01-21 2005-04-15 (주)지직티엠씨 Package for Mounting Speaker
KR100889878B1 (en) 2008-05-07 2009-03-25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A fixing apparatus multimedia using a ba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68Y1 (en) 2005-01-21 2005-04-15 (주)지직티엠씨 Package for Mounting Speaker
KR100889878B1 (en) 2008-05-07 2009-03-25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A fixing apparatus multimedia using a ba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31U (en) * 2015-04-10 2016-10-19 박태진 Waterproof support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3894Y1 (en) * 2015-04-10 2017-07-06 박태진 Waterproof support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7446B2 (en) Mobile phone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US9762709B1 (en) Unibody desk telephone
US5664015A (en) Shower speaker telephone
US10021486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mobile audio player
KR101066162B1 (en) Mobilephone protect case for bar-type mobilephone
KR101184437B1 (en) Bathroom speaker case
JP2013081148A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CN210725288U (en) Line wheel storage device of creative earphone
CN204069264U (en) Blue-tooth device
US9197272B2 (en) Cellphone with a detachable receiver
CN211352423U (en) In-ear bluetooth headset with charging structure
JP2015116369A (en) Waterproof case
US9247362B2 (en) Hands-free cellular telephone enabled spa
CN210327896U (en) Portable fixed bin for sound equipment
CN204231631U (en) A kind of with reporting to the police and the Baffle Box of Bluetooth of portable power source function
CN214255780U (en) Charging device
KR102284122B1 (en) Handbasin with sound function
JP3209954U (en) Loudspeaker
KR20070097630A (en) Case for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CN211830859U (en) Dedicated cell phone stand in bathroom
CN210491150U (en) Bluetooth headset suit
CN209845270U (en) Bluetooth sound box
TW201004378A (en) Bluetooth earphon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205534Y1 (en) a transmission sound isolation apparatus for a portable phone
KR200471153Y1 (en) Earphone mobile storag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