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503B1 - 창호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503B1
KR101180503B1 KR1020120087300A KR20120087300A KR101180503B1 KR 101180503 B1 KR101180503 B1 KR 101180503B1 KR 1020120087300 A KR1020120087300 A KR 1020120087300A KR 20120087300 A KR20120087300 A KR 20120087300A KR 101180503 B1 KR101180503 B1 KR 10118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frame
bar
ang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률
Original Assignee
정상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률 filed Critical 정상률
Priority to KR102012008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t least two axes of rotation without additional frame withi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창호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 차량용, 휴대용 등으로 이용되는 태양광전지패널의 외부를 둘러싸는 테두리 프레임인 창호 프레임 내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전지패널을 설치하여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생산되는 전력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 구조는 창틀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 내부 소정 높이에 상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가동프레임; 상기 제1가동프레임의 일측 수직 프레임 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가동프레임; 및 상기 제2가동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패널; 이 구비되어 태양광전지패널의 2축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개구부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 건물과 신축 건물에 적은 비용으로 시공하여 태양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창호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태양의 고도 및 건물의 향에 따라 태양광전지모듈의 각도를 2축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력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구조{Structure of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창호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 차량용, 휴대용 등으로 이용되는 태양광전지패널의 외부를 둘러싸는 테두리 프레임인 창호 프레임 내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전지패널을 설치하여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생산되는 전력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상당한 반면 계절별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가 많은 국가로,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 및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의 해소를 위하여 에너지원의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에너지 자원 중 특히 태양에너지는 친환경, 무공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무한 에너지 자원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 중 하나이다.
종래 태양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태양광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 외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BIPV)이 있다.
이러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작업 및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존 건물이든 신축 건물이든 건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태양에너지는 건물의 향, 태양의 고도에 의하여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
종래 태양의 고도에 따른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발명으로, 등록특허 제10-1090537호(각도조절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창), 등록특허 제10-0795172호(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가동형 이중외피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 선등록 발명은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에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을 결합시켜, 태양에너지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창문 프레임을 기준으로 태양전지모듈의 경사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는 있지만, 건물의 향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 건물과 신축 건물에 적은 비용으로 시공하여 태양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창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 및 건물의 향에 따라 태양광전지모듈의 각도를 2축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력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도등, 화장실등 등 소규모의 전력에 활용하여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각의 창틀프레임; 창틀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 내부 소정 높이에 상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가동프레임; 상기 제1가동프레임의 일측 수직 프레임 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가동프레임; 및 상기 제2가동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패널; 이 구비되어 태양광전지패널의 2축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창틀프레임과 제1가동프레임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제1가동프레임과 제2가동프레임의 힌지결합부에는 각각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1바아;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타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2바아; 상기 제1바아와 제2바아의 상단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아암; 상기 제1바아와 제2바아의 상부아암 결합지점 하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부아암; 일단부가 상기 제1바아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제1지지바; 일단부가 상기 제2바아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의 슬라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힌지축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홈; 상기 양 프레임의 다른 일측의 힌지축 주위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어 홈 내부의 압축스프링에 의해 프레임 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각도조절홈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각도를 조절하는 걸림구; 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가동프레임과 제2가동프레임에 결합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가동프레임은 창틀프레임면으로부터 0~90°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가동프레임은 제1가동프레임면으로부터 0~45°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와 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의 회전 각도와 향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저장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부; 저장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개구부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 건물과 신축 건물에 적은 비용으로 시공하여 태양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창호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태양의 고도 및 건물의 향에 따라 태양광전지모듈의 각도를 2축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력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산된 전력을 복도등, 화장실등 등 소규모 전력에 활용하여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호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다.
덧붙여,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용 전기제품에 적용하거나 야외 활동시에 휴대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소규모의 전력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통신탑 또는 가정 내 중계기의 비상전원으로 통화 품질 유지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의 각도조절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창호 구조의 각도조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와 일측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가 적용된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가 적용된 통신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구조는 4각의 창틀프레임(10); 창틀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 내부 소정 높이에 상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가동프레임(20);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의 일측 수직 프레임 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가동프레임(30); 및 상기 제2가동프레임(30) 내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패널(40); 이 구비되어 태양광전지패널(40)의 2축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각의 창틀프레임(10)은 구조물의 문이나 창문 등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용,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거치대로써 태양광전지패널(40)의 외부를 둘러싸는 테두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창틀프레임(10)은 신축 구조물은 물론 기존 구조물의 리모델링 등으로 인한 창틀프레임(10)의 교체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은 태양광전지패널(40)의 2축 각도 조절을 위한 부분으로, 제1가동프레임(20)은 창틀프레임(10) 중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 내부의 소정 높이에 상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제2가동프레임(30)은 제1가동프레임(20)의 일측 수직 프레임 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가동프레임(20)은 좌우 양측 상부가 각각 창틀프레임(10) 중 대면하는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제1가동프레임(20)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창틀프레임(1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가동프레임(30)은 일측 수직 프레임 최소 2지점 이상이 제1가동프레임(20) 중 대면하는 수직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므로, 제2가동프레임(30)은 구조물의 향, 즉, 개구부나 사용자의 향(向)에 따라 제1가동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구조물이나 사용자가 정남향을 향하여 위치되는 경우에는 제2가동프레임(30)을 가동시키지 않고, 제1가동프레임(20)의 경사 각도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구조물이나 사용자가 정남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제2가동프레임(30)을 해체하여 제거한 다음, 제1가동프레임(20) 내부에 바로 태양광전지패널(4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양광전지패널(40)의 모듈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창호 구조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구조물이나 사용자가 남서향이나 남동향, 또는 정서향이나 정동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을 모두 사용하여 최대의 전력생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가동프레임(30) 내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패널(4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공지의 태양광전지패널(40)을 이용한다.
도 1의 (a)는 창틀프레임(10)을 기준으로 제1가동프레임(20)이 45°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개구되었으며, 제2가동프레임(30)은 제1가동프레임(20)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개구되었다.
그리고 도 1의 (b)에서는 창틀프레임(10)을 기준으로 제1가동프레임(20)이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개구되었으며, 제2가동프레임(30)은 제1가동프레임(20)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개구되었다.
상기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에는 손잡이(7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은 창틀프레임(10)면으로부터 0~90°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2가동프레임(30)은 제1가동프레임(20)면으로부터 0~45°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창틀프레임(10)과 제1가동프레임(20)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의 힌지결합부에는 각각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태양광전지패널(40)의 설치 각도 범위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의 각도조절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1바아(50);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타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2바아(51);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의 상단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아암(52);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의 상부아암(52) 결합지점 하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부아암(53); 일단부가 상기 제1바아(50)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공(54)이 형성된 제1지지바(55); 일단부가 상기 제2바아(5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55)의 슬라이드공(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56); 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는 창틀프레임(10) 내측면, 이에 대면하는 제1가동프레임(2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는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는 제1가동프레임(20)의 내측면, 이에 대면하는 제2가동프레임(3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1바아(50)와 제2바아(51)는 서로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아암(52), 하부아암(53)은 각각 양단이 제1, 2바아(50, 51)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1지지바(55)와 제2지지바(56)는 각각 일단이 제1바아(50)와 제2바아(51)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6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지지바(55)에 천공된 슬라이드공(54)을 따라 제2지지바(56)가 이동하여 태양광전지패널(40)이 설치된 제2가동프레임(30)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적절한 경사각을 확정한 다음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지패널(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준다. 이를 위하여 제2지지바(56)에도 결합공이 천공되어야 하며, 도 2에서는 나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제2가동프레임(30)을 고정하였다.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창호 구조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시키며, 제2가동프레임(30)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창호 구조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창호 구조의 각도조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와 일측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힌지축(63)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홈(60); 상기 양 프레임의 다른 일측의 힌지축(63) 주위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어 홈 내부의 압축스프링(61)에 의해 프레임 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각도조절홈(60)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각도를 조절하는 걸림구(62); 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홈(60)과 걸림구(62)는 창틀프레임(10) 내측면, 이에 대면하는 제1가동프레임(2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각도조절홈(60)과 걸림구(62)는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홈(60)과 걸림구(62)는 제1가동프레임(20)의 내측면, 이에 대면하는 제2가동프레임(3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각도조절홈(60)과 걸림구(62)는 서로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일측 프레임의 측면도에서는 힌지축(63)을 기준으로 힌지축(63)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0, 30, 60,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의 각도조절홈(60)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각도조절홈(60)의 개수와 각 각도조절홈(60)이 힌지축(63)과 이루는 각도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상기 걸림구(62)는 프레임의 힌지축(63) 주위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어 홈 내부의 압축스프링(61)에 의해 프레임 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각도조절홈(60)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스프링(61)은 용수철과 같은 스프링뿐만 아니라, 고무 등 다양한 탄성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홈에 삽입되는 걸림구(62)의 일단은 걸림구(62)가 홈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일단의 면적이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창호 구조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시키며, 제2가동프레임(30)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창호 구조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위치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가 적용된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구조를 구조물의 개구부에 다수 개 적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전지패널(4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와 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의 회전 각도와 향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저장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부; 저장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
상기 조절부는 태양의 위치에 대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입력한 수치에 의하여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작동시키거나 또는 태양의 고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의 반응에 의하여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는 DCv12/24V를 사용할 경우 불필요하며, AC 220V를 사용할 경우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 구조가 적용된 통신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창호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탑 또는 가정 내 중계기에 연결하여 자연재해나 재난 등으로 인한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이용하여 전력 복구시까지 통화 품질의 유지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절부, 충전컨트롤러부, 인버터부, 배터리부가 구비되어야 하며, 다수 개의 본 발명 창호 구조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체는 측벽이 개구되도록 하여 방열 효과 및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전지패널(40)의 각도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지열에 의한 영향이나 바람으로 인한 풍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10: 창틀프레임 20: 제1가동프레임
30: 제2가동프레임 40: 태양광전지패널
50: 제1바아 51: 제2바아
52: 상부아암 53: 하부아암
54: 슬라이드공 55: 제1지지바
56: 제2지지바 60: 각도조절홈
61: 압축스프링 62: 걸림구
63: 힌지축 70: 손잡이
100: 통신탑 200: 하부 구조체

Claims (8)

  1. 4각의 창틀프레임(10);
    창틀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 내부 소정 높이에 상부가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가동프레임(20);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의 일측 수직 프레임 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가동프레임(30); 및
    상기 제2가동프레임(30) 내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패널(40); 이 구비되어 태양광전지패널(40)의 2축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창틀프레임(10)과 제1가동프레임(20)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의 힌지결합부에는 각각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1바아(50);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타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2바아(51);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의 상단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아암(52);
    상기 제1바아(50)와 제2바아(51)의 상부아암(52) 결합지점 하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부아암(53);
    일단부가 상기 제1바아(50)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공(54)이 형성된 제1지지바(55);
    일단부가 상기 제2바아(5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55)의 슬라이드공(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5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4. 제2항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양 프레임의 어느 일측 힌지축(63)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홈(60);
    상기 양 프레임의 다른 일측의 힌지축(63) 주위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어 홈 내부의 압축스프링(61)에 의해 프레임 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각도조절홈(60)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각도를 조절하는 걸림구(6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5. 제1항에서,
    상기 제1가동프레임(20)과 제2가동프레임(30)에 결합되는 손잡이(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제1가동프레임(20)은 창틀프레임(10)면으로부터 0~90°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7. 제1항에서,
    상기 제2가동프레임(30)은 제1가동프레임(20)면으로부터 0~45° 이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8. 제1항에서,
    태양의 고도와 향에 따라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의 회전 각도와 향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태양광전지패널(4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저장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부;
    저장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
KR1020120087300A 2012-08-09 2012-08-09 창호 구조 KR10118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300A KR101180503B1 (ko) 2012-08-09 2012-08-09 창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300A KR101180503B1 (ko) 2012-08-09 2012-08-09 창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503B1 true KR101180503B1 (ko) 2012-09-06

Family

ID=4707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300A KR101180503B1 (ko) 2012-08-09 2012-08-09 창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13B1 (ko) * 2014-12-29 2016-07-07 (주) 이이시스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KR101707473B1 (ko) * 2016-06-30 2017-02-20 (주) 더베스트이앤씨 발코니창문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CN113175759A (zh) * 2021-03-29 2021-07-27 林长城 一种太阳能光电光热门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723A (ja)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建物開口部用発電換気装置
KR100916766B1 (ko) 2008-11-11 2009-09-1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벽면형 태양광 추적장치
KR100980688B1 (ko) 2010-06-17 2010-09-07 (주)한신산업 발전과 차양을 겸하는 건축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70318B1 (ko) 2012-05-16 2012-08-01 (주)에이비엠그린텍 건축물의 창문 일체형 추적방식 채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723A (ja)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建物開口部用発電換気装置
KR100916766B1 (ko) 2008-11-11 2009-09-1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벽면형 태양광 추적장치
KR100980688B1 (ko) 2010-06-17 2010-09-07 (주)한신산업 발전과 차양을 겸하는 건축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70318B1 (ko) 2012-05-16 2012-08-01 (주)에이비엠그린텍 건축물의 창문 일체형 추적방식 채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13B1 (ko) * 2014-12-29 2016-07-07 (주) 이이시스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KR101707473B1 (ko) * 2016-06-30 2017-02-20 (주) 더베스트이앤씨 발코니창문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CN113175759A (zh) * 2021-03-29 2021-07-27 林长城 一种太阳能光电光热门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7849B (zh) 一种太阳能驱动的垂直百叶遮阳装置
EP2481866B1 (en)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EP2885851A2 (en) Dc building system with energy storage and control system
WO2013003737A2 (en) Sun tracking solar power collection system designed for pole structures including wind turbine poles
CN103362255B (zh) 一种太阳能单坡智能天窗
CN201433485Y (zh) 单元式发电幕墙
CN107046393B (zh) 一种分布式建筑立面光伏一体化发电储电集成系统
KR101282899B1 (ko) 집광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광판 고정장치
KR101180503B1 (ko) 창호 구조
KR101690678B1 (ko) 태양광 발전 창호
CN202424582U (zh) 一种太阳能光伏电池
KR10119333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창문형 전력발생장치
CN104375513B (zh) 一种分布式光伏发电矩阵及其整体调节装置
Orhon 0171—A review on adaptive photovoltaic Façades
CN202990463U (zh) 一种太阳能模块化房屋
CN204244149U (zh) 可伸缩窗式太阳能发电系统
Let et al. Feasibility of a micro grid scale up at campus level-Case study
CN211880339U (zh) 一种太阳能电池板方便展开的太阳能发电装置
JP2023002961A (ja) 電源供給走行台車
CN206673870U (zh) 一种分布式建筑立面光伏一体化发电储电集成系统
CN202577796U (zh) 一种太阳能单坡智能天窗
CN107947692B (zh) 可伸缩的移动箱式光伏电站及其控制方法
CN201810173U (zh) 太阳能空调窗
CN201524374U (zh) 用于建筑物的消防控制装置及具有该装置的消防控制系统
CN102324774A (zh) 可移动式风光互补空调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