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705B1 - Water Filter - Google Patents

Water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705B1
KR101178705B1 KR1020100108437A KR20100108437A KR101178705B1 KR 101178705 B1 KR101178705 B1 KR 101178705B1 KR 1020100108437 A KR1020100108437 A KR 1020100108437A KR 20100108437 A KR20100108437 A KR 20100108437A KR 101178705 B1 KR101178705 B1 KR 10117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unit
filter unit
clean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2473A (en
Inventor
강창우
Original Assignee
강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우 filed Critical 강창우
Priority to KR102010010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705B1/en
Publication of KR2010012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오지나 오염된 환경에서 안전한 물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그들의 지역과 물의 용도에 적합한 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된 식수원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물을 공급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물의 용도(식수, 세안 등)에 맞게 다수의 필터를 쉽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터를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사용연한을 연장하며, 그 설치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고, 수질측정기가 정수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특정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라는 알림기능을 제공하여 정수된 물의 수질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할 물을 담는 용기(700)에 결합하는 도입유닛(500); 다수의 필터 유닛(300)들을 포함하는 필터부(200); 필터부의 하단에 결합하는 청소펌프(4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유닛은 상기 용기의 하단 구멍에 연결되는 연장면(501), 상기 도입유닛의 상단부 외측에 숫나사부(502), 그리고 상기 도입 유닛의 상단부 외측의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504)를 내부에 가지는 링(503)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충전된 필터층(302), 상기 필터 유닛의 옆면에 필터층(302)의 물질과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303), 상기 필터 유닛의 상단부에 숫나사부(304),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하단부에 암나사부(305)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은 필터부의 하단에 연결하는 결합수단(401),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을 폐쇄하는 면(402), 상기 폐쇄하는 면(40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홈(403), 그리고 상기 청소펌프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water at low cost suitable for their area and water use to those lacking safe water in remote or polluted environ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upply safe water at low cost to people living depending on the contaminated drinking water source,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according to the use of water (drinking water, face wash, etc.), and the filter can be conveniently cleaned. It extends the service life of the filter, provides a water purifi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the water quality meter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and provides a reminder to replace or clean a specific filter. The purpose is to maintain the above.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roduction unit 500 coupled to a container 700 containing water to be purified; A filter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er units 300; A cleaning pump 4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introduction unit has an extension surface 5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male screw portion 502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a female screw portion 504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Ring 503 having t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layer 302 filled therein, a display unit 303 indicating a material and a function of the filter layer 302 on the side of the filter unit, a male screw unit 304 on an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unit. A female threaded portion 305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is a coupling means 4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surface 402 for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a rectangular groove 403 formed in the closing surface 402, and the clea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ston 404 that can move inside the pump.

Description

정수기{Water Filter}Water Purifier {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오지나 오염된 환경에서 안전한 물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그들의 지역과 물의 용도에 적합한 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water at low cost suitable for their area and water use to those lacking safe water in remote or polluted environments.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물은 유해 화학제와, 박테리아, 기생충, 포낭(cyst), 및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을 포함한 물을 섭취할 경우, 콜레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 다양한 수인성 전염병에 노출되어 사망에 이르기까지 하므로 어떠한 유해한 오염물도 사람에 의한 안전한 소비에 적합하게 되기 전에 물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 오염된 물에 대한 노출과 관련된 결과는 특히 안전한 물을 항상 이용할 수 없는 후진국에서 매우 심각하며 오염된 물에 의하여 심지어 죽을 수도 있다
Water present in the natural environment may contain harmful chemicals and various types of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parasites, cysts, and viruses. Ingestion of water containing these contaminants can result in death from exposure to various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holera, bacterial dysentery, typhoid fever, and any harmful contaminants must be removed from the water before they are suitable for safe consumption by humans.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contaminated water are very serious, especially in poor countries where safe water is not always available and can even be killed by contaminated water.

유니세프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4년까지 12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게 되었지만 아직도 10억 명의 사람들이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18세 미만 어린이 수는 대략 4억 2천 5백만 명으로 아프리카의 농촌지역과 개발도상국 대도시의 무허가 빈민촌에 안전한 물이 없이 살아가는 인구가 많이 있다. 오염된 물과 비위생적인 환경은 어린이에게 여러 질병을 일으키며, 오염된 물을 마신 어린이는 설사병에 걸리기 쉽고, 많은 경우 잦은 설사로 인한 탈수증 때문에 생명을 잃게 된다. 오염된 물로 인한 탈수증으로 하루에 5천 명의 어린이가 생명을 잃는 실정이다.
According to UNICEF, more than 1.2 billion people have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from 1990 to 2004, but more than 1 billion people still do not have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ho do not have safe drinking water is approximately 425 million, with large numbers of people living without safe water in rural areas of Africa and in unlicensed slums in large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Contaminated water and unsanitary conditions cause many illnesses in children, and children who drink contaminated water are susceptible to diarrhea and in many cases lose their lives due to dehydration from frequent diarrhea. Dehydration from polluted water kills 5,000 children a day.

일반적으로 정수기란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말하며,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서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수자원이 오염되어 있는 저개발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그곳을 여행하는 여행자, 자원봉사자, 선교사 등에게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In general, a water purifier refers to a mechanism for purifying water by filtering out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come serious and awareness of health has been heightening interest in water purifiers. In particular, various portable water purifiers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order to supply safe water to people living in underdeveloped countries where water resources are polluted, and travelers, volunteers, and missionaries who travel there.

사람이 안전하게 소비할 수 있는 물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정수기술이 있는데, 널리 공지된 정수 기술은 생물학적 방식, 화학적 방식, 그리고 물의 여과 등이 있다.
There are various water purification technologies to make water that can be safely consumed by humans. The well-known water purif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iological methods, chemical methods, and water filtration.

구체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전기분해 방식, 필터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을 주로 사용되고 있다.Specifically, biological methods using microorganisms, chemical methods using chemical reactions, electrolysis methods using electrons or ultrasonic waves, and physical methods using filters are mainly used.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이용하고 있지만,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농도라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오물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고, 알카리나 산성을 띠고 있는 오폐수의 경우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시간과 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은 물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Biological methods using microorganisms are used in many countries internationally to decompose contaminants by microorganisms, but due to the limitation of effective concentration in the digestive substances of microorganisms, the treatment is insufficient in high concentrations of dirt. In case of alkaline or acidic waste water, pretreatment is required, and the construction area is expensive because it requires a large installation area as well as being affected by the environment such as time and temperature.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로 어려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폐수를 처리하기에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너무 많이 들어 생물학적 정수방식의 전처리나 후처리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While the chemical treatmen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fast reaction speed and simple process, even if it is difficult to decompose organic matters by biological treatment, it requires too much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 to treat wastewater by itself. There was a drawback of being used only.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은 생물학적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가 곤란한 벤젠 화합물이나 할로겐 화합물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공정에 응용되지만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비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한 수준이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Physical methods using electrons or ultrasonics are applied to the process of decomposing hardly decomposable substances such as benzene compounds and halogen compounds that are difficult to process biologically or chemically, but they are not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insignificant compared to enormous facility and maintenance costs. There was a downside.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휴대하거나 이동설치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캔우드 간이정수기(100)의 도면이다. 상기 캔우드 간이정수기는 자연여과 정수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4단계의 정수물질을 하나의 틀에 일체로 형성한다. 제1단계는 초극세사 그물망인 이물질 제거 필터(101)로 물속의 녹, 먼지, 모래 등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제2단계는 양이온 교환수지(102)가 인체에 유해한 납, 구리, 카드늄, 알루미늄 등 중금속을 치환하여 제거하며, 질산염, 석회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준다. 제3단계에서 은(Ag)코팅 활성탄(103)이 대장균 등에 대한 세균증식 억제 작용은 물론, 수돗물 정수를 위해 사용된 물속의 잔류 염소와 살충제, 용매제 등 유기오염물을 흡착함으로써 불쾌한 맛과 냄새 등을 제거해 주고, 제4단계로 미세 마이크로 필터(104)가 걸러진 잔여물이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정수물의 2차 오염을 방지하여 준다.
Using a filt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arry or move. 1 is a view of a canwood simpl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anwood simple water purifier uses a natural filtration water purification method to form integrally four water purification materials in one frame. The first step is to effectively filter out rust, dust, sand, etc. in the water with a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101, which is a microfiber mesh, and the second step is a cation exchange resin 102, which is harmful to humans such as lead, copper, cadmium, It replaces and removes heavy metals such as aluminum and effectively filters contaminants such as nitrate and calcite. In the third step, silver (Ag) -coated activated carbon 103 not only inhibits bacterial growth against E. coli, but also adsorbs residual chlorine, insecticides, and solvents in water used for tap water purification, thereby causing unpleasant taste and smell. In the fourth step, the fine micro filter 104 prevents the filtered residue from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of the purified water.

이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용이나 이동식 정수기는 하나의 틀 안에 다수의 정수물질을 일체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정수물질을 변경하기가 어려운 구조이다. 그러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수기능이 상이할 수 있고, 식수용, 세안용 등 물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정수의 정도가 다른데, 종래 정수기는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면 필터에 불순물, 세균 등이 끼거나 이들이 필터 안에서 배양되어 필터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정수기는 필터를 청소하기 어려워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여야 하지만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발생하고 오지의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그 비용이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필터의 유지 관리에 비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 general portable or portable wate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urified material as necessary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urified materials in one frame. However, the required water purification func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or time of using the water purifier, and the degree of purified water required differs according to the use of water such as drinking water and face washing. There is no problem. If the water purifier is used for a long time, impurities, bacteria, or the like may be trapped in the filter or they may be cultured in the filter, thereby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filter. In this case, the existing water purifier is difficult to clean the filter, and must be replaced with a new filt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urred to replace the new filter and the burden can be a burden for the poor people in the backcountry.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a cost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the filter.

본 발명은 오염된 식수원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물을 공급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물의 용도(식수, 세안 등)에 맞게 다수의 필터를 쉽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터를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사용연한을 연장하며, 그 설치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고, 수질측정기가 정수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특정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라는 알림기능을 제공하여 정수된 물의 수질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upply safe water at low cost to people living depending on the contaminated drinking water source,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according to the use of water (drinking water, face wash, etc.), and the filter can be conveniently cleaned. It extends the service life of the filter, provides a water purifi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the water quality meter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and provides a reminder to replace or clean a specific filter. The purpose is to maintain the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구현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can be seen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할 물을 담는 용기(700)에 결합하는 도입유닛(500); 다수의 필터 유닛(300)들을 포함하는 필터부(200); 필터부의 하단에 결합하는 청소펌프(4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유닛은 상기 용기의 하단 구멍에 연결되는 연장면(501), 상기 도입유닛의 상단부 외측에 숫나사부(502), 그리고 상기 도입 유닛의 상단부 외측의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504)를 내부에 가지는 링(503)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충전된 필터층(302), 상기 필터 유닛의 옆면에 필터층(302)의 물질과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303), 상기 필터 유닛의 상단부에 숫나사부(304),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하단부에 암나사부(305)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은 필터부의 하단에 연결하는 결합수단(401),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을 폐쇄하는 면(402), 상기 폐쇄하는 면(40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홈(403), 그리고 상기 청소펌프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roduction unit 500 coupled to a container 700 containing water to be purified; A filter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er units 300; A cleaning pump 4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introduction unit has an extension surface 5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male screw portion 502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a female screw portion 504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Ring 503 having t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layer 302 filled therein, a display unit 303 indicating a material and a function of the filter layer 302 on the side of the filter unit, a male screw unit 304 on an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unit. A female threaded portion 305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is a coupling means 4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surface 402 for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a rectangular groove 403 formed in the closing surface 402, and the clea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ston 404 that can move inside the pum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다수의 필터 유닛들의 조합에 의하여 필터를 구성할 수 있어 정수할 물의 상태나 물의 사용목적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최소의 필터 유닛이 조합에 의하여 필요한 물을 정수할 수 있다.First, the filter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filter units, so that the minimum filter unit may purify the water required by the combination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water to be purified or the purpose of using the water.

둘째, 필터 유닛의 길이가 종래의 필터보다 짧아 청소나 건조가 용이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Second, the length of the filter unit is short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filter to facilitate cleaning or drying,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filter.

셋째, 각 필터 유닛의 표시부에 표기된 필터 유닛의 필터기능(제거할 대상 등)을 보고 일반인도 쉽게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필터 유닛들을 쉽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Third, by viewing the filter function (object to be removed, etc.) of the filter unit indicated on the display unit of each filter unit,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select and assemble the required filter units as needed.

넷째, 청소펌프에 의하여 필터 유닛을 청소할 수 있다.Fourth, the filter unit can be cleaned by the cleaning pump.

다섯째, 정수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교체해야 할 필터 유닛을 통지해 주므로 관련 필터 유닛을 교체하여 정수된 물의 품질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ifth, by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and notifying the filter unit to be replac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relevant filter unit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to a certain level or mo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 종래 발명의 캔우드 정수기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도입유닛
도 3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필터부
도 4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필터유닛
도 5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청소펌프
도 6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수질측정기
도 7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예
도 8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수질측정기의 사용예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nwood water purifier
Intro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cleaning pump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use of the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introduc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수기능을 제공하고자 다수의 필터 유닛(3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캔우드 간이정수기는 다수의 필터층(302)을 모두 하나의 틀에 삽입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본 발명은 각 필터유닛이 하나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필터유닛들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다수개의 필터유닛들이 조합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에 사용된다.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a plurality of filter units 300 to each other in order to provide a water purifying function required according to the region or time of using the water purifier.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canwood simple water purifi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 layers 302 are all inserted into one frame, whe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filter unit includes one filter layer and the filter unit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t has a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filter unit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나 인도에서는 물에 비소함유량이 많다. 특히 방글라데시의 경우, 전체인구 1억 2천5백만 명 중 8천5백만 명이 비소로 오염된 식수에 의존해서 살아가고 있다. 비소는 냄새나 맛이 없어 사람들이 오염 여부를 오감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비소의 독성에 의한 증상은 지각장애, 빈혈, 경련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피부가 검은색으로 변하고, 초기에 가슴, 등, 팔다리 등의 피부가 탈색되는 점들이 나타나고, 혀, 입술 등으로 그 부위가 확대되며, 통증을 수반한다. 이러한 비소로 오염된 물을 정수하기 위해서는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In Bangladesh and India, for example, water is high in arsenic. In Bangladesh, in particular, 85 million of the 125 million people live on arsenic-contaminated drinking water. Arsenic has no smell or taste, making it difficult for people to identify the five senses of contamination. The toxic effects of arsenic cause symptoms such as perception disorders, anemia and cramps, and the skin turns black, and the skin, such as the chest, back, and limbs, discolors at the beginning, and the site of the tongue, lips, etc. Is enlarged, accompanied by pain. In order to purify water contaminated with such arsenic, a filter of iron oxide and aluminum oxide may be used.

다른 예로 2010년 10월 헝가리의 알루미늄 공장에서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중금속 슬러지 저장고가 터져 이 슬러지가 도나우강과 다뉴브강으로 흘러들어갈 위험에 처해 있고 이에 따라 유럽 전역에 식수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정수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알칼리 토류 금속층을 포함하는 활성탄의 필터는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In another example, in October 2010, a heavy metal sludge pool, a kind of industrial waste, exploded at an aluminum plant in Hungary, which is at risk of flowing into the Donau and Danube rivers, which could lead to drinking water problems throughout Europe. In this case, a water purifier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heavy metals should be used. In particular, filters of activated carbon comprising an alkaline earth metal layer are useful for removing heavy metal ions.

물에 이질균, 살모넬라균, 장내구균,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나 미생물이 있는 경우에는 요오드 방출 수지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을 사용하거나 세균, 미생물, 바이러스가 통과할 수 없는 나노미터 크기의 동공을 갖는 멤브레인이나 중공사막으로 구성된 필터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작은 미생물인 결핵 박테리아(Tuberculosis Bacteria)는 그 굵기가 약 200나노미터 정도이고 작은 바이러스인 소아마비 바이러스(Polio Virus)는 25나노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5나노미터의 동공을 가는 중공사막필터는 물로부터 세균, 미생물, 바이러스를 걸러낼 수 있다.
If the water contains bacteria or microorganisms such as heterogeneous bacteria, Salmonella, enterococci,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use a filter unit containing iodine-releasing resin or nanometer-sized pupils that bacteria, microorganisms and viruses cannot pass through. Filter unit consisting of a membrane or a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used. Tuberculosis Bacteria, a small microorganism, is about 200 nanometers thick and polio virus, a small virus, has a diameter of about 25 nanometers. Theref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which generally passes 15 nanometers, can filter out bacteria, microorganisms, and viruses from water.

아이티는 2010년 1월 규모 7.0의 강진에 의하여 많은 이재민이 발생하였고 많은 이재민들은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하여 콜레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아이티 보건부에 따르면 2010년 10월 21일 현재까지 확인된 콜레라 감염자는 3천342명이고, 이 가운데 259명이 숨졌다고 한다. 유엔에 따르면 이 밖에도 2010년 여름 폭우가 휩쓸고 간 파키스탄에서 7월 말~9월 말 99명이 콜레라에 걸렸고, 나이지리아에서는 올 1월 이후 3만8천173명이 콜레라에 걸려 1천555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콜레라균은 주로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 과일, 채소 특히 연안에서 잡히는 어패류를 통해 경구 감염되며, 장례식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경우 제공되는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집단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환자의 구토물이나 분변 속에 배설된 콜레라균이 경구적으로 감염된다. 일반적으로 콜레라균이 크기는 0.3 내지 3미크론이므로 그 보다 구멍의 크기가 작은 필터로 정수하면 콜레라균을 제거한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다.
Haiti was hit by a magnitude 7.0 earthquake in January 2010, and many of them were at risk of cholera by eating contaminated water and food in poor sanit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Haitian Ministry of Health, 3,342 confirmed cases of cholera have been identified as of October 21, 2010, of which 259 have been killed.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99 people got cholera in late July-September in Pakistan, when heavy rain swept through the summer of 2010. In Nigeria, 38,173 people got cholera since January, killing 1,555 people. done. Cholera is usually orally infected through contaminated drinking water, food, fruits and vegetables, especially fish and shellfish caught offshore, and colonization can occur through contaminated food provided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such as funerals. The cholera bacteria excreted in the patient's vomiting or feces are orally infected. In general, the cholera bacteria are 0.3 to 3 microns in size, so if you filter with a smaller pore size, you can drink safe water to remove cholera bacteria.

그리고 오지에서는 의료용의 알카리 이온수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한국 공개특허 제2010-12968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네슘, 맥반석, 전기석, 활성탄의 혼합물인 미네랄 물질을 사용한 필터로 물을 정수하면 일정한 pH(수소이온농도)를 갖는 알카리 이온수를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리 몸은 pH 7.2~7.5로 약알칼리성이므로 pH 7.2~7.5의 알카리 이온수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한편 pH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pH 1~14인데 수질환경법에서 중성을 pH 5.8~8.6으로 규정하고 pH 8.7~14는 알카리, pH 5.8이하는 산성을 나타내며 pH 5.8~8.6을 벗어난 물은 오염된 물일 가능성이 높다.
And in the backcountry, there may be a case where medical alkaline ionized water is needed. As show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12968, water is purified by a filter using a mineral material which is a mixture of magnesium, ganbanite, tourmaline and activated carbon. Alkaline ionized water having (hydrogen ion concentration) can be produced. Preferably, since the body is weakly alkaline at pH 7.2-7.5, it is good to take alkaline ionized water at pH 7.2-7.5. On the other hand, the pH range is generally pH 1 ~ 14. In the Water Environment Law, neutrality is defined as pH 5.8 ~ 8.6, pH 8.7 ~ 14 shows alkali, pH below 5.8, and water outside pH 5.8 ~ 8.6 may be contaminated water. This is high.

각 필터 유닛(300)은 그 옆면에 필터 유닛의 필터층(302)이 갖는 물질과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303)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필터 유닛의 표시부를 보고 해당 필터 유닛의 성능을 알 수 있어 필요한 필터 유닛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섬유 멤브레인 필터 유닛의 표시부에는 필터층의 물질은 섬유 멤브레인이고 그 기능은 콜레라균,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의 제거라고 표시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콜레라가 창궐하거나 발생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콜레라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필터 유닛은 상하단부에 각각 다른 필터 유닛와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로 필터 유닛의 상단부에 숫나사부(304)와 하단부에 암나사부(305)를 두고 있어 추가의 필터 유닛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Each filter unit 300 has a display portion 303 on its side which indicates the material and function of the filter layer 302 of the filter unit. So even if you are not an expert, you can see the display of the filter unit and know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so you can easily select the filter unit you need. The display of the fiber membrane filter unit indicates that the material of the filter layer is the fiber membrane and its function is the removal of cholera bacteria, microorganisms, viruses and bacteria. Then, for example, in case of cholera outbreak or risk of occurrence, a membrane filt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cholera bacteria should be used. And each filter unit is equipped with the means which can connect with another filter unit in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the male thread part 304 and the female thread part 305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so as to couple additional filter units.

따라서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에서 육안으로 보아 불순물이 없고 깨끗하게 보이지만 비소에 오염된 물이라고 의심되는 경우에는 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터 유닛을 필터의 일부로 장착해서 비소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Thus, for example, in Bangladesh, if the naked eye looks clean and free of impurities, but is suspected of arsenic-contaminated water, a filter unit containing iron oxide and aluminum oxide that can remove arsenic is part of the filter to reduce the risk of arsenic. Can be.

물론 콜레라가 발생하는 아이티에서는 콜레라균을 제거할 수 있는 섬유 멤브레인의 필터 유닛을 사용하지만, 방글라데시와 달리 지표수에 비소가 거의 없다면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터 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Of course, Haiti, where cholera occurs, uses a filter unit of a fiber membrane that can remove cholera bacteria, but unlike Bangladesh, if there is little arsenic in the surface water, there is no need to use a filter unit containing iron oxide and aluminum oxide.

그리고 사용하는 모든 물은 먹기에 안전할 정도로 깨끗하게 정수하면 좋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다수의 필터 유닛들을 사용하여 정수해야 하므로 필터 유닛이 많은 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서 오염에 장시간 노출될 수 있고 많은 필터 유닛들이 사용으로 정수에 시간에 더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식수용, 의료용, 세안용 등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필요한 필터 유닛을 조합하여 정수에 사용할 수 있다.
And all the water used should be purified clean enough to be safe to eat, but in order to clean it using a number of filter units, the filter unit is used to purify a lot of water can be exposed to contamination for a long time and many filter uni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more time for integ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necessary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water, such as drinking water, medical treatment, face wash, etc. can be used for water purification.

그리고 필터를 장시간 사용하면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가 활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필터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교환에는 비용이 필요하므로 오지의 빈민들에게는 경제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를 용이하게 청소하여 필터를 더욱 장기간 그 기능을 하도록 하게 한다. 우선 종래의 필터는 하나의 틀에 다수의 정수를 위한 물질들을 충진하므로 필터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운 편이다. 따라서 물을 정수하는 방향에 반대로 물을 흘려보내거나 공기를 불어 넣어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필터를 다수의 필터 유닛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하므로 각 필터 유닛은 필터 전체보다 그 두께가 얇아 종래의 필터보다 쉽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필터 유닛이 종래의 필터보다 얇기 때문에 필터 유닛을 통해서 물이나 공기를 압력에 의해 쉽게 통과시켜서 필터 유닛 내의 불순물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If the filter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 may accumulate on the filter or microorganisms or viruses may be active. Therefore, it is common to replace the filter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Exchanges, however, cost money and are a great economic burden for the po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to be easily cleaned to allow the filter to functi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First of all, the conventional filter fills a large number of substances for clean water in one mol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lter is quite thick.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easily by flowing water or blowing ai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ater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is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filter units, each filter unit is thinner than the entire filter,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han conventional filters. That is, since th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filter, it is possible to easily pass water or air through pressure through the filter unit to easily remove impurities and the like in the filter unit.

그리고 물의 입력부터 출력까지의 필터 길이가 길면 내부에 습기가 존재하여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될 수 있으나, 필터 유닛의 길이가 짧고 필터 유닛을 필터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하여 햇볕에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filter from the water input to the output is long, it can be a good environment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bacteria due to the presence of moisture inside, but the length of the filter unit is short and the filter unit can be easily disassembled from the filter and dried in the sun. There is an advantage.

청소펌프(400)의 상단은 필터부의 하단(필터부를 구성하는 가장 하단이 필터 유닛의 하단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401)을 가지고 있으면, 필터 유닛이 그 하단부에 암나사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청소펌프의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숫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을 폐쇄하는 면(402)을 가지고 상기 면은 직사각형의 홈(403)을 구비한다. 한편 청소펌프는 물이나 공기를 상기 청소펌프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04)을 가지며 청소펌프의 하단에서 상기 피스톤을 밀어 청소펌프 내의 물이나 공기가 상기 청소펌프의 일단에 있는 상기 면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청소펌프의 상단의 상기 면에 상기 홈을 형성한 것은 청소펌프의 물과 공기 압력이 필터 유닛의 좁은 단면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다. 그리고 청소펌프의 상단과 상기 면은 상대적으로 상기 홈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청소펌프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상기 면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면의 일부가 청소펌프의 상단에 형성된 홈을 따라 움직여서 상기 면이 회전하여 상기 면의 홈이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 필터 유닛의 모든 면을 차례로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소펌프에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넣은 후에 피스톤을 누르면 압력에 의하여 물이 필터 유닛으로 들어가서 이물질이나 박테리아 등을 씻어내도록 할 수 있다.
If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400 has a coupling means 401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is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if the filter unit has a female thread on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pump Coupling means provided at the top of the male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And a surface 402 for closing an upper end of the cleaning pump, the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groove 403.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pump has a piston 404 that can move water or air inside the cleaning pump and pushes the piston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pump to move water or air in the cleaning pump to the surface at one end of the cleaning pump. Do it. Forming the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top of the cleaning pump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leaning by allowing the water and air pressure of the cleaning pump to be concentrated on the narrow cross section of the filter unit. And the top and the surface of the cleaning pump is relatively coupled to the groove to rotate.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surface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at the top of the cleaning pump and a portion of the surface moves along the groove formed at the top of the cleaning pump so that the surface is rotated so that the groove of the surface can move its position. All sides of the unit can be cleaned in turn. For example, after clean and safe water is put into the cleaning pump, the piston can be pressed to allow water to enter the filter unit to wash off foreign substances and bacteria.

도입 유닛(500)은 정수기에서 정수할 물을 입력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수할 물을 담고 있는 용기(700)의 하단에 연결되거나 정수할 물을 정수기로 입력하는 호스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정수할 물을 담고 있는 용기의 하단에 연결되는 경우, 도입 유닛은 상단부에 상기 용기와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을 가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입 유닛의 상단부의 끝에서 직각을 가지며 바깥으로 연장면(Extened Surface, 501), 상기 도입 유닛의 상단부의 외측에 숫나사부(502), 그리고 상기 도입 유닛의 상단부의 외측의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504)를 내부에 가지는 링(503)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의 하부에 구멍을 뚫고 상기 도입 유닛을 끼운 후, 상기 체결수단은 용기와 도입 유닛을 연결한다. 연장면과 링 사이에 용기(700)의 일부를 끼우고 링(503)을 돌려 단단하게 체결한다.
The introduction unit 500 is installed at a portion for inputting water to be purified in the water purifier and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700 containing water to be purified or connected to a hose for inputting water to be purified. When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ssel containing the water to be purified, the introduction unit has a fastening means for connection with the vessel at the top. The fastening means has a right angle at th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extends outward (Extened Surface) 501, a male thread part 502 on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a male thread part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a ring 503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504 therein that can engage. Therefore, after drilling a hole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and inserting the introduction unit, the fastening means connects the container and the introduction unit. A part of the container 700 is inserted between the extension surface and the ring, and the ring 503 is turned to fasten it firmly.

그리고 도입 유닛의 하단부는 암나사부(505)를 포함하여 필터 유닛의 숫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And the low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includes a female screw portion 505 to allow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filter unit to be coupled.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을 담는 용기의 모양에 제한 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limitation 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water.

본 발명은 수질 측정기(600)를 포함하고, 수질 측정기는 수질측정부(602)를 물에 담그어 정수된 물에 대한 수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교체가 필요한 필터 유닛을 수질 측정기의 표시부(601)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측정결과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수질 측정기가 정수기로 정수한 물의 수질을 측정한 후, 측정결과의 pH가 5.8~8.6을 벗어나면 표시부에는 미네랄을 필터층으로 구비하는 필터유닛의 상태가 불량하다는 경고를 표시하고, 용존산소(DO, Dissoloved Oxygen)가 7~ 14ppm보다 크거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이 1ppm보다 크면 유기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중공사막 또는 멤브레인의 필터 유닛를 교체하라는 경고 표시를 하고, 탁도가 일정치 이상 나오면 0.5미크론 이상의 찌거기와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전처리 필터 유닛에 경고 표시를 한다. 수질 측정기는 정수된 물을 담는 정수통(80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quality meter 600, the water quality meter is immersed in the water quality measuring unit 602 to measure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filter unit that needs to replace the measured results display unit 601 of the water quality meter The measurement results are output in the manner indicated by). For example, after the water quality meter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with a water purifier, if the pH of the measurement result is out of 5.8 to 8.6, the display unit displays a warning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including minerals as a filter layer is poor and dissolved. If oxygen (DO) is greater than 7-14 ppm 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is greater than 1 ppm, it may be considered that it contains a lot of organic materials.Therefore, a warning sign is required to replace the filter uni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or membrane. If the turbidity is above a certain level, a warning mark is placed on the pretreatment filter unit that filters over 0.5 microns of debris and contaminants. The water quality meter may be attached to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800 containing purified water.

따라서 사용자가 수질 측정기의 표시부가 지시 내용에 따라 관련 필터 유닛을 교체하거나 관련 필터 유닛을 청소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replace the relevant filter unit or clean the relevant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f the water quality meter and use it again.

100: 캔우드 간이정수기, 200: 필터부, 300: 필터유닛, 400: 청소펌프, 500: 도입유닛, 600: 수질측정기 100: canwood simple water purifier, 200: filter unit, 300: filter unit, 400: cleaning pump, 500: introduction unit, 600: water quality meter

Claims (2)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할 물을 담는 용기(700)에 결합하는 도입유닛(500);
다수의 필터 유닛(300)들을 포함하는 필터부(200);
필터부의 하단에 결합하는 청소펌프(4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입유닛은 상기 용기의 하단 구멍에 연결되는 연장면(501), 상기 도입유닛의 상단부 외측에 숫나사부(502), 그리고 상기 도입 유닛의 상단부 외측의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504)를 내부에 가지는 링(503)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충전된 필터층(302), 상기 필터 유닛의 옆면에 필터층(302)의 물질과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303), 상기 필터 유닛의 상단부에 숫나사부(304),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하단부에 암나사부(305)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펌프는 상기 필터부의 하단에 연결하는 결합수단(401), 상기 청소펌프의 상단을 폐쇄하는 면(402), 상기 폐쇄하는 면(40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홈(403), 그리고 상기 청소펌프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In the water purifier,
An introduction unit 500 coupled to the vessel 700 containing the water to be purified;
A filter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er units 300;
A cleaning pump 4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The introduction unit has an extension surface 5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male screw portion 502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and a female screw portion 504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introduction unit. Ring 503 having t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layer 302 filled therein, a display unit 303 indicating a material and a function of the filter layer 302 on the side of the filter unit, a male screw unit 304 on an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unit. A female threaded portion 305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cleaning pump has a coupling means 40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part, a surface 402 for closing the top of the cleaning pump, a rectangular groove 403 formed in the closing surface 402, and the cleaning pump.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ston 404 that can move inside of the
제1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교체해야할 필터 유닛을 알려주는 표시부(601)를 갖는 수질측정기(600)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quality measuring unit (600) having a display unit (601) for measuring a water quality of purified water and indicating a filter unit to be replaced.
KR1020100108437A 2010-11-02 2010-11-02 Water Filter KR101178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37A KR101178705B1 (en) 2010-11-02 2010-11-02 Water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37A KR101178705B1 (en) 2010-11-02 2010-11-02 Water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73A KR20100122473A (en) 2010-11-22
KR101178705B1 true KR101178705B1 (en) 2012-08-30

Family

ID=4340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437A KR101178705B1 (en) 2010-11-02 2010-11-02 Water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7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614Y1 (en) 2002-10-29 2003-01-24 한국정수기종합관리 주식회사 A cartridge filter for a water purifier
KR200447507Y1 (en) 2009-03-09 2010-02-01 김창규 Portable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614Y1 (en) 2002-10-29 2003-01-24 한국정수기종합관리 주식회사 A cartridge filter for a water purifier
KR200447507Y1 (en) 2009-03-09 2010-02-01 김창규 Portable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73A (en)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tton Microbiology of drinking wa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Varkey Purification of river water using Moringa Oleifera seed and copper for point-of-use household application
US201003269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CN106865704A (en) A kind of application method of functional water and its functional water
Joseph et al. Nanoparticles and nanofiltr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From polluted to fresh water
Gray Pathogen control in drinking water
Rasuli et al. Occurrence and fate of bacterial endotoxins in the environment (air, water, wastewater) and remediation technologies: An overview
Kihampa et al. Performance of Solanum incunum Linnaeus as natural coagulant and disinfectant for drinking water
CN201882996U (en) Integrated directly drinkable water equipment
Sarma Filtration and chemical treatment of waterborne pathogens
Malik et al. Conventional methods and materials used for water treatment in rural areas
Haman et al. Home water quality and safety
Sagara Study of filtration for point-of-use drinking water treatment in Nepal
Lu et al. Review of swimming-associated Cryptosporidiosis and Cryptosporidium oocysts removals from swimming pools
KR101178705B1 (en) Water Filter
JP2005313111A (en) Water purifying cartridg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Chaudhuri et al. Domestic water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US200601752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and hydrated electr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CN2799523Y (en) Treatment device for running water
KR100463103B1 (en) An water activating system having a function of cleaning water enriching disinfection
Agrawal et al. Reuse of Water: An Integral Approach for Survival
Macy et al. Transmission and prevention of water-related diseases
CN202542993U (en) Novel drinking water magnetizing filtering device
Law The usage of domestic water filtration systems in Malaysia
Ikpesu et al. Assessment of bottled water portability in Effurun, Delta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