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738B1 -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738B1
KR101178738B1 KR1020090127890A KR20090127890A KR101178738B1 KR 101178738 B1 KR101178738 B1 KR 101178738B1 KR 1020090127890 A KR1020090127890 A KR 1020090127890A KR 20090127890 A KR20090127890 A KR 20090127890A KR 101178738 B1 KR101178738 B1 KR 10117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mart card
usb
usim car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344A (ko
Inventor
이형진
김경태
박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2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7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testing the record carrier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스마트 카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통합 테스트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 슬롯; RF(Radio Frequency) 리더기의 접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사용자 컴퓨터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접속 수단; 및 직렬 통신 단자, USB 단자 및 근거리 통신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 수단을 통해 수신된 모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직렬 통신 단자 및 상기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 단자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연결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검증 장비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카드, 예컨대, USIM 카드의 각 기능 동작의 정상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어, USIM 카드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SIM, USIM, UICC, 스마트 카드, 테스트, 검증, NFC, USB, ISO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SMART CARD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USIM 카드의 각 기능을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검증할 수 있는 USIM 카드 검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이동통신기술은 2세대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3세대의 WCDMA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WCDMA 시스템에서는 영상 통화가 가능해지고 기존 CDMA 방식보다 고속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자유로운 글로벌 로밍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WCDMA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에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를 탑재해야 한다. 2세대의 CDMA 시스템에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선택 사양이지만 WCDMA 시스템에서는 USIM 카드가 필수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로 불리기도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운영 시스템(COS:Card Operation System), 보안 알고리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USIM 카드는 가입자 인증, 과금, 글로벌 로밍, 전자 상거래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USIM 카드는 초기에는 단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메모리 용량도 증대되고 그 활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용도에서부터 모바일 뱅킹, 나아가 근거리 통신을 통한 결제의 수단, 대용량 스토리지로서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USIM 카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지만 이러한 USIM 카드의 정상동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장비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즉, 현재 USIM 카드에는 기본 USIM 카드 기능 이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USB 기능 등이 포함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든 기능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아울러, 종래에는 USIM 카드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특정 기능의 이동통신단말과 USIM 카드가 모두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USIM 카드 검증에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스마트 카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통합 테스트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 슬롯; RF(Radio Frequency) 리더기의 접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사용자 컴퓨터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접속 수단; 및 직렬 통신 단자, USB 단자 및 근거리 통신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 수단을 통해 수신된 모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직렬 통신 단자 및 상기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 단자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연결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직렬 통신 단자 또는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스마트 카드의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간의 통신 로그 기록을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는, 한 측으로는 이동통신단말과 연결되고 다른 측으로는 상기 제어 수단의 직렬 통신 단자, USB 단자 및 근거리 통신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단자를 상기 연결 수단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간의 제어 명령 및 이에 대한 응답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간의 통신 로그 기록을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검증 장비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카드, 예컨대, USIM 카드의 각 기능 동작의 정상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어, USIM 카드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USIM 카드의 검증을 위한 특정 기능의 이동통신단말이 없어도 USIM 카드 자체의 테스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든 USIM 카드를 검증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에 독립적으로 능동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 검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IM 카드 검증 장치(100)는, 검증 대상인 USIM 카드가 장착되는 USIM 카드 슬롯(111), 상기 USIM 카드의 근거리 통신 기능 검증을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113), 검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115), 개인용 컴퓨터(PC)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USB 포트(117), 이동통신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119)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LED(121), 그리고 USIM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표시하는 전원 표시 LED(123)를 포함한다.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되는 USIM 카드는 USIM 카드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일반 USIM 카드, 근거리 통신까지도 지원하는 USIM 카드, 그리고 USB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USIM 카드 중 하나이다. 이러한 USIM 카드가 검증의 대상으로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다.
USIM 카드 슬롯(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 단자, NFC 단자, USB 단자가 구비된다. ISO 단자는 직렬 통신 단자로서 CPU(115)의 ISO 단자와 연결되어 ISO 규격의 통신을 지원하고, NFC 단자는 CPU(115)의 NFC 단자와 연결되어 SWP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USB 단자는 CPU(115)의 USB 단자와 연결되어 USB 규격의 통신을 지원한다. 즉, USIM 카드 슬롯(111)은 CPU(115)와 연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NFC 모듈(113)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근거리 무선 접속의 국제 표준 규격에 따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13.56MHz 주파수를 이용하여 20cm 내에서 최고 42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NFC 모듈(113)은 USIM 카드 자체를 테스트할 때 CPU(115)를 경유하여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NFC 모듈(113)이 CPU(115)의 NFC 단자에 연결되고, USIM 카드 검증 장치(100)가 NFC 테스트 모드인 경우, NFC 모듈(113)의 근방으로 RFID 리더를 가까이 가져가면, NFC 모듈(113)은 안테나(125)를 통해 근접한 상기 RFID 리더와 통신을 수행하며 CPU(115)의 NFC 단자를 통해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RFID 리더에 전송하고, 또한 RFID 리더의 태깅 기록을 USIM 카드에 전송한다.
CPU(115)는 검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CPU(115)는 USB 포트(117)로부터 수신되는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검증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 요소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CPU(115)는 스파이 기능이 구비되어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의 검증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한다.
CPU(115)는, USIM 카드 슬롯(111) 및 커넥터(119)와 USB, ISO 및 NFC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단자, ISO 단자, NFC 단자를 USIM 카드 슬롯(111) 측과 커넥터(119) 측에 각각 구비한다. 또한 CPU(1115)는, NFC 모듈(113) 측과 연결되기 위한 NFC 단자를 NFC 모듈(113) 측에도 구비하고, 사용자 컴퓨터와 USB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단자를 구비한다.
CPU(115)는 사용자 컴퓨터와는 USB 규격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므로, 사용자 컴퓨터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와 USB 규격 이외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때 이에 따른 데이터를 USB 규격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고, 또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USB 규격의 데이터를 다른 규격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모듈을 포함한다.
USB 포트(117)는 USB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CPU(115)로 전달하고, 또한 CPU(115)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컴퓨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검증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 장치를 제어하고 검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커넥터(119)는, 이동통신단말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CPU(115)와 통신하기 위한 NFC 단자, ISO 단자, USB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119)에는 이동통신단말의 USIM 카드 슬롯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고, 이동통신단말에서 USIM 카드와 연동하여 조작된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CPU(115)에 전달하고 CPU(115)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1의 검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ISO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컴퓨터(PC)는 USB 케이블을 통해 USIM 검증 장치(100)의 USB 포트(117)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USIM 검증 장치(100)를 ISO 모드로 선택한다. 이에 따른 제어 명령(Command)은 USB 포트(117)를 통해 USIM 검증 장치(100)의 CPU(115)로 전 달되고, CPU(115)는 현재 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LED(120)에서 ISO LED를 점등한다.
CPU(115)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자신의 단자 중 USIM 카드 슬롯 측의 ISO 단자와 USIM 카드 슬롯(111)의 ISO 단자를 연결한다. 이때,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검증 대상 USIM 카드의 ISO 단자는 USIM 카드 슬롯(111)의 ISO 단자에 연결되어 통신을 준비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USIM 카드 슬롯(111)에는 클락(CLK) 단자, 전원(VCC) 단자, 리셋(RST) 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USIM 카드의 클락 단자, 전원 단자, 리셋 단자는 상기 USIM 카드 슬롯(111)의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된다. CPU(115)는 상기 클락 단자을 통해서는 클락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 단자을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CPU(115)는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1.8V, 3.3V, 5V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 단자을 통해 USIM 카드에 공급한다. 사용자는 테스트를 위한 전원을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프로그램에서 선택하고, 그 선택 입력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은 전원을 USIM 카드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USIM 카드 슬롯(111)에 USIM 카드가 장착되고 USB 포트(117)에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된 후 초기 셋팅이 완료되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USIM 카드는 ISO 동작 테스트를 위한 명령과 이에 대한 응답을 송수신한다.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은 USB 규격으로 CPU(115)에 전달되고, CPU(115)는 상기 명령을 ISO 규격으로 USIM 카드 슬롯(111)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USIM 카드 슬롯(111)으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USB 규격으로 사용자 컴퓨 터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USB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컴퓨터는 USIM 검증 장치(100)의 USB 포트(117)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USIM 검증 장치(100)를 USB 모드로 선택한다. 이에 따른 제어 명령(Command)은 USB 포트(117)를 통해 CPU(115)로 전달된다. CPU(113)는 현재 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LED(120)에서 USB LED를 점등한다.
CPU(115)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검증 대상 USIM 카드의 USB 단자(USB+, USB-)에 접속하여 통신을 준비하며, USIM 카드의 클락(CLK) 단자, 전원(VCC) 단자, 리셋(RST) 단자에 접속하여 상기 클락 단자을 통해서는 클락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원 단자을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CPU(115)는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1.8V, 3.3V, 5V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 단자을 통해 USIM 카드에 공급한다. 사용자는 테스트를 위한 전원을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프로그램에서 선택하고, 그 선택 입력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은 전원을 USIM 카드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USIM 카드 슬롯(111)에 USIM 카드가 장착되고 USB 포트(117)에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된 후 USB 모드 테스트를 위한 초기 셋팅이 완료되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USIM 카드는 USB 동작 테스트를 위한 명령과 이에 대한 응답을 송수신한다.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은 USB 규격으로 CPU(115)에 전달되고, CPU(115)는 상기 명령을 USB 단자를 통해 USIM 카드 슬롯(111)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USIM 카드 슬롯(111)으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NFC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컴퓨터는 USIM 검증 장치(100)의 USB 포트(117)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USIM 검증 장치(100)를 NFC 모드로 선택한다. 이에 따른 제어 명령(Command)은 USB 포트(117)를 통해 CPU(115)로 전달되고, CPU(115)는 현재 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LED(120)에서 NFC LED를 점등한다.
CPU(115)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검증 대상 USIM 카드의 NFC 단자(SWP 단자)에 접속하여 통신을 준비하며, 또한 NFC 모듈(113)의 NFC 단자에 접속하여 통신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USIM 카드 슬롯(111)에 USIM 카드가 장착되고 USB 포트(117)에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된 후 NFC 모드 테스트를 위한 초기 셋팅이 완료된 후, RFID 리더(410)를 상기 NFC 모듈(113)에 근접시킨다. NFC 모듈(113)은 안테나(125)를 통해 상기 RFID 리더(410)와 통신을 수행한다. NFC 모듈(113)은 RFID 리더(4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CPU(115)를 통해 USIM 카드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USIM 카드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안테나(125)를 통해 RFID 리더에 전송한다.
한편, 도 4에서는 RFID 리더(410)를 NFC 모듈(113)에 근접시키는 것, 즉 NFC 모듈(113)이 RFID 태그로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NFC 모듈(113)은 RFID 리더로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NFC 모듈(113)은 리더(Reader) 기능이 구비되고, USIM 검증 장치(100)의 안테나(125)에 RFID 태그를 근접시키면 상기 NFC 모듈(113)은 상기 안테나(125)를 통해 상기 RFID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여 RFID 태그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CPU(115)를 통해 USIM 카드(111)에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안테나(125)를 통해 RFID 태그에 전송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CPU(115)는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와 NFC 모듈(113) 간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로그 기록으로서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로그 기록을 토대로 USIM 카드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도 4를 참조한 설명은 USIM 카드의 NFC 모드 동작만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CPU(115)는 버스 구조로서 ISO, USB 모드의 동작을 테스트하면서 NFC 모드 동작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CPU(115)는 ISO, USB 모드의 동작을 테스트하면 ISO, USB 모드 동작의 로그 기록을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하면서, 동시에 NFC 모드 동작의 로그 기록을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는 USIM 카드 자체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USIM 카드의 ISO 모드, USB 모드, NFC 모드의 동작을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제어하여 검증한다. 이하에서는 USIM 카드와 이동통신단말 간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ISO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커넥터(119)에는 이동통신단말(510)의 USIM 카드 슬롯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USB 포트(117)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고,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사용자로부터 ISO 모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USB 포트(117)를 통해 수신된 ISO 모드 선택 입력 신호는 CPU(115)로 전달되고, CPU(115)는 모드 표시 LED(120)에서 ISO LED를 구동하고, 커넥터(119)와 USIM 카드 슬롯에 장착된 USIM 카드(111)를 ISO 단자를 통해 연결한다.
이동통신단말(510)에서 사용자가 USIM 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경우, 이에 따른 신호는 이동통신단말(510)로부터 출력되어 커넥터(119)로 전달되고, 커넥터(119)로 전달된 신호는 ISO 단자를 경유하여 CPU(115)로 출력된다. CPU(115)는 수신된 상기 신호를 자신의 ISO 단자를 통해 USIM 카드의 ISO 단자에 출력하고, 이에 따른 응답 신호를 USIM 카드의 ISO 단자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커넥터(119)를 통해 이동통신단말(510)로 전달한다.
한편, CPU(115)는 이동통신단말(510)과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 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 모니터링 결과를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USB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커넥터(119)에는 이동통신단말(510)의 USIM 카드 슬롯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USB 포트(117)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고,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사용자로부터 USB 모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USB 포트(117)를 통해 수신된 USB 모드 선택 입력 신호는 CPU(115)로 전달되고, CPU(115)는 모드 표시 LED(120)에서 USB LED를 구동하고, 커넥터(119)와 USIM 카드 슬롯에 장착된 USIM 카드(111)를 USB 단자를 통해 연결한다.
이동통신단말(510)에서 사용자가 USIM 카드와의 연동을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경우, 이에 따른 신호는 이동통신단말(510)로부터 출력되어 커넥터(119)로 전달되고, 커넥터(119)로 전달된 신호는 USB 단자를 경유하여 CPU(115)로 출력된다. CPU(115)는 수신된 상기 신호를 자신의 USB 단자를 통해 USIM 카드의 USB 단자에 출력하고, 이에 따른 응답 신호를 USIM 카드의 USB 단자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커넥터(119)를 통해 이동통신단말(510)로 전달한다.
한편, CPU(115)는 이동통신단말(510)과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 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 모니터링 결과를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NFC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커넥터(119)에는 이동통신단말(510)의 USIM 카드 슬롯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검증 장치의 USB 포트(117)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고,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사용자로부터 NFC 모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USB 포트(117)를 통해 수신된 NFC 모드 선택 입력 신호는 CPU(115)로 전달되고, CPU(115)는 모드 표시 LED(120)에서 NFC LED를 구동하고 커넥터(119)와 USIM 카드 슬롯에 장착된 USIM 카드(111)를 NFC 단자를 통해 연결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510)을 RFID 리더(710)에 가까이 가져가면, 이동통신단말(510)에 장착된 NFC 모듈은 상기 RFID 리더(710)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커넥터(119) 및 CPU(115)를 통해 SWP(Single Wired Protocol)에 기초하여 USIM 카드에서 개인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상기 RFID 리더(710)에 전달한다.
한편, CPU(115)는 이동통신단말(510)과 USIM 카드 슬롯(111)에 장착된 USIM 카드 간 NFC 통신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 모니터링 결과를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이동통신단말(510)과 USIM 카드 간에 NFC 통신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검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한 상기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510)에 RFID 리더(710)를 가까이 가져가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이동통신단말(510)이 RFID 태그로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이동통신단말(510)은 RFID 리더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510)에 RFID 태그를 가까이 가져가면 이동통신단말(510)에 장착된 NFC 모듈은 리더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이를 USIM 카드(11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한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510)의 NFC 동작 테스트만 설명하였으나, 이동통신단말(510)과 USIM 카드 간 ISO, USB 모드의 동작을 테스트하면서 NFC 모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고, CPU(115)는 각 모드 테스트에 따른 로그 기록을 USB 포트(117)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검증 장치는 하나의 검증 장비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카드, 예컨대, USIM 카드의 각 기능 동작의 정상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어, USIM 카드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USIM 카드의 검증을 위한 특정 기능의 이동통신단말이 없어도 USIM 카드 자체의 테스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든 USIM 카드를 검증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에 독립적으로 능동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 검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ISO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USB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검증 장치를 이용한 USIM 카드의 NFC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ISO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USB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의 NFC 모드 동작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7)

  1. 스마트 카드를 검증하기 위한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 슬롯;
    RF(Radio Frequency) 리더기의 접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RF 리더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사용자 컴퓨터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접속 수단; 및
    직렬 통신 단자, USB 단자 및 근거리 통신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 수단을 통해 수신된 모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직렬 통신 단자 및 상기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 단자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연결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직렬 통신 단자 또는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스마트 카드의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간의 통신 로그 기록을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 측으로는 이동통신단말과 연결되고 다른 측으로는 상기 제어 수단의 직렬 통신 단자, USB 단자 및 근거리 통신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직렬 통신 단자, 상기 USB 단자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단자를 상기 연결 수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된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간의 제어 명령 및 이에 대한 응답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카드 슬롯 간의 통신 로그 기록을 상기 USB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KR1020090127890A 2009-12-21 2009-12-21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KR10117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90A KR101178738B1 (ko) 2009-12-21 2009-12-21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90A KR101178738B1 (ko) 2009-12-21 2009-12-21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44A KR20110071344A (ko) 2011-06-29
KR101178738B1 true KR101178738B1 (ko) 2012-08-31

Family

ID=4440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890A KR101178738B1 (ko) 2009-12-21 2009-12-21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028A (ko) * 2021-02-25 2022-09-22 비자 인터네셔널 서비스 어소시에이션 비접촉식 카드 트랜잭션을 디버깅하고 평가하기 위해 비접촉식 통신 상호 작용을 캡처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0096B (zh) * 2013-08-20 2016-04-27 东信和平科技股份有限公司 双用读卡器,nfc-sim卡读卡器及其测试方法
KR102075513B1 (ko) * 2019-06-17 2020-02-10 와이아이씨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테스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34B1 (ko) 2008-06-23 2008-12-2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Usim 카드 검증 시스템 및 검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34B1 (ko) 2008-06-23 2008-12-2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Usim 카드 검증 시스템 및 검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028A (ko) * 2021-02-25 2022-09-22 비자 인터네셔널 서비스 어소시에이션 비접촉식 카드 트랜잭션을 디버깅하고 평가하기 위해 비접촉식 통신 상호 작용을 캡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58284B1 (ko) * 2021-02-25 2023-07-24 비자 인터네셔널 서비스 어소시에이션 비접촉식 카드 트랜잭션을 디버깅하고 평가하기 위해 비접촉식 통신 상호 작용을 캡처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783316B2 (en) 2021-02-25 2023-10-1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of captur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teractions for debugging and evaluating contactless card trans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44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943B2 (en)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commands from physical channel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and system
EP2590107B1 (en) Method of managing incoming commands related to contactless applications within a wireless apparatus such as a NFC enabled mobile phone
US9301084B2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559523B (zh) 基于swp se实现的非接触读写设备及方法
CN101772215A (zh) 支持近场通信的移动终端及其近场通信方法
US8123136B2 (en) Processing apparatu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1515814A (zh) 增强型近距离无线通信装置及其实现方法
CN102664043B (zh) 实现移动支付的智能sd卡测试的装置及方法
KR101178738B1 (ko) 스마트 카드 검증 장치
EP2869230B1 (en) Method of operating a security toke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ecurity token
US94196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mobile device
US9785591B2 (en) Smartcard interface conversion device, embedded system having the same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signal used in the same device
CN108683429B (zh) 一种支持psam卡的移动终端
CN101582112B (zh) 一种智能卡转换设备及其使用方法
KR20110125758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10206101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028532B1 (ko) 휴대형 원격 rfid 태그 데이터 처리 단말기
CN110082671A (zh) 模拟测试方法、系统、装置、集线器和存储介质
KR101072438B1 (ko) Usim 카드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인터페이스에대한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021887B1 (ko) Usim 카드모듈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4355247B2 (ja) 通信機能付きicカード装置
EP264526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therein
KR100926364B1 (ko) 스마트 카드에서의 복수의 응용 인터페이스 동시 제공 방법및 장치
CN111756390A (zh) 一种多通道射频读写装置
KR101354997B1 (ko) 무선단말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