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616B1 -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616B1
KR101179616B1 KR1020110054736A KR20110054736A KR101179616B1 KR 101179616 B1 KR101179616 B1 KR 101179616B1 KR 1020110054736 A KR1020110054736 A KR 1020110054736A KR 20110054736 A KR20110054736 A KR 20110054736A KR 101179616 B1 KR101179616 B1 KR 1011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water
dry pum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이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배 filed Critical 이상배
Priority to KR102011005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61H2033/023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with means in the air supply lines to prevent back-feed of water, e.g. anti-backflow valves, drai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밸브의 덮개판 마모로 인해 물이 건식펌프로 역류하여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건식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건식펌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받아 욕조 내부로 분사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밸브가 포함되어 설치된 욕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연결 구성된 연결관의 타단은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지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건식펌프에 연결시켜, 상기 연결관의 감김부위를 상기 욕조의 상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걸어 상기 감김부위의 하사점이 상기 욕조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Flow backward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밸브의 패킹 마모로 인해 물이 건식펌프로 역류하여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마욕조는 욕조내의 물속에서 공기나 물을 분사하여 신체부위에 부딪히게 하여 자극을 줌으로서 근육통이나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욕조이다.
이러한, 안마욕조에는 욕조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구를 통해 욕조내에 저장된 물을 펌프로 순환시키면서 분사하는 습식욕조와, 욕조의 바닥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구로 송풍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건식욕조등이 있다.
그러나, 습식욕조는 욕조내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독립적인 배관을 필요로 하게 되어 욕조 설치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바, 근래에는 욕조내 물을 순환시키는 배관이 필요없이 외부 공기를 미세한 공기방울 상태로 욕조내 물속에서 분사되게 하는 건식욕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공기를 분사하는 건식욕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584호(명칭:욕조용 공기분사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의 욕조에 있어서,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분사구멍이 상기 욕조의 하부면에 천공되고, 다수의 공기분사구멍을 아래쪽에서 감싸는 커버가 상기 욕조의 하부면 외부에 밀봉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기가 욕조 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내장됨과 더불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상기 송풍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이송하는 호스가 상기 케이스의 출구측과 상기 커버의 한쪽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 내의 물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상기 호스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와 히터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커버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상기 커버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공기분사구멍으로 공기의 투입이 중지되고 나면 욕조에 담겨져 있는 물이 공기분사구멍을 통해 커버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지는 데, 이 상태에서 송풍기의 구동으로 공기가 투입되더라도 욕조와 커버 사이 공간에 유입된 물은 대부분 위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는 데, 이때 잔류하는 물은 나중에 물 때 등의 이물질로 변하기도 하며, 특히 호스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가 장시간의 사용으로 그 기능이 떨어질 경우, 커버 사이 공간에 잔류하는 물이 호스를 통해 송풍기와 히터로 역류하여 히터 및 각종 부속품을 파손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밸브의 덮개판 마모로 인해 물이 건식펌프로 역류하여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건식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건식펌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받아 욕조 내부로 분사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밸브가 포함되어 설치된 욕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연결 구성된 연결관의 타단은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지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건식펌프에 연결시켜, 상기 연결관의 감김부위를 상기 욕조의 상판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걸어 상기 감김부위의 상사점이 상기 욕조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는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밸브의 덮개판이 마모되더라도 욕조의 물이 건식펌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물의 유입으로 인한 건식펌프의 파손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분사장치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체플레이트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밸브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밸브의 패킹이 마모되더라도 욕조의 물이 건식펌프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물의 유입으로 인한 건식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욕조는 직사각의 형태로 내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는 욕조의 공간에 담겨져 있는 물속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수단인 공기분사장치가 더 설치된다.
첨부된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분사장치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공기분사장치는 본체플레이트(10)와 밸브(20)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는 본 발명의 공기분사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욕조(5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52)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공기분사구멍(12)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분사구멍(12)으로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미 도시 함)의 구동에 따라 밸브(2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욕조(50) 내부 공간(54)으로 분사시켜 욕조(200)에 담겨져 있는 물속에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장홈 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공기통과홈(14)들이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과홈(14)들에는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사구멍(12)들과 연통하며,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구멍(12)으로 통과시키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저면 일측에는 원형 형상의 연결홈(16)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16)은 전술한 공기통과홈(14)들과 연통하며 밸브(20)의 개방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통과홈(14)들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연결홈(16)에는 밸브(2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20)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와 연결관(40)으로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압력으로 개폐 동작하며 공기를 본체플레이트(10)의 공기통과홈(14)으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4는 상기한 밸브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밸브(20)는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연결홈(16) 아래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40)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26)가 일체 형성되고, 그 저면 바닥 둘레면을 따라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공(24)들이 관통 형성된 밸브본체(22)와, 상기 밸브본체(22)의 개방된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과공(24)을 통해 밸브본체(22) 내부로 유입된 공기압력으로 상승하며 상기 밸브본체(22)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덮개판(28)과, 상기 덮개판(28)의 하단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본체(22)의 저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3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 압력으로 상승 및 하강 동작하는 덮개판(28)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밸브(2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욕조(50)의 배수구(51)에도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20)에 연결되는 연결관(40)의 타단은 도 5에서와 같이 건식펌프(70)에 곧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관(40)의 타단을 한바퀴 이상 감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를 욕조(50)의 상판(56)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8)에 걸은 다음, 건식펌프(70)에 연결시켜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관(40)을 연결 구성한 것은 밸브(20)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덮개판(28)이 마모되어 욕조(50)와 덮개판(28)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이 틈새로 욕조(50)에서 유입된 후, 본체플레이트(10)의 공기통과홈(24)에 잔류하는 물이 흘러들어와 연결관(40)을 통해 건식펌프(70)로 역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연결관(40)의 타단을 건식펌프(70)에 연결하기 전,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관(40)을 한바퀴 이상 감은 상태에서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를 욕조(50)의 상판(56)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8)에 걸어 사용토록 할 경우, 감김부위(42)의 상사점(42a)이 욕조(50)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 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서 밸브(20)의 덮개판(28) 마모로 물이 연결관(40)으로 역류하더라도 상기 감김부위(42) 상사점(42a)을 넘어가지는 못하게 됨으로서 자연적으로 건식펌프(70)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욕조(50)에 사용자가 몸을 담그게 되면 욕조(50)에 담겨져 있는 물의 출렁거림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출렁거림으로 인한 압력으로 물이 연결관(40)으로 보다 강하게 유입될 수 있으나, 이때에는 밸브(20)의 덮개판(28)이 물의 압력으로 욕조에 강하게 밀착되며 틈새를 차단시키게 됨으로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으로, 연결관(40)을 수회 연속적으로 감아 상기 욕조(50)의 브라켓(58)에 걸려지는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 44)가 2개 이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욕조(50)에서 발생한 공기보다 가벼운 수증기가 밸브(20)의 덮개판(28)과 욕조(50) 바닥면 사이 틈새로 유입되면 수증기가 첫 번째 감김부위(42)의 상사점(42a)을 넘어가게 되지만, 상기 첫 번째 감김부위(42)의 상사점(42a)을 넘어간 수증기는 다시 두 번째 감김부위(44)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두 번째 감김부위(44)가 일종의 "U"형 트랩 기능을 수행하며 수증기가 두 번째 감김부위(44)를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됨으로서 건식펌프(70)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건식펌프(70)를 구동시켜 연결관(40)을 통해 밸브 본체(22)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공기는 밸브 본체(22)의 저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과공(24)을 통해 밸브 본체(22) 내부로 유입되어 지고, 이에 따라 밸브본체(22)의 상면에 덮혀져 있던 덮개판(28)은 밸브 본체(22) 내부로 유입된 공기압력으로 상승하며 밸브 본체(22)의 상면을 개방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공기는 본체플레이트(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연결홈(16)으로 유입되어 진다.
이어서, 상기 연결홈(16)으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플레이트(10)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홈(16)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통과홈(14)을 통과한 후, 상기 공기통과홈(14)과 연통하며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기분사구멍(12)들을 통해 욕조(50)로 분사되며 욕조(50)에 담겨져 있는 물속에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건식펌프(70)의 구동이 정지되면 밸브(20)의 덮개판(28)으로 더 이상 공기 압력이 전해지지 않아 덮개판(28)은 자중으로 하강하며 밸브 본체(22)의 상면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밸브 본체(22)가 폐쇄되고 나면 본체플레이트(10)의 공기분사구멍(12)으로는 욕조에 담겨져 있는 물이 통과하며 본체플레이트(10)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과홈(14)으로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건식펌프(70)가 다시 구동하여 공기통과홈(14)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이때의 공기압력으로 공기통과홈(14)에 유입된 물은 다시 공기분사구멍(12)을 통해 욕조(50)로 분사되어 짐으로서 물이 잔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이를 통해 공기통과홈(14)에 물이 잔류함으로서 발생하는 물때 등의 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욕조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욕조(5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밸브(20)의 덮개판(28)이 점차적으로 마모되어 욕조(50)와 덮개판(28)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틈새로 공기통과홈(14)에 잔류하는 물이 흘러들어와 연결관(40)을 통해 건식펌프(70)로 역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연결관(40)의 타단을 건식펌프(70)에 연결하기 전, 상기 연결관(40)을 한바퀴 이상 감은 상태에서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를 욕조(50)의 상판(56)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8)에 걸은 다음, 연결관(40)의 타단을 건식펌프(70)에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서, 감김부위(42)의 상사점(42a)이 욕조(50)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덮개판(28)의 마모로 물이 연결관(40)으로 역류하더라도 상기 감김부위(42) 상사점(42a)을 넘어가지는 못하도록 함으로서 자연적으로 건식펌프(70)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건식펌프(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본체플레이트 12: 공기분사구멍
14: 공기통과홈 16: 연결홈
18: 베이스플레이트 20: 밸브
22: 밸브 본체 24: 공기통과공
28: 덮개판 30: 가이드샤프트
40: 연결관 42: 감김부위
70: 건식펌프

Claims (2)

  1.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에 있어서,
    평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욕조(5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52)에 끼워지며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분사구멍(12)이 관통 형성된 본체플레이트(10)와;
    상기 본체프레이트(10)의 저면에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구멍(12)으로 통과시키는 공기통과홈(14)과;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6)에 조립되며 건식펌프(70)와 연결관(40)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건식펌프(7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공급받아 욕조(50) 내부로 분사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밸브(20)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20)는;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0)의 연결홈(16) 아래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40)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26)가 일체 형성되고 그 저면 바닥 둘레면을 따라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공(24)들이 관통 형성된 밸브본체(22)와;
    상기 밸브본체(22)의 개방된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과공(24)을 통해 밸브본체(22) 내부로 유입된 공기압력으로 상승하며 상기 밸브본체(22)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덮개판(28)과;
    상기 덮개판(28)의 하단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본체(22)의 저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3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 압력으로 상승 및 하강 동작하는 덮개판(28)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30)로 구성하며;
    상기 밸브본체(20)에 연결 구성된 연결관(40)의 타단은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겨지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건식펌프(70)에 연결시켜, 상기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를 상기 욕조(50)의 상판(56)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8)에 걸어 상기 감김부위(42)의 상사점(42a)이 상기 욕조(50)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덮개판(28)과 욕조(50) 사이에 발생한 틈새로 욕조(50)의 물이 흘러들어와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건식펌프(70)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욕조(50)의 브라켓(58)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연결관(40)의 감김부위(42, 44)가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2. 삭제
KR1020110054736A 2011-06-07 2011-06-07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KR10117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6A KR101179616B1 (ko) 2011-06-07 2011-06-07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6A KR101179616B1 (ko) 2011-06-07 2011-06-07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616B1 true KR101179616B1 (ko) 2012-09-05

Family

ID=4707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36A KR101179616B1 (ko) 2011-06-07 2011-06-07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78A (ko) * 2017-07-13 2019-01-23 김영모 욕조용 공기공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0363493Y1 (ko) * 2004-07-09 2004-10-02 김현수 욕조용 열풍 발생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0363493Y1 (ko) * 2004-07-09 2004-10-02 김현수 욕조용 열풍 발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78A (ko) * 2017-07-13 2019-01-23 김영모 욕조용 공기공급 시스템
KR102050062B1 (ko) * 2017-07-13 2020-01-08 김영모 욕조용 공기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38719A (ru) Вспенивание молока сжатым газом
KR101144556B1 (ko) 욕조의 공기분사장치
KR20110004385U (ko) 페달식 손 소독기
KR20090127708A (ko) 노즐 어셈블리
KR101179616B1 (ko) 욕조의 건식펌프와 밸브를 연결되는 연결관의 물 역류 방지구조
JP6038703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US20050199275A1 (en) System for cleaning components of a water retaining device, associated water retaining device, and water propulsion device for use therein
WO2006047381A3 (en) Dry suction fitting assembly
KR20100012996A (ko) 세탁기
KR101970150B1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이물질 제거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20110252558A1 (en) Air and water massage system for tubs
KR101496297B1 (ko) 욕조에 설치 가능한 스파 시스템
JP6348996B1 (ja) 水治療設備および水治療設備の消毒方法
KR200440850Y1 (ko) 물분사를 통한 마사지장치
KR101639115B1 (ko) 욕조에 설치되는 공기 분사용 블로워
KR200422544Y1 (ko) 비데 노즐의 진동구조
KR101446423B1 (ko) 욕조에 설치되는 공기 분사용 블로워
KR102398378B1 (ko) 정서교감형 반려동물 목욕기
KR20140100265A (ko) 반신욕과 전신욕을 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 욕조
KR20110008170U (ko) 욕조용 조립식 공기 분사장치
KR20140096531A (ko) 간이 사우나 욕조
CN111334970B (zh) 衣物处理设备
US7802325B2 (en) Hartford loop manifold assembly for bathing vessels
CN202446467U (zh) 水疗机
KR100752985B1 (ko) 분류식 기포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