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289B1 -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 Google Patents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289B1
KR101182289B1 KR1020090103832A KR20090103832A KR101182289B1 KR 101182289 B1 KR101182289 B1 KR 101182289B1 KR 1020090103832 A KR1020090103832 A KR 1020090103832A KR 20090103832 A KR20090103832 A KR 20090103832A KR 101182289 B1 KR101182289 B1 KR 10118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information
unit
rich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076A (ko
Inventor
김태호
양경욱
황규석
Original Assignee
성신조선(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조선(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조선(주)
Priority to KR102009010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2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를 외부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거나 수면까지 떠오르게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포함된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가두리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거나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력원을 생성하기 위해 액화 질소를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상기 정보가 상기 가두리가 손상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액화 질소가 비축되어 있고, 상기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이 비축되어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두리, 자동제어, 기체, 부자

Description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MAIN CONTROL SYSTEM OF SUBMERSIBLE FISH CAGE}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를 외부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거나 수면까지 떠오르게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두리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은 육지에서 떨어진 바닷가에서 여러 가지 재질의 그물로 도피 방지 시설을 만들어 어류를 양식하는 양식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두리는 가까운 바다에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수질이 깨끗한 수역에서 양식하기 위해 먼 바다로 진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두리 시설을 사용하게 되면 파랑 등 해양의 상태에 따라 가두리가 파손되어 어업인에게 막대한 손해를 끼친다.
또한 먼 바다에서 양식하는 경우 전동기를 사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원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두리가 위치하는 지점은 육지에서 떨어진 지점이기 때문에 가 두리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어업들이 자주 찾아가서 수동으로 가두리를 제어해야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가두리를 외부의 환경조건에 따라 파손될 수 있는 임계치 이상의 외압을 감지하거나 적조 생물을 감지하면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환경조건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다시 수면까지 자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포함된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가 상기 가두리가 손상되거나 양식 생물이 폐사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상기 정보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액화 질소가 비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화 질소를 출력하며, 상기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이 비축되어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화질소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액화 질소를 기화시켜 기화 질소를 생성하며, 상기 기화 질소를 상기 가두리의 부자로 공급하는 기화부; 상기 부자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부자의 내부가 외부와 개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자 내부의 기체가 바닷물로 대체되게 하거나, 상기 부자에 차있는 바닷물이 기체로 대체되게 하는 스위칭 밸브; 및 상기 가두리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가두리의 위치를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인지 판단하는 판단기; 상기 판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스위칭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요청 스위치; 및 상기 판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동력부에서 상기 기화부로 상기 액화 질소가 출력되게 하는 실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부는 상기 부자로 상기 기화 질소를 공급하는 종단에 기화되지 않은 상기 액체 질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두리를 외부환경 조건에 따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수면 아래로 자동으로 가라앉힘으로써 가두리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두리를 원격지에서 원격제어 함으로써 제어자가 가두리 양식의 제어를 위해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두리의 자동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연료가 전기가 아닌 액화된 기체임으로 전력 확보가 어려운 해양환경에 적합하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가두리를 해양 환경조건을 감지하여 가두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조건이 열악한 경우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환경조건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 다시 수면까지 부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100)는 상기 가두리(16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가두리(160)의 부자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바닷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두리(160)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거나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통제 장치(100)는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포함된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가 상기 가두리가 손상되거나 양식 생물이 폐사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상기 정보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 상기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액화 질소가 비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화 질소를 출력하며, 상기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이 비축되어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는 동력부(150);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화질소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액화 질소를 기화시켜 기화 질소를 생성하며, 상기 기화 질소를 상기 가두리(160)의 부자(170)로 공급하는 기화부(130); 상기 부자(170)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부자(170)의 내부가 외부와 개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자(170) 내부의 기체가 바닷물로 대체되게 하거나, 상기 부자에 차있는 바닷물이 기체로 대체되게 하는 스위칭 밸브(171); 및 상기 가두리(16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가두리의 위치를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안테나(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141); 상기 입력기(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인지 판단하는 판단기(142); 상기 판단기(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스위칭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요청 스위치(143); 및 상기 판단기(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동력부에서 상기 기화부(130)로 상기 액화 질소가 출력되게 하는 실행 스위치(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화부(130)는 상기 부자(170)로 상기 기화 질소를 공급하는 종단에 기화되지 않은 상기 액체 질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우선, 센서부(120)는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한다.
따라서 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된다.
즉, 센서부(120)는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속계, 풍압을 측정하기 위한 풍압계,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계,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계, 파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파고계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조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정보가 가두리(160)가 손상 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인지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계치는 가두리(160)를 제조할 때, 각종 수리 모형실험과 수치 해석 및 강도 실험에 의해 도출되는 수치이다.
만약,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정보에 따른 해양환경에서 가두리(160)가 손상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를 초과하면 가두리(160)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우선, 가두리(160)는 해양환경이 정상일 경우 수면까지 떠 있다.
즉, 가두리(160) 내에 구비된 부자(170)에 기체가 차있기 때문에 그 부력에 의해 가두리(160)는 수면까지 떠 있게 된다.
그러나 제어부(140)가 가두리(160)가 손상된다고 판단되는 임계를 초과하면 상기 부자(170)에 차있는 기체를 수중으로 방출시키고 상기 기체가 차지하고 있던 부피만큼의 바닷물을 상기 부자(170) 내로 들여보낸다.
따라서 가두리(160)는 부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수면에서 일정 깊이 이상 가라앉는다.
바다에서는 수면 아래로 내려갈수록 가두리(160)를 손상시키는 파랑 등에 의한 외력이 지수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가두리(160)가 수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내려가면 가두리(160)는 파손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 후, 센서부(120)는 지속적으로 가두리(160)가 위치하고 있는 주변 환경을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부(140)가 센서부(120)에서 측정한 정보를 토대 로 수면의 환경이 가두리(160)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변화하였다고 판단되면 가두리(160)를 다시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한다.
우선, 제어부(140)가 가두리(160)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기 위해 상기 부자(170)의 부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내부의 기체를 바닷물로 대체하였다.
한편, 제어부(140)가 가두리(160)를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하기 위해 부자(170)에 바닷물 대신 기체를 주입한다.
여기서 부자(170)에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체를 주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40)는 동력부(150)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 질소를 기화부(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화부(130)는 액체 질소를 기체 질소로 변환한 후, 상기 부자(170)로 기체 질소를 주입한다.
바람직하게 기화부(130)는 종단에 기화되지 않은 상기 액체 질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즉 기화부(130)는 상기 부자(170) 내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기체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압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자(170)의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자(170)는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부자(170)를 외부와 개방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는 밸브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자(170)에 바닷물 대신 기화된 질소가 차게 되면 가두리(160)는 부력이 증가하게 되어 서서히 수면까지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가두리(160)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100)에 의해서 외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거나 수면까지 떠오르게 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100)는 항상 수면 위에 떠 있게 된다.
한편,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100)가 항상 수면에 떠 있기 때문에 위성항법시스템(GPS) 무선 안테나인 안테나(110)는 원격지로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원격지로 정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지에서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자에 의해 기 설정된 외부환경의 임계치에 의해 가두리를 수면 아래 또는 수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원격지에서 정기적으로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환경 정보를 수신받아 가두리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주요부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도 1의 동일부재에 대해서 동일 도면번호를 기재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제어부(140)의 구성과 연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제어부(140)는 센서 부(120)에서 감지한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141)와, 상기 정보가 가두리(160)가 손상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인지 판단하는 판단기와(142), 판단기(142)의 판단에 따라, 가두리(1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자(170)(Float)에 기화부(130)에서 기화된 기화 질소 또는 바닷물의 주입을 요청하기 위해 부자(170)와 각각 연결된 요청 스위치(143) 및, 요청 스위치(143)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화된 질소 또는 바닷물을 주입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요청 스위치(143)와 각각 대응되는 실행 스위치(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제어부(140)의 구성 및 연계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40)의 입력기(141)는 센서부(120)가 감지하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120)는 가두리(160)가 위치하는 지점의 풍속과 풍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121)와,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수심과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122)와,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파도의 고저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센서(123) 및, 가두리(160)가 위치한 지점의 적조를 감지하기 위한 제4 센서(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입력기(141)에 센서부(120)에서 측정한 정보가 입력되면 판단기(142)는 상기 측정한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판단기(142)는 가두리(160)가 수면에 떠 있는 경우 현재 외부 환경이 가두리(160)를 수면아래까지 하강시켜야 하는 임계치인지 판단하고, 가두리(160)가 수면 아래에 가라앉은 경우 가두리(160)를 수면까지 상승시켜야 하는 임계치인지 판단한다.
상기 임계치는 가두리(160)에 가해지는 외력 및 적조 생물로써 가두리(160)가 파손되거나 양식 어류가 폐사될 가능성이 있는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외력 임계치는 가두리(160)를 제작할 경우 가두리(160)가 어느 정도의 외압을 견디는지 실험하여 설정된다.
우선 가두리(160)를 수면 또는 수면 아래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가두리(160)가 수면에 있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두리(160)가 수면에 떠 있기 위해서는 부자(160)가 가두리(160)를 띄우기 위한 부력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즉, 가두리(160)가 수면까지 상승해 있기 위해서는 부자(160)내에 기체가 차있어야 한다.
그러나 판단기(142)에서 입력기(141)를 통해 입력되는 센서부(120)에서 감지한 외부 환경이 가두리(160)를 파손시킬 정도의 임계치라고 판단하면, 판단기(142)는 요청 스위치(143)를 온(ON)시킨다.
여기서 요청 스위치(142)는 부자(170) 내의 스위칭 밸브(171)와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칭 밸브(171)는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부자(170)를 외부와 개방시켜 내부에 차있는 기체를 바닷물로 대체하거나 또는 바닷물을 기체로 대체하는 스위칭 역할을 하는 밸브다.
따라서 요청 스위치(142)가 기동하면 스위칭 밸브(171)는 일정 압력 이상의 기체 압력을 받는다.
그러면 스위칭 밸브(171)는 부자(170)를 외부와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밸브(171)에 의해 부자(170)가 외부와 개방되면 바닷물의 압력에 의해 부자(170) 내부에 있는 기체는 바닷물에 의해 방출되고 상기 기체가 차 있던 부피만큼의 바닷물이 부자(170)를 채우게 된다.
따라서 부자(170)의 부력은 서서히 감소하게 되고 가두리(160)는 수면에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그 후,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센서부(120)에서 감지한 외부 환경 정보가 입력기(141)를 경유하여 판단기(142)로 입력된다.
이 때 판단기(142)는 하강된 가두리(160)가 수면까지 상승해도 된다고 판단하면 가두리(160)의 부력을 증가시킨다.
우선 판단기(142)는 요청 스위치(143)를 온(ON) 시킨다.
그러면 스위칭 밸브(171)는 부자(170)를 외부와 개방시킨다.
그 후, 판단기(142)는 실행 스위치(143)를 온시킴으로써 동력부(140)에서 출력되는 기체를 부자(170)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여기서, 동력부(140)는 스위칭 밸브(171)에 의해 개방된 통로를 통해 바닷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압력 이상으로 기체를 주입한다.
그러면 스위칭 밸브(171)에 의해 부자(170)에 개방된 통로로 바닷물이 빠져나가고 바닷물이 차있던 공간에는 기체가 대체된다.
따라서 부자(170)는 기체로 가득 차게 되어 부력이 증가하고 가두리(160)가 수면까지 상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부자(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가두리(160) 주위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부자(170)는 스위칭 밸브(171)를 갖는 가변부자 이외에도 고정적인 부력을 갖는 고정부자와 수동으로 부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절대부자 등이 가두리(160) 주위에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1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치와 상기 임계치에 의해 가두리를 수면까지 상승시키고 수면에서 하강하게끔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 제어됨으로써 가두리 시설의 파손되거나 양식 어류가 폐사되는 위험이 줄어들어 안전한 가두리 양식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제어부(140)의 구성과 연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Claims (7)

  1.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포함된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가 상기 가두리가 손상되거나 양식 생물이 폐사된다고 판단되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상기 정보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 상기 가두리를 자동으로 수면까지 떠오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액화 질소가 비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화 질소를 출력하며, 상기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이 비축되어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화질소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액화 질소를 기화시켜 기화 질소를 생성하며, 상기 기화 질소를 상기 가두리의 부자로 공급하는 기화부;
    상기 부자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부자의 내부가 외부와 개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자 내부의 기체가 바닷물로 대체되게 하거나, 상기 부자에 차있는 바닷물이 기체로 대체되게 하는 스위칭 밸브; 및
    상기 가두리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가두리의 위치를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지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인지 판단하는 판단기;
    상기 판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스위칭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요청 스위치; 및
    상기 판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가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동력부에서 상기 기화부로 상기 액화 질소가 출력되게 하는 실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부는 상기 부자로 상기 기화 질소를 공급하는 종단에 기화되지 않은 상기 액체 질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위성항법시스템(GPS) 무선 안테나로서 원격지로 상기 가두리 양식 시스템이 위치한 지점의 풍속, 풍압, 수심, 수온, 파고 및 적조 정보를 원격지로 정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원격지에서 원격제어를 위해 무선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풍속과 풍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상기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수심과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와;
    상기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파도의 고저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센서 및;
    상기 가두리가 위치한 지점의 적조를 감지하기 위한 제4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03832A 2009-10-29 2009-10-29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KR10118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2A KR101182289B1 (ko) 2009-10-29 2009-10-29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2A KR101182289B1 (ko) 2009-10-29 2009-10-29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76A KR20110047076A (ko) 2011-05-06
KR101182289B1 true KR101182289B1 (ko) 2012-09-12

Family

ID=4423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832A KR101182289B1 (ko) 2009-10-29 2009-10-29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08A (ko) * 2019-11-06 2021-05-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328B (zh) * 2018-12-29 2021-10-08 仲恺农业工程学院 基于大数据分析与挖掘的对虾农情信息智能采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892283A (zh) * 2019-03-22 2019-06-18 美钻深海能源科技研发(上海)有限公司 一种水下网箱养殖的智能控制温度环境系统
CN112602644B (zh) * 2020-12-11 2021-11-09 华中农业大学 一种拦网式水产养殖精准智能投喂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931B1 (ko) * 1998-04-11 2000-12-01 배평암 침하식어류가두리양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931B1 (ko) * 1998-04-11 2000-12-01 배평암 침하식어류가두리양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08A (ko) * 2019-11-06 2021-05-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KR102374823B1 (ko) * 2019-11-06 2022-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76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03B1 (ko) 자동 부침 가두리 양식 시스템
CN201362339Y (zh) 浅海自持式漂流循环探测浮标
KR101182289B1 (ko) 부침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메인 통제 장치
US8576665B2 (en) Underwater wireless sensor
CN201907635U (zh) 一种可着底的海洋环境自升沉探测浮标
KR101255352B1 (ko) 해안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US20060292043A1 (en) In-situ water analysis method and system
CN102114900A (zh) 海洋剖面循环探测浮标
CN109878639A (zh) 模块化定点剖面浮标
US20160340001A1 (en) Submersible buoy,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kit
CN101726285B (zh) 水下测量平台的液压驱动调节装置
AU2020102440A4 (en) Fixed-depth water sampling device based on pressure sensor and water sampling method thereof
CN205879301U (zh) 一种便携式细井地下水位速测仪
CA2953353C (en) Electronic fill valve and assembly
CN203133619U (zh) 浮球式液位控制器
CN209961658U (zh) 一种自动控制注水的双环入渗实验装置及系统
US11267535B2 (en) Mooring buoy
US20130269583A1 (en) Boat docking apparatus that maintains boat away from shallow waters
CN202033485U (zh) 海洋剖面循环探测浮标
CN213397277U (zh) 一种施工现场基坑水位监测装置
CN110865660A (zh) 一种控制水质监测器的方法及装置
CN208736512U (zh) 一种水利工程用的远程水位监控装置
CN218156397U (zh) 一种塘坝专用水位预警器
CN201408005Y (zh) 剖面浮标自动保压泵站
EP1310158A1 (en) Automatic water feed device for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