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17B1 -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17B1
KR101177817B1 KR1020100062119A KR20100062119A KR101177817B1 KR 101177817 B1 KR101177817 B1 KR 101177817B1 KR 1020100062119 A KR1020100062119 A KR 1020100062119A KR 20100062119 A KR20100062119 A KR 20100062119A KR 101177817 B1 KR101177817 B1 KR 10117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aintenance
bog
maintenance tank
in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371A (ko
Inventor
진종운
맹승범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7/00Tank or cargo hold cleaning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7/02Tank or cargo hold cleaning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by wa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17C2203/0379In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BOG로 탱크압력을 조절하면서 유지보수탱크를 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승온시의 BOG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를 검사 또는 수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유입된 습윤공기 제거용 건조공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건조공기 제거용 불활성기체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7 단계와, 상기 불활성기체 제거용 천연가스 증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냉각시의 BOG를 상기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STORAGE TANK MAINTENANCE METHOD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유지보수를 위한 절차적 방안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탱크를 구비한 각종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는 가스 상태에서 천연 가스의 동일한 양이 차지하는 부피의 약 1/600만을 차지하며,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비등점(주위 압력에서 -259℉)이하로 냉각시켜 만든다.
이러한 이유로 액화천연가스는 대기압 또는 그보다 다소 높은 압력에서 극저온 저장탱크에 보관된다.
보관된 액화천연가스는 온도를 상승시켜 다시 가스 형태로 변환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을 일반적으로 액화 가스 재기화 (Regasification) 과정이라 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육지에서 액화 가스의 재기화 작업을 하였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목적 항에 도착하면 육지에 기반을 둔 재기화 시설로 액화 가스를 보내고, 액화 가스는 극 저온 펌프에 의해 하적되어 액화 상태 또는 기체 상태로 보관되었다.
그러나 위험물에 대한 안전상의 요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위험시설을 사람이 거주하는 육지에 되도록 두지 않고 해상에 두는 경향을 가지게 된 후로부터, 액화 가스의 재기화 과정 역시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형태가 출현하게 되었고, 부유식 천연 가스 저장선(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 및 저장설비(LNG-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Floating LNG)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각광 받고 있다.
경우에 따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 shuttle)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유지보수 또는 수리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유지보수의 경우에는, 액화천연가스를 가득 실은 후 만재 항해(laden voyage) 과정을 거쳐 하역터미널에서 LNG를 하역하는 방식으로 운항되다가 해당 저장탱크의 규정에 정립된 절차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서 모두 비운 상태로 수리터미널에서 유지보수가 진행될 수 있다.
반면,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연중 내내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생산된 천연가스를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한 후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으로 옮겨 싣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저장탱크를 가득 채우거나 비우는 방식으로 양,하역하는 액화천연가스 수송선과는 달리, 생산된 소량의 액화천연가스 양만큼 저장하는 운용(operation)이 연중 내내 이루어져야 하며, 용선주 입장에서 저장탱크내 문제로 인하여 본선의 운용이 불가능하다면 그만큼 선주입장에서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 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문제가 생긴 저장탱크에 대해서 유지보수를 수행하더라도, 다른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비등된 천연가스 또는 증발가스(Boil-off Gas, 이하 BOG로 통칭함)는 그대로 대기중에 벤트시키고 있어서, 선주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고, 환경오염의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계속해서 운용(operation)하면서 문제가 발생된 저장탱크만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절차적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측 저장탱크의 유지보수시, 타측 저장탱크의 운용을 통해 발생되는 BOG를 대기중 벤트시키지 않고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topside) 쪽으로 보내어 상부설비에서 이용하도록 하여 경제적 손실 문제와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BOG로 탱크압력을 조절하면서 유지보수탱크를 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승온시의 BOG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를 검사 또는 수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유입된 습윤공기 제거용 건조공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건조공기 제거용 불활성기체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7 단계와, 상기 불활성기체 제거용 천연가스 증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냉각시의 BOG를 상기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의 BOG는 운용탱크로부터 탱크압력 조절을 위해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BOG는 BOG라인과 제1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의 BOG는 유지보수탱크의 화물창 액체 라인과 하이듀티 압축기 사이의 웜업 라인으로부터 콜드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까지 연장된 제2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9 단계의 BOG는 유지보수탱크의 화물창 증기 라인과 가스 압축기 사이의 다른 BOG라인으로부터 콜드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까지 연장된 제3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계속해서 운용(operation)하면서 문제가 발생된 저장탱크만을 유지보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측 저장탱크의 유지보수시, 타측 저장탱크의 운용을 통해 발생되는 BOG를 상부설비에서 이용하도록 함에 따라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유지보수를 위해 수리터미널로 회항시킬 필요 없이 해상에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 연중 내내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i는 도 1에 도시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와 하부설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용탱크의 BOG를 공급받아 탱크압력을 조절하면서 유지보수탱크를 비우는 제1 단계(S10)와, 유지보수탱크의 승온시의 BOG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2 단계(S20)와,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inert gas)를 주입하는 제3 단계(S30)와,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dry air)를 주입하는 제4 단계(S40)와, 유지보수탱크를 검사 또는 수리하는 제5 단계(S50)와, 제5 단계(S50)에서 유입된 습윤공기(humid air)를 제거하기 위해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6 단계(S60)와, 제6 단계(S60)의 건조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7 단계(S70)와, 제7 단계(S70)의 불활성기체를 제거하기 위해 유지보수탱크에 천연가스 증기를 주입하는 제8 단계(S80)와, 유지보수탱크의 냉각시의 BOG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9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i는 도 1에 도시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와 하부설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상부설비(100)(topside)와, 하부설비(200)(hullside)와,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설비(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설비(100)는 BOG압축장치(101)와, 액화장치(102)와, 전력발전장치(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상부설비(100)는 가스나 고휘발성 액체의 증기를 연소시켜서 대기중에 방출시키는 플레어(flare) 타워(tower) 또는 스택(stack)인 가스연소유닛(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설비(200)는 복수개의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복수개의 저장탱크 중, 화물창에서 문제가 발생되거나 정규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어느 한 저장탱크인 유지보수탱크(300)와, 운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저장탱크인 운용탱크(310)로 한정하여 설명할 뿐, 하부설비(200)의 저장탱크가 유지보수탱크(300)와 운용탱크(310)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설비(200)는 액체화물의 생산 또는 저장 등의 운용 중 발생하는 각종 기체를 처리하여 대기 중에 방출하는 벤트마스트(210)(vent mast), 불활성기체 또는 건조공기를 생산 또는 공급 또는 관리하는 기체플랜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설비(interface)는 각종 배관, 밸브, 센서, 각종 제어기, 펌프를 비롯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연결 설비 또는 장치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탱크(300) 또는 운용탱크(310)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선적(loading) 또는 하역(unloading)시키기 위한 언로딩 또는 로딩 칼럼을 갖는 화물창 액체(liquid) 라인(L)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화물창 액체 라인(L)의 입출 부위는 유지보수탱크(300) 또는 운용탱크(3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인 유지보수탱크(300) 또는 운용탱크(310)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화물창 증기 돔(vapor dome) 또는 화물창 증기 라인(V)이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물창 증기 라인(V)의 입출 부위는 유지보수탱크(300) 또는 운용탱크(3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설비(20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듀티(high duty) 압축기(230), 웜업(warm-up) 히터(240), 쿨러, 기액분리기, 기화기(250)(도 2h 참조), 탱크 내부의 스프레이 장치(260) 또는 탱크 외부의 가스 압축기(270)(도 2i 참조) 등을 비롯한 제반적인 액화천연가스 생산 또는 저장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런 본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상기 언급하고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단계(S10 ~ S90)들을 통해서, 유지보수탱크(300)의 검사 또는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의 시작 전후, 유지보수 중간, 유지보수의 종료 전후에도 운용탱크(310) 및 상부설비(100), 하부설비(200), 인터페이스설비를 통해서, 극단의 경우를 제외하고, 쉼 없이 연속적으로 액화천연가스의 생산 또는 저장 또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90) 쪽으로의 트라이얼 또는 양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언급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에 대해서 단계별 대응되는 도 2a 내지 도 2i의 블록도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유지보수탱크를 비우는 제1 단계( S10 )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0)는 유지보수탱크(300)를 완전히 하역(unloading)시키는 과정으로서, 스트리핑(stripping), 즉 비우려고 하는 유지보수탱크(300)에서 펌프(도시 안됨)로 액화천연가스를 운용탱크(310) 쪽으로 하역시킴과 동시에 운용탱크(310)의 BOG를 유지보수탱크(300)의 내부로 공급시켜 유지보수탱크(300)의 탱크압력을 조절하면서, 유지보수탱크(300)를 비우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탱크압력의 조절에 의해 유지보수탱크(300)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유지보수탱크(300)를 비우는 과정에서 발생된 BOG는 종전 방식에 상응한 점선 라인을 통해 가스연소유닛(104)에서 연소되거나, 또는 벤트마스트(210)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은 대신, BOG라인(201)과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 사이에 연결된 제1 상부설비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상부설비(100) 쪽으로 보내질 수 있다.
즉, 운용탱크(310)의 BOG는 탱크압력 조절을 위해 유지보수탱크(3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유지보수탱크(300)의 BOG는 BOG라인(201)과 제1 상부설비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런 와중에도, 본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100)는 운용탱크(310)를 통해 정상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승온시 BOG 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2 단계( S20 )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단계(S20)는 하역(unloading) 중 유지보수탱크(300)의 액화천연가스 일부를 하이듀티 압축기(230), 웜업 히터(240)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천연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천연가스는 유지보수탱크(300)의 화물창 증기 라인(V)을 통해 주입되어 유지보수탱크(300)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이때, 다른 운용탱크(310)는 본 유지보수탱크(300)의 유지보수 작업과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생산 또는 저장에 관한 운용을 수행하고 있을 수 있다.
특히, 제2 단계(S20)에서 생길 수 있는 BOG 중 탱크압력 조절을 하고 남은 BOG도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은 대신, 전력 생산 등을 위해 상부설비(100) 쪽으로 보내질 수 있다.
이때, 제2 단계(S20)의 BOG는 유지보수탱크(300)의 화물창 액체 라인(L)과 하이듀티 압축기(230) 사이의 웜업 라인(202)으로부터 콜드(cold)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105)까지 연장된 제2 상부설비 연결배관(401)을 통해서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부설비 연결배관(401)은 본 실시예의 제2 단계(S20)의 특징 있는 핵심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종전처럼 BOG를 공기중에 배출하여 낭비시키지 않는 대신,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에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제2 단계(S20)에서 발생되는 BOG를 전력 생산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제2 단계(S20)가 진행되는 도중에 유지보수탱크(300)의 온도가 승온되고, 이로 인하여 유지보수탱크(300)내에서 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런 와중에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100)는 운용탱크(310)를 통해 정상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생성 또는 저장하거나, 상기 BOG와 전력발전장치(103)를 이용하여 전력 생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설비(100)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90) 쪽으로 가스 트라이얼 또는 양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3 단계( S30 )
도 2c를 참조하면, 제3 단계(S30)는 기체플랜트(220)에서 생산된 불활성기체(inert gas)를 화물창 액체 라인(L)을 통해서, 상기와 같이 승온이 끝난 유지보수탱크(300)에 주입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때, 제2 단계(S20)에서 생성된 유지보수탱크(300)내 증기는 불활성기체에 의해 퍼징(purging)되어서 화물창 증기 라인(V)을 통해 유지보수탱크(300)를 빠져나온 후, 벤트마스트(210) 또는 가스연소유닛(10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4 단계( S40 )
도 2d를 참조하면, 제4 단계(S40)에서는 기체플랜트(220)가 건조공기 공급 모드(mode)로 변경하여 불활성가스 대신 건조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 대신 생성된 건조공기는 화물창 증기 라인(V)을 통해서 유지보수탱크(300)에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단계(S30)에서 주입된 유지보수탱크(300)내 불활성가스는 건조공기에 의해 퍼징(purging)되어서 화물창 액체 라인(L)을 통해 유지보수탱크(300)를 빠져나온 후, 역시 벤트마스트(210) 또는 가스연소유닛(10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결국, 유지보수탱크(300)의 내부는 건조공기로 채워져서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를 검사 또는 수리하는 제5 단계( S50 )
도 2e를 참조하면, 제5 단계(S50)에서는 작업자가 액세스 통로를 개방시켜 유지보수탱크(300)의 내부로 들어가서 검사 또는 수리 등과 같이 각종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유지보수가 유지보수탱크(300)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운용탱크(310)에서는 본 유지보수탱크(300)의 유지보수 작업과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생산 또는 저장에 관한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유지보수가 끝난 경우, 작업자는 유지보수탱크(300)를 빠져나오고 액세스 통로는 폐쇄될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6 단계( S60 )
도 2f를 참조하면, 제6 단계(S60)는 유지보수가 완료된 유지보수탱크(300)를 다시 가동 또는 운용(operation)하기 위해 준비하는 첫 단계일 수 있다.
제6 단계(S60)에서는 대기상태인 유지보수탱크(300)내 습윤공기(h)를 제거하기 위해서, 기체플랜트(220)가 상대적으로 습윤공기(h)에 비해 밀도가 큰 건조공기(d)를 생성 할 수 있다.
생성된 건조공기(d)는 화물창 액체 라인(L)을 통해 유지보수탱크(300)에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공기(d)에 의한 유지보수탱크(300)내 퍼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7 단계( S70 )
도 2g를 참조하면, 제7 단계(S70)는 유지보수탱크(300)내 건조공기(d)를 불활성기체(e)로 치환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즉, 제7 단계(S70)에서는 유지보수탱크(300)내 건조공기(d)를 제거하기 위해서, 기체플랜트(220)가 건조공기(d) 대신에 불활성기체(e)를 생성 할 수 있다.
생성된 불활성기체(e)는 화물창 액체 라인(L)을 통해 유지보수탱크(300)에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활성기체(e)에 의한 유지보수탱크(300)내 퍼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보수탱크에 천연가스 증기를 주입하는 제8 단계( S80 )
도 2h를 참조하면, 제8 단계(S80)는 유지보수탱크(300)내 불활성기체(e)를 천연가스 증기(n)로 퍼징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설비(100)의 액화장치(102)에서 생산된 액화천연가스(u)는 운용탱크(310)의 화물창 액체 라인(L)을 경유하여 기화기(250)로 공급되어 천연가스 증기(n)로 변환될 수 있다.
천연가스 증기(n)는 기화기(250)로부터 나와 유지보수탱크(300)의 화물창 증기 라인(V)을 통해 유지보수탱크(300)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연가스 증기(n)에 의한 유지보수탱크(300)내 퍼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제8 단계(S80)가 이루어지더라도, 유지보수탱크(300)의 온도는 액화천연가스를 선적할 수 없을 정도로 다소 높은 상태일 수 있다.
냉각시 BOG 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9 단계( S90 )
도 2i를 참조하면, 제9 단계(S90)는 운용탱크(310)에 있는 액화천연가스를 유지보수탱크(300)의 스프레이 장치(260)를 통해 유지보수탱크(300) 내부에 뿌려줌으로써 유지보수탱크(300)가 액화천연가스를 선적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일 수 있다.
특히, 제9 단계(S90)에서 생길 수 있는 BOG는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은 대신, 상부설비(10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9 단계(S90)의 BOG는 유지보수탱크(300)의 화물창 증기 라인(V)과 가스 압축기(270) 사이의 다른 BOG라인(203)으로부터 콜드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105)까지 연장된 제3 상부설비 연결배관(402)을 통해서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상부설비 연결배관(402)은 본 실시예의 제9 단계(S90)의 특징 있는 핵심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종전처럼 BOG를 공기중에 배출하여 낭비시키지 않는 대신, 상부설비(100)의 BOG압축장치(101)에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제9 단계(S90)에서 발생되는 BOG를 전력 생산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제9 단계(S90)가 마무리될 경우, 유지보수탱크(300)는 다른 운용탱크(310)와 동일하게 액화천연가스를 선적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상부설비 200 : 하부설비
300 : 유지보수탱크 310 : 운용탱크

Claims (4)

  1. BOG로 탱크압력을 조절하면서 유지보수탱크를 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승온시의 BOG를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불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에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를 검사 또는 수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유입된 습윤공기 제거용 건조공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건조공기 제거용 불활성기체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7 단계와,
    상기 불활성기체 제거용 천연가스 증기를 유지보수탱크에 주입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냉각시의 BOG를 상기 상부설비에 공급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의 BOG는
    운용탱크로부터 탱크압력 조절을 위해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BOG는 BOG라인과 제1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BOG는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화물창 액체 라인과 하이듀티 압축기 사이의 웜업 라인으로부터 콜드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까지 연장된 제2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의 BOG는
    상기 유지보수탱크의 화물창 증기 라인과 가스 압축기 사이의 다른 BOG라인으로부터 콜드 액화천연가스 증기라인까지 연장된 제3 상부설비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상부설비의 BOG압축장치에 유입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KR1020100062119A 2010-06-29 2010-06-29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KR10117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19A KR101177817B1 (ko) 2010-06-29 2010-06-29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19A KR101177817B1 (ko) 2010-06-29 2010-06-29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71A KR20120001371A (ko) 2012-01-04
KR101177817B1 true KR101177817B1 (ko) 2012-08-28

Family

ID=4560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19A KR101177817B1 (ko) 2010-06-29 2010-06-29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063A (ko) * 2014-02-21 2015-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불활성 및 통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18B1 (ko) * 2012-05-31 2014-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lng 및 lpg 저장탱크의 유지보수 시스템
JP6037846B2 (ja) * 2013-01-23 2016-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除去設備、ガス除去船、タンクからのガス除去方法
KR102201245B1 (ko) * 2014-03-10 2021-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워밍 업 장치
KR102374659B1 (ko) * 2020-07-31 2022-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KR102374653B1 (ko) * 2020-07-31 2022-03-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벙커링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464A1 (en) 1995-09-13 1997-03-19 Igor Reshetnikov Floating facility for recovery of oily residues generated during tank washing in tanker ships
KR200439723Y1 (ko) 2006-12-18 2008-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된 질소가스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464A1 (en) 1995-09-13 1997-03-19 Igor Reshetnikov Floating facility for recovery of oily residues generated during tank washing in tanker ships
KR200439723Y1 (ko) 2006-12-18 2008-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된 질소가스 공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063A (ko) * 2014-02-21 2015-08-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불활성 및 통기 시스템, 및 방법
KR102201246B1 (ko) * 2014-02-21 2021-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불활성 및 통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71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817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저장탱크 유지보수 방법
KR20100112708A (ko) 질소를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치환방법
KR102297865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20170031429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236753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설비 테스트 방법
KR20100112829A (ko) 질소를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치환장치
KR20150116256A (ko) Lng 저장탱크의 가스 필링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3894U (ko) 카고 탱크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763708B1 (ko) 액화가스 저장 선박
CN111344515B (zh) 用于针对执行对水密热绝缘罐进行冷却的方法确定至少一个参数的最优值的方法
KR102469960B1 (ko) 벙커링 선박
KR101499902B1 (ko) 재기화장치를 갖는 해양구조물 및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lng 저장탱크를 운용하는 방법
KR101491717B1 (ko) Lng 저장탱크를 갖는 해양구조물 및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기 lng 저장탱크를 운용하는 방법
KR20120060421A (ko) 부유식 선박의 가스 트라이얼 방법
KR2016012940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의 lng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5620A (ko) Bog 처리 방법 및 lng 운반선
KR101711966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201245B1 (ko) Lng 저장탱크 워밍 업 장치
KR101732614B1 (ko) 재액화 공정 테스트 장치
KR101610475B1 (ko) 저장탱크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403610B1 (ko) 재기화 장치를 구비한 lng rv
KR20230161591A (ko) 암모니아 연료 선박
KR102342200B1 (ko) 모듈형 벙커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69485B1 (ko) 안전밸브의 개폐방법
KR20230084414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