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33B1 -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 Google Patents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33B1
KR101182833B1 KR1020100042548A KR20100042548A KR101182833B1 KR 101182833 B1 KR101182833 B1 KR 101182833B1 KR 1020100042548 A KR1020100042548 A KR 1020100042548A KR 20100042548 A KR20100042548 A KR 20100042548A KR 101182833 B1 KR101182833 B1 KR 10118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and
toilet
unit
indu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3091A (en
Inventor
이건표
박성희
배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4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33B1/en
Publication of KR2011012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Abstract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처리하도록 작동되는 변기본체부; 및 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손과 접촉되어 변기본체부를 작동시키며, 변기본체부 작동시 접촉된 손에 식별제를 묻히는 버튼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버튼장치를 조작한 손에 유색의 세균 형상으로 식별제가 묻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손을 씻도록 유도함으로써, 용변을 본 후 손에 묻은 세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염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한다.
Disclosed is a toilet with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The disclosed invention comprises: a toilet body portion operable to discharge water to treat dirt; And a button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valve body part, contacts the hand to operate the valve body part, and puts the identification agent on the contacted hand when the valve body par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eating the excreted excrement with the colored device in the shape of the bacteria on the hand operated the button device to the user by looking at the stool to wash the hands, after seeing the stool, bacteria on the hand It contributes to the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hat can be caused by.

Description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본 발명은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후 손을 씻도록 유도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for inducing to wash hands after toilet.

손은 끊임없이 뭔가를 만지고, 집고, 만들고 있기 때문에 각종 유해 세균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부위로서, 신체 가운데 각종 유해 세균과 가장 많이 접촉하는 부위이다. 호흡기로 감염되는 감기 바이러스의 경우도, 공기에 의한 전파보다는 세균이 묻은 손을 코나 입에 갖다 대거나, 세균이 묻어있는 손으로 만진 물건에 신체의 일부분이 접촉함에 따라 인체에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다.Hands are the areas most frequently exposed to various harmful bacteria because they are constantly touching, picking up, and making something. Cold viruses, which are infected with the respiratory tract, are more likely to infect the human body by touching germs on the nose or mouth or by touching parts of the body that are touched by germs. .

특히, 대변 및 소변에는 각종 유해 세균이 서식하는 바, 용변을 본 후 몸에 묻은 대변 또는 소변을 닦아내거나 변기와 접촉한 손은 다량의 각종 유해 세균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손에 묻은 세균은 전염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된다.In particular, feces and urine are inhabited by various harmful bacteria, the stool or urine wipes the body after seeing the stool or contact with the toilet is exposed to a large amount of various harmful bacteria. As such, the bacteria on the hands may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art.

용변을 본 후 손에 묻은 세균은 비누 등과 같은 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을 씻는 것만으로도 대부분 제거므로, 용변을 본 이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용변을 본 이후 손에 육안으로 확인되는 오물이 묻은 경우에는 대부분 손을 씻게 되지만, 손에 육안으로 확인되는 오물이 묻지 않은 경우에는 손 씻기를 게을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After seeing the stool, the bacteria on your hands are mostly removed just by washing your hands with a detergent such as soap, so it is preferable to wash your hands after seeing the stool. However, after seeing the stool, most of the hands are washed with the visible dirt on the hand, but if the dirt does not appear on the naked eye, the hand washing occurs.

본 발명은 용변을 본 후 손 씻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improved structure to induce hand washing after seeing the stool.

본 발명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는: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처리하도록 작동되는 변기본체부; 및 상기 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손과 접촉되어 상기 변기본체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변기본체부 작동시 접촉된 상기 손에 식별제를 묻히는 버튼장치를 포함한다.Toilet bowl having a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ilet body portion that is operated to treat water by discharging water; And a button device provided in the valve body part to be in contact with a hand to operate the valve body part, and to put an identification agent on the contacted hand when the valve body part is operated.

또한, 상기 버튼장치는, 상기 변기본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과 접촉되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부에 위치된 상기 손에 상기 식별제를 묻히는 스탬핑부; 및 상기 스탬핑부에 식별제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tton device, the hous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valve body; A button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part and having an open part formed at one side contacting the hand; A stamping part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art to bury the identification agent in the hand located in the opening part; And a supply part supplying an identification agent to the stamping part.

또한,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버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개방부에 위치된 상기 손과 접촉되는 제2위치로 회전되는 회전본체부; 및 상기 회전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이동시 상기 버튼부에 간섭되어 상기 버튼부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돌기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mping unit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button unit and rotated to a firs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upply unit and a second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hand located in the opening unit; And a protrusion shaft part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part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art and interfering with the button part when the button part is moved to mov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utton part to rotate the rotating body par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축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버튼부의 이동시 상기 돌기축부가 간섭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part may include a guide part formed to penetrate the button part and extending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and the protrusion shaft part inserted therein; And an interference part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guide part so that the protrusion shaft part moves in an interference manner when the button part moves.

또한, 상기 회전본체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회전본체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and the housing part has a rotat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rotating main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art.

또한, 상기 회전본체부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shape portion formed concave or convex.

또한, 상기 버튼장치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버튼부를 상기 일측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tton devic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for returning the button portion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direction to the one side.

또한, 상기 식별제는 유색의 비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agent is preferably a colored soap.

본 발명의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에 따르면,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버튼장치를 조작한 손에 유색의 세균 형상으로 식별제가 묻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손을 씻도록 유도함으로써, 용변을 본 후 손에 묻은 세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염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한다.
According to the toilet with the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ausing the user to wash the hand after seeing the stool so that the identification agent in a colored bacterial shape on the hand operated the button device to process the excreted feces, After seeing stool, it helps prevent various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hat can be caused by germs on han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ng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를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300)는 변기본체부(100)와 버튼장치(200)를 포함한다.1 to 4, the toilet 300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body unit 100 and a button device 200.

변기본체부(100)는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처리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변기본체부(100)는 물탱크부(110)와 집수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부(110)는 집수부(120)의 후방에 배치되며,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변기본체부(110)의 작동시 저장된 물을 집수부(120)로 공급한다. 집수부(120)는 물탱크부(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배설물을 수용한다. 집수부(120)에 배설된 배설물은 물탱크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함께 집수부(120)의 하부에 형성된 오물배출부(125)를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기본체부(100)의 작동은 상기와 같은 변기본체부(100)의 배설물 배출 동작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toilet body part 100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water to treat the dirt. The valve body part 100 includes a water tank unit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unit 1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receives and stores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is stor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body unit 110. Water is supplied to the collecting unit 120. The collecting part 1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tank part 110, and is formed to have an upper portion open to receive the excrement. The excrement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discharge unit 12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tank unit 110.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toilet body portion 100 is illustrated as referring to the excrement discharge operation of the toilet body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버튼장치(200)는 변기본체부(100)에 구비되고, 손과 접촉되어 변기본체부(100)를 작동시키며, 변기본체부(100) 작동시 접촉된 손에 식별제를 묻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버튼장치(200)는 하우징부(210)와, 버튼부(220)와, 스탬핑부(230) 및 공급부(240)를 포함한다.The button device 200 is provided in the valve body part 100 to operate the valve body part 100 by being in contact with a hand,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applying the identification agent to the contacted hand when the valve body part 100 is operated. . The button device 200 includes a housing part 210, a button part 220, a stamping part 230, and a supply part 240.

하우징부(210)는 변기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탱크부(1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하우징부(210)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탱크부(110)의 측부에 삽입되며, 물탱크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housing part 21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alve body part 100, more specifically, the water tank part 110. As one example, the hous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water tank 110, the on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10 is opened.

버튼부(220)는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례로서, 버튼부(220)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220)에는 개방부(221)가 형성된다. 개방부(221)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는 버튼부(220)의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button unit 220 is formed to be movable inside the housing unit 210. As one example, the button portion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opening part 221 is formed in the button part 220. The opening part 221 is formed to be opened on one side of the button part 220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상기와 같은 버튼부(22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버튼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250)에 의해 일측으로 복귀된다. 일례로서, 탄성부(250)는 일측이 버튼부(220)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버튼장치(200)가 설치되는 물탱크부(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탄성부(250)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즉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삽입된 버튼부(220)를 일측, 즉 하우징부(210)의 외측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한다.The button unit 220 as described above is pushed by the user's hand and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button part 220 is returned to one side by the elastic part 250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210. As an example, the elastic part 250 is illustrated as one coil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utton portion 220 and the other side is a coil spring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10 in which the button device 200 is installed. . The elastic part 250 provides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button part 220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dir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210.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탬핑부(230)는 버튼부(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개방부(221)에 위치된 손에 식별제를 묻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탬핑부(230)는 회전본체부(231)와 돌기축부(235)를 포함한다.4 and 5, the stamping unit 230 interlocks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20 to bury the identification agent in the hand located in the opening 221. The stamping portion 230 includes a rotation body portion 231 and the projection shaft portion 235.

회전본체부(231)는 버튼부(2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본체부(231)는 그 일측이 하우징부(210)의 내측에서 후술할 공급부(240)와 접촉되는 제1위치(a) 및 그 일측이 개방부(221)에 위치된 손과 접촉되는 제2위치(b)로 회전될 수 있다.Rotating body portion 231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button portion 220. The rotating body 231 is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hand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 and the one side is opened in the opening portion 221 in contact with the supply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inside the housing portion 210 It may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본체부(231)에는 결합홈(232)이 형성되며, 버튼부(220)의 내측에는 회전축(223)이 구비된다. 결합홈(232)은 회전본체부(231)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회전축(223)은 원통 형상으로 결합홈(232)을 향해 돌출되어 결합홈(232)에 축 결합된다. 일례로서, 결합홈(232)은 회전본체부(231)의 타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회전축(223)의 곡률과 동일, 유사한 곡률을 갖는 곡선을 포함하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ody 232 is formed in the rotating body 231, and the rotating shaft 223 is provided inside the button unit 220. The coupling groove 232 is formed concave on the sid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the rotating shaft 223 is projected toward the coupling groove 232 in a cylindrical shape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32 shaft. As one example, the coupling groove 232 is ope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rotation body portion 231, and is formed in a "⊂" shape including a curve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rotation shaft 223.

상기와 같은 회전축(223)과 결합홈(232)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통해, 회전본체부(231)는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버튼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본체부(231)는 결합홈(23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회전축(223)이 결합홈(232)에 결합되도록 하여 버튼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결합홈(23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회전축(223)이 결함홈(23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버튼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rough the rotatable coupling of the rotating shaft 223 and the coupling groove 232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body 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utton unit 220 around the rotating shaft 223. In addition, the rotation body 23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utton unit 220 by allowing the rotation shaft 223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32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232, the coupling groove The rotating shaft 223 may be separated from the button portion 220 by allowing the rotating shaft 223 to be separated from the defect groove 232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portion 232.

돌기축부(235)는 회전본체부(231)에 구비되되, 결합홈(232)과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축부(235)는 하우징부(21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튼부(220)의 이동시 버튼부(220)에 간섭되어 버튼부(220)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본체부(231)를 회전시킨다. 일례로서, 돌기축부(235)는 하우징부(210)에 오목되게 형성된 안내홈(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안내홈(211)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본체부(231)를 회전시키게 된다.Protruding shaft portion 235 is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232. The protrusion shaft part 2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art 210, and when the button part 220 moves, the protrusion shaft part 235 interferes with the button part 220 and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button part 220 to rotate the body part. Rotate 231. As an example, the projection shaft portion 2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11 formed concave in the housing portion 210, and rotates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while moving along the path formed in the guide groove 211. Let's go.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220)는 가이드부(225) 및 간섭부(227)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25)는 버튼부(220)의 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버튼부(2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25)에는 돌기축부(235)가 삽입된다. 그리고, 간섭부(227)는 버튼부(220)의 이동시 가이드부(225)에 삽입된 돌기축부(235)가 간섭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부(225)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부(220)의 이동시 돌기축부(235)는 버튼부(2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간섭부(227)에 간섭됨으로써, 간섭부(227)의 표면을 따라 버튼부(220)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본체부(231)를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tton unit 220 includes a guide unit 225 and an interference unit 227. The guide part 225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of the button part 220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220. The protrusion shaft portion 235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25.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art 227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guide part 225 so that the protrusion shaft part 235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225 when the button part 220 moves. When the button portion 220 moves, the protrusion shaft portion 235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ortion 227 tha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220, and thu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utton portion 220 along the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ortion 227. Mov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231.

한편, 본 실시예의 회전본체부(231)는 형상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상부(233)는 회전본체부(231)의 일측에 위치되며,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일례로서, 형상부(233)는 세균을 형상화한 형상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형상부(233)는 회전본체부(231)의 제1위치(a) 회전시 공급부(240)와 접촉되어 식별제가 묻는 부분이며, 회전본체부(231)의 제2위치(b) 회전시 손과 접촉되어 세균을 형상화한 형상으로 손에 식별제를 묻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body portion 23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hape portion 233. The shape portion 233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and is formed concave or convex. As one example, the shape portion 233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hape of the bacteria is convex. The shape portion 233 is a part contacted with the supply unit 240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position (a) of the rotation main body portion 231 is the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agent,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position (b) of the rotation main body portion 231 In contact with the h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 is buried in the shape of the bacteria.

공급부(240)는 스탬핑부(230)에 식별제를 공급한다. 공급부(240)는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구비되되, 하우징부(210)의 타측 내측면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식별제는 유색의 비누로서,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공급부(240)에 설치된다. 공급부(240)에 설치되는 식별제는 회전본체부(231)와의 접촉시 회전본체부(231)의 표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형상부(233)의 표면에 묻어나는 형태로 스탬핑부(230)에 공급된다.The supply unit 240 supplies the identification agent to the stamping unit 230. The supply unit 24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unit 210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210. As an example, the identification agent is a colored soap and is installed in the supply unit 240 in a solid or liquid state. The identification agent installed in the supply unit 240, the stamping unit 230 in the form of being burie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shape portion 233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portion 231 Supplied to.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3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toilet 300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기본체부(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을 버튼장치(200)에 접촉시키고, 손이 버튼부(220)에 접촉된 상태에서 버튼부(220)를 누르면, 버튼부(22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변기본체부(100)가 작동되어 집수부(120)에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한다.In order to operate the valve body unit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ser contacts the hand with the button device 200, and the button unit 220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unit 220. When pressed, the button unit 22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resses by hand, and thus the valve body unit 100 is operated to process the excrement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20.

도 5를 참조하면, 버튼부(220)의 이동 전, 회전본체부(231)는 제1위치(a)에 위치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회전본체부(231)는 공급부(240)와 접촉되어 공급부(240)로부터 식별제를 공급받는다.Referring to FIG. 5, before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20, the rotation main unit 231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 and in this state, the rotation main unit 231 contacts the supply unit 240. And the identification agent is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240.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버튼부(22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본체부(231)는 버튼부(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2위치(b)로 회전된다. 즉, 회전본체부(231)의 일측이 제1위치(a)에 위치된 상태에서, 돌기축부(235)가 버튼부(2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간섭부(233)에 의해 간섭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축부(235)는 간섭부(227)의 표면을 따라 버튼부(220)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부(22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돌기축부(23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돌기축부(235)의 이동으로 인해, 회전본체부(231)는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b)로 회전된다.As the button unit 220 is move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rotation body unit 231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20.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231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 if the projection shaft portion 235 is interfered by the interference portion 233 which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220,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protrusion shaft portion 235 is mov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utton portion 220 along the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ortion 227.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utton unit 22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shaft unit 235 is exemplar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shaft 235, the rotation main body 231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223 and rotates to the second position b as illustrated in FIG. 8.

상기와 같이 제2위치(b)로 회전된 회전본체부(23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221)를 통해 손과 접촉되어 버튼부(220)를 누르는 손에 식별제를 묻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제가 묻은 형상부(233)에는 세균을 형상화한 형상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는 식별제가 세균 형상으로 손에 묻게 된다. 이와 같이 손에 묻은 식별제는 눈에 띄기 쉽게 표시되며, 손에 묻은 식별제는 손을 씻음으로써 손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에 묻은 식별제를 보고 손을 씻어야 함을 확실히 인지하고, 용변을 본 후 손을 씻는 행위를 간과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rotating body part 231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 is in contact with the hand through the opening part 221 and presses the button part 220. The identifier will be buried 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portion 233 embedded with the identification agent is formed convexly shap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agent is embedded in the user's hand in the form of a bacterium. As such, the identification agent on the hand is easily visible, and the identification agent on the hand can be removed from the hand by washing the hand. Therefore, the user sees the identification agent on the hand to be sure to wash the hand, and do not overlook the act of washing the hand after seeing the toile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300)는, 변기본체부(100)를 작동시켜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버튼장치(200)를 조작한 손에 유색의 세균 형상으로 식별제가 묻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손을 씻도록 유도함으로써, 용변을 본 후 손에 묻은 세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염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한다.
Toilet bowl 300 having a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agent is in the form of colored bacteria in the hand operated the button device 200 to process the feces by operating the toilet body part 100. By asking the user to wash his hands after seeing the stool, it contributes to preventing various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hat can be caused by bacteria on the hand after viewing the stool.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변기본체부 110 : 물탱크부
120 : 집수부 200 : 버튼장치
210 : 하우징부 223 : 회전축
220 : 버튼부 221 : 개방부
225 : 가이드부 227 : 간섭부
230 : 스탬핑부 231 : 회전본체부
232 : 결합홈 233 : 형상부
235 : 돌기축부 240 : 공급부
250 : 탄성부 300 :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100: basic body portion 110: water tank portion
120: water collecting unit 200: button device
210: housing portion 223: rotation axis
220: button portion 221: opening portion
225: guide portion 227: interference portion
230: stamping part 231: rotating main body
232: coupling groove 233: shape
235: protrusion shaft 240: supply unit
250: elastic portion 300: toilet bowl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Claims (8)

삭제delete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처리하도록 작동되는 변기본체부; 및
상기 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손과 접촉되어 상기 변기본체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변기본체부 작동시 접촉된 상기 손에 식별제를 묻히는 버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장치는,
상기 변기본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과 접촉되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부에 위치된 상기 손에 상기 식별제를 묻히는 스탬핑부; 및
상기 스탬핑부에 식별제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oilet body portion which is operated to discharge water to treat dirt;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and to operate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ncludes a button device for embedding the identification agent on the hand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button device,
A housing unit installed in the valve body unit;
A button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part formed at one side contacting the hand;
A stamping part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art to bury the identification agent in the hand located in the opening part; And
Toilet bowl having a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for supplying an identification agent to the stamp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버튼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개방부에 위치된 상기 손과 접촉되는 제2위치로 회전되는 회전본체부; 및
상기 회전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이동시 상기 버튼부에 간섭되어 상기 버튼부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돌기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mping portion,
A rotating body part rotatably installed in the button part and rotating to a first position contacting the supply part and a second position contacting the hand located at the opening part; And
It is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housing rotatably and moveable, and when moving the button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shaft por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portion by mov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utton portion to interfere with the button portion; A toilet having a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축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버튼부의 이동시 상기 돌기축부가 간섭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tton unit,
A guide part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the button part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and in which the protrusion shaft part is inserted; And
Toilet bowl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erence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f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projection shaft portion is moved in the interference when the button portion is mov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본체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rotating body portion,
The guide unit has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shaft axi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부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body portion, toilet bowl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 or convex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장치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버튼부를 상기 일측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device is a toilet having a hand washing induction function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rt for returning the button portion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제는 유색의 비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씻기 유도 기능을 갖는 변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toilet bowl having a hand-washing in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ant is colored soap.
KR1020100042548A 2010-05-06 2010-05-06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KR101182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48A KR101182833B1 (en) 2010-05-06 2010-05-06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48A KR101182833B1 (en) 2010-05-06 2010-05-06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91A KR20110123091A (en) 2011-11-14
KR101182833B1 true KR101182833B1 (en) 2012-09-14

Family

ID=4539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48A KR101182833B1 (en) 2010-05-06 2010-05-06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175A (en) 1999-12-03 2001-06-12 Morihiko Watanabe Sticking prevention method from miscellaneous bacteria to clothing and convenient hand-washing apparatus used therefor
KR100742593B1 (en) * 2007-04-30 2007-07-25 이수인 (주) A handlever of toilet bowl's water tank for controlling a water volumn
JP2009525422A (en) 2006-02-01 2009-07-09 ダニエル アダム ポラコー Sanitary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175A (en) 1999-12-03 2001-06-12 Morihiko Watanabe Sticking prevention method from miscellaneous bacteria to clothing and convenient hand-washing apparatus used therefor
JP2009525422A (en) 2006-02-01 2009-07-09 ダニエル アダム ポラコー Sanitary equipment
KR100742593B1 (en) * 2007-04-30 2007-07-25 이수인 (주) A handlever of toilet bowl's water tank for controlling a water v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91A (en)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5706B (en) Washing machine
US8382012B2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101653226B1 (en) An apparatus for handle with a sterilization function
WO2015115788A1 (en) Sanitary toilet bowl
KR101057447B1 (en) Bidet Nozzle Cleaning Liquid Sprayer and Bidet Nozzle Assembly
KR101182833B1 (en) Toilet stool having a function inducing hand-washing
KR100884189B1 (en) A shower capable of detaching and attaching the tooth cleaning means
JP5438094B2 (en) Tablet dispenser for toilet
KR101315294B1 (en) Flush apparatus using toilet seat cover
US10639391B2 (en) Re-phresh system
US10898037B2 (en) Dispenser and cleaning assembly
JP6042006B1 (en) Cleaning nozzle and cleaning device
JP2003339578A (en) Toilet seat apparatus
JP2007289638A (en) Automatic excreta treating apparatus
KR200464138Y1 (en) Bidet that have nozzle washing cover and nozzle washing cover
KR20130104112A (en) Steam brush apparatus for cleaning shoes
JP4740281B2 (en) Toilet seat device
JP2006138137A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20180053847A (en) Hand-washing device
KR20180047315A (en) Flush toilet having a separate urinal fow male
KR101808983B1 (en) Shoes cleaner
KR20110002745U (en) Hand cleansing machine
TWI777708B (en) Toilet floor cleaning device
CN218661771U (en) Hand brake handle for epidemic prevention
KR200284736Y1 (en) structure for nozzle of portable bid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