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17B1 -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17B1
KR101179117B1 KR1020100105879A KR20100105879A KR101179117B1 KR 101179117 B1 KR101179117 B1 KR 101179117B1 KR 1020100105879 A KR1020100105879 A KR 1020100105879A KR 20100105879 A KR20100105879 A KR 20100105879A KR 101179117 B1 KR101179117 B1 KR 10117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sg
proximity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984A (ko
Inventor
치-시앙 우
Original Assignee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10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가능한 폐쇄형 가입자 그룹 (CSG, closed subscriber group)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근접 정보 (proximity information)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CSG 화이트리스트 내 한 CSG 셀이 검출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근접 정보가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근접 정보를 네트워크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Method of handling proximit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이 출원은 "Methods to transmit proximity indi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이라는 제목으로 2009년 10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256,317과, "Methods to report proximity indication information afte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이라는 제목으로 2009년 12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290,890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우선권의 내용이 이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그 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말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관련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 공동 프로젝트 (3GPP)에 의해 개시된 장기 진화 (LTE, long-term evolution) 시스템이 현재, 높은 데이터 레이트, 낮은 레이턴시, 패킷 최적화, 및 개선된 시스템 용량 및 적용범위를 제공하는 새로운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 라디오 네트워크 아키텍처로서 간주 되고 있다. LTE 시스템에서, 진화형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ial radio access network)는 복수의 진화형 노드 B들 (eNBs)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들 (UEs)이라고도 불리는 복수의 모바일 스테이션들과 통신한다.
LTE 시스템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 (CSG, closed subscirber group) 특성을 지원하는 UE는, UE가 네트워크에 의해 근접 표시 리포팅을 하도록 설정되었을 때, CSG/하이브리드 셀로의 인바운드 (inbound) 이동 (말하자면 핸드오버)을 시동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 (proximity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CGS 특성을 지원하는 UE는 UE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CSG 셀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CSG 아이디들을 포함하는 CSG 화이트리스트 (whitelist)를 가지고 있다. CSG 셀이 가정과 사무실에서의 높은 대역폭의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실내 적용 영역을 위한 효율적이고도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용량 솔루션과 같은 커다란 이점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좁은 적용범위의 기지국과 결부되어 있는 반면, 하이브리드 셀은 그 셀의 CSG 아이디를 포함한 CSG 화이트리스트를 가진 UE에 의해서는 CSG 셀로서, 그리고 다른 모든 UE들에 의해서는 보통의 셀로서 액세스 된다.
인바운드 이동에 대한 동작과 관련해, UE의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들어 있는 CSG 아이디를 가진 셀 근처로 UE가 진입할 때, 근접 정보가 네트워크 (즉, E-UTRAN, eNB, 또는 기지국)로 보내진다. 네트워크는 근접 정보가 수신된 후 필요하다면 측정 갭 (measurement gap)을 포함하는 측정 설정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하도록 UE를 설정한다. UE는 CSG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여, 핸드오버 준비를 위해 네트워크로의 측정 리포트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 네트워크는 시스템 정보 (SI) 리포팅을 하도록 UE를 설정하기도 한다. UE는 CSG 셀의 시스템 정보를 읽은 후, CSG 셀의 CSG 아이디를 포함한 SI 리포트를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가 UE에 대해 그 CSG 아이디 및 UE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기반해 그 CSG 셀이 액세스 허용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달리 말해, 네트워크는 측정 리포트 및 SI 리포트에 따라, UE를 그 CSG 셀로 핸드오버 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네트워크가 UE를 그 CSG 셀로 핸드오버 하기로 결정했을 때 핸드오버 명령을 UE로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로 "진입 (entering)" 근접 정보를 전송한 뒤, UE가 진입한 CSG 셀에 더 이상 가깝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UE는 "떠남 (leaving)" 근접 정보를 네트워크로 보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는 UE가 떠났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UE에게 떠난 CSG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것이고, 그것이 라디오 자원의 낭비를 야기할 것이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근접 정보 전송에 대한 불명료한 사양으로 인해, UE는 CSG/하이브리드 셀로의 인바운드 이동을 수행할 수가 없다. 그외에 여러 시나리오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로서, UE에 의해 보내진 근접 정보가 핸드오버나 (라디오 링크 실패, RLC 비복귀 에러, MAC 랜덤 액세스 에러 등등으로 야기된) RRC 접속 재설정 절차로 인해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못할 수 있다. 근접 정보가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못하면, UE가 UE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하는지를 네트워크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CSG/하이브리드 셀들로의 인바운드 이동이 시작될 수 없다. 따라서, UE의 사용자는 왜 UE가 통신할 CSG 셀을 이용할 수 없는지를 불평할 것이다. 인바운드 이동 동작과 관련한 상세 내용은 위의 내용으로부터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UE가 제1eNB에 접속한 후 UE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CSG 아이디들을 가진 셀들의 근처로 진입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UE는 인바운드 이동을 위해 제1eNB로 접근 표시를 전송한다. 한편, 제1eNB는 핸드오버 명령을 UE로 보내, 제2eNB로 핸드오버할 것을 명령한다. 그 외에, 핸드오버 명령은 근접 표시 리포팅 (proximity indication reporting)을 가능하게 하여, UE가 근접 정보를 제2eNB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UE가 제2eNB로 핸드오버 된 후, UE는 여전히 셀들 근처에 있게 된다. 즉, UE는 제2eNB로 핸드오버 한 뒤에도 셀들 근처를 떠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UE가 셀들 근처를 절대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UE는 근접 정보를 전송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2eNB는 UE가 셀들 가까이에 있는지를 알지 못하며, 그에 따라 UE를 어떤 CSG 셀로 핸드오버 시키거나 UE의 시스템 정보 (SI) 리포팅을 설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1eNB에 접속한 UE는 SI 리포팅을 하도록 설정된다. UE는 CSG 아이디를 포함한 SI 리포트를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가 그 CSG 아이디에 따라 그 CSG 셀이 액세스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UE가 제2eNB로 핸드오버 된 후, 제1eNB로부터의 SI 리포팅 설정이 제거되기 때문에 UE는 SI 리포트를 전송하지 못한다. 그에 따라, 제2eNB는 UE로부터 SI 리포트를 수신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UE를 CSG 셀로 핸드오버 할 수 없게 된다.
또, 상술한 상황은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자신의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아이디를 가진 한 CSG/하이브리드 셀에 가까이 가거나 떠날 때, UE는 서비스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SRNC,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로 근접 정보를 제공한다. UMTS 시스템의 유사 동향으로 인해, 상술한 문제들이 마찬가지로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된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가능한 CSG (closed subscriber group)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근접 정보 전송 처리 방법을 개시할 것이다. 이 방법은 CSG 화이트리스트 상의 한 CSG 셀이 검출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근접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근접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가능한 CSG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근접 정보 전송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CSG 화이트리스트 상에 있는 CSG 셀들 가까이 진입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제1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 (connection transfe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CSG 화이트리스트 상의 CSG 셀들에 인접해 머물고 있다면 근접 정보를 제2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을 위한 근접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근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기기가 제1기지국에서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로 모바일 기기가 진입한다는 것을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시그날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기기에 대해 개시한다. 통신 기기는, 액세스 가능한 CSG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하고,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한 CSG 셀이 검출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및 근접 정보가 그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근접 정보를 그 네트워크로 재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기기에 대해 개시한다. 통신 기기는, 액세스 가능한 CSG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하고,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화이트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제1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하는 수단, 및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계속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에 근접해 머무는 경우 근접 정보를 제2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에 대해 개시한다. 제1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근접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모바일 기기가 제1기지국에서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에 근접해 진입하고 있음을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시그날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이 분야의 당업자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 설명을 읽고 난 후 의심의 여지없이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기기가 제공됨으로써 접속 변경이 발생할 때에도 CSG 셀로의 인바운드 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전형적인 통신 기기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형적 통신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계층들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은 전형적인 프로세스들의 흐름도들이다.
일례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개략도가 예시된 도 1을 참조한다. 간략히 말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과 복수의 사용자 기기들 (UEs)로 이뤄진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 (long-term evolution) 시스템 또는 어떤 다른 유사 네트워크 시스템일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eNB들이나 코어 네트워크 개체 (가령, MME로 불리는 이동성 관리 개체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EUTRAN (evolved-UTRAN)을 지칭하고, 모바일 기기들은 사용자 기기들 (UEs)을 지칭한다. UE들은 모바일 전화기들, 컴퓨터 시스템들 등등과 같은 기기들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용이한 참조를 위해 전체 문서에 걸쳐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개시내용을 네트워크의 어떤 한 특정 타입에 국한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및 UE는 전송 방향에 따라 전송기나 수신기로 간주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UL)시, UE가 전송기이고 네트워크는 수신기이며, 다운링크 (DL)에서, 네트워크가 전송기가 되고 UE가 수신기가 된다.
도 2는 전형적 통신 기기(20)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기기(20)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10)일 수 있으나, 그것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기기(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같은 프로세싱 수단(20), 저장 유닛(210) 및 통신 인터페이싱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10)은 프로세싱 수단(200)에 의해 액세스 될 프로그램 코드(214)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다. 저장 유닛(210)의 예들로는, 비한정적인 것으로서 가입자 아이디 모듈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롬 (ROM), 플래시 메모리, 랜덤-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마그네틱 테이프, 하드 이스크, 및 광학적 데이터 저장 기기가 포함된다. 통신 인터페이싱 유닛(220)은 라디오 트랜시버임이 바람직하며, 프로세싱 수단(2000의 프로세싱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은 LTE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계층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토콜 계층들 중 일부의 양태들이 프로그램 코드(214)에 정의되어 프로세싱 수단(2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토콜 계층들은 위부터 아래로 라디오 자원 제어기 (RRC, radio resouce control) 계층(300),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310), 라디오 링크 제어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320), 매체 액세스 제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330) 및 물리 (PHY) 계층(340)이다. RRC 계층(300)은 RRC 접속 관리, 측정 제어, 핸드오버, 및 라디오 베어러들 (RBs)을 생성 및 해지하는 일을 담당하는 라디오 베어러 (RB) 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의 네트워크 중 소스 eNB가 모바일 기기를 타깃 eNB로 핸드오버 하기 전에, 소스 eNB는 타깃 eNB/MME로, UE의 핸드오버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HANDOVER REQUEST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발급한다. 타깃 eNB/MME가 핸드오버를 준비하여 HANDOVER REQUEST ACKNOWLEDGE/HANDOVER COMMAND (핸드오버 요청 확인/핸드오버 명령)을 소스 eNB로 전송한 후에, 소스 eNB가 UE를 타깃 eNB로 핸드오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프로세스를 지금부터 핸드오버 준비 프로세스라 부를 것이다.
도 4는 전형적 프로세스(40)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40)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인 UE 안에서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UE는 접근가능한 CSG (closed subscriber group)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가진다. 이 프로세스(40)는 프로그램 코드(214) 안에 컴파일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400 단계: 시작.
410 단계: CSG 화이트리스트 내 한 CSG 셀이 검출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전송.
420 단계: 근접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
430 단계: 종료.
상기 프로세스(40)에 따르면, UE는 이전의 인접 정보가 네트워크로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때,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한다. 예를 들어, UE는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전송하는데, 근접 정보 전송에 대한 확인 (confirmation)용 ACK (acknowledgement) (가령, RLC ACK)을 수신하지 못한다. 그러면, UE는 네트워크로 다시 근접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또한, UE는 핸드오버 절차나 RRC 접속 재설정 절차로 인해 근접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UE는 핸드오버나 RRC 접속 재설정이 완전히 수행된 뒤에 근접 정보를 재전송한다.
상기 프로세스(40)는 UE가 근접 정보 전송 실패를 어떻게 다룰지를 명확히 명시하고 있다. UE는 네트워크가 근접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네트워크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가 그 근접 정보로부터, UE가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아이디들을 가진 셀들의 근접 진입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UE를 CSG 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게 한다. 근접 정보 재전송 메커니즘이 여기에서 명확히 정의됨에 따라, 근접 정보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전형적인 프로세스(50)의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50)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인 UE 안에서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UE는 접근가능한 CSG (closed subscriber group) 셀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가진다. 이 프로세스(50)는 프로그램 코드(214) 안에 컴파일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500 단계: 시작.
510 단계: CSG 화이트리스트 내 한 CSG 셀의 근처로 진입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전송.
520 단계: 제1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함.
530 단계: 접속 변경이 완료된 뒤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에 계속 머물면, 제2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
540 단계: 종료.
프로세스(50)에 따르면, UE가 제2기지국으로 옮긴 후, UE가 접속 변경 전에 검출된 CSG 셀들 근처를 떠나지 못했다면 UE는 제2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한다. 접속 변경은 핸드오버 절차나 RRC 접속 재설정 절차일 수 있다. 다시 말해, UE가 제1기지국으로부터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나 RRC 접속 재설정 절차를 완전히 수행한 후, CSG 셀들 근처에 계속 머무는 경우 UE는 제2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재전송한다. 그에 따라, 제2기지국은 근접 정보로부터 UE가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UE를 한 CSG 셀로 핸드오버 시키거나, 시스템 정보 (SI) 리포팅을 하도록 UE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50)에 기초해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UE는 소스 eNB에 접속하고, 소스 eNB에 의해 근접 표시 (proximity indication) 리포팅을 하도록 설정된다 (configured). UE의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아이디들을 가진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UE는 제1근접 정보 (가령, "진입 (entering) 근접 정보)를 소스 eNB로 전송한다. 한편, 소스 eNB는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 UE를 타깃 eNB로 핸드오버 시킨다. 핸드오버 명령은 타깃 eNB로의 근접 표시 리포팅을 가능하게 하여, UE가 핸드오버 절차 뒤에 타깃 eNB로 근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UE가 타깃 eNB로 핸드오버 된 후, UE가 여전히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즉, UE가 결코 CSG 셀들 전체의 근처를 떠나지 않을 때), UE는 제1근접 정보를 타깃 eNB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타깃 eNB가 제1근접 정보로부터 UE가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타깃 eNB는 UE를 한 CSG 셀로 핸드오버 시키거나, SI 리포팅을 하도록 UE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UE가 타깃 eNB로 핸드오버 된 후에, UE가 CSG 셀들 근처를 떠날 때 (즉, UE가 CSG 셀들 전부의 근처를 떠날 때) UE는 제2근접 정보 (가령, "나감 (leaving)" 접근 정보를 타깃 eNB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타깃 eNB는 UE가 CSG 셀들의 근처를 떠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어, UE에 대해 불필요한 액션들 (가령, UE를 CSG 화이트리스트 내 한 CSG로 핸드오버 시킴)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UE는 UE가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소스 eNB가 타깃 eNB로 시그날링한 경우에만, UE가 제2근접 정보를 타깃 eNB로 전송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타깃 eNB는 UE가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므로 UE가 제2근접 정보를 타깃 eNB로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그럼으로써 제2근접 정보에 들어가는 전송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달리 말해, UE는 소스 eNB에 의해 설정된 근접 표시 리포팅에 관한 설정사항들을 (configurations) 일소한다. 그에 따라, UE는 핸드오버 뒤에, UE가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아이디들을 가진 셀들 근처로 진입할 때까지 근접 정보를 타깃 eNB로 전송하지 않는다.
도 6은 전형적인 프로세스(60)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60)는 도 1의 네트워크 (가령, eNB 또는 기지국) 안에서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프로세스(60)는 프로그램 코드(214) 안에 컴파일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600 단계: 시작.
610 단계: 무선 통신 시스템의 UE로부터 근접 정보 수신.
620 단계: 핸드오버 준비 절차 중에, UE가 제1기지국으로부터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UE 안에 포함된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셀들의 근처로 UE가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함.
630 단계: 종료.
상기 프로세스(60)에 따르면, 제2기지국은, UE가 제1기지국으로부터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할 때, 제1기지국에 의해 UE가 CSG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통보받는다. 그에 따라, 제2기지국은, UE가 CSG 셀들의 근처에 있다는 것을 알게되고, 그에 따라 제2기지국은 SI 리포팅을 하도록 UE를 설정하거나 UE를 한 CSG 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60)에 기초해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UE가 소스 eNB에 접속하고 있고, 소스 eNB에 의해 근접 표시 리포팅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UE의 CSG 화이트리스트 안에 있는 CSG 아이디들을 가진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UE는 제1근접 정보를 소스 eNB로 보낸다. 소스 eNB가 UE를 타깃 eNB로 핸드오버 시키기 전에 (즉, 핸드오버 준비 절차 도중에), 소스 eNB는 타깃 eNB로, UE가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한다. 그에 따라, UE가 타깃 eNB로 핸드오버 된 후에, 타깃 eNB는 소스 eNB로부터 UE가 CSG 셀들의 근처에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타깃 eNB는 근접 표시 리포팅, SI 리포팅, 또는 한 CSG 셀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소스 eNB는 핸드오버 준비 절차 중에 타깃 eNB로 SI 리포팅 설정을 시그날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소스 eNB에 접속한 후 소스 eNB로 SI 리포트를 전송한다. 소스 eNB가 UE를 타깃 eNB로 핸드오버 하기 전에, 소스 eNB는 SI 리포트에 대한 정보를 타깃 eNB로 시그날링한다. 그러면, 타깃 eNB는 소스 eNB로부터 UE가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알고, 그에 따라 근접 표시 리포팅, SI 리포팅, 또는 CSG 셀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술한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하드웨어 기기와 하드웨어 기기 사의 리드-온리 (read-only) 소프트웨어로서 상주하는 컴퓨터 명령들 및 데이터의 조합으로서 알려진 펌웨어, 또는 전자 시스템일 수 있는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하드웨어의 예들로는 마이크로서킷, 마이크로칩, 또는 실리콘 칩이라 알려진 아날로그, 디지털 및 합성 회로들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의 예들에는 시스템 온 칩 (SOC, system on chip), 시스템 인 패키지 (Sip, system in package), 컴퓨터 온 모듈 (COM, computer on module), 및 통신 기기(20)가 포함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접속 변경 (가령, 핸드오버나 RRC 접속 재설정 절차)이 일어날 대, UE의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여, CSG 셀로의 인바운드 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형적 예들 및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가르침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기기 및 방법에 대한 수많은 변형 및 치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된 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가능한 폐쇄형 가입자 그룹 (CSG, closed subscriber group)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근접 정보 (proximity information)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상기 CSG 셀들 근처에 머무는 경우,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근접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기지국으로 변경하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나 RRC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상기 화이트리스트 안의 CSG 셀들 근처를 떠나는 경우 및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하는 경우, 제2근접 정보를 제2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상기 화이트리스트 안의 CSG 셀들 근처를 떠나는 경우 및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하지 않는 경우, 제2근접 정보를 제2기지국으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 내 제1기지국의 근접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근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1기지국에서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상기 모바일 기기가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상기 제2기지국으로 시그날링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1기지국에서 상기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시스템 정보 리포팅 설정 (system information reporting configuration)을 시그날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액세스 가능한 폐쇄형 가입자 그룹 (CSG, closed subscriber group)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CSG 화이트리스트를 구비하고, 모바일 기기의 근접 정보 (proximity information)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으로 근접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하는 수단; 및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상기 CSG 셀들 근처에 머무는 경우,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근접 정보를 재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접속 변경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기지국으로 변경하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나 RRC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상기 화이트리스트 안의 CSG 셀들 근처를 떠나는 경우 및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하는 경우, 제2근접 정보를 제2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변경이 완료된 후, 상기 화이트리스트 안의 CSG 셀들 근처를 떠나는 경우 및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시그날링하지 않는 경우, 아무 제2근접 정보도 제2기지국으로 전송하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7. 근접 정보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근접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1기지국에서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상기 모바일 기기가 CSG 화이트리스트 내 CSG 셀들의 근처로 진입한다는 것을 상기 제2기지국으로 시그날링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1기지국에서 상기 제2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려고 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2기지국으로 시스템 정보 리포팅 설정 (system information reporting configuration)을 시그날링하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기지국.
KR1020100105879A 2009-10-30 2010-10-28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KR10117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879A KR101179117B1 (ko) 2009-10-30 2010-10-28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256,317 2009-10-30
US61/290,890 2009-12-30
US12/910,879 2010-10-25
KR1020100105879A KR101179117B1 (ko) 2009-10-30 2010-10-28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984A KR20110047984A (ko) 2011-05-09
KR101179117B1 true KR101179117B1 (ko) 2012-09-07

Family

ID=4423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879A KR101179117B1 (ko) 2009-10-30 2010-10-28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60B1 (ko) 2005-06-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60B1 (ko) 2005-06-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984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460B2 (en) Dual link handover
JP5138757B2 (ja) 近接情報送信を扱う方法及び関連の通信装置
CN111212459B (zh) 一种中继通信方法及装置
US9560556B2 (en) Method of handling handover for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947468B1 (ko) 보충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개시형 제어 메커니즘
DK2667661T3 (en) FACILITATION OF A TRANSFER IN AN LTE SYSTEM.
KR101550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핸드오버 절차 처리방법
KR101284077B1 (ko)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KR1016062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멤버십 확인 또는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104452A1 (en) Handover method
CN101959315B (zh) 处理长期演进定位协议数据的方法及其通讯装置
US10064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dual connectivity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500381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base stations
CN108990101B (zh) 处理双连接中次要节点改变的装置及方法
CN109155951B (zh) 传输方法、基站和终端
KR101179117B1 (ko) 근접 정보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KR102207843B1 (ko) 기지국간 협력을 통한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CN117998476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