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36B1 -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 Google Patents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336B1
KR101180336B1 KR1020090033754A KR20090033754A KR101180336B1 KR 101180336 B1 KR101180336 B1 KR 101180336B1 KR 1020090033754 A KR1020090033754 A KR 1020090033754A KR 20090033754 A KR20090033754 A KR 20090033754A KR 101180336 B1 KR101180336 B1 KR 10118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ard
plate
inner plate
board
bo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7611A (en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JP201154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2516191A/en
Priority to PCT/KR2010/000465 priority patent/WO2010087607A2/en
Publication of KR2010008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은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unit for a jump exercise. The hopping boar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wall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flat base plate; An inner plate which covers the base plate of the main bo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ard, and has a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inner side thereof;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p pl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oft touch.

따라서 보드유닛을 이루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조립이 이뤄지게 마련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이뤄지고, 상판의 다양한 조립 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plate of the board unit, as well as the top plate, can be assembled by one-touch assembly method, so that the assembly process can be done easily, and various assembly combinations of the top plate can be given to secure various designs to suit the user's taste. It can be effective.

도약운동, 메인보드, 내판, 상판, 완충다리, 1차완충부, 2차완충부 Jumping movement, main board, inner plate, top plate, buffer bridge, primary shock absorber, secondary shock absorber

Description

도약운동용 보드유닛{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본 발명은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보드와 내판 및 상판으로 마련된 보드유닛이 원터치방식으로 조립이 이뤄지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됨은 물론 내판과 상판의 다양한 조립조합을 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보드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또한 완충다리의 2중 완충구조에 의해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넓힐 수 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for hopping exercise that can be repeatedly carried out and landing, and more specifically, the board unit provided with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assembled in a one-touch manner, as well as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as well as the inner plate. By combining various boards and top boards,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cope with various board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he double buffer structure of the buffer leg can absorb the impact of strength and weakness more effectively. It relates to a board unit for.

일반적으로, 도약운동용 보드는 거실이나 방바닥에 놓고 그 위에서 사용자가 제자리걷기나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사용하는 운동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도약운동용 보드는 판형의 메인보드와, 이 메인보드의 하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메인보드를 지지하고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 지지대로 형성된 완충다리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leap exercise board is one of the exercise equipment that is placed on the living room or the floor and used while the user repeatedly walks or jumps and lands on the floor. The hopping board consists of a plate-shaped main board and a buffer bridge whi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edge of the main board to support the main board and a buffer support for reducing the impact or noise generated when landing.

이러한 도약운동용 보드 중에서 종래 기술에 제시되었던 구조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Among the boards for the hopping exercise, we will briefly look at the structur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the prior art.

대한민국 특허 제10-0446588에는 디딤판인 판상의 보드와, 이 보드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드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 이상으로 층상 배열되는 몸체를 갖는 완충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다리는 상기 보드의 하부에 삼각구도로 배치되고 몸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삼단으로 복수의 단위부재가 배열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다리에 몸체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가 마련된 것이다.Korean Patent No. 10-0446588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board which is a tread plate, and a buffer leg having a body which is provided below the board and is arranged in two or more layers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buffer the load applied to the board. The buffer leg is arranged in a triangular sphere at the bottom of the board, the body is a plurality of unit members are arranged in three stag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buffer leg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partially discharging the buffer air contained in the body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도약운동용 보드는 그 요부가 완충다리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완충다리는 단순히 몸체의 내부가 비어 있는 이단 이상의 단위부재로 배열된 통형구조인바,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강하고 약한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단순히 평균체중의 하중에 대해서만 제대로의 충격 흡수가 이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hopping board as described above can be said that the main portion is a buffer, the buffer leg is simply a cylindrical structure arranged in two or more unit members of the interior of the body bar, the strong and weak impact load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ffectively absorbed, and the shock absorption is properly performed only for the average weight load.

특히, 도약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체중이 표준체중이 이상이면 그 충격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완충다리의 단위부재는 납작하게 변형되어 서로 맞닿아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대로의 충격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완충다리가 변형되는 손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the user's body weight is more than the standard weight during the jump exercise, the impact load increases sharply, so the unit members of the shock absorbing legs are flatly deformed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Had a problem in that damage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buffer leg occurred.

대한민국 특허 제10-0844000호에는 메인보드의 상면에 상판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보드의 하면 모서리에 메인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다리가 구비된 도 약운동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면에 상판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에 메인보드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가 형성되게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44000, the top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the jumping exercise board is provided with a buffer bridge for stably supporting the main board at the bottom edge of the main board, the main board is on the upper surface It is proposed that the top plate is seated to be fitted and fixed while being seated, and that the injection molding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a reinforcing rib is form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main boar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약운동용 보드는 메인보드 위의 상판에서 도약과 착지, 즉 도약운동이 반복적으로 장기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면 소프트한 완충부재로 된 상판의 중앙부분이 움푹하게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소프트한 완충부재로 된 상판이 사용자의 발과 마찰로 인해 탈색될 수 있고 이렇게 부분적으로 탈색되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hopping exercise boar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ap and landing on the top plate on the main board are repeatedly made for a long time, the center portion of the top plate made of a soft buffer member can be recessed and sof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p plate made of a buffer member may be discolored due to friction with the user's foot, and this partial discoloration is not good.

특히, 상기 메인보드는 보다 확실한 메인보드의 강도보강을 꾀하기 위해서 메인보드 상면인 보강리브 위에 열융착으로 보강시트를 일체화시켰으나, 이는 메인보드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과 착지, 등의 도약운동을 할 때 발생되는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메인보드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휨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보드의 보강리브와 보강시트의 열융착부분에서 휨 변형을 이기지 못하고 크랙 또는 박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크랙과 박리될 때 "딱"하는 굉음이 발생될 수 있어 사용자는 파손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됨은 물론 견고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main board integrated the reinforcing sheet by heat welding on the reinforcing rib,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in order to ensure the strength reinforcement of the main board, but this occurs when the user jumps, lands, and jumps on the main board. Due to the impact load,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convex shape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motherboard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cracks or peelings may occur without bending deformation in the heat-seale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ribs and the reinforcing sheets of the main board, and the cracking and peeling of the cracks may occur. There was a problem that not only have anxiety about, but also can not secure confidence in the robustness.

또한, 완충다리의 구조 역시 단순히 내부가 비어 있는 다단의 통형구조, 즉 외측으로 볼록한 동일사이즈의 반원호형으로 연속 적층한 통형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강하고 약한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단순히 평균체중의 하중에 대해서만 제대로의 충격 흡수가 이뤄지는 것이어서 사용 자의 체중이 약간 가벼우면 통통 튀는 느낌의 반력으로 운동효과의 반감을 불러일으키며,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체중이 무거우면 충격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단부가 서로 맞닿아 걸리므로 제대로의 충격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완충다리가 변형되는 손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hock-absorbing leg is simply a multi-stage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that is, a cylindrical structure that is continuously stacked in a semi-circular arc of convex shape that is convex outward, so that it cannot effectively absorb strong and weak impact loads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When the user's weight is a little light, the reaction effect of the bouncing feeling is caused by simply the weight of the average weight. Sinc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do not absorb the impact load properly, and even have a problem that damage occurs that the shock absorbing leg is de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드유닛을 이루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마련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상판의 다양한 조립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중에 싫증이 나면 상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그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losing and problems, the purpose is that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plate constituting the board unit as well as the top plate optionally provided by one-touch assembly metho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The board unit for the leap exercise can be made by providing various assembly combinations of the top plate to secure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o replace the top plate when it gets tired during use. To prov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은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ard with a wall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flat base plate; An inner plate which covers the base plate of the main bo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ard, and has a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inner side thereof;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p pl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oft touch.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내측하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는 내판의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 중 내판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보강리브는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두리부의 보강리브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rib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late are provided in a lattice shape to cross each other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the reinforcing rib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plate of the reinforcing rib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inforcing ribs of the rim so as to mainta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ard of the main bo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상면은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판도 저면이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하 여 서로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으로 접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is provided with a flat plane, and the corresponding upper plate is also provided with a flat plane with a bottom surface to be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내판과 조립식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식으로 상판을 마련하는 경우 여러 개의 조각상판으로 마련하여 내판의 상면에 퍼즐방식으로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plate and the prefabricated type, when providing the top plate in a prefabricated manner, it is provided by a plurality of pieces of plate to assemble in a puzzle metho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This is preferred.

상기 상판이 퍼즐조립방식인 경우, 내판은 그 상면 전체를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고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단위격자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조각상판은 내판의 단위격자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중앙의 저면 및 테두리에 내판의 결합홀로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pper plate is a puzzle assembly method, the inner plate is uniformly partitioned in its entirety in a lattice shap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to each lattice grid, and each statue plate is an inne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plate on the bottom and edge of the cen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와 내판을 조립하였을 때 서로 분리 해체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해체방지수단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plate is assemb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assembly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isassembly from each other.

상기 해체방지수단은 베이스판재와 벽체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록킹홀과, 상기 내판 외측에 상기 록킹홀로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록킹돌기로 구성된다.The dismantling preventing mean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wall, and locking projection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plate, respectively.

상기 해체방지수단은 상기 메인보드의 벽체 상단부분에 그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판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도록 형성된 누름돌기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해체방지수단이 누름돌기로 마련하는 경우, 상기 내판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의 누름돌기가 내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단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dismantling prevent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med to press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inner plat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of the main board. When the dismantling preven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cking step to prevent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main board from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마련함으로써 조립 공정이 간편하게 이뤄지며, 상판의 다양한 조립 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중에 싫증이 나면 상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그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plate, as well as the top plate optionally provided in one-touch assembling method, the assembling process is made easily, by giving various assembly combinations of the top plate to the user's taste. A variety of designs can be secured, and if the tire gets tired during use, the top plate can be replaced, which has the effect of prolonging its service lif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Or less,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보드유닛과 완충다리의 결합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ard unit and the buffer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t.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는 메인보드(110)의 상 면에 내판(120) 및 상판(130)이 끼워져 결합 고정된 보드유닛(100)과, 이 보드유닛(100)의 네 귀퉁이 저면에 각각 체결되어 외부가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다리(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ard for the hopping exerci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ard unit 100 and the board unit 100 is fixed to the inner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the board unit 100 I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buffer leg 200 for buffering the impact of the external pressure.

상기 보드유닛(100)은 메인보드(110)의 상면에 내판(120)이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고, 상기 내판(120) 위에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130)이 마련되어 있다.The board unit 100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13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oft touch on the inner plate 120 is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plate 120 tigh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

상기 메인보드(110)는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되, 네 귀퉁이가 라운딩 처리된 평탄한 사각형의 베이스판재(111)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재(111)의 테두리 전체에는 적어도 내판(120) 및 상판(130)을 수용하는 깊이로 벽체(112)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The main board 110 is injection-molded by a synthetic resin, and formed of a flat rectangular base plate 111 rounded at four corners, and at least the inner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the entire edge of the base plate 111). The wall 112 protrudes upward to a depth that accommodates 130.

또한 상기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네 귀퉁이에는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를 각각 결착시키기 위한 결착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홀(113)은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가 상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완충다리(200)의 회전조작에 의해 서로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four corners of the base plate 111 forming the main board 110 are formed with binding holes 113 for binding the binding protrusions 203 of the buffer leg 200, respectively. The binding hole 11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inding protrusion 203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penetrates upward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one-touch method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다시 말해서, 상기 결착홀(113)은 평면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호형의 한쪽은 결착돌기(203)가 관통될 정도로 넓게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결착돌기(203)의 목부(204)에 끼워져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홀(113)에서 좁은 부위의 중간부분에는 결착돌기(203)의 목부(20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05)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In other words, the binding hole 113 is formed in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in a planar shape, one side of the arc is formed wide enough to penetrate the binding protrusion 203, the other side of the binding protrusion 203 It is narrowly formed so that it may be caught by the neck part 204. In the middle of the narrow portion of the binding hole 113, a locking protrusion 114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05 formed in the neck 204 of the binding protrusion 203.

그리고 상기 결착홀(113)의 동일원주 상에는 완충다리(200)를 체결하였을 때 상기 완충다리(200)의 소음제거부재(210)와 일치하는 위치에 에어유통공(115)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유통공(115)은 메인보드(110) 위에서 도약운동을 할 때 완충다리(200)내의 에어가 배출되고 유입되는 통로이다.In addition, when the buffer leg 200 is fasten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f the binding hole 113, the air distribution hole 115 is perfor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ise removing member 210 of the buffer leg 200. The air distribution hole 115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the buffer leg 200 is discharged and introduced when the hopping motion is performed on the main board 110.

또한, 상기 베이스판재(111)와 벽체(112)의 경계부분에는 내판(120) 외측에 형성된 록킹돌기(12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복수개의 록킹홀(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홀(116)은 해체방지수단의 하나로서 내판(120)이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안쪽으로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었을 때 메인보드(110)에서 내판(120)이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16 ar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plate 111 and the wall 112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2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plate 120 is inserted therein. The locking hole 116 is one of disassembly preventing means when the inner plate 120 is tightly coupled tightly to the inside of the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the inner plate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110 To prevent this.

그리고, 상기 벽체(112)는 그 단면이 하부로 개방된 캡 형(cap type)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벽체보강리브(117)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wall 112 is formed in a cap type (cap type) whose cross section is open to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wall reinforcement ribs 117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상기 내판(120)은 메인보드(110)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벽체(112) 내면과 밀착되는 형상, 즉 평면상 베이스판재(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되 그 테두리 전체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밀착리브(121)가 형성되어 있고 네 귀퉁이 또한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상응하는 곡선을 갖는 사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The inner plate 12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12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that is, the same shape as the base plate material 111 on the plane, but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entire edge thereof. The close contact ribs 121 are formed and four corners are also formed in a quadrangle having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111 of the main board 110.

상기 밀착리브(121)의 외면은 메인보드(110)의 벽체(112)와 접촉되는 표면이므로 그 외면에는 베이스판재(111)와 벽체(112)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116)로 끼워져 걸리는 록킹돌기(123)가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rib 121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116 form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plate 111 and the wall 112. The locking projection 123 is fitted to the hook is formed.

또한, 상기 내판(120)은 그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의 보강리브(122)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122) 중에서 중앙부분의 보 강리브(122)는 테두리부분의 보강리브(12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중앙부분의 보강리브(122)를 테두리부분의 보강리브(122)보다 짧게 마련하는 이유는 메인보드(110)의 내측인 베이스판재(11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약시 메인보드(110)의 내측상면과 접촉됨에 따른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내판(120)의 네 귀퉁이부분은 곡선형상에 맞추어 원형이나 호형리브로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plate 120 has a lattice-shaped reinforcement rib 122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reinforcing rib 122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rib 122 is an edge portion.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rib 122 is shorter.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reinforcement ribs 122 of the center portion shorter than the reinforcement ribs 122 of the rim portion is to maintain th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material 111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ard 110 when the main board 110 In order to prevent the noise caused by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maximal. Four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plate 12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or arc-shaped rib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hape.

상기 상판(130)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면은 내판(120)의 상면과 별도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야 하므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촉감이나 디자인을 고려하여 엠보싱돌기가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upper plate 130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foo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oft touch, and at lea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0 should be bonded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It is formed flat and the upper surface is embossed projection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touch and design.

상기 완충다리(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몸체로 마련되되 그 상단엔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네 귀퉁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홀(113)을 관통하여 각각 결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착돌기(2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다리(200)는 강도 및 탄성계수가 상이한 1차 및 2차완충부(201,20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1차완충부(201)는 상단부에 상하로 조밀하게 다단으로 연속되는 삼각나사산형의 주름구조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2차완충부(202)는 1차완충부(201)의 하부에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기둥구조로 마련되어 있다.The buffer leg 200 is provided with a hollow body having an empty inside, but penetrates through the binding holes 113 formed at the bottom four corners of the base plate 111 forming the main board 110 at the upper end thereof. A pair of binding protrusions 203 facing each other are provided to be bound. In addition, the buffer leg 200 is provided with primary and secondary shock absorbing parts 201 and 202 different in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nd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art 201 is a triangular screw thread that is densely and vertically continuous at the upper end. It is provided in a corrugated structure of the type, and the secondary buffer portion 202 is provided in a columnar structure that is gently convex outwar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buffer portion 201.

상기 1차완충부(201)는 2차완충부(202)보다 강도가 약하고 유연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먼저 1차완충부(201)가 어린이나 이와 같은 작은 체구 의 충격하중에 의해서도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 다음, 2차완충부(202)가 큰 충격하중에 의해 탄성변형 내에서 수축되면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primary buffer unit 20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weaker strength and more flexible than the secondary buffer unit 202. The reason is that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1 first absorbs the shock while being contracted by the impact load of a child or such small body, and then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contracts in the e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large impact load. It is to be absorbed while.

또한, 상기 완충다리(200) 상단의 결착돌기(203)는 메인보드(110)의 결착홀(113)의 넓은 부분으로 관통된 후 회전시키면 상기 결착홀(113)의 좁은 부분에 걸리도록 하부에 목부(204)를 갖는 한글 자음의 기역(ㄱ) 형상 단면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inding protrusion 203 of the upper end of the buffer leg 200 is penetrated into a wide portion of the binding hole 113 of the main board 110 and rotates, a lower portion of the binding protrusion 200 is caught by a narrow portion of the binding hole 113. It is provided with a convex (a) shap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Hangul consonant having a neck 204.

그리고, 상기 결착돌기(203) 하부의 목부(204)와 접하는 하면에는 좁은 부분의 결착홀(113)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걸림돌기(114)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20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binding protrusion 203 is in contact with the neck portion 204, the locking groove 205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114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narrow binding hole 113 is inserted into the hook. have.

그리고, 상기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들과 서로 직교되는 상단부에는 완충다리(200)가 압축되었다가 신장될 때 그 내부의 에어가 흡입되고 배출되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이고 완충다리(200)의 내측으로 개방된 홈 형상의 통기구(20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206)에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소음제거부재(21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portion orthogonal to the binding protrusions 203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recessed downwardly and buffered downward so that the air therein is sucked and discharged when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compressed and extended. A groove-shaped vent 206 open to the inside of the 200 is provided, and the vent 206 is provided with a separate noise removing member 210 for removing noise.

상기 소음제거부재(210)는 통기구(206)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으로 케이싱(2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11) 내에 다공성소재인 스펀지(212)가 끼워져 있다. 상기 케이싱(211)은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의 사출물 또는 판재를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으로 접은 것이며 적어도 완충다리(200)의 내측과 상방을 향해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The noise remov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air vent 206, which is provided with a casing 211 in the shape of a Korean consonant, and a sponge 212, which is a porous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casing 211. The casing 211 is a Hangul consonant disc-shaped injection molded or plate folded into the Hangul consonant disc-shaped, and at least the through hole toward the inside and upward of the buffer leg 20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는, 먼저 내판(120)을 사출에 의해 마련하되, 사출금형에서 소정시간동안 냉각타입을 주고 인출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대기 중에서 냉각시킨 다수의 내판(120)을 마련한다. 이때, 내판(120)은 대기 중에서 충분히 냉각되기 때문에 후수축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설계치대로의 공차를 얻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jumping exercis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late 120 is first provided by injection, but a plurality of inner plates 120 are cooled in the air for a sufficient time by giving a cooling typ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injection mold. ).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plate 120 is sufficiently cooled in the atmosphere, the post-shrinkage is sufficiently made, thereby obtaining a tolerance according to the designed value.

이렇게 내판(120)을 마련한 다음, 메인보드(110)의 사출금형에서 소정시간동안 냉각타임을 주고 인출하여 메인보드(110)를 얻는다. 이때, 소재에 따라 다양하나 메인보드(110)는 복합폴리프로필렌수지를 채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출금형에서 인출하였을 때의 온도가 대기온도보다 높은 60~70℃이다. 다시 말해서, 메인보드(110) 소재의 후수축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After the inner plate 120 is prepared, the cooling time is g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injection mold of the main board 110 to obtain the main board 110. At this time, it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but the main board 110 adopts a composite polypropylene resin, so the temperature when taken out from the injection mold is 60 ~ 70 ℃ higher tha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other words, the post-shrinkage of the main board 110 material is not achieved.

상기와 같이 메인보드(110)를 사출금형에서 꺼내자마자, 곧바로 상기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테두리인 벽체(112) 내면에 내판(120)의 테두리인 밀착리브(121)가 밀착되면서 메인보드(110)의 록킹홀(116)에 상기 밀착리브(121)상의 록킹돌기(123)가 끼워져 걸리도록 삽입하여 조립한다.As soon as the main board 110 is removed from the injection mold as described above, the close contact rib 121 which is the border of the inner plate 1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12, which is the border of the base plate 111 forming the main board 11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hole 116 of the main board 110, the locking projection 123 on the close contact rib 121 is inserted to be fitted to assemble.

이렇게 메인보드(110)에 내판(120)을 조립하여 대기 중에서 냉각시키면, 메인보드(110)가 냉각됨에 따라 발생되는 메인보드(110)의 수축(일명, 후수축이라고도 한다)되면서 내판(120)의 밀착리브(121)에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내면이 견고하게 밀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이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사출 성형한 것처럼 일체화되게 된다. When the inner plate 120 is assembled to the main board 110 and cooled in the atmosphere, the inner plate 120 is contracted (also referred to as post shrinkage) of the main board 110 generated as the main board 110 is cooled.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rib 121 of the.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ard 110 and the inner plate 120 are integrated as if injection molded in one injection mold.

이와 같이 메인보드(110)에 내판(120)을 조립한 후,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 상판(130)을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접착하고, 상기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 재(111)에 천공되어있는 각각의 결착홀(113)마다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After the inner plate 120 is assembled to the main board 110 in this manner, the top plate 130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with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base plate material 111 of the main board 110.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inserting and fastening the binding protrusion 203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to each of the binding holes 113 drilled in the).

상기 메인보드(110)에 완충다리(200)를 체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완충다리(200) 상단의 결착돌기(203)가 메인보드(110)의 결착홀(113)의 넓은 부분으로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결착홀(113)의 좁은 부분에 목부(204)가 걸리게 되며, 상기 결착돌기(113) 하면의 걸림홈(205)에 결착홀(113) 주위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The process of fastening the shock absorbing leg 200 to the main board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astening protrusion 203 of the upper end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the fastening hole 113 of the main board 110. Inserted so as to penetrate into a wide portion of the rotating clockwise direction to take the neck 204 in the narrow portion of the binding hole 113, the binding hole 113 in the locking groove 205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inding projection 113. The surrounding engaging protrusion 114 is inserted and caught.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를 거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그 완충다리(200)의 하면이 놓이도록 하여 설치하고, 사용자가 보드유닛(100)의 상판(130) 위에 올라서서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assembly of the leap exercis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bottom of the buffer leg 20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or the veranda, and the user stands on the top plate 130 of the board unit 100. You will be able to walk or jump in place.

이와 같이 보드유닛(100)의 상판(130) 위에서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 등을 할 때, 상기 완충다리(200)는 압축되었다가 팽창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지주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완충다리(200)의 1차완충부(201)는 사용자가 상판(130)에 올라서거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탄성범위 내에서 접힘 내지 변형이 이뤄지는 것이며, 사용자가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완충다리(200) 상부의 1차완충부(201)에서 1차적인 완충이 이루어진 이후에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범위 내에서 접힘 내지 변형이 이뤄지게 된다. As such, when walking or leaping in place on the top plate 130 of the board unit 100,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compressed and expands to absorb shock and serve as a stable prop. At this time, the primary shock-absorbing portion 201 of the buffer leg 200 is to be folded or deformed within the elastic range by the user to the top plate 130 or by a small impact, the user walking or leaping in place to continue In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secondary buffer 202 having a high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after the primary buffer is made in the primary buffer 201 of the buffer leg 200 is folded or deformed within the elastic range This will be done.

그 이유는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보다 강도가 약하고 유연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충격하중에 의해서도 1차완충부(201)가 먼저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 후,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primary buffer portion 201 is weaker and more flexible than the secondary buffer portion 202. Therefore, the first shock absorber 201 is first contracted by a small impact load to absorb the shock, and then the second shock absorber 202 having a high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is contracted with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to absorb the shock. .

결론적으로, 완충다리(200)의 1,2차완충부(201,202)에 의해 순차적이고 효과적으로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과 무관하게 어린이나 성인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를 설치한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한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conclusion,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201 and 202 of the buffer leg 200 are sequentially and effectively buffered, so that the shock is not transmitted to the joints of the user, as well as to children or adults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Can be used, the impact delivered to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hopp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can also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이외에도 완충다리(200)의 소음제거부재(210)에 의해 제자리걷기나 도약에 따른 완충다리(200) 내부의 공기가 베이스판재(111)의 에어유통공(115)을 통해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내판(120)의 보강리브(122) 사이인 밀폐공간으로만 배출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완충다리(200) 내의 공기가 통기구(206)와 에어유통공(115)을 통과하는 유통소음을 최소화 내지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inside the shock absorbing leg 200 according to walking or leaping by the noise removing member 210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10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115 of the base plate 111. It is discharged only to the sealed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111 and the reinforcing rib 122 of the inner plate 120, whereby the air in the buffer leg 200 passes through the vent 206 and the air distribution hole 115 Distribution noise can be minimized or eliminated.

상기와 같이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보드유닛(100)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그 중앙부분이 하부로 볼록하게 휘게 되는데, 이렇게 보드유닛(100)을 이루는 메인보드(110)와 내판(120) 및 상판(130)의 중앙부분이 하부로 볼록하게 휘되더라도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내판(120)의 보강리브(122)가 이격되어 있어 접촉될 염려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의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In the state of performing the walking or leap movement as described above, the board unit 100 is bent convexly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user, the main board 110 and the inner plate forming the board unit 100 in this way Even if the central portion of th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are bent convexly downward, the base plate 111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reinforcing rib 122 of the inner plate 120 are spaced apart, so that there is no fear of contact. As a result, friction noise due to contact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inner plate 120 is not generated.

또한, 상기 내판(120)의 저면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리브(122)에 의해 메인보드(110)가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하여 메인보드(110) 위에서 도 약과 착지를 반복할 때 발생되는 반복하중에 대한 별다른 손상 없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110 has a sufficient strength by the reinforcing rib 122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which is generated when repeating the leap and landing on the main board 110. Durability is greatly improved without any damage to cyclic loa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서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상단부분에 그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판(120)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도록 형성된 누름돌기(118)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메인보드(110)의 벽체(112)에 누름돌기(118)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내판(120)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110)의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단턱(126)이 형성되어야 한다. 7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mantling prevention means 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ressing protrusion 118 formed to press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inner plate 120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is provided.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118 is provided on the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the pressing protrusion 118 of the main board 110 is formed on the outer top of the inner plate 120. Hanging step 126 to prevent protruding from the should be formed.

상기한 바와 같은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상단부에 마련되는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상단모서리를 움직임 없이 견고하게 누르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드유닛 위에서 도약운동 등을 하더라도 메인보드(110)에서 내판(120)이 이탈됨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mantling preven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projection 118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112 of the main board 110 is firmly pressing the upper edge of the inner plate 120 without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ap movement on the board unit of the main board 110 to prevent the inner plate 120 is separated.

또한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 상판(130)을 설치할 때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걸림단턱(126)과 일치하는 형상이므로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아 아무런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상판(130)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할 때에도 걸릴 염려 또한 없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since the pressing protrusion 118 is shaped to coincide with the locking step 126 of the inner plate 120,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and thus no restriction. It can also be installed without the top plate 130, there is also no worry about when the user takes a jump.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메인보드(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고 내판(120)은 하면에 밀착리브(121)와 보강리브(122)가 형성된 것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내판(120)의 상면 또한 그 전체가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되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사각형상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125)이 더 형성된 것이다. 8 to 10 are views showing to explain another embodiment of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ain board 110 is the same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ner plate 12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lose contact rib 121 and the reinforcement ribs 1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is also uniformly partitioned in a grid shape, but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5 are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edge of a quadrangle corresponding to each grid grid.

상기 상판(130)은 내판(120)의 상면전체를 덮어씌우도록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된 내판(120)의 각 격자모눈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분할되고 각각 분할된 형상의 중앙 및 테두리에 내판(120)의 결합홀(125)과 상응하여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33)가 형성된 복수의 조각상판(131,132)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upper plate 130 is divided into shapes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grids of the inner plate 120 uniformly partitioned in a lattice shape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20, and the inner plate at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divided shape,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tue plates (131, 132)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3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25 of the 12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조각상판(131,132)의 결합돌기(133)에는 그 내면에 내판(120)의 결합홀(125)에 삽입되고 나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133 of the statue plate (131,13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134 is caught so as not to be separa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5 of the inner plate 1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은, 내판(120)의 결합홀(125)에 상판(130)을 이루는 다수개의 조각상판(131,132)이 조립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은 물론 상판(130)로 된 보드유닛(100) 전체를 원터치조립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의 자재비가 줄어들고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이뤄지게 된다.Board unit for a jump exercise of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lurality of statue plates 131, 132 forming the upper plate 130 in the coupling hole 125 of the inner plate 120 is made of prefabricated with the main board 110. As well as the inner plate 120, the entire board unit 100 made of the upper plate 130 can be performed in a one-touch assembly method,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s such as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facilitates assembly automa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완충다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선, 완충다리(200)의 2차완충부(202) 내측주면에 상하위치에 일정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있는 2개의 접힘 방지돌기(207)가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leg for jump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two anti-folding projections 207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ary buffer unit 202 of the buffer leg 200 is provided. Same configuration a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약운동용 보드는 보드유닛의 상판 위에서 제자리 걷기나 도약운동을 할 때, 강도가 약하고 유연한 1차완충부(201)가 1차적으로 완충된 다음, 이어서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되기 시작한다. The hopping 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weak strength and a flexible primary buffer unit 201 when the walking or jumping motion on the top plate of the board unit is first buffered, and then th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re large. As the secondary buffer 202 contracts within the range of elastic deformation, shock absorption starts.

상기 2차완충부(202)가 어느 정도 수축되면 그 내면의 접힘 방지돌기(207)가 서로 접촉되어 지지되게 되므로 강도보강이 이뤄지고 이로 인하여 2차완충부(202)가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When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is contracted to some extent, since the folding preventing projections 207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re support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trength reinforcement is achieved,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from being sharply folded.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변화나 점핑강도에 따른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이 크게 변화더라도 효과적인 충격흡수를 꾀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of the strength and weakness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change or jumping strength, as well as to effectively absorb the shock even if the user's weight changes significantly, thereby significantly expanding the user bas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완충다리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완충다리(200)에서 1차완충부(201)하부의 2차완충부(202)를 구조상 탄성복원력이 양호한 파형으로 마련한 것이고, 도 13은 완충다리(200)에서 1차완충부(201)와 2차완충부(202)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2차완충부(202)의 하단에 1차완충부(201)를 마련한 것이다.12 and 13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leg for jump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1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has a good elastic restoring force, and FIG. 13 shows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20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buffer unit 202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primary buffer unit 201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buffer unit 202.

상기 2차완충부(202)의 단면형상은 1차완충부(201)와 동일한 형상의 삼각나사산형이나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호형을 연속 적층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triangular screw thread or a convex semicircular arc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1 is continuously stacked.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의 완충다리에 의하면, 2차완충부(202)의 단면형상을 파형으로 마련되어 구조적인 특성상 탄성복원력이 탁월하고, 이로 인한 효과적인 완충으로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를 설치한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buffer leg of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is provided as a waveform, the elastic resilience excellent 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effective exercise buffer to install the leap exercis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reduc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floor.

또한, 완충다리(200)의 바닥과 접하는 부분인 1차완충부(201) 또는 2차완충부(202)의 하단부분은 서로 맞닿지 않고 정도에 알맞게 하는 규칙적인 한도로 이뤄지는 절도(節度)감을 갖도록 호형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1 or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hock absorbing leg 200, does not touch each other and is made of regular theft that is made to a regular limit appropriate to the degre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in an arc shape to have.

이때,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바닥부분은 두껍고 그 상부로 갈수록 1차완충부(201)의 두께로 얇아지게 마련하여야만 보다 부드러운 절도감을 갖는 상태로 수축되고 신장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1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portion 202, the bottom portion is thicker and softer theft should be provided thinner to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buffer portion 201 toward the upper portion. It contracts and stretches with a sense.

특히,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메인보드(110)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충격을 흡수할 때는 1차적으로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201)가 흡수하고 이후에 2차완충부(202)가 흡수하므로 효과적인 충격하중을 감쇄시킨다. 이와 반대로 반발력이 작용할 때는 강도 및 탄성력이 큰 2차완충부(202)가 신장된 후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201)가 신장되게 된다. 따라서 완충다리(200)의 사이즈로 복원하려하는 복원력, 즉 반발력이 효과적으로 감쇄되므로 실내의 바닥과 접한 1차완충부(201) 바닥이 떨어지지 않고 접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 때문에 메인보드(110)와 함께 완충다리(200)가 이동되지 않아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에서 안정적인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primary shock absorber 201 is provided below the secondary shock absorber 202,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ser jumps on the main board 110, the primary shock absorber 201 is primarily used to absorb shocks. As the primary shock absorber 201 absorbs weak force and absorbs the secondary shock absorber 202 afterwards, it effectively attenuates the impact load. On the contrary, when the repulsive force acts, the secondary buffer 202 having the high strength and elastic force is extended, and the primary buffer 201 having the weak repulsive force is extended. 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that is, the repulsive force, which attempts to restore the size of the buffer leg 200 is effectively attenuated, so that the bottom of the primary shock absorbing part 201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is kept in a grounded state without falling, and thus the main board 110 Along with the shock absorbing leg 200 is not moved to enjoy a stable jump in the hopp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는 보드유닛과 완충다리의 형상이라든가 내판의 보강리브형상 등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shape of the board unit and the cushioning legs or the reinforcing rib shape of the inner plate to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실내의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주위 사람에게 소음에 따라 피해를 끼치지 않고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넓은 판재 위에서 도약과 착지를 반복하는 도약운동기구에 유용하게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njoy a leap movement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surrounding people in the living room or porch indoors, and is usefully useful in the leap exercise equipment repeating the leap and landing on a wide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ard unit for a jump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다.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3 is a bottom view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과 그 완충다리가 체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pping board unit and the buffer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 fastening portion.

도 5는 도 4의 보드유닛에 완충다리가 체결되었을 때 그 결합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portion when the buffer leg is fastened to the board unit of FIG.

도 6은 도 4의 보드유닛에 완충다리가 체결되었을 때 그 통기구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vent when the shock absorbing leg is fastened to the board unit of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서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mantling prevention means in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서 내판과 상판을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n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n FIG. 8.

도 10은 도 8의 조립단면도이다.10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도 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1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buffer leg of the hopping exercise 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보드유닛 110: 메인보드 111: 베이스판재100: board unit 110: main board 111: base plate

112: 벽체 113: 결착홀 114: 걸림돌기112: wall 113: binding hole 114: locking projection

115: 에어유통공 116: 록킹홀 117: 벽체보강리브 115: air distribution hole 116: locking hole 117: wall reinforcement rib

118: 누름돌기 120: 내판 121: 밀착리브 118: push projection 120: inner plate 121: close contact rib

122: 보강리브 123: 록킹돌기 125: 결합홀122: reinforcing rib 123: locking projection 125: coupling hole

126: 걸림단턱 130: 상판 131,132: 조각상판126: locking step 130: top plate 131,132: statue plate

133: 결합돌기 134: 걸림턱 200: 완충다리133: engaging projection 134: locking jaw 200: buffer leg

201: 1차완충부 202: 2차완충부 203: 결착돌기201: primary buffer unit 202: secondary buffer unit 203: binding protrusion

204: 목부 205: 걸림홈 206: 통기구204: neck 205: locking groove 206: vent

207: 접힘 방지돌기 210: 소음제거부재 211: 케이싱207: anti-folding projection 210: noise canceling member 211: casing

212: 스펀지212 sponge

Claims (16)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A main board on which walls protrude upward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flat base plate;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An inner plate which covers the base plate of the main bo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ard, and has a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inner side thereof;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며,It consists of a top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bu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oft touch, 상기 내판의 보강리브는 내판의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리브 중 내판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보강리브는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두리부의 보강리브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The reinforcing ribs of the inner plate are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the reinforcing rib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plate of the reinforcing ribs mainta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of the main board. The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formed shor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판은 내판과 조립식으로 마련되고 여러 개의 조각상판으로 마련되어 내판의 상면에 퍼즐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The upper plate is provided as a prefabricated inner plate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the plate is a jump exercise board unit,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in a puzzle metho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내판은 그 상면 전체를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고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단위격자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조각상판은 내판의 단위격자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중앙의 저면 및 테두리에 내판의 결합홀로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The inner plate is uniformly partitioned over its entire surface in a lattice shap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to each lattice grid, and each of the statue plates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of the inner plate. The board unit for the jump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provided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inner plate on the bottom and rim of the center.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와 벽체의 경계부분에 복수개의 록킹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판 외측엔 상기 메인보드의 각 록킹홀로 삽입되어 걸리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A plurality of lock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wall of the main boar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ard has a locking projection which is inserted into each locking hole of the main board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메인보드의 벽체 상단부분에는 그 내측에 결합되는 내판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The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wall of the main board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inner plate coupled to the insid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내판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의 누름돌기가 내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The board unit for a jump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tep jaw is formed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so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main board does no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33754A 2009-01-28 2009-04-17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KR101180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47786A JP2012516191A (en) 2009-01-28 2010-01-26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and its buffer legs
PCT/KR2010/000465 WO2010087607A2 (en) 2009-01-28 2010-01-26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and shock-absorbing leg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522 2009-01-28
KR1020090006522 2009-01-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43A Division KR101180339B1 (en) 2011-06-13 2011-06-13 damping leg of board for jumping exerc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11A KR20100087611A (en) 2010-08-05
KR101180336B1 true KR101180336B1 (en) 2012-09-06

Family

ID=4275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754A KR101180336B1 (en) 2009-01-28 2009-04-17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516191A (en)
KR (1) KR1011803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06B1 (en) * 2010-11-15 2013-10-01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board supporter for exercise
CN104001283B (en) * 2014-06-10 2017-04-19 侯荣华 High falling object receiving device
KR200482827Y1 (en) * 2015-11-17 2017-03-07 육홍청 Shock dampener for an ankle-pu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076A (en) 1980-06-30 1984-01-17 Leonard Palmer Tumbling board and spring assembly
KR100609496B1 (en) 2005-01-04 2006-08-08 김용회 assembling plant planting box
KR100844000B1 (en) * 2007-01-16 2008-07-04 김종선 Air step board for heal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076A (en) 1980-06-30 1984-01-17 Leonard Palmer Tumbling board and spring assembly
KR100609496B1 (en) 2005-01-04 2006-08-08 김용회 assembling plant planting box
KR100844000B1 (en) * 2007-01-16 2008-07-04 김종선 Air step board for heal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6191A (en) 2012-07-19
KR20100087611A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36B1 (en)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JP2010515525A (en) Exercise air tread
KR101280223B1 (en) Multi function air board
KR100844000B1 (en) Air step board for health
US20080028642A1 (en) Multiple Structure Shock Absorbing Members
KR101180339B1 (en) damping leg of board for jumping exercise
KR20100006523U (en) Supporting base of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WO2010087607A2 (en) 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and shock-absorbing leg for same
KR101124535B1 (en) shock-absorbing support for jumping exercise
KR101093617B1 (en) air board for jumping exercise
KR100877908B1 (en) Air step board for health
KR20110098028A (en) Board for jumping exercise
KR102175985B1 (en) A safety cap for corner
KR20110008737U (en) silencer of board for jumping exercise
KR200385431Y1 (en) Exercising air footboard
KR20100019608A (en) Air board for jumping exercise
KR20100009195U (en) Flying disk for throwing games
KR101665293B1 (en) Sporting board for indoor
KR200368358Y1 (en) Impact absorption member
KR100583185B1 (en) Impact absorption member
US10017956B1 (en) Modular fence tent
KR101312506B1 (en) board supporter for exercise
KR20110084000A (en) Damping leg of board for jumping exercise
WO2008016202A1 (en) A health air board
KR200298601Y1 (en) Body Train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