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543B1 -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543B1
KR101182543B1 KR1020120038642A KR20120038642A KR101182543B1 KR 101182543 B1 KR101182543 B1 KR 101182543B1 KR 1020120038642 A KR1020120038642 A KR 1020120038642A KR 20120038642 A KR20120038642 A KR 20120038642A KR 101182543 B1 KR101182543 B1 KR 10118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solved
water
chemical
mix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형
Original Assignee
허종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형 filed Critical 허종형
Priority to KR102012003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43B1/ko
Priority to PCT/KR2013/003085 priority patent/WO201315438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B01F23/451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by injecting one liquid in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lace of introduction of the main flow
    • B01F25/31243Eductor or eductor-type venturi, i.e. the main flow being injected through the venturi with high speed in the form of a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4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with helical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97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1971Mounted on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01F27/9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the material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2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 B01F33/821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with consecutive receptacles
    • B01F33/8212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with consecutive receptacles with moving and non-moving stir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Mixing plant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in combination with disintegrat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6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 B01F33/8361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 B01F33/83611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약품 및 1차용해수가 공급되며, 내부에는 수처리약품과 1차용해수를 희석 혼화시켜 용해약품이 되게 하는 혼합부, 혼합부로부터 용해약품을 공급받도록 혼합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2차용해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용해약품이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이젝터, 이젝터로부터 혼화된 용해약품과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이젝터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혼화되는 용해약품과 2차용해수가 뭉침되지 않도록 절단상태로 이송 배출시키는 절단부, 절단부로부터 용해약품과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절단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혼화된 용해약품과 2차용해수가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급속용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는, 혼합부에서 수처리약품과 1차용해수를 혼화시켜 젤과 같은 상태의 용해약품으로 형성한 후, 이젝터에서 용해약품을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태로 절단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후, 절단부에서 용해약품을 일정크기 이하가 되도록 절단된 상태로 급속용해부로 공급되게 하는 바, 급속용해부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에 의해 용해약품은 2차용해수에 용이하게 희석 용해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Chemicals linear dissolving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용성이나 점성이 큰 약품 또는 기체상태 약품을 희석 용해하여 원수 및 슬러리 처리공정에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 및 하수처리장에는 원수 또는 액상처리공정중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이나 고형물질을 응집 또는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수 및 각 공정에서 약품을 혼화하여 주는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수 및 하수처리장의 정수공정에는 공정처리 중에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희석용해하여 수처리 공정에 공급시키는 수처리용 약품 용해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처리용 약품 용해장치는 용해중 젤리상태가 심하게 나타나는 고분자응집제 등과 같은 난용성 또는 점성을 가지는 약품을 용해시키는 경우, 교반기에 의한 용액 중 공기혼입에 의한 많은 거품이 발생하며, 장시간의 교반동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같은, 종래의 상기 상수 및 하수처리장의 약품 용해장치는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용해조 내에 유입된 용해수에 상기 약품을 투입하고, 상기 약품과 상기 용해수를 혼합기의 상기 임펠러를 회전동작시켜서 희석되도록 혼화시킨 후 응집 공정이 이루어지는 응집지로 희석된 약품을 투입하게 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약품을 희석 용액으로 만든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수 및 하수처리장의 약품 용해장치는 상기 혼합기의 임펠러에만 의존하여 상기 혼화수조 내의 상기 약품과 상기 용해수를 혼화시키는 바, 상기 약품과 상기 용해수의 혼화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약품의 투입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기를 무리하게 운용하게 되어서 쉽게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체상태의 약품을 투입하는 경우, 단순한 이젝터에 의해 흡입한 기체를 용해수에 용해시키고 있으나, 기체방울의 크기가 큰 문제로 미반응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처리에 사용되는 약품을 용해수와 효율적으로 희석 혼화될 수 있게 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처리약품 및 1차용해수가 공급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처리약품과 상기 1차용해수를 희석 혼화시켜 용해약품이 되게 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용해약품을 공급받도록 상기 혼합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2차용해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상기 용해약품이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로부터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이젝터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혼화되는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가 뭉침되지 않도록 절단상태로 이송 배출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로부터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절단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가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급속용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는, 전체적으로 호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유입되는 약품공급구 및 용해수공급구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하우징과, 상기 혼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임펠러가 형성된 혼화축 및, 상기 혼화축과 연결되어, 상기 혼화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이젝터 및 상기 급속용해부와 연결된 관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급속교축부가 마련된 절단하우징과, 상기 급속교축부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복수의 절단부재가 연결 구비되어, 상기 급속교축부 내부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용해약품을 절단상태로 이송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속용해부는,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절단부에 연결되는 용해하우징과, 상기 용해하우징의 내측에 나선형으로 결합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를 거쳐 상기 용해하우징 내부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된 상기 용해약품이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유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날개는, 상기 용해하우징 내측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날개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는, 혼합부에서 수처리약품과 1차용해수를 혼화시켜 젤과 같은 상태의 용해약품으로 형성한 후, 이젝터에서 용해약품을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태로 절단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후, 절단부에서 용해약품을 일정크기 이하가 되도록 절단된 상태로 급속용해부로 공급되게 하는 바, 급속용해부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에 의해 용해약품은 2차용해수에 용이하게 희석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절단부의 투시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급속용해부의 투시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의 구성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절단부의 투시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급속용해부의 투시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는, 혼합부(100), 이젝터(200), 절단부(300), 급속용해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혼합부(100)는 수처리약품과 1차용해수를 희석 혼화시켜 용해약품으로 형성한 후, 이후 설명될 이젝터(200)로 상기 용해약품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혼합부(100)는 혼합하우징(110), 혼화축(120),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하우징(110)은 상기 이젝터(200)로 배출 공급할 상기 용해약품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를 저장 혼화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지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혼합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호퍼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혼합하우징(1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수처리약품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약품공급구(111) 및 상기 1차용해수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해수공급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약품공급구(111)는 상기 혼합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상기 수처리약품을 공급하는 배관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용해수공급구(112)는 상기 혼합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상기 1차용해수를 공급하는 배관라인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하우징(110)의 하단에는 상기 약품공급구(111) 및 상기 용해수공급구(112)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후, 희석 혼화되면서 형성된 상기 용해약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구(113)는 이후 설명될 상기 이젝터(200)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이젝터(200)로 공급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13) 내측에는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이젝터(200)로 선택적인 배출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3)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도면미도시)를 장착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혼화축(120)은 상기 혼합하우징(110)에 공급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용이하게 희석 혼화되며 상기 용해약품으로 형성될 수 있게,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희석 혼화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혼화축(120)은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혼합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혼화축(120)은 상기 구동모터(13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혼화축(120)에는 축회전시,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희석 혼화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임펠러(121)가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혼화축(120)이 결합되는 상기 혼합하우징(110)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도면미도시)를 장착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혼화축(120)을 축회전되게 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혼합하우징(110)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축 단부는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혼화축(12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혼화축(120)의 일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력을 상기 혼화축(120)으로 전달하는 구조는,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의 직결에 따른 구조나, 벨트나 체인을 통해 연결 전달하는 공지의 구조를 선택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젝터(200)는 상기 혼합부(100)의 혼합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용해약품을 공급받은 후, 상기 용해약품을 2차용해수와 다시 혼화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절단부(300)로 배출 이송되도록 펌핑시키는 부분이다. 즉, 상기 이젝터(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2차용해수를 상기 절단부(300) 방향으로 분사 배출시키면서 상기 혼합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용해약품이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태로 이송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젝터(200)는 상기 혼합하우징(110)의 배출구(113)와 연결되는 유체공급구(211)가 형성된 흡인실(210)과, 외부에서 상기 2차용해수를 공급하는 배관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인실(210) 내부로 상기 2차용해수를 분사 배출시키는 노즐(220) 및, 상기 노즐(220) 및 상기 유체공급구(211)를 통해 상기 흡인실(210)로 유입되어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 및 상기 2차용해수를 상기 절단부(300)로 배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디퓨져(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200)는 상기 노즐(220)을 통해 상기 디퓨져(230) 방향으로 상기 2차용해수를 분사 배출시키면, 상기 흡인실(21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상기 유체공급구(211)를 통해 상기 혼합하우징(110)의 용해약품을 상기 흡인실(210)로 흡인 이송되게 한 후, 상기 2차용해수와 같이 혼화된 상태로 상기 디퓨져(230)를 통해 상기 절단부(300)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이젝터(2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을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급속용해부(400)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300)의 일단은 상기 이젝터(200)의 디퓨져(230) 단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급속용해부(400)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300)는 절단하우징(310), 절단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하우징(310)은 상기 이젝터(2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급속용해부(400)로 이송되게 가이드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절단하우징(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이젝터(200)의 디퓨져(230) 단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급속용해부(400)의 입구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하우징(3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급속교축부(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급속교축부(311)는 상기 이젝터(2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의 이송속도를 증대시켜 상기 절단부재(320)에 의한 상기 용해약품을 안정적으로 절단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절단부재(320)는 상기 절단하우징(310) 내부로 이송되는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을 일정 크기이하로 배출될 수 있게 절단시킨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재(320)는 상기 급속교축부(311)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복수개가 상기 절단하우징(310) 내측에 양단이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재(320)는 와이어부재를 망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절단날을 상기 용해약품의 이송방향에 수평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급속용해부(400)는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부재(320)를 거쳐 절단상태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되는 상기 용해약품을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즉, 상기 급속용해부(400)는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2차용해수에 희석 용해되도록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후 공정으로 이송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급속용해부(400)는 용해하우징(410), 회전유도날개(420)를 포함한다.
상기 용해하우징(410)은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하우징(31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되는 상기 용해약품을 이후 공정으로 이송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용해하우징(4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하우징(310) 타단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이후 공정이 수행되는 부분과 연결되도록 결합 설치된다.
상기 회전유도날개(420)는 상기 용해하우징(410) 내부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되는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2차용해수에 용해된 상태로 이송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해하우징(410) 내부에서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도날개(420)는 상기 용해하우징(410) 내측에 나선형으로 결합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날개(420)는 상기 용해하우징(410) 내부에서 이송되는 혼화상태의 상기 2차용해수와 상기 용해약품에 대한 회전수류 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해하우징(410)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유도날개(42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4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공(421)은 상기 회전유도날개(420)에 의해 가이드 이송되는 상기 2차용해수의 일부가 관통 이송되면서 회전수류 형성을 증대시켜, 상기 용해약품의 용해효율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300)와 상기 급속용해부(400)는 상기 2차용해수에 상기 용해약품을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복수개를 연결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약품공급구(111) 및 상기 용해수공급구(112)를 통해 상기 혼합부(100)의 혼합하우징(110) 내부로 상기 1차용해수 및 수처리약품을 공급 저장한다. 이렇게,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를 공급 저장하면, 상기 구동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혼화축(120)이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를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에서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희석 혼화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를 일정시간동안 혼화시켜 젤과 같은 상태의 상기 용해약품이 형성되면, 상기 이젝터(200)의 노즐(220)을 통해 상기 이젝터(200)의 흡인실(210)로 상기 2차용해수를 분사 배출시킨다. 그러면, 상기 혼합하우징(110) 내부의 상기 용해약품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흡인실(210)로 흡입 이송된 후,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태로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하우징(310)으로 공급된다.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하우징(310)으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된 상기 용해약품은 상기 절단부재(320)를 지나면서 일정크기 이하로 절단되면서 상기 급속용해부(400)로 이송된다.
상기 급속용해부(400)로 이송된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유입된 상기 용해약품은 상기 급속용해부(400)의 용해하우징(410) 내부에서 상기 회전유도날개(420)에 의해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용해약품은 상기 용해하우징(410) 내부에서 상기 2차용해수에 용해된 상태로 이후의 공정으로 배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는, 상기 혼합부(100)에서 상기 수처리약품과 상기 1차용해수를 혼화시켜 젤과 같은 상태의 상기 용해약품으로 형성한 후, 상기 이젝터(200)에서 상기 용해약품을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된 상태로 상기 절단부(300)로 공급되게 한다. 이후, 상기 절단부(300)에서 상기 용해약품을 일정크기 이하가 되도록 절단된 상태로 상기 급속용해부(400)로 공급되게 하는 바, 상기 급속용해부(400)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에 의해 상기 용해약품은 상기 2차용해수에 용이하게 희석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혼합부 110: 혼합하우징
120: 혼화축 121: 임펠러
130: 구동모터 200: 이젝터
210: 흡인실 220: 노즐
230: 디퓨져 300: 절단부
310: 절단하우징 320: 절단부재
400: 급속용해부 410: 용해하우징
420: 회전유도날개

Claims (6)

  1. 수처리약품 및 1차용해수가 공급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처리약품과 상기 1차용해수를 희석 혼화시켜 용해약품이 되게 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용해약품을 공급받도록 상기 혼합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2차용해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상기 용해약품이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를 거치며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이젝터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를 거치며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가 뭉침되지 않도록 절단상태로 이송 배출시키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를 거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절단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를 거치며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과 상기 2차용해수가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급속용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전체적으로 호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유입되는 약품공급구 및 용해수공급구와,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약품 및 상기 1차용해수가 혼화된 상기 용해약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하우징과,
    상기 혼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임펠러가 형성된 혼화축 및,
    상기 혼화축과 연결되어, 상기 혼화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이젝터 및 상기 급속용해부와 연결된 관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급속교축부가 마련된 절단하우징과,
    상기 급속교축부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복수의 절단부재가 연결 구비되어, 상기 급속교축부 내부로 상기 이젝터를 거치며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용해약품을 절단상태로 이송 배출되게 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속용해부는,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절단부에 연결되는 용해하우징과,
    상기 용해하우징의 내측에 나선형으로 결합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를 거치며 상기 2차용해수와 혼화상태로 상기 용해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상기 용해약품이 회전수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유도날개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날개는, 상기 용해하우징 내측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결합 설치되는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날개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KR1020120038642A 2012-04-13 2012-04-13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KR10118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42A KR101182543B1 (ko) 2012-04-13 2012-04-13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PCT/KR2013/003085 WO2013154385A2 (ko) 2012-04-13 2013-04-12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42A KR101182543B1 (ko) 2012-04-13 2012-04-13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543B1 true KR101182543B1 (ko) 2012-09-12

Family

ID=4707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42A KR101182543B1 (ko) 2012-04-13 2012-04-13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2543B1 (ko)
WO (1) WO2013154385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17B1 (ko) * 2012-12-31 2013-01-31 김은수 용해 장치
KR101527470B1 (ko) * 2015-01-30 2015-06-12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고농도 mlss고도처리공법이 가능한 자성체 분말 회수 시스템
KR101558822B1 (ko) * 2014-12-23 2015-10-08 장윤근 유체의 난류 유동을 이용한 약품 급속 혼화장치
KR101782770B1 (ko) 2017-08-14 2017-09-28 주식회사 그린켐텍 인라인 교반 장치
KR101920394B1 (ko) * 2017-11-16 2018-11-20 우민기술(주) 머드 원료 혼합장치
KR20190047225A (ko) * 2017-10-27 2019-05-08 우민기술(주) 파이핑 에지테이터를 갖는 머드혼합장치
WO2020188143A1 (en) * 2019-03-15 2020-09-24 Hilla Consulting Oy A mixing and dissolving tub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276B1 (ko) 2000-08-19 2002-08-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분말혼합기
JP2003311233A (ja) 2002-04-22 2003-11-05 Jfe Steel Kk 燒結機ダストから可溶性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052838B1 (ko) 2011-05-04 2011-07-2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석탄 슬러리 제조용 캐비테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276B1 (ko) 2000-08-19 2002-08-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분말혼합기
JP2003311233A (ja) 2002-04-22 2003-11-05 Jfe Steel Kk 燒結機ダストから可溶性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052838B1 (ko) 2011-05-04 2011-07-2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석탄 슬러리 제조용 캐비테이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17B1 (ko) * 2012-12-31 2013-01-31 김은수 용해 장치
KR101558822B1 (ko) * 2014-12-23 2015-10-08 장윤근 유체의 난류 유동을 이용한 약품 급속 혼화장치
KR101527470B1 (ko) * 2015-01-30 2015-06-12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고농도 mlss고도처리공법이 가능한 자성체 분말 회수 시스템
KR101782770B1 (ko) 2017-08-14 2017-09-28 주식회사 그린켐텍 인라인 교반 장치
KR20190047225A (ko) * 2017-10-27 2019-05-08 우민기술(주) 파이핑 에지테이터를 갖는 머드혼합장치
KR101985796B1 (ko) * 2017-10-27 2019-06-04 우민기술(주) 파이핑 에지테이터를 갖는 머드혼합장치
KR101920394B1 (ko) * 2017-11-16 2018-11-20 우민기술(주) 머드 원료 혼합장치
WO2020188143A1 (en) * 2019-03-15 2020-09-24 Hilla Consulting Oy A mixing and dissolving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385A2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43B1 (ko) 수처리용 약품 인라인 용해장치
KR101095872B1 (ko) 수처리 및 정수시설에 사용되는 강한 난류형성이 용이한 약품 고속혼화용 인라인믹서 장치
KR100979674B1 (ko) 회전식 분사 노즐을 가진 상수도 시설의 관로 약품 혼합장치
US20090314702A1 (en) Rapid transfer and mixing of treatment fluid into a large confined flow of water
KR101254873B1 (ko) 폭기장치
JP2011183314A (ja) 薬剤注入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7915288A (zh) 一种混凝剂投加装置
KR100922198B1 (ko) 혼화장치
KR101166805B1 (ko)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WO2013047993A1 (ko) 수처리시설용 혼화장치
JP2008173525A (ja) 水処理装置
KR102383450B1 (ko) 수처리용 폴리머 용해장치
KR100679876B1 (ko) 기체용해반응장치
JP2008100225A (ja) 気液混合装置
KR101380679B1 (ko) 폴리머 용해장치
JPH0775723A (ja) 粉体溶解装置
KR20170089098A (ko) 이종 유체의 혼합장치
CN217164017U (zh) 一种洗手液的生产装置
JP2009045598A (ja) 流体攪拌装置
KR101736159B1 (ko) 교반기
WO2019036784A1 (pt) Dispositivo oxigenador de meios aquosos
KR101306763B1 (ko) 슬러지 교반 및 농축장치
KR101930234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US11059002B2 (en) Pivoting gas/liquid dissolution device
AU2009258142B2 (en) Rapid transfer and mixing of treatment fluid into a large confined flow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