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037B1 -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 Google Patents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037B1
KR101180037B1 KR1020120021362A KR20120021362A KR101180037B1 KR 101180037 B1 KR101180037 B1 KR 101180037B1 KR 1020120021362 A KR1020120021362 A KR 1020120021362A KR 20120021362 A KR20120021362 A KR 20120021362A KR 101180037 B1 KR101180037 B1 KR 10118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paste
carbon
vertical
flat plate
carbo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엽
박형규
문중근
Original Assignee
도전테크 주식회사
(주)한국난방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738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00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전테크 주식회사, (주)한국난방필름 filed Critical 도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037B1/ko
Priority to CN2013100402166A priority patent/CN10329817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카본을 사용한 면상발열 난방필름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 형상인 제1평판와,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제1평판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카본사와, 다수의 카본사 중 첫번째 카본사에서 제1평판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와, 다수의 카본사 중 마지막 카본사에서 제1평판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와, 카본사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를 지나 마지막 카본사에 결합되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와, 카본사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를 지나 첫번째 카본사에 결합되는 제2수평실버페이스트로 이루어진 실버페이스트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 위에 각각 같은 길이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구리판 및 제1평판과 같은 크기의 평판으로 하면이 제1평판 상면과 결합되되 내부에 카본사, 실버페이스트 및 구리판이 있도록 설치되는 제2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A film heater that can be controled by a independent cell }
본 발명은 난방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버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카본사를 잘게 쪼개 독립된 셀로 만들어 각 셀이 주변온도에 맞게 각자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난방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전에 의해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는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그 동작중에 유해가스나 소음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가정용으로는 히팅매트, 히팅패드, 매트리스, 이불, 레저용이나 방한용 발열의류 등에 이용되고 있고, 산업용으로는 건물의 난방 또는 가열장치, 농수산물의 건조장치, 도로나 주차장의 결빙 방지장치 등에 이용되는 등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면상발열체의 초기 제품에서는 니크롬선과 같은 금속선을 발열소재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발열선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발열이 일어나서 온도분포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상기의 금속발열선 대신에 카본발열체를 적용한 난방필름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난방필름은 카본층을 전면에 걸쳐 도포한 전면 발열구조로 구성되고, 차량의 유리창 등에 설치하여 성애 방지용으로 사용되거나, 난방용으로 바닥의 마감재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난방필름은 급속난방이 가능하고, 그 시공성 및 작업성 등이 양호하며, 내구성이 뛰어나며, 불꽃이 없는 난방방식으로 사고 발생의 위험이 적고, 조용하고 깨끗한 난방공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난방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바닥에 시공되는 난방필름은 바닥 전체를 따뜻하게 해야됨으로 전력소모량과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필름에 변형이 생겨 화재가 발생 될 문제점이 있다. 즉, 난방필름의 원단 재료로 내구성이 강한 PET가 사용되어 문제 없지만 카본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필름은 접착물이 EVA 비닐수지이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통상 라미네이팅 필름은 주변의 온도가 80~90℃이상의 온도에서 녹기 시작하며, 100℃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켜 카본회로를 파손시켜 전기스파크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다. 또한 바닥에 시공된 난방필름 위에 물건 등이 올려진 경우 난방필름에 집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본회로를 독립적인 셀로 만들어 발열시킴으로서 위에 올려진 물건등에 의해서 난방필름의 집열을 방지하여 화재 위험이 없고, 또한 과도하게 일부지역에 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라미네이팅 필름이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카본회로가 파손되지 않은 장점이 있는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카본을 사용한 면상발열 난방필름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 형상인 제1평판와,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제1평판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카본사와, 다수의 카본사 중 첫번째 카본사에서 제1평판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와, 다수의 카본사 중 마지막 카본사에서 제1평판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와, 카본사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를 지나 마지막 카본사에 결합되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와, 카본사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수직실버페이스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를 지나 첫번째 카본사에 결합되는 제2수평실버페이스트로 이루어진 실버페이스트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 위에 각각 같은 길이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구리판 및 제1평판과 같은 크기의 평판으로 하면이 제1평판 상면과 결합되되 내부에 카본사, 실버페이스트 및 구리판이 있도록 설치되는 제2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독립적인 셀 방식으로 발열하는 난방필름에 의하여 집열에 의한 난방필름이 파손되지 않음으로 화재 발생 위험이 없다.
둘째, 본 발명의 카본회로는 능동적 온도 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이하 'PTC'라 한다) 소재를 이용한 회로임으로 주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1은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에 설치되는 실버페이스트의 설계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제1평판에 카본사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본원발명의 실버페이스트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에 설치되는 실버페이스트의 설계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제1평판에 카본사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4는 도3에 본원발명의 실버페이스트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난방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독립적인 셀(210)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본을 사용한 면상발열 난방필름(10)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 형상인 제1평판(100)와,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제1평판(10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카본사(200)와, 다수의 카본사(200) 중 첫번째 카본사(200)에서 제1평판(100)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다수의 카본사(200) 중 마지막 카본사(200)에서 제1평판(100)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와, 카본사(200)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200)를 지나 마지막 카본사(200)에 결합되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카본사(20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200)를 지나 첫번째 카본사(200)에 결합되는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로 이루어진 실버페이스트(300)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 위에 각각 같은 길이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구리판(400) 및 제1평판(100)과 같은 크기의 평판으로 하면이 제1평판(100) 상면에 결합시키되 내부에 카본사(200), 실버페이스트(300) 및 구리판(400)이 있도록 설치되는 제2평판(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평판(100), 카본사(200), 실버페이스트(300), 구리판(400) 및 제2평판(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은 난방필름(10)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난방필름(10)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기존의 난방필름(10)에서 과도하게 소비되는 전력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발명이다.
즉, 기존 카본회로를 이용한 난방필름(10)은 상면 위에 이불 등 기타 물건이 얹어 있는 경우 상기 물건 밑에 있는 부위에 집열이 일어나 온도가 상승하여도 항시 같은 열량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 집열 부분의 온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고, 그 만큼 열량이 방출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도 상당합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난방필름(10)은 발열하는 카본회로를 독립적인 셀(210) 형태로 만들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일부지역에서 비약적으로 상승되는 온도를 방지하고 그만큼 사용되는 전력의 과소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평판(100)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평판(100)은 난방필름(10)의 기초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이 사용된다.
카본사(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제1평판(10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카본사(200)는 제1평판(100)의 크기에 맞추되 단위면적당 발열량을 계산하여 1개 이상이 설치된다. 즉 카본사(200)는 1개의 너비가 0.1cm ~ 25cm로 제1평판(100)의 크기에 맞추되 단위면적당 발열량을 계산하여 일정간격 떨어져 설치된다. 카본사(200)의 일정간격은 설치되는 카본사(200)의 발열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떨어져 있다. 카본사(200)는 주위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값이 올라가는 재료면 어떠한 것이든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수지에 카본 등의 물질이 섞인 PTC소재가 사용된다. 따라서 카본사(200)는 주위의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높아져 필요 이상의 열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카본사(200)는 뒤에서 설명하는 실버페이스트(300)에 의하여 수개의 셀(210)로 나누어져 독립적인 발열체가 된다.
실버페이스트(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로 이루어져 있다. 실버페이스트(300)는 전기의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한다. 즉 뒤에서 설명하는 구리판(400)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카본사(20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버페이스트(3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사(200) 위에 설치되어 카본사(200)에 다수의 셀(210)을 생성시킨다. 실버페이스트(300)의 너비는 카본사(200)의 발열량에 따라 너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카본사(200)의 너비가 넓어질수록 실버페이스트(300)의 너비도 넓어진다. 실버페이스트(300)는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재료면 어떠한 것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는 다수의 카본사(200) 중 첫번째 카본사(200)에서 제1평판(100)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는 다수의 카본사(200) 중 마지막 카본사(200)에서 제1평판(100)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는 구리판(400) 밑에 설치되되 설치된 카본사(200)의 길이만큼 제1평판(100)에 설치되어 구리판(400)에서부터 오는 전기를 직접 전달받는 줄기에 해당된다.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는 카본사(200)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200)를 지나 마지막 카본사(200)에 결합되고,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는 카본사(20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카본사(200)를 지나 첫번째 카본사(200)에 결합된다.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는 설치된 카본사(200)의 길이에 따라 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반드시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는 2개의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 사이에 설치되어 카본사(200)에 전기가 통할 수 있게 한다. 수평실버페이스트는 수직실버페이스트로부터 오는 전기를 카본사(200)에 직접 전달하는 가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가 상기와 같이 설치되되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는 세로방향(카본사(200)가 설치된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설치되는 방법으로 실버페이스트(300)는 카본사(200)를 수개의 셀(210)로 만든다.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의 이격거리는 계산되어지는 단위면적당 발열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cm ~ 25cm로 한다.
즉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의 일단이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마지막 카본사(200)에 결합되고,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의 일단이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첫번째 카본사(20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카본사(200)를 독립된 다수의 셀(210)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섯줄의 카본사(200)가 설치되고 2개의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2개의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가 설치된 경우 카본사(200)는 15개의 셀(210)이 만들어 진다. 1개의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1개의 수평실버페이스트에 의해서 5개의 셀(210)이 생기고 그 다음 세로방향(카본사(200)가 설치된 길이방향)으로 1개의 수평실버페이스트가 생길때 마다 5개의 독립된 셀(210)이 추가로 만들어 진다.
구리판(400)은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 위에 각각 같은 길이로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구리판(400)은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리판(400)으로 오는 전기를 수직실버페이스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평판(500)은 제1평판(100)과 같은 크기의 평판으로 하면이 제1평판(100) 상면과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카본사(200), 실버페이스트(300) 및 구리판(400)이 제자리에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평판(500)은 다수의 카본사(200)가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설치되어 있어 제1평판(100)과 접지 면적이 넓어서 카본을 전면도포하는 기존방식보다 내구성이 좋다.
제2평판(500)은 난방필름(10)의 덮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라미네이팅 필름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난방필름(10)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독립된 각각의 셀(210)에서 발열이 일어나 난방이 되는 발명이다.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에 (+)전기이 오는 경우 (+) 전기는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를 통해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로 이동하고 상기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에 접촉되는 카본사(200)에 (+)전기를 공급하고,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에 (-)전기이 오는 경우 (-)전기는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를 통해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로 이동하고 상기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에 접촉되는 카본사(20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독립된 각각의 셀(210)에 전기를 공급한다. 즉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는 각각 상반되는 전기가 오면 그 전기를 상기와 같이 전달시켜 카본사(200)의 독립된 각각의 셀(210)이 발열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독립된 각 셀(210)은 PTC소재로 되어 있어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즉 셀(210)은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저항값이 높아져 전력소비량(W)이 감소하면서 발열량이 줄어들고, 반대로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저항값이 낮아져 전력소비량(W)이 증가하면서 발열량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본원발명의 난방필름(10)은 일정부분 위에 물건이 놓여져 집열이 발생해도 집열된 부분에 과도하게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온도가 조절되고, 다른 지역보다 차가운 곳은 자동으로 열이 집중적으로 발생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다음은 본원발명의 난방필름(10) 1평방미터당 소모전력량을 실험한 실험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평판(100)의 크기 : 0.5㎡(0.5m X 1.0m)
카본사(200)의 너비 : 21mm, 카본사(200)간 이격거리 : 10.5m, 카본사(200)의 개수 : 13개
소모전력 : AC 220V
시험기관 : (주)한국난방필름, 시험자 : 이주엽
표1과 표2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의 간격이 2.5cm일 경우의 실험예이다.
표3과 표4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의 간격이 7.5cm일 경우의 실험예이다.
시험일시 : 2012년 2월2일(맑음) 습도 : 23% 온도 : 2.8℃
온도
(℃)
0.5㎡저항값
(Ω)
소모전력
(watt)
1평방미터당 소모전력(watt/㎡) 비고
5 60.8 796 1,592
10 62.9 769 1,539
15 65.6 738 1,476
20 70.3 688 1,377
25 77.7 623 1,246
30 85.6 565 1,131
35 92.7 522 1,044
40 100.4 482 964
45 109.2 443 886
50 119.2 406 812
55 129.6 373 747
60 139.5 347 694
65 151.0 321 641
70 164.1 295 590
75
80
170.0
179.1
285
270
569
540
시험일시 : 2012년 2월5일(맑음) 습도 : 27% 온도 : 6.3℃
온도
(℃)
0.5㎡저항값
(Ω)
소모전력
(watt)
1평방미터당 소모전력(watt/㎡) 비고
5
10 55.8 867.4 1,734.8
15 58.1 833.0 1,666.1
20 60.9 794.7 1,589.5
25 64.0 756.3 1,512.5
30 71.9 673.2 1,346.3
35 78.1 619.7 1,239.4
40 85.0 569.4 1,138.8
45 90.8 533.0 1,066.1
50 99.2 487.9 975.8
55 107.7 449.4 898.8
60 115.8 418.0 835.9
65 124.6 388.4 776.9
70 136.0 355.9 711.8
75
80
141.3
156.0
342.5
310.3
685.1
620.5
시험일시 : 2012년 2월2일(맑음) 습도 : 23% 온도 : 2.8℃
온도
(℃)
0.5㎡저항값
(Ω)
소모전력
(watt)
1평방미터당 소모전력(watt/㎡) 비고
10 584 83 166
15 613 79 158
20 647 75 150
25 696 70 139
30 769 63 126
35 822 59 118
40 904 54 107
45 971 50 100
50 1,077 45 90
55 1,184 41 82
60 1,284 38 75
65 1,377 35 70
70 1,460 33 66
75 1,507 32 64
80 1,567 31 62
시험일시 : 2012년 2월5일(맑음) 습도 : 27% 온도 : 6.3℃
온도
(℃)
0.5㎡저항값
(Ω)
소모전력
(watt)
1평방미터당 소모전력(watt/㎡) 비고
5 524 92.4 184.7
10 551 87.8 175.7
15 576 84.0 168.1
20 604 80.1 160.3
25 663 73.0 146.0
30 743 65.1 130.3
35 813 59.5 119.1
40 878 55.1 110.3
45 951 50.9 101.8
50 1,044 46.4 92.7
55 1,136 42.6 85.2
60 1,213 39.9 79.8
65 1,296 37.3 74.7
70 1,365 35.5 70.9
75 1,482 32.7 65.3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난방필름
100 : 제1평판
200 : 카본사 210 : 셀
300 : 실버페이스트
310 : 제1수직실버페이스트 320 : 제2수직실버페이스트
330 : 제1수평실버페이스트 340 : 제2수평실버페이스트
400 : 구리판
500 : 제2평판

Claims (3)

  1. 카본을 사용한 면상발열 난방필름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 형상인 제1평판(100);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상기 제1평판(10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카본사(200);
    다수의 상기 카본사(200) 중 첫번째 상기 카본사(200)에서 상기 제1평판(100)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다수의 상기 카본사(200) 중 마지막 상기 카본사(200)에서 상기 제1평판(100)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와 상기 카본사(200)와 상기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상기 카본사(200)를 지나 마지막 상기 카본사(200)에 결합되는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상기 카본사(200)와 상기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수의 상기 카본사(200)를 지나 첫번째 상기 카본사(200)에 결합되는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로 이루어진 실버페이스트(300);
    상기 제1수직실버페이스트(310)와 상기 제2수직실버페이스트(320) 위에 각각 같은 길이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구리판(400); 및
    상기 제1평판(100)과 같은 크기의 평판으로 하면이 상기 제1평판(100) 상면과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카본사(200),상기 실버페이스트(300) 및 상기 구리판(400)이 있도록 설치되는 제2평판(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실버페이스트(330)와 상기 제2수평실버페이스트(340)의 간격은 0.1cm ~ 25cm인 것이 특징인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사(200)의 너비는 0.1cm ~ 25cm인 것이 특징인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KR1020120021362A 2012-02-29 2012-02-29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KR10118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62A KR101180037B1 (ko) 2012-02-29 2012-02-29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CN2013100402166A CN103298170A (zh) 2012-02-29 2013-02-01 利用独立单元控制温度的电热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62A KR101180037B1 (ko) 2012-02-29 2012-02-29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037B1 true KR101180037B1 (ko) 2012-09-12

Family

ID=4707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62A KR101180037B1 (ko) 2012-02-29 2012-02-29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0037B1 (ko)
CN (1) CN10329817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101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고드름 방지 발열패드
KR101619103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결빙 방지 발열패드
KR101846242B1 (ko) * 2015-11-02 2018-04-06 주식회사 지티이 결빙 방지용 제설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343B1 (ko) 2019-09-17 2020-07-13 (주)더블류앤디홀딩스 효율 개선형 ptc 난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5438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경동엠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접이식 온열매트
KR102370111B1 (ko) 2021-08-31 2022-03-04 (주)트윈나노 컨테이너용 정온특성의 면상 발열체.
KR20230000897A (ko) 2021-06-25 2023-01-03 나재훈 나노구리 면상발열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230000891A (ko) 2021-06-25 2023-01-03 나재훈 정온 특성을 가진 면상 발열체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540A (ja) * 2001-04-13 2002-10-25 Nok Corp 面状発熱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8606B2 (en) * 2006-10-04 2011-08-30 T-Ink, Inc. Composite heating element with an integrated switch
DE102008063849A1 (de) * 2008-12-19 2010-06-24 Tesa Se Beheiztes Flächen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Befestigung
CN201766722U (zh) * 2010-06-21 2011-03-16 杭州暖洋洋科技有限公司 碳晶发热片
CN202043307U (zh) * 2011-04-18 2011-11-16 苏州住邦新能源科技有限公司 应用碳素晶体材料的电加热膜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540A (ja) * 2001-04-13 2002-10-25 Nok Corp 面状発熱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101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고드름 방지 발열패드
KR101619103B1 (ko)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결빙 방지 발열패드
KR101846242B1 (ko) * 2015-11-02 2018-04-06 주식회사 지티이 결빙 방지용 제설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343B1 (ko) 2019-09-17 2020-07-13 (주)더블류앤디홀딩스 효율 개선형 ptc 난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5438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경동엠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접이식 온열매트
KR102367769B1 (ko) * 2020-05-25 2022-02-28 주식회사 경동엠텍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접이식 온열매트
KR20230000897A (ko) 2021-06-25 2023-01-03 나재훈 나노구리 면상발열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230000891A (ko) 2021-06-25 2023-01-03 나재훈 정온 특성을 가진 면상 발열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70111B1 (ko) 2021-08-31 2022-03-04 (주)트윈나노 컨테이너용 정온특성의 면상 발열체.
WO2023033235A1 (ko) * 2021-08-31 2023-03-09 나재훈 컨테이너용 정온특성의 면상 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8170A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037B1 (ko) 독립적인 셀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난방필름
CN206846876U (zh) 一种地暖系统
CN101496445B (zh) 板式加热器及其制造方法
US10775050B2 (en) Sectionable floor heating system
CN202927943U (zh) 负离子远红外电地暖床板
KR101371509B1 (ko) 적외선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40051620A (ko) 태양광 및 탄소 발열체 판넬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0432466Y1 (ko) 탄소발열섬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
KR101659688B1 (ko) 온열매트
CN201610625U (zh) 一种电热地板
CN201754623U (zh) 地面垫设电加热装置
CN208765033U (zh) 一种地暖装置
KR20110039957A (ko) 난방필름
CN212520361U (zh) 一种猪圈用的电加热地板
KR100783184B1 (ko) Ac 겸용 dc 발열직물의 제조방법
KR100965745B1 (ko) 면상발열체
CN107071937B (zh) 自变功率电热席及其床席、席梦思床垫、棕垫、地面供暖结构
CN203289667U (zh) 直流供地暖、墙暖电热膜
CN207050058U (zh) 板状蓄能电暖器
CN207686213U (zh) 一种新型室内装饰地板
KR20110090588A (ko) 저전압 면상 발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면상 발열 시트
CN202035155U (zh) 一种自控温电热膜
CN111473399A (zh) 一种抗菌柔性模块化发热地暖装置
CN207260504U (zh) 一种碳纤维电加热地板
CN202692216U (zh) 地板加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19

Effective date: 2013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04

Effective date: 201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