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186B1 -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 Google Patents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186B1
KR101183186B1 KR1020120016499A KR20120016499A KR101183186B1 KR 101183186 B1 KR101183186 B1 KR 101183186B1 KR 1020120016499 A KR1020120016499 A KR 1020120016499A KR 20120016499 A KR20120016499 A KR 20120016499A KR 101183186 B1 KR101183186 B1 KR 10118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ont plate
plate
release
releas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김지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to KR102012001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중요 신체 부위를 기존 방탄복 수준으로 보호하고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간단한 작업과 짧은 시간 안에 착탈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은, 착용자의 전후면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판(10) 및 후면판(20)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릴리스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수단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이웃하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5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착탈하는 릴리스 와이어(50)이다.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의 앞쪽에서부터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어깨부분을 경유하며 상기 후면판의 옆구리 부분까지 배열된다.

Description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QUICK-RELEASE BULLETPROOF VEST}
본 발명은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탄복을 전면판, 후면판, 어깨 및 낭심 보호대로 분리 구성하여 착용자의 주요 신체 부위에 대한 방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활동성이 있고 신속한 착탈(quick-release)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탄복은 중요 장기가 집중되어 있는 인간의 상체를 총탄으로부터 보호하여 인명을 보호하는 장비로서, 예를 들면, 아라미드 섬유,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특수한 내강 재질의 섬유로 된 방탄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종래의 방탄복은 방탄재와 그 방탄재를 둘러싸는 외피재로 구성되고 착용자가 팔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민소매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방탄조끼로도 칭해지고 있다.
한편, 종래 다른 방탄복으로서 몸통부와 목부 및 낭심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종래 방탄복은 착용자의 각 주요 신체 부위를 어느 정도는 보호하는 기능은 수행할 수 있지만, 신속한 착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방탄복은 전면판, 후면판, 낭심 보호대, 목 보호대, 어깨 보호대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이웃하는 연결부(옆구리 부분, 어깨 부분)가 벨크로 파스너, 벨트 등을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즉 벨크로 파스너의 경우 좌우 옆구리 및 좌우 어깨 즉 4개소에 형성된다.
4개의 벨크로 파스너는 각각의 개별 동작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방탄복을 착탈하기 위해서는 4 번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착탈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목 보호대가 단품으로 구성되어 전면판과 후면판에 함께 부착되는 경우 별개의 작업으로 목 보호대를 분리한 후 전후면판을 착탈하여야 하므로 착탈이 더욱 번거롭고 오래 걸린다.
등록특허 제10-097417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63746호 등록특허 제10-1038936호 등록특허 제10-11048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중요 신체 부위를 기존 방탄복 수준으로 보호하고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간단한 작업과 짧은 시간 안에 착탈할 수 있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은, 착용자의 전후면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판 및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릴리스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수단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이웃하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착탈하는 릴리스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의 앞쪽에서부터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어깨부분을 경유하며 상기 후면판의 옆구리 부분까지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의하면, 릴리스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함으로써 릴리스 와이어를 조작하는 단일 동작을 통해 전면판과 후면판을 분리 및 탈의(결합 및 착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착탈이 가능하고 착탈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따라서, 방탄복의 착탈의 번거로움으로 인한 전투력 손실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목 보호부를 전면과 후면으로 분리하고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에 연결함으로써 전면판과 후면판의 분리시 즉 방탄복의 탈의시 전후면판과 함께 자연적으로 탈의됨에 따라 목 보호부의 탈의를 위한 작업이 없어지므로 탈의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고, 착용 또한 신속하다.
또한, 릴리스 와이어를 결합하는 작업만을 통해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어 신속한 착용도 가능하므로 짧은 시간 안에 전투에 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적용된 릴리스 와이어가 후면판에 고정된 예를 도시한 중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적용된 릴리스 와이어가 전면판에 고정된 예를 도시한 중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적용된 릴리스 와이어가 옆구리쪽과 어깨쪽으로 분리된 예를 보인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적용된 릴리스 와이어의 다른 배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에 적용된 2라인의 릴리스 와이어를 하나의 손잡이에 연결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탈의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은, 착용자의 목 아래에서부터 흉부와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판(10), 등을 보호하는 후면판(20), 낭심을 보호하는 낭심 보호판(30), 어깨를 보호하는 한 쌍의 어깨 보호대(4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는 공지의 모든 것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탄복(100)은 신속한 착탈(quick-release)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탈의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방탄복(100)은 크게 전면판(10)과 후면판(20)으로 구성된다. 왜냐하면 낭심 보호대(30)는 전면판(10)에 결합(분리 가능 포함)되므로 전면판(10)이 후면판(20)에서 분리되면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어깨 보호대(40) 역시 전면판(10)이 후면판(20)에서 분리되면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면판(10)과 후면판(20)은 릴리스 와이어(release-wire)(50)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된다.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탈의 동작없이는 분리되지 않고 탈의 동작시에만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되도록 배열되고 착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탈의할 수 있도록 단부의 손잡이(51)는 전면판(10)에 배치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릴리스 와이어(50)는 전술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되도록 즉 착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방탄복(100)의 탈의시 착용자의 한 번의 동작을 통해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서 분리되며, 예를 들어 릴리스 와이어(50)의 수용을 위하여 전면판(10)의 좌우 양측에는 옆구리를 보호하는 옆구리 보호날개(11)가 후면판(2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후면판(20)의 좌우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수용링(21)이 구비되며, 옆구리 보호날개(11)에는 와이어 수용링(21)이 관통되는 링홀(11a)이 형성되고, 릴리스 와이어(50)는 링홀(11a)을 관통한 와이어 수용링(21)에 끼워짐으로써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하며, 반대로 와이어 수용링(21)에서 이탈되면 전면판(10)의 링홀(11a)에서 와이어 수용링(21)이 빠지게 되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된다. 여기서, 릴리스 와이어(50)가 와이어 수용링(12)에서 빠지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링(21)은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링홀(11a)은 와이어 수용링(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링(21)과 링홀(11a)은 방탄복(100)의 착용 상태에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 사이의 옆구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옆구리 보호날개(11)에 종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다수의 와이어 수용링(21)은 하나의 링판(22)을 통해 형성된다. 링판(22)은 후면판(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내측면에도 결합 가능하며 단 내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와이어 수용링(21)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후면판(2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릴리스 와이어(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11b)가 구성된다.
덮개(11b)는 릴리스 와이어(50)의 외부 노출을 막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며, 물론 필요에 따라 와이어 수용링(2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폐식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기능과 취급 등을 감안할 때 옆구리 보호날개(11)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구리 보호날개(11)는 링홀(11a)이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고 절첩선 등을 구성함으로써(절첩선은 필수구성요소는 아님) 덮개(11b)가 마련된다. 이 덮개(11b)는 링홀(11a)을 덮어 감싸 덮는 크기이면서 단부에 착탈수단(벨크로 파스너 등)이 구성되어 링홀(11a)을 덮어 보호한다.
릴리스 와이어(50)는 손잡이(51) 반대쪽이 전술한 와이어 수용링(21)과 링홀(11a)에 수용되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옆구리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옆구리 보호날개(11)가 후면판(20) 부분에서 릴리스 와이어(50)로 결합됨에 따라 도 3의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후면판(20)의 내부에 삽입되며 후면판(20)의 위쪽(어깨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전면판(10)으로 넘어가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전면판(10)으로 넘어가는 부분에서 외부 노출도 가능하지만 외부 노출의 경우 오동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전면판(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잡이(51)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리스 와이어(50)가 후면판(20)이나 전면판(10)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 릴리스 와이어(50)의 조작시 최단거리로 이동하고 간섭(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릴리스 와이어(50)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가이드(24)(도 3과 도 4 참고)가 갖추어질 수 있다. 가이드(24)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링 형태의 조각일 수도 있고 릴리스 와이어(5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관형(유연성 있는 합성수지 튜브, 원단 등)일 수도 있다.
그런데, 릴리스 와이어(50)의 손잡이(51)에서부터 옆구리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하기 위하여 릴리스 와이어(50)를 옆구리까지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신속한 탈의뿐만 아니라 신속한 착용도 가능하도록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릴리스 와이어(50)는 가이드(24) 등을 통해 후면판(20)의 외부면에 배열되고 덮개(28)로 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릴리스 와이어(50)에 의한 탈의 작용은 동일하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결합시 덮개(28)를 열고 릴리스 와이어(50)를 가이드(24)에 삽입하는 방법을 통해 신속하게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가이드는 릴리스 와이어(50)를 둘레부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일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링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릴리스 와이어(50)는 배열 위치가 바뀔 수도 있으며, 전술한 것과 반대로 옆구리 보호날개(11)를 후면판(20)에 착탈수단으로 연결하고 전면판(10)에 와이어 수용링(21)을 형성하면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에 배열될 수도 있다(이때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어깨부분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배열됨은 물론이다).
릴리스 와이어(50)가 옆구리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손잡이(50)가 전면판(10)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할 때 어깨부분의 결합이 취약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어깨부분에도 릴리스 와이어(50)가 통과하면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옆구리 보호날개(11)는 옆구리를 보호하면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일측은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위치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릴리스 와이어(50)가 결합되지 않는 반대쪽은 벨크로 파스너 등의 착탈수단을 통해 전면판(10)에 분리 및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면판(10)의 어깨부분에는 어깨 보호날개(12)가 연장 형성된다. 어깨 보호날개(12)는 일측이 전면판(10)에 고정 내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측이 후면판(20)의 어깨부분을 감싸도록 덮개식으로 형성된다. 어깨 보호날개(12)를 벨크로 파스너 등의 착탈수단을 통해 후면판(20)에 탈착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릴리스 와이어(50)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되도록 하여도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되지 못하므로 어깨 보호날개(12)는 단순히 덮개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보호날개(12)는 하나 이상의 링홀(12a)이 형성되며, 후면판(20)의 어깨부분에는 링홀(12a)에 끼워지면서 릴리스 와이어(50)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수용링(23)이 형성된다.
와이어 수용링(23)과 링홀(12a)(덮개 포함)은 전술한 옆구리쪽의 와이어 수용링(21) 및 링홀(11a)의 구조와 배치 등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와이어 수용링(21)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어깨를 따라 일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릴리스 와이어(50)의 부드러운 동작을 위하여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최단거리로 배열 및 탈의 동작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또한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피복재(유연성 있는 튜브 등)로 피복되는 바람직하다.
와이어 수용링(21,23)은 릴리스 와이어(50)가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형상이 변하지 않는 딱딱한 합성수지(섬유강화플라스틱 등), 유연성 있는 직물 등을 소재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옆구리쪽에서부터 후면판(20)을 따라 올라온 후 어깨 보호날개(12)를 통해 전면판(10)으로 넘어오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손잡이(51)는 평상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전면판(10)에 착탈수단(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으로 부착되고, 손잡이(51)의 반대쪽 단부는 옆구리쪽의 와이어 수용링(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와이어 수용링(21)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도록 꺽인 후 후면판(20) 또는 전면판(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전면판(10) 및 후면판(20)과 동일한 소재로 덮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릴리스 와이어(50)를 덮는 소재는 전면판(10) 및 후면판(20)과 동일한 소재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릴리스 와이어(50)가 옆구리측의 와이어 수용링(21)에서부터 어깨측 와이어 수용링(23)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탈의 조작 후 별도로 보관을 요구할 것이므로, 보관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5에서처럼, 어깨측 와이어 수용링(23)의 끝에는 릴리스 와이어(50)의 단부가 빠지지 않는 와이어 고정링(25)이 형성된다. 즉, 와이어 고정링(25)은 릴리스 와이어(50)의 단부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일 뿐이며 전면판(10)의 어깨 보호날개(12)는 결합되지 않는다.
릴리스 와이어(50)가 어깨측 와이어 수용링(23)에서는 마찰없이 통과하지만 와이어 고정링(25)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예를 들어, 와이어 고정링(25)은 단부로 가면서 와이어 수용링(23)의 통과면적보다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이면서 동시에 릴리스 와이어(50)의 단부는 와이어 수용링(21,23)은 부드럽게 통과하지만 와이어 고정링(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방탄복(100)의 탈의를 위하여 릴리스 와이어(5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릴리스 와이어(50)의 단부가 와이어 고정링(25)에 도달하면 릴리스 와이어(50)가 와이어 수용링(23)에서 이탈된 것이므로 별도의 조작없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서로 분리되고, 릴리스 와이어(50)는 후면판(20)에 연결된 상태이다.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탈의를 위하여 도 6에서처럼, 전면판(10)의 링홀 끝쪽에 와이어 고정링(14)이 형성되며, 릴리스 와이어(50)는 후면판(20)의 와이어 수용링(23)과 와이어 고정링(14)에 관통 배열된다.
따라서, 릴리스 와이어(50)를 당겨 릴리스 와이어(50)의 단부가 와이어 고정링(14)에 걸리면 릴리스 와이어(50)에 가해진 힘이 전면판(10)에 전가되어 전면판(10)이 당겨지게 되므로 더욱 신속하게 후면판(20)에서 분리된다.
또는 반대로 전면판(10)의 어깨 보호날개(12) 위에 와이어 수용링(13)이 형성되면서 와이어 수용링(13)의 끝에 와이어 고정링이 형성되고, 후면판(20)(후면판(20)의 어깨분에 어깨 보호날개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에 링홀이 형성된다. 후면판(20)의 링홀에는 전면판(10)의 와이어 수용링이 관통되고, 릴리스 와이어(50)는 와이어 수용링과 와이어 고정링에 관통 배열된다.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착용자의 몸에 맞추기 위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옆구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결합하여야 하고, 따라서, 릴리스 와이어(50)가 옆구리 부분에서부터 어깨 부분에 걸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나의 릴리스 와이어(50)가 옆구리에서부터 어깨 부분에 배열될 수도 있지만,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옆구리 부분을 결합 및 분리하는 제1릴리스 와이어(50-1)와 어깨 부분을 결합 및 분리하는 제2릴리스 와이어(50-2)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제1릴리스 와이어(50-1)는 옆구리쪽 와이어 수용링(21)에 결합 및 어깨를 통과하지 않고 최단거리로 배열되며, 제2릴리스 와이어(50-2)는 어깨쪽 와이어 수용링(23)에 결합되고, 제1,2릴리스 와이어(50-1,50-2)는 하나의 손잡이(51)에 연결된다.
제1,2릴리스 와이어(50-1,50-2)는 전면판(10)에서 분리될 수도 있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제2릴리스 와이어(50-2)는 제1릴리스 와이어(50-1)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1릴리스 와이어(50-1)의 당김을 간섭하지 않도록 어깨부분에서 빠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탄복(100)의 구조 상 릴리스 와이어(50)는 전면판(10)의 좌우 양측 2개소에 적용되어 각각의 손잡이(51)로 조작될 수 있고, 또는 도 9에서처럼, 좌우측 2개 라인의 릴리스 와이어(50R, 50L)는 하나의 손잡이(51)에 연결되어 하나의 손잡이(51)의 조작에 의해 함께 작동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2개 라인의 릴리스 와이어(50R, 50L)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손잡이(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감김, 클립 고정 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개 라인의 릴리스 와이어(50R, 50L)가 손잡이(51)에 영구 고정되어 있으면 전면판(10)이 좌우 전면판으로 구성된 경우 착용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도 1,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방탄복(100)은 착용자의 목 부분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목 보호부(60)가 갖추어진다. 목 보호부(60)는 착용자의 목 앞부분과 뒷부분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측 목보호부(61)와 후면측 목보호부(62)로 구분되며, 전면측 목보호부(61)는 전면판(10)에, 후면측 목보호부(62)는 후면판(20)에 연결된다(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재봉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착탈수단(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을 통해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목 보호부(60)의 전면측 목보호부(61)와 후면측 목보호부(62)는 릴리스 와이어(50)에 의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될 때 별도의 작업없이 서로 분리된다.
목 보호부(60)의 전면측 목보호부(61)와 후면측 목보호부(62)는 분리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이웃하는 부분이 겹쳐지도록 구성되며, 전면측 목보호부(61)는 머리를 앞으로 숙이는 등의 활동성을 감안하여 좌우 2개로 분리 구성되거나 중앙부가 접히도록 유연성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면판(10)은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후면판(20)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탄복(100) 안에 장비를 수납 및 꺼내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좌우 전면판으로 분리 구성(좌우 전면판은 지퍼, 단추, 벨크로 파스너 등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전면측 목보호부(61)는 좌우 2개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좌우 전면에 각각 연결된다.
낭심 보호대(30)는 착용자의 낭심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판(10)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되며, 낭심을 보호하는 한도 내에서 활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 예컨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판(10)에 착탈수단(벨크로 파스너 등)으로 탈착된다. 상기 착탈수단은 낭심 보호대(30)의 전면 위쪽과 전면판(10)의 안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낭심 보호대(30)는 필요시 전면판(10)의 안쪽에 넣어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전면판(10) 안에 착탈수단을 통해 탈부착 가능).
어깨 보호대(40)는 활동성 등을 고려하여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판(10)과 후면판(20) 어디에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전면판(10)과 후면판(20) 중 어느 한 쪽에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방으로부터의 공격이 많을 것이므로 전면판(10)에 착탈수단(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을 통해 부착된다. 어깨 보호대(40)는 착용자의 어깨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2개소에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중앙부와 앞쪽 단부가 전면판(10)에 부착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방탄복(100)은 어깨 아래의 위쪽 팔을 보호하는 팔 보호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팔 보호대는 팔을 감싸는 형태이며 어깨 보호대(40) 또는 전면판(10)에 착탈수단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면판(10), 후면판(20), 낭심 보호대(30), 어깨 보호대(40) 등은 내부에 방탄부재로서 탄도판이 수납되도록 수납부가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방탄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폐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도판은 하나 이상의 아라미드 원단으로 이루어진 아라미드 원단층과; 상기 아라미드 원단층의 안쪽에 배열되며 2개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필름층과;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층의 안쪽에 배열되는 아라미드 펠트층과; 다수의 구멍을 갖는 그물망 형태의 아라미드 보강망 및 상기 아라미드 보강망의 안쪽과 바깥쪽을 덮으면서 상기 아라미드 보강판의 구멍에 강제 압입되는 아라미드 펠트로 이루어진 플렉스 펠트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면판(20)의 안쪽면에는 땀이 차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땀을 신속하게 말리기 위한 망(27)이 형성되고, 전면판(10)과 후면판(20) 모두에는 각종 개인 장비를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와 수량으로 고리가 형성되며, 후면판(20)의 배면에는 개인장구류 및 기동 군장과 호환성 유지를 위한 체결 버클 등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후면판(10,20)이 릴리스 와이어(50)만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존과 같이 옆구리 부분과 어깨 부분이 벨크로 파스너 등으로 부착되는 것에 릴리스 와이어(50)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릴리스 와이어(50)가 전면판(10)이 주변 구조물 등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벨크로 파스너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의 착용과 탈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방탄복(100)이 결합된 상태이며,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되어 있고, 낭심 보호대(30), 어깨 보호대(40)는 각각 전면판(10)에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옆구리부분에서 전면판(10)의 옆구리 보호날개(11)의 링홀(11a)에 후면판(20)의 와이어 수용링(21)이 끼워져 옆구리 보호날개(11) 외부로 돌출되며, 릴리스 와이어(50)는 와이어 수용링(21)에 끼워짐으로써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된다.
전면판(10)의 좌우 전면판을 분리한 후 양 팔을 끼우는 방법으로 방탄복(100)을 착용(좌우 전면판으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 머리를 전면판(10)과 후면판(20) 사이에 넣어 착용)할 수 있다.
도 1을 착용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전면판(10), 후면판(20), 낭심 보호대(30), 어깨 보호대(40), 목 보호부(60)를 통해 착용자의 중요한 신체 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방탄복(100)의 탈의를 위하여 전면판(10)에 부착된 손잡이(51)를 잡고 당기면, 손잡이(51)에 가해진 힘에 의해 릴리스 와이어(50)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하는 부분(와이어 수용링(21) 등)에서 분리되며, 옆구리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어깨를 거쳐 분리된다.
전후면판(10,20)은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릴리스 와이어(50)가 제거되면 전후면판(10,20)의 분리가 가능하고, 특히 홀(11a, 12a)과 와이어 수용링(21,23)의 크기 관계 및 전후면판(10,20)의 무게로 인하여 릴리스 와이어(50)가 제거되는 순간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서로 분리되면서 착용자로부터 탈의된다.
즉, 손잡이(51)를 잡아당기는 단일 작업만으로도 방탄복(100)을 탈의할 수 있으며, 낭심 보호대(30)와 어깨 보호대(40)가 전면판(10)에 부착되어 있지만, 이미 탈의된 전면판(10)에서 낭심 보호대(30)와 어깨 보호대(40)를 분리하는 것은 매우 쉽기 때문에 어려움없이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탄복은 릴리스 와이어(50)를 통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착용하며, 양 팔을 전면판(10)과 후면판(20) 사이에 끼고 전면판(10)의 좌우 전면부를 결합하는 단일 작업을 통해 착용하므로 신속한 착용도 가능하다.
10 : 전면판, 11 : 옆구리 보호날개
11a,12a : 링홀, 12 : 어깨 보호날개
13,21,23 : 와이어 수용링, 14,25 : 와이어 고정링
20 : 후면판, 22 : 링판
30 : 낭심 보호대, 40 : 어깨 보호대
50 : 릴리스 와이어, 51 : 손잡이
60 : 목 보호부, 61 : 전면측 목보호부
62 : 후면측 목보호부,

Claims (15)

  1. 착용자의 전후면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판(10) 및 후면판(20)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릴리스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수단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이웃하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5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탈의하는 릴리스 와이어(50)이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중 어느 일측에는 링홀이 형성되며, 상기 링홀과 대응되는 상기 후면판과 전면판 중 일측에는 상기 릴리스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 수용링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홀에 결합되며,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링홀에 끼워진 와이어 수용링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하며,
    상기 전면판 또는 후면판에 상기 와이어 수용링보다 작은 내경이면서 단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링홀에 끼워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와이어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단부가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수용링을 통과하지만 상기 와이어 고정링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측 목 보호부(61)와 후면측 목 보호부(6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측 목 보호부와 후면측 목 보호부는 상기 릴리스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과 함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어 상기 릴리스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면판과 함께 분리되는 낭심 보호대(30)와 어깨 보호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의 앞쪽에서부터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어깨부분을 경유하며 상기 후면판의 옆구리 부분까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링은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릴리스 와이어의 당김시 상기 릴리스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면판을 당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링을 덮는 덮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옆구리 부분에 결합되는 제1릴리스 와이어 및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어깨 부분에 결합되는 제2릴리스 와이어로 구분되며, 상기 제1,2릴리스 와이어는 하나의 손잡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가이드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링형상 가이드를 매개로 하여 배열되면서 덮개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가이드는 둘레부 중 일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릴리스 와이어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둘레부에서 끼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좌우측 에 각각 배열되는 2개의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 라인의 릴리스 와이어는 하나의 손잡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유연성이 있는 피복재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링과 링홀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이 상기 후면판 또는 전면판에 착탈수단을 통해 길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옆구리 보호날개(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KR1020120016499A 2012-02-17 2012-02-17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KR10118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499A KR101183186B1 (ko) 2012-02-17 2012-02-17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499A KR101183186B1 (ko) 2012-02-17 2012-02-17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186B1 true KR101183186B1 (ko) 2012-09-14

Family

ID=4711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499A KR101183186B1 (ko) 2012-02-17 2012-02-17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18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76B1 (ko) 2015-10-28 2016-04-25 (주)대산플랜트 탈부착이 가능한 방탄판이 구비된 방탄복
KR20180032405A (ko) 2016-09-22 2018-03-30 (주) 보광직물 방호복
KR20180082288A (ko) 2017-05-24 2018-07-18 주식회사 이레산업 방탄조끼
KR101887949B1 (ko) 2018-05-21 2018-08-17 (주)삼양컴텍 신속 탈의 및 착용이 가능한 방탄복
KR20190000137U (ko) * 2017-07-06 2019-01-16 (주)온라인학교 구명조끼
KR102087811B1 (ko) 2018-09-28 2020-03-11 (주)보광아이엔티 착의와 탈의가 편리한 방호복
KR200492013Y1 (ko) 2019-12-06 2020-07-17 김홍연 원피스형 방탄복
KR102406462B1 (ko) * 2021-11-18 2022-06-08 주식회사 엔에이치 가방 수납식 방탄복
RU2818875C1 (ru) * 2023-02-06 2024-05-06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амойлов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бронезащит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74B1 (ko) * 2009-11-03 2010-08-05 주식회사 파이로 방탄복
KR101080179B1 (ko) * 2011-07-11 2011-11-07 씨엔에스아모어테크(주) 신속 해제형 방호 조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74B1 (ko) * 2009-11-03 2010-08-05 주식회사 파이로 방탄복
KR101080179B1 (ko) * 2011-07-11 2011-11-07 씨엔에스아모어테크(주) 신속 해제형 방호 조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76B1 (ko) 2015-10-28 2016-04-25 (주)대산플랜트 탈부착이 가능한 방탄판이 구비된 방탄복
KR20180032405A (ko) 2016-09-22 2018-03-30 (주) 보광직물 방호복
KR20180082288A (ko) 2017-05-24 2018-07-18 주식회사 이레산업 방탄조끼
KR20190000137U (ko) * 2017-07-06 2019-01-16 (주)온라인학교 구명조끼
KR200489672Y1 (ko) * 2017-07-06 2019-07-19 (주)온라인학교 구명조끼
KR101887949B1 (ko) 2018-05-21 2018-08-17 (주)삼양컴텍 신속 탈의 및 착용이 가능한 방탄복
KR102087811B1 (ko) 2018-09-28 2020-03-11 (주)보광아이엔티 착의와 탈의가 편리한 방호복
KR200492013Y1 (ko) 2019-12-06 2020-07-17 김홍연 원피스형 방탄복
KR102406462B1 (ko) * 2021-11-18 2022-06-08 주식회사 엔에이치 가방 수납식 방탄복
RU2818875C1 (ru) * 2023-02-06 2024-05-06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амойлов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бронезащит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86B1 (ko) 신속한 착?탈 기능을 갖춘 방탄복
US8533862B2 (en) Quickly releasable vest
US8814020B2 (en) System for quick release of pack
US7926117B2 (en) Ballistic resistant garment quick release system
KR101543762B1 (ko) 방탄복
KR100974174B1 (ko) 방탄복
US20120167267A1 (en) Cut away vest with multiple release modes
US9562746B2 (en) Quickly releasable vest
KR102406462B1 (ko) 가방 수납식 방탄복
KR200479313Y1 (ko) 흉판과 등판에 방검부재를 구비한 탈부착이 용이한 방검 조끼
KR10161517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탄판이 구비된 방탄복
KR102087811B1 (ko) 착의와 탈의가 편리한 방호복
KR20150100121A (ko) 방탄복
KR101896437B1 (ko) 방호복
KR101887949B1 (ko) 신속 탈의 및 착용이 가능한 방탄복
KR101364359B1 (ko) 스프링구조의 신속 해체식 방탄복
US10893741B1 (en) Bulletproof bag
KR101939360B1 (ko) 신속 탈의 기능을 구비한 방호 조끼
CA2939765C (en) Quickly releasable vest
KR101256339B1 (ko) 방탄복
KR102168971B1 (ko) 방탄기능을 갖는 인출식 방탄백팩
JP2000320999A (ja) 身体防御用胴衣
KR102530468B1 (ko) 방탄복
JP4533104B2 (ja) 胴衣
JP5377942B2 (ja) 胴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