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880B1 -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 Google Patents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880B1
KR101181880B1 KR1020110033838A KR20110033838A KR101181880B1 KR 101181880 B1 KR101181880 B1 KR 101181880B1 KR 1020110033838 A KR1020110033838 A KR 1020110033838A KR 20110033838 A KR20110033838 A KR 20110033838A KR 101181880 B1 KR101181880 B1 KR 10118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output terminal
accommodating part
terminal
loa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택
임채현
Original Assignee
대진전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전기 (주) filed Critical 대진전기 (주)
Priority to KR102011003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2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having stationary parts for directing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e.g. arc-extinguishing chamber
    • H01H33/7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having stationary parts for directing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e.g. arc-extinguishing chamber wherein the break is in air at atmospheric pressure, e.g. in open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와 개폐단자부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의 각 단상에 설치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으로서, 입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일방에 형성된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입력단자 수용부와 이격 형성된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도록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입력단자 수용부 및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단자 수용부와, 입력단자 수용부 및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양쪽 측면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 수용부와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 단상 사이의 방전이나 아크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Pocket housing of load switch and load switch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내의 수전선로에 설치되어 옥외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이상시 주회로를 차단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반의 수전선로에는 부하개폐기가 고장구간를 단속하기 위한 개폐기로 설치되며, 이러한 부하개폐기는 수전선로의 R상, S상, T상의 3상 일괄 조작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하개폐기는, R상, S상, T상의 각 단상에 설치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단자(1)와 출력단자(2)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에 가동단자(3)가 구동부(4)에 의해 이들 사이의 이격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부하개폐기는 R상, S상, T상의 각 단상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 하나의 단상에서 입력단자(1)와 출력단자(2) 사이의 방전이나 아크 발생시 인접한 단상에 피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하개폐기는 R상, S상, T상의 각 단상이 단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나의 단상에서 발생된 입력단자(1)와 출력단자(2) 사이의 방전이나 아크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하개폐기의 입력단자(1)와 출력단자(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통전 및 통전차단시 방전이나 아크가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외부로 누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하개폐기는 가동단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적인 메커니즘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량의 부품이 설치되어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하개폐기의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적인 메커니즘은 기계적이 강성이 요구되어 스틸소재로 사용하므로, 이들의 외부에 별도로 누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하개폐기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부하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며, 입력단자와 개폐단자부 사이의 개방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할 수 있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로 공급하는 출력단자와,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는 개폐단자부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의 각 단상에 설치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으로서, 상기 입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일방에 형성된 입력단자 수용부; 상기 출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이격 형성된 출력단자 수용부; 상기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단자 수용부; 및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양쪽 측면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도록 차폐벽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차폐벽은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송풍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로 공급하는 출력단자;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는 개폐단자부; 및 각 단상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단자가 설치되는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가 설치되는 출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는 개폐단자 수용부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외부와 통전 차단하는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포켓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포켓하우징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도록 차폐벽이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차폐벽은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포켓하우징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가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송풍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 수용부와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 단상 사이의 방전이나 아크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부하개폐기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부하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차폐벽을 설치하여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차폐벽을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폐벽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 실린더와 피스톤의 송풍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송풍수단 수용부를 설치함으로써, 입력단자와 개폐단자부 사이의 개방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부하개폐기에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 수용부와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포켓하우징을 구비하여 부하개폐기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부하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은 입력단자 수용부(10), 출력단자 수용부(20), 개폐단자 수용부(30), 차단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단자와, 이 입력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로 공급하는 출력단자와,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는 개폐단자부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의 각 단상에 설치된다.
입력단자 수용부(10)는 입력단자가 설치되도록 포켓하우징의 일방에 형성되며, 입력단자 결합면(11)과 결합홀(12)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단자 결합면(11)에는 입력단자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고 결합홀(12)에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입력단자 수용부(10)에 입력단자가 설치된다.
출력단자 수용부(20)는 출력단자가 설치되도록 포켓하우징이 타방에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이격 형성되며, 출력단자 결합면(21)과 결합홀(22)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단자 결합면(21)에는 출력단자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고 결합홀(22)에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출력단자 수용부(20)에 출력단자가 설치된다.
개폐단자 수용부(30)는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도록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출력단자 수용부(20) 사이에 형성되며, 개폐단자 결합면(31)과 결합홀(32)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단자 결합면(31)에는 개폐단자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홀(32)에 지지체가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이 결합되어 개폐단자 수용부(30)에 개폐단자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단자 수용부(30)는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출력단자 수용부(20) 사이에 형성되며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40)는, 입력단자 수용부(10), 출력단자 수용부(20) 및 개폐단자 수용부(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양쪽 측면공간을 외부와 통전 차단하도록 입력단자 수용부(10), 출력단자 수용부(20) 및 개폐단자 수용부(3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차단부(40)는 측벽(41), 결합편(42), 차폐벽(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41)은 입력단자 수용부(10), 출력단자 수용부(20) 및 개폐단자 수용부(30)의 양쪽 측면에 입설된 벽체로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양쪽 측면공간을 외부와 통전 차단하게 된다.
결합편(42)은 측벽의 하부에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며, 부하개폐기의 본체부에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차단부(40)를 결합시키도록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벽(43)은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출력단자 수용부(20) 사이에 양쪽 측벽(41)과 수직하게 입설되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폐벽(43)은 차단부(40)의 측벽(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켓하우징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입력단자 수용부(10)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50)가 입력단자 수용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송풍수단 수용부(50)는 송풍수단 결합면(51), 송풍홀(52)로 이루어지며, 송풍수단 결합면(51)에는 실린더(53)과 피스톤(54)로 이루어진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피스톤(54)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입력단자 수용부(10)의 상부로 송풍홀(52)을 통해서 송풍하여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는 입력단자(110), 출력단자(120), 개폐단자부(130), 포켓하우징(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단자(110)는 부하개폐기의 본체부(200)의 일방에 설치되어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출력단자(120)는 부하개폐기의 본체부(200)의 타방에 설치되어 입력단자(11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의 설비로 공급하게 된다.
개폐단자부(130)는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에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단자부(13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포켓하우징(100)은 본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옥외 전력의 R상, S상, T상의 각 단상에 설치되고, 입력단자(110)가 설치되는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출력단자(120)가 설치되는 출력단자 수용부(20)와, 개폐단자부(130)가 설치되는 개폐단자 수용부(30)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포켓하우징(100)은,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의 통전차단시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도록 차폐벽이 입력단자 수용부(10)와 출력단자 수용부(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폐벽은 차단부(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켓하우징(100)은,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의 통전차단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기 위해 입력단자 수용부(10)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50)가 입력단자 수용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포켓하우징을 구비한 부하개폐기는 개폐단자 구동부(140), 단락부(1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단자 구동부(140)는 본체부(200)의 상부 일방에서 포켓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개폐단자부(130)와 링크결합되어, 개폐단자부(130)를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120) 사이에서 슬라이딩시키거나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들 사이의 통전상태와 이격상태로 개폐단자부(130)를 이동시키게 된다.
단락부(150)는 출력단자(120)의 하류에 설치된 퓨즈로 이루어져, 옥외 전력이 과전류로 공급되는 경우에 퓨즈가 용단되어 옥내의 설비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 수용부와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 단상 사이의 방전이나 아크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부하개폐기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부하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차폐벽을 설치하여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통전차단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차폐벽을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폐벽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 실린더와 피스톤의 송풍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송풍수단 수용부를 설치함으로써, 입력단자와 개폐단자부 사이의 개방시 이들 사이의 방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하개폐기에 입력단자 수용부와 출력단자 수용부와 개폐단자 수용부와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포켓하우징을 구비하여 부하개폐기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부하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입력단자 수용부 20: 출력단자 수용부
30: 개폐단자 수용부 40: 차단부
50: 송풍수단 수용부 100: 포켓하우징
110: 입력단자 120: 출력단자
130: 개폐단자부 140: 개폐단자 구동부
150: 단락부

Claims (10)

  1.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로 공급하는 출력단자와,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는 개폐단자부를 구비한 부하개폐기의 각 단상에 설치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으로서,
    상기 입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일방에 형성된 입력단자 수용부;
    상기 출력단자가 설치되도록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이격 형성된 출력단자 수용부;
    상기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단자 수용부; 및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양쪽 측면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도록 차폐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6. 옥외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옥내로 공급하는 출력단자;
    옥외의 전력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을 개폐하는 개폐단자부; 및
    각 단상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단자가 설치되는 입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출력단자가 설치되는 출력단자 수용부와, 상기 개폐단자부가 설치되는 개폐단자 수용부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외부와 통전 차단하는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포켓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하우징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방전을 차단하도록 차폐벽이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 및 상기 출력단자 수용부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하우징은,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의 통전차단시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에서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되도록 송풍수단 수용부가 상기 입력단자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KR1020110033838A 2011-04-12 2011-04-12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KR10118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838A KR101181880B1 (ko) 2011-04-12 2011-04-12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838A KR101181880B1 (ko) 2011-04-12 2011-04-12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880B1 true KR101181880B1 (ko) 2012-09-11

Family

ID=4707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838A KR101181880B1 (ko) 2011-04-12 2011-04-12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8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13B1 (ko) 2000-06-02 2002-08-03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옥내용 기중절연형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13B1 (ko) 2000-06-02 2002-08-03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옥내용 기중절연형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7746B2 (en) Modular draw out fan module with chimney design for cooling components in low voltage switchgear
CN201540838U (zh) 电气开关装置及其电弧隔板组件和电弧罩组件
US8866034B2 (en) Arc runner with integrated current path that develops a magnetic field to boost arc movement towards splitter plates
US20240039253A1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CA2773227C (en) Circuit interrupter with enhanced arc quenching capabilities
EP2498354A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EP3439015A1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EP3048625A1 (en) Low voltage switch pole
CN104934265A (zh) 用于断路器的模块化气体排放组件
EP2805342B1 (en) Low-profile circuit breaker
KR101297551B1 (ko) 내아크 특성강화 모듈러 수배전반
KR101181880B1 (ko) 부하개폐기의 포켓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부하개폐기
EP3734631B1 (en) Dc circuit breaker
KR1025177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1057127B1 (ko) 콤팩트형 수배전반
KR20200001522U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US20140253268A1 (en) Cover Assembly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ATS)
KR102638229B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US20240021384A1 (en) Power connection for safe energizing of a power unit in a motor control center
KR200479444Y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70002901U (ko) 소형 차단기
KR200466276Y1 (ko) 회로 차단기의 트립 장치
EP3772076A1 (en) Device for door and phase segregation in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CN115642059A (zh) 一种具备自动重合闸功能的万能式断路器
KR20160043464A (ko) 소형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