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220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220B1
KR101182220B1 KR1020070092301A KR20070092301A KR101182220B1 KR 101182220 B1 KR101182220 B1 KR 101182220B1 KR 1020070092301 A KR1020070092301 A KR 1020070092301A KR 20070092301 A KR20070092301 A KR 20070092301A KR 101182220 B1 KR101182220 B1 KR 10118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washing
pipe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7095A (en
Inventor
박재룡
표상연
양혜순
양병렬
임정수
정우경
김태은
김혜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220B1/en
Publication of KR2009002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4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lorine genera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캐비닛과, 상기 본체캐비닛에 수용되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 저장부와; 상기 소금물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수배관으로 합류하는 소금물 공급배관과; 상기 세탁조에 공급된 세탁수 및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와;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소금물 공급배관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배관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소금물 저장부에 저장된 소금물을 상기 세탁조로 공급하는 소금물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소금물을 자동으로 세탁조로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 main body cabinet and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 the main cabinet,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A brine storage unit for storing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A brine supply pipe joining the brine reservoir to the water supply pipe; An electrolysis unit for electrolyz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And a salt water transfer unit provided in a confluenc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to supply the salt water stored in the salt water storage unit to the washing tank by us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hereby, the salt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 device.

세탁기, 소금 Washing machine, salt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소금물을 자동으로 세탁조로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salt water to a washing tank using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being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 devic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수류의 마찰작용 및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attached to clothes and bedding by using an emulsifying action of a detergent and a friction action and an impact action of a water stream.

세탁기 중 드럼세탁기는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세탁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낙착, 즉 세탁물을 위에서 밑으로 떨어뜨리는 충격으로 세탁을 하는 세탁기의 일종이며, 세탁 뿐 아니라 헹굼, 탈수 및 건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The drum washing machine is a type of washing machine that uses a small amount of water to rotate the rotat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tank to wash the laundry by falling, ie, dropping the laundry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dehydration and drying.

최근에는 세탁수에 소금 등의 전해질을 첨가한 후 세탁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가지는 치아염소산 이온(OCL-)을 발생시켜 살균을 하는 세탁기가 시판되고 있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that sterilizes by adding an electrolyte such as salt to the wash water and electrolyzing the wash water to generate chlorine ions (OCL-) having bactericidal power is commercially available.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갖는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을 할 때 마다 세탁조에 소금 또는 소금물을 직접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having such a device has the inconvenience of supplying salt or salt water directly to the washing tank every time the washing is performed.

한편,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세탁조에 소금 또는 소금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전기적 장치를 마련하는 방법을 생각 할 수는 있으나, 제조단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liminate such a hassle can be considered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ical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salt or salt water to the washing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ignificantly.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소금물을 자동으로 세탁조로 공급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 the reliability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brine to the washing tank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being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 device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캐비닛과, 상기 본체캐비닛에 수용되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 저장부와; 상기 소금물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수배관으로 합류하는 소금물 공급배관과; 상기 세탁조에 공급된 세탁수 및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와;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소금물 공급배관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배관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소금물 저장부에 저장된 소금물을 상기 세탁조로 공급하는 소금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having a main body cabinet and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 the main cabinet,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A brine storage unit for storing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A brine supply pipe joining the brine reservoir to the water supply pipe; An electrolysis unit for electrolyz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It is achieved by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brine transfer unit for supplying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by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sh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tank. .

상기 소금물 이송부는 상기 소금물 저장부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ne transfer unit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brine storage unit.

상기 소금물 이송부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배관과, 상기 유입배관으로부 터 길이 연장되는 유출배관과, 상기 소금물 공급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유출배관의 사이로 합류되는 합류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ne transfer unit preferably includes an inflow pipe into which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an outflow pipe extending from the inflow pipe, and a conduit pipe extending from the brine supply pipe and joined between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Do.

상기 유입배관은 상기 합류배관과의 합류 영역을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low pipe is preferably small in diameter toward the confluence region with the confluence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소금물을 자동으로 세탁조로 공급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brine automatically to the washing tank using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 the reliability. .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캐비닛(10)과, 본체캐비닛(10)에 수용되는 세탁조(20)와, 세탁조(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드럼(30)과, 세탁조(2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40)과, 세탁조(20)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배관(50)과, 세탁수 및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60)와, 세탁조(20)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 저장부(70)와, 소금물 저장부(70)로부터 급수배관(40)으로 합류하는 소금물 공급배관(80)과, 급수배관(40)과 소금물 공급배관(80)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급수배관(40)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된 소금물을 세탁조(20)로 공급하는 소금물 이송부(90)를 포함한다.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abinet 10 provid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 washing tub 20 accommodated in the main cabinet 10, and a rotating drum 30 rotatably housed in the washing tub 20. ), A water supply pipe 4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20, a drain pipe 50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tank 20, and an electrolysis unit 60 for electrolyz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brine. ), A brine storage unit 70 in which the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is stored, a brine supply pipe 80 joined from the brine storage unit 70 to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a water supply pipe 40 ) And the brine transfer unit 90 provided in the confluence region of the brine supply pipe 80 to supply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70 to the washing tank 20 by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0. ).

회전드럼(30)은 세탁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회전드럼(30)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드럼(30)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된다. The rotating drum 30 is rotatably housed in the washing tub 20. The rotating drum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hydration holes. The rotary drum 3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35 to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급수배관(40)은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탁조(20)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한다. 급수배관(40)은 세탁조(20)의 상부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40 forms a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he water supply pipe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washing tank 20.

한편, 급수배관(40)에는 세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밸브(4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배관(40)과 세탁조(20) 사이에는 세제보관함(47)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급수배관(40)을 통하여 세제보관함(47)으로 공급된 세탁수가 세제보관함(47)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를 녹여 세탁조(20)로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pipe 40 is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valve 45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wash water. A detergent storage box 47 i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washing tank 20. Thus,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storage box 47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0 may b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by melting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storage box 47.

배수배관(50)은 세탁조(2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한다. 배수배관(50)은 세탁조(20)의 하부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The drain pipe 50 forms a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ank 20 to the outside. Drainage pipe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washing tank (20).

전기분해부(60)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부(60a, 60b)와 각 전극부(60a, 60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60a, 60b)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전극부는 세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electrolysis unit 60 includes at least a pair of electrode units 60a and 60b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electrode units 60a and 60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de parts 60a and 60b ar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pairs, but three or more electrode parts may be provided.

전극부(60a, 60b)는 양전극부(60a)와 음전극부(60b)를 포함한다. 양전극부(60a)와 음전극부(60b)는 판상을 갖는 플레이트전극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전극부(60a)와 음전극부(60b)는 침상전극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electrode portions 60a and 60b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ortion 60a and a negative electrode portion 60b.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60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60b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ate electrode having a plate shape. However,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60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60b may be provided as needle electrodes.

한편, 양전극부(60a) 및 음전극부(60b)는 티타늄(titanium) 플레이트에 플래티넘(platinum)이나 이리듐(iridium) 등과 같은 금속이 코팅된 재질로 이뤄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 전극부(60a, 60b)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수의 전기분해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음전극부(60b)는 은(Ag)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60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60b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oated with a metal such as platinum or iridium on a titanium plate. Thus, corrosion of the electrode portions 60a and 60b can be prevented and the electrolysis efficiency of the wash water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60b may be provided as a silver (Ag) plate.

한편, 세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세탁수와 소금물이 공급되고, 전원공급부가 각 전극부(60a, 60b)에 전원을 인가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해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이 생성된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washing, washing water and brine are supplied, and when the power supply unit applies power to each electrode unit 60a or 60b, hypochlorous acid (HOCl) or hypochlorous acid ion having sterilizing power by the following reaction. (OCl-) is produced.

양전극부 반응: 2Cl-→ Cl2↑ + 2e- A positive electrode side reactions: 2Cl- → Cl 2 ↑ + 2e -

음전극부 반응: 2H2O + 2e- → H2↑ + 2OH- A negative electrode side reactions: 2H 2 O + 2e - → H 2 ↑ + 2OH -

전체 반응: 2Cl- + 2H2O → Cl2↑ + H2↑ + 2OH- Total reaction: 2Cl- + 2H 2 O → Cl 2 ↑ + H 2 ↑ + 2OH -

Cl2 + H2O → HOCl + HClCl 2 + H 2 O → HOCl + HCl

Cl2 + 2OH- → Cl- + OCl- + H2O Cl 2 + 2OH - → Cl - + OCl - + H 2 O

HOCl ↔ OCl- + H+ HOCl ↔ OCl- + H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부(60)는 각 전극부(60a, 60b)가 세탁수와 항상 접촉하도록 세탁조(20)의 하부영역에 장착된다. 그러나, 세탁조(20)의 세탁수를 세탁조(20) 외부로 순환시키는 별도의 순환배관(미도시) 및 순환펌프(미도시)를 마련하고, 전기분해부(60)를 순환배관에 마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sis unit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shing tub 20 so that each electrode portion (60a, 60b) always in contact with the wash water. However, a separate circulation pipe (not shown) and a circulation pump (not shown) for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20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20 may be provided, and the electrolysis unit 60 may be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ipe. have.

소금물 저장부(70)는 본체캐비닛(10)에 마련되며, 소금물 저장부(70)의 내부에는 세탁조(20)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금물 저장부(70)는 세탁조(20)의 후방영역에 배치된다.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되는 소금물은 사용자가 직접 제조하여 투입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금을 투입하면 세탁수가 자동으로 공급되어 소금물이 제조될 수도 있다. 소금물 저장부(70)에는 소금물 공급배관(80)이 연결되어 있다.The brine storage unit 70 is provided in the main cabinet 10, the salt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is stored in the salt water storage unit 70. In this embodiment, the salt water storage unit 70 is disposed in the rear region of the washing tank 20.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70 may be directly prepared by the user, or when the user adds salt, washing water may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produce brine. The brine storage unit 70 is connected to the brine supply pipe (80).

소금물 공급배관(80)은 소금물 저장부(70)에 연결되어 있으며, 급수배관(40)과 연통되게 합류된다. 소금물 공급배관(80)의 일단은 소금물 저장부(70)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소금물 이송부(90)에 연결되어 있다.The brine supply pipe 80 is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unit 70, it is join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pipe (40). One end of the brine supply pipe (80) is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unit 7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rine transfer unit (90).

소금물 이송부(90)는 급수배관(40)과 소금물 공급배관(80)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급수배관(40)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된 소금물을 세탁조(20)로 공급한다. 소금물 이송부(90)는 소금물 저장부(70)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이 자유낙하 또는 임의로 소금물 이송부(90)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rine transfer unit 90 is provided in the confluenc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to wash the salt water stored in the salt water storage unit 70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0. Supply to (20). The brine transfer unit 90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brine storage unit 70. Thus, the salt water stored in the salt water storage unit 70 can be prevented from free falling or flowing to the salt water transfer unit 90 optionally.

소금물 이송부(90)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배관(91)과, 유입배관(91)으로부터 길이 연장되는 유출배관(93)과, 소금물 공급배관(80)으로부터 연장되어 유입배관(91)과 유출배관(93)의 사이로 합류되는 합류배관(95)을 포함한다. 소금물 이 송부(90)는 삼방향으로 분기된 노즐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brine transfer unit 90 extends from the inflow pipe 91 into which the wash water flows, the outflow pipe 93 extending from the inflow pipe 91, and the brine supply pipe 80, and the inflow pipe 91 and the outflow pipe. And a conduit piping 95 joined between the 93. Brine transfer unit 90 is provided in a nozzle shape branched in three directions.

유입배관(91)은 급수배관(40)이 형성하는 세탁수의 유로의 일영역을 형성한다. 유입배관(91)은 급수배관(40)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The inflow pipe 91 forms one region of the flow path of the wash water formed by the water supply pipe 40. Inlet pipe (91) receives the wa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40).

유입배관(91)은 합류배관(95)과의 합류 영역을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입배관(91)의 일단은 급수배관(40)과 비슷한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급수배관(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입배관(91)의 타단은 유출배관(93)과 연결되어 있다. The inflow pipe 91 is preferably smaller in the inner diameter toward the confluence region with the confluence pipe 95. In detail, one end of the inflow pipe (9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40) with an inner diameter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91) i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93). have.

유입배관(91)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유입배관(91)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동압력은 유입배관(9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높아진다.The inflow pipe 91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flow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91 is increased from one end of the inflow pipe 91 toward the other end.

유출배관(93)은 유입배관(91)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된다. 유출배관(93)의 일단은 유입배관(91)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출배관(93)의 타단은 급수배관(40)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유출배관(93)의 타단은 세제보관함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outflow pipe 93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91. One end of the outlet pipe 9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91, and the other end of the outlet pipe 93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40. However, the other end of the outflow pipe 93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torage, of course.

한편, 유출배관(93)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일정하게 급수배관(40)과 비슷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입배관(91)의 타단에 비하여 유출배관(93)의 일단의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유입배관(91)의 타단으로 토출되는 세탁수가 유출배관(93)으로 진입하게 되면, 세탁수가 유동하는 유로의 반경이 확장되므로 세탁수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한편, 유입배관(91)과 유출배관(93)의 사이에는 합류배관(95)이 합류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let pipe 93 has an inner diameter of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supply pipe 40 constant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detail, the inner diameter of one end of the outlet pipe 93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91. Thus, when the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91 enters the outflow pipe 93, since the radius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flows is expanded, the pressure of the wash water is drastically lowered. On the other hand, the confluence pipe (95) is joined between the inflow pipe (91) and the outflow pipe (93).

합류배관(95)의 일단은 소금물 공급배관(8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합류배관(95)의 타단은 유입배관(91)과 유출배관(93)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One end of the confluence pipe (95) is connected to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the other end of the confluence pipe (95) is connected between the inlet pipe (91) and the outlet pipe (93).

합류배관(95)은 유입배관(91) 및 유출배관(93)과 거의 직교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합류배관(95)은 소금물 공급배관(80)과 비슷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다. 이에, 유입배관(91)의 타단으로 토출되는 세탁수가 유출배관(93)으로 진입하게 되면, 세탁수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 합류영역(97)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로 인하여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이 소금물 공급배관(80) 및 합류배관(95)을 통하여 합류영역(97)으로 빨려온다. 그리고, 합류영역(97)으로 빨려온 소금물은 유출배관(93)을 통하여 세탁조(20)로 공급된다. The conduit pipe 95 is couple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inlet pipe 91 and the outlet pipe 93. And, the conduit pipe 95 has an inner diameter similar to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Thus, when the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91 enters the outflow pipe 93, the pressure of the wash water is drastically lowered, and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in the confluence region 97.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70 is sucked into the confluence region 97 through the brine supply pipe 80 and the confluence pipe 95. The salt water sucked into the confluence region 97 is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through the outflow pipe 93.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배관(40)과, 소금물 공급배관(80)과, 소금물 이송부(90)를 각각 별도의 부재로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급수배관(40)을 유입배관(91) 및 유출배관(93)과 일체로 마련하고, 소금물 공급배관(80)과 합류배관(95)을 일체로 마련하여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ipe 40,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and the salt water transfer unit 90 ar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as separate memb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4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inlet pipe 91 and the outlet pipe 93,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and the confluence pipe 95 may be integrally provi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조(20)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 저장부(70)와, 소금물 저장부(70)로부터 급수배관(40)으로 합류하는 소금물 공급배관(80)과, 급수배관(40)과 소금물 공급배관(80)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급수배관(40)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소금물 저장부(70)에 저장된 소금물을 세탁조로 공급하는 소금물 이송부(90)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을 이용 하여 소금물을 자동으로 세탁조(2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joins the brine storage unit 70 and the brine storage unit 70 in which the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20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pipe 40. Salt water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70 by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sh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pipe 40 is provided in the confluence region of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th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80). By including the brine transfer unit 90 for supplying to the washing tank,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the salt water to the washing tank 20 using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 device.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소금물 이송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rine transfer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세탁기 10 : 본체캐비닛1: washing machine 10: main cabinet

20 : 세탁조 30 : 회전드럼20: washing tank 30: rotating drum

40 : 급수배관 50 : 배수배관40: water supply pipe 50: drainage pipe

60 : 전기분해부 70 : 소금물 저장부60: electrolysis unit 70: salt water storage unit

80 : 소금물 공급배관 90 : 소금물 이송부80: salt water supply pipe 90: salt water transfer unit

91 : 유입배관 93 : 유출배관91: inlet piping 93: outlet piping

95 : 합류배관 97 : 합류영역95: confluence piping 97: confluence area

Claims (4)

본체캐비닛과, 상기 본체캐비닛에 수용되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In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main cabinet and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 the main cabinet,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배관과;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소금물이 저장되어 있는 소금물 저장부와;A brine storage unit for storing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상기 소금물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수배관으로 합류하는 소금물 공급배관과;A brine supply pipe joining the brine reservoir to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세탁조에 공급된 세탁수 및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와;An electrolysis unit for electrolyz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brin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소금물 공급배관의 합류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배관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소금물 저장부에 저장된 소금물을 상기 세탁조로 공급하는 소금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confluenc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alt water supply pipe to supply the brine stored in the brine storage unit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shing tank.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금물 이송부는 상기 소금물 저장부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brine transf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compared to the brine reservoir.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금물 이송부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배관과, 상기 유입배관으로부터 길이 연장되는 유출배관과, 상기 소금물 공급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유출배관의 사이로 합류되는 합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brine transfer unit includes an inflow pipe into which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an outflow pipe extending from the inflow pipe, and a conduit pipe extending from the brine supply pipe and joined between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wash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유입배관은 상기 합류배관과의 합류 영역을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inlet pipe is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confluence region with the conduit pipe.
KR1020070092301A 2007-09-11 2007-09-11 Washing machine KR101182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01A KR101182220B1 (en) 2007-09-11 2007-09-1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01A KR101182220B1 (en) 2007-09-11 2007-09-11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95A KR20090027095A (en) 2009-03-16
KR101182220B1 true KR101182220B1 (en) 2012-09-14

Family

ID=4069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301A KR101182220B1 (en) 2007-09-11 2007-09-11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22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95A (en)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426C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chine washing
AU20052483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washing with wash liquor cleanup and recycle
TW201617484A (en)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liquid modifying device provided with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electrolytic liquid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JP4386107B2 (en) Washing machine
JP3631172B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3806662B2 (en) Drum washing machine
JP6098919B2 (en)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KR101182220B1 (en) Washing machine
JP2019080791A (en) Washing machine
JP2011036311A (en) Feeder of alkaline washing liquid
KR101228937B1 (en) washing machine
JP2006204562A (en) Washing machine
JP3545313B2 (en) Washing machine
JP4204579B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03144793A (en) Washing machine
JP3631173B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08188460A (en) Washing machine and washer
JP2007512937A (en) Colloidal silver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KR20090024506A (en) Washing machine
JP2004248861A (en) Ion elution unit, apparatus equipped with ion elu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ion elution unit
JP4278491B2 (en) Washing machine
JP4549405B2 (en) Washing machine
JP2003220296A (en) Washing equipment
JP3882574B2 (en) Dishwasher
KR20090024504A (e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