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598B1 -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598B1
KR101183598B1 KR1020110092707A KR20110092707A KR101183598B1 KR 101183598 B1 KR101183598 B1 KR 101183598B1 KR 1020110092707 A KR1020110092707 A KR 1020110092707A KR 20110092707 A KR20110092707 A KR 20110092707A KR 101183598 B1 KR101183598 B1 KR 10118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smart terminal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김윤석
이상훈
박종화
조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11009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스마트 터미널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2 인터페이스; 제 1 인터페이스, 제 2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CRADLE DEVICE HAVING MULTIPLE INTERFACE}
본 발명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Wi-Fi 단말기 등의 스마트 터미널과 PLC 기기, AV기기, 전자기기, 센서기기 등의 외부 장치를 연동시키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환경이 급변하게 되고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Wi-Fi 단말기 등 그 기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각종의 단말기가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이렇게 날로 발전하는 각종의 단말기들은 업그레이드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구형의 버젼은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값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일들이 많이 생긴다. 이러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그 자원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을 활용하는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한편, PLC 기기, AV기기, 전자기기, 센서기기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화되는 추세인데, 이러한 기기들은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마련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여기서, 위와 같이 낭비되는 각종의 단말기들을 활용하여 각종 기기들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수단으로 단말기와 기기들을 상호 인터페이스 하는 크래들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기들의 상태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기들에 대한 정보나 기기들에 연동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각종의 단말기와 각종 기기들을 상호 인터페이스 하는 크래들의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Wi-Fi 단말기등의 스마트 터미널과 PLC 기기, AV기기, 전자기기, 센서기기 등의 외부 장치를 연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스마트 터미널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2 인터페이스; 제 1 인터페이스, 제 2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 제 2 인터페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액세스 여부를 판별하는 통신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에 대한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를 제공하고 그 액세스포인트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메인 제어 모듈; 메인 제어 모듈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사용자 조작으로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업그레이드 및 리셋팅이 가능한 펌웨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와 RS-232 통신 포트와 USB 포트와 입출력 포트(I/O por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인터페이스는 메인 제어 모듈의 전기적인 신호와 스위치 포트의 기구적인 스위치 온오프가 상호 연동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신호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와 RS-232 통신 포트와 USB 포트와 펌웨어부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펌웨어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터미널은 스마트폰, PC, 태블릿(tablet) 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랜(LAN) 또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는 PLC 기기, 전자기기, 센서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는,
첫째,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를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 터미널을 이용한 외부 장치의 제어로 외부 장치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또한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 터미널을 이용한 정보 획득이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의 인터페이스 수단인 크래들의 구현으로 사용자가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직접 연결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구형 버젼의 단말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Wi-Fi 단말기 등의 스마트 터미널과 PLC 기기, AV기기, 전자기기, 센서기기 등의 외부 장치를 연동시키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크래들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마트 터미널은 스마트폰(2a), PC,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데, [도 1]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터미널은 스마트폰(2a)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PLC 기기, 전자기기(3a,3c,3d), 센서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로서 PC(3a), 실내 사이클(3b), 가전 제품인 TV(3c)와 냉장고(3d)를 채택하였다.
외부 장치로서 PC(3a)를 채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스마트 터미널인 스마트폰(2a)을 통해 외부장치인 PC(3a)와 연동하여 랜(LAN) 또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로서 실내 사이클(3b)을 채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a)을 이용하여 자신이 실내 사이클(3b)을 통해 운동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고, 이렇게 다운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폰(2a)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동영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구현 수단은 후술하며, 외부 장치로서 실내 사이클을 채택한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스마트 터미널을 태블릿 PC로 채택한 아래의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외부 장치로서 냉장고(3d)를 채택한 경우에는 예컨대 냉장고(3d)의 현재 온도 내지 전기 사용량 등의 데이터가 스마트폰(2a)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2a)의 조작으로 외부 장치인 냉장고(3d)의 온도 조절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장치인 냉장고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2a)에 탑재되어야 한다.
한편, 외부 장치로서 TV(3c)를 채택한 경우에는 예컨대 TV(3c)에 대한 채널이나 음량 등의 정보 데이터가 스마트폰(2a)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2a)을 조작함으로써 외부 장치인 TV(3c)의 채널이나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장치인 TV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2a)에 탑재되어야 하며, 스마트폰(2a)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2a)을 통해 TV의 AV시스템인 홈시어터(home theater)와도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로서 PLC 기기를 채택한 경우에는 아래의 [도 3]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의 연동으로 외부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마트 터미널을 통한 외부 장치의 제어를 위해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를 통신 인터페이스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1)는 제 1 인터페이스(10)와 제 2 인터페이스(20)와 제어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인터페이스(10)는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인터페이스(10)는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과 그 통신 환경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LAN port; 11)와 RS-232 통신 포트(12)와 USB 포트(13)와 입출력 포트(I/O port; 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인터페이스(10)의 입출력 포트(I/O port;14)는 외부 장치가 PLC 기기인 경우 스위치 포트로서 기능 하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1 인터페이스(10)는 유무선 LAN, WIBRO, WIMAX, WI-FI, 3G 통신 환경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제 1 인터페이스(10)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장치의 유무선 통신 환경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 2 인터페이스(20)는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스마트 터미널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 2 인터페이스(20)는 제 1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과 그 통신 환경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21)와 RS-232 통신 포트(22)와 USB 포트(23)와 펌웨어부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펌웨어 포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2 인터페이스(20)는 제 1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유무선 LAN, WIBRO, WIMAX, WI-FI, 3G 통신 환경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제 1 인터페이스(10)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장치의 유무선 통신 환경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펌웨어 포트(24)는 후술하는 펌웨어부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리셋하거나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을 펌웨어부에 업로드하는 전용 포트이다.
한편, 제어 인터페이스(30)는 제 1 인터페이스(10), 제 2 인터페이스(20)와 통신하여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며, 통신 제어 모듈(31), 메인 제어 모듈(32), 펌웨어부(33), 신호 변환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인터페이스(30)는 제 1 인터페이스(10)와 제 2 인터페이스(20)와의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터미널과 외부 장치의 연동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 제어 모듈(31)은 제 1 인터페이스(10), 제 2 인터페이스(20)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들 인터페이스(10, 2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액세스 여부를 판별한다.
즉, 통신 제어 모듈(31)은 스마트 터미널의 조작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10)의 신호에 대한 오류 여부를 분석하고 해당 신호임을 판별하여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 제어 모듈(31)은 외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제 2 인터페이스(20)의 신호에 대한 오류 여부를 분석하고 해당 신호임을 판별하여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 모듈(32)은 통신 제어 모듈(3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에 대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하고 그 액세스포인트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즉, 메인 제어 모듈(32)은 사용자가 스마트 터미널을 조작함에 따른 제 1 인터페이스(10)의 신호를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수신한 후, 스마트 터미널과 대응하는 해당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와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메인 제어 모듈(32)은 외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제 2 인터페이스(20)의 신호를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수신한 후, 그 외부 장치와 대응하는 해당 스마트 터미널에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와 외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제공한다.
이때, 스마트 터미널은 메인 제어 모듈(32)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수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메인 제어 모듈(32)은 바람직하게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스마트 터미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 모듈(32)을 제어하는 전용 프로 그램이 펌웨어부(33)에 탑재되는데, 이 펌웨어부(33)는 메인 제어 모듈(32)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조작으로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업그레이드 및 리셋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펌웨어부(33)에 탑재된 프로그램은 위에서 설명한 펌웨어 포트(24)를 통해 업그레이드 또는 리셋팅할 수 있다.
신호 변환기(34)는 메인 제어 모듈(32)의 전기적인 신호와 스위치 포트의 기구적인 스위치 온오프가 상호 연동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터미널로서 태블릿 PC(2b)를 채택하고, 외부 장치로서 PLC 기기(3g)를 채택하였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해당 기기(물류 컨베이어)의 동작을 스위칭 온/오프 함으로써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PLC 기기(3g)와 본 발명의 크래들이 인터페이스 되는 제 1 인터페이스(10)의 입출력 포트(14)는 스위치 포트로서 기능하며, 구체적으로 PLC 기기(3g)인 물류 컨베이어의 라인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칭 온/오프가 필요한 것을 대비하여 스위치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 제어 모듈(32)과 제 1 인터페이스(10)의 입출력 포트(I/O port; 14)의 신호응답에 있어서 메인 제어 모듈(32)은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스위치 포트인 제 1 인터페이스(10)의 입출력 포트(14)는 PLC 기기(3g)와의 기구적인 스위칭 온/오프로 인터페이스 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제어 모듈(32)의 전기적인 신호와 스위치 포트의 기구적인 스위치 온오프가 상호 연동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신호 변환기(34)가 제어 인터페이스(30)에 더 구비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터미널인 태블릿 PC(2b)에는 PLC 기기(3g)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데, 이 동작 과정은 먼저 PLC 기기(3g)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10)인 입출력 포트(14)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가 신호 변환기(34)를 거쳐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된다.
메인 제어 모듈(32)은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PLC 기기(3g)와 대응하는 해당 태블릿 PC(2b)에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와 PLC 기기(3g)의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태블릿 PC(2b)를 조작함으로써 PLC 기기(3g)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조작으로 태블릿 PC(2b)를 터치하면, 이 신호는 제 2 인터페이스(20)인 RS-232 통신 포트(22)를 통해 통신 제어 모듈(31)에 전송된다.
이때 통신 제어 모듈(31)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오류 여부를 분석하고 해당 신호임을 판별하여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한다.
메인 제어 모듈(32)은 그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태블릿 PC(2b)와 대응하는 해당 PLC 기기(3g)에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와 태블릿 PC(2b)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변환기(34)를 통해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래들은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터미널로서 태블릿 PC(2b)를 채택하고, 외부 장치로서 실내 사이클(3b)을 채택하였다.
여기서, 실내 사이클이 본 발명의 스마트 터미널이 태블릿 PC(2b)와 연동되도록 바람직하게 실내 사이클에는 모터센서(3e)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센서(3e)는 사용자가 실내 사이클(3b)의 페달을 밟아 회전하는 경우 그에 따른 RPM과 토오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태블릿 PC(2b)와 연동하는 구성으로서 실내 사이클(3b)은 모터센서(3e)로 가정하고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터미널인 태블릿 PC(2b)에는 모터센서(3e)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데, 이 동작 과정은 먼저 모터센서(3e)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10)인 입출력 포트(14)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가 신호 변환기(34)를 거쳐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된다.
메인 제어 모듈(32)은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모터센서(3e)와 대응하는 해당 태블릿 PC(2b)에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와 모터센서(3e)의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태블릿 PC(2b)에 제공된 신호를 기반으로 태블릿 PC(2b)에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되고 또한 실시간 동영상과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의 체력 변화를 테스트하거나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연동하여 스마트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터미널로서 태블릿 PC(2b)를 채택하고, 외부 장치로서 센서기기인 진동센서(3f)와 연동하는 진동수단을 채택하였다.
진동수단은 사용자가 즉흥적으로 타악기나 육성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진동센서(3f)에 감지되는 수준이면 족하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터미널인 태블릿 PC(2b)에는 진동센서(3f)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데, 이 동작 과정은 먼저 진동센서(3f)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10)인 입출력 포트(14)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가 신호 변환기(34)를 거쳐 메인 제어 모듈(32)에 전송된다.
메인 제어 모듈(32)은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진동센서(3f)와 대응하는 해당 태블릿 PC(2b)에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와 진동센서(3f)의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모듈(31)을 통해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태블릿 PC(2b)에 제공된 신호를 기반으로 태블릿 PC(2b)에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되고 또한 실시간 동영상과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게임이나 작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PLC 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스마트 터미널을 유무선 통신으로 상호 연동시키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터미널과 상기 외부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 RS-232 통신 포트, USB 포트, 및 상기 PLC 기기를 위한 스위치 포트로서의 기구적 스위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포트로 구성된 제 1 인터페이스(10);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마트 터미널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랜 포트, RS-232 통신 포트, USB 포트로 구성된 제 2 인터페이스(20);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스마트 터미널을 상호 연동시키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그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액세스 여부를 판별하는 통신 제어 모듈(31)과, 상기 통신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스마트 터미널에 대한 액세스포인트를 제공하고 그 액세스포인트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메인 제어 모듈(32)과,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의 전기적인 신호와 상기 입출력 포트의 기구적인 스위치 온오프가 상호 연동하도록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터미널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의 기구적 스위칭을 통해 상기 PLC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PLC 기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메인 제어 모듈(32)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터미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변환기(34)로 구성된 제어 인터페이스(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사용자 조작으로 상기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업그레이드 및 리셋팅이 가능한 펌웨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펌웨어부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펌웨어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터미널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랜(LAN) 또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전자기기, 센서기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KR1020110092707A 2011-09-14 2011-09-14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KR10118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07A KR101183598B1 (ko) 2011-09-14 2011-09-14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07A KR101183598B1 (ko) 2011-09-14 2011-09-14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598B1 true KR101183598B1 (ko) 2012-09-17

Family

ID=4711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07A KR101183598B1 (ko) 2011-09-14 2011-09-14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크래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0370A (zh) * 2022-07-06 2022-08-30 江苏富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接口的5g通讯模块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545A (ja) 2000-03-31 2001-10-12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書換え方法
US20110136541A1 (en) 2007-07-16 2011-06-09 Microsoft Corporation Smart interfa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545A (ja) 2000-03-31 2001-10-12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書換え方法
US20110136541A1 (en) 2007-07-16 2011-06-09 Microsoft Corporation Smart interfa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0370A (zh) * 2022-07-06 2022-08-30 江苏富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接口的5g通讯模块及其使用方法
CN114980370B (zh) * 2022-07-06 2023-12-01 江苏富联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接口的5g通讯模块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2695B (zh) 一种遥控方法、智能终端及智能遥控系统
US10791360B2 (en)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955211B2 (en)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EP284045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device, and plug-and-play device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12266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4211B1 (ko)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2014012178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CN103051693B (zh) 设备控制方法与移动通信终端
US20140064738A1 (en)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CN105739318A (zh) 智能插座、智能家居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815159A (zh) 一种智能家居电视控制系统
CN103680118A (zh) 智能遥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345236A (zh) 一种开放式智能家电及其控制方法
KR201200792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137841B (zh) 基于智能插座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CN103905857A (zh) 一种电视机系统
CN205721127U (zh) 智能插座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103337151A (zh) 一种利用手机控制家电的系统
CN103457964B (zh) 同步方法和电子设备
CN104122999A (zh) 智能设备交互方法及系统
CN102957582A (zh) 电器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103295389A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方法、系统及外接设备
KR20120079246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7018110B1 (ja) モバイル機器ド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