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095B1 -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095B1
KR101177095B1 KR1020110100920A KR20110100920A KR101177095B1 KR 101177095 B1 KR101177095 B1 KR 101177095B1 KR 1020110100920 A KR1020110100920 A KR 1020110100920A KR 20110100920 A KR20110100920 A KR 20110100920A KR 101177095 B1 KR101177095 B1 KR 10117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ylinder
coupled
pat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덕규
백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어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어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어베드
Priority to KR102011010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095B1/ko
Priority to PCT/KR2011/009039 priority patent/WO201207089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와 접촉되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분할하고 분할된 매트리스의 높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매트리스에 밀착되는 환자의 접촉부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장기간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캐스터가 구비되고, 프레임 승강부를 통해 승강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임 회동부를 통해 회전되어 환자의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2곳 이상의 회동부위를 가지는 가동 프레임;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환자와의 접촉부위가 가변되도록 환자가 안치되는 복수의 환자 안치부; 및 환자 안치부가 가동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환자 안치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환자 안치부를 교번되게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MEDICAL BED}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와 접촉되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분할하고 분할된 매트리스의 높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매트리스에 밀착되는 환자의 접촉부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장기간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매우 고령의 환자, 쇠약한 환자, 하반신마비와 사지마비 등의 마비환자, 신체 감각이 소실된 환자 등 체위를 스스로 바꾸지 못하는 중환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용변처리나 목욕 등을 해야한다.
또한, 최소한 1~2시간 이내의 간격으로 환자의 체위를 바꿔주지 않으면 욕창이 발병하는 원인이 되므로, 일정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거나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면서 피부 주위를 깨끗히 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변화시켜 욕창을 방지 수 있는 의료용 침대의 개발이 꾸준히 개발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특허 제10-0947374호 '의료용 침대'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스스로 체위를 바꾸지 못하는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환자와 침대가 접촉되는 부분에 승강 실린더를 이용하여 공간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환자의 신체 뒷부분에 혈액과 공기가 소통되게 하여 장기간 침대생활을 해온 환자에게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승강 실린더의 승강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승강 실린더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침대의 상체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회전시킬 때 침대의 힌지부위가 매트부재에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매트부재의 승강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가동 프레임의 작동시 힌지부위가 매트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캐스터가 구비되고, 프레임 승강부를 통해 승강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임 회동부를 통해 회전되어 환자의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2곳 이상의 회동부위를 가지는 가동 프레임;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환자와의 접촉부위가 가변되도록 환자가 안치되는 복수의 환자 안치부; 및 상기 환자 안치부가 상기 가동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환자 안치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환자 안치부를 교번되게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 승강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접합되는 고정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 회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 회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가 상기 개별 승강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중심이 상기 제2 힌지부의 회전중심보다 높게 형성되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용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공기압축탱크가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탱크고정브래킷이 형성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를 통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장을 통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를 상승시키는 제1 실린더;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를 통해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축을 통해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를 상승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가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 하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회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압축탱크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압축탱크에 구비되는 공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공압 레귤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개별 승강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루브리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프레임 회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회동부가 컴프레서에서 상기 공기압축탱크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되는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한 윤활유 순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에서 하강하는 로드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드부재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직경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부재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로드부재에 밀착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공기누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로드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패킹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확장홈부로 이루어지는 공기누출 방지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매트부재;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개별 승강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개별 승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환자 안치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 및 상기 제1 결합홈부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별 승강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단에 걸리고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걸리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분할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로 삽입되는 상기 개별 승강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후크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압축탱크에서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공압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실린더로드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로 이루어지는 힌지브래킷부재을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스터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 승강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와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승강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부재;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승강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제2 회전축부재; 및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상기 제2 회전축부재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상기 제2 회전축부재를 연결하는 연동부재로 이루어지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 안치부를 승강시키는 개별 승강부에서 탄성부재로 인한 소음발생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부재와 상체지지 프레임부재, 고정 프레임부재와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가 개별 승강부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가동 프레임의 작동시 힌지부위가 매트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는 슬리브부재를 통해 환자 안치부를 개별 승강부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부재에 의해 상호 연동되는 제1 회전축부재 및 제2 회전축부재의 회전을 통해 상부 프레임부재가 승강되므로, 프레임 승강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의료용 침대의 높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회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동 프레임, 프레임 회동부, 개별 승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안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지면에 이동되는 메인 프레임(100),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200),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가동 프레임(200)에 일렬로 배열되는 환자 안치부(300) 및 환자 안치부(300)를 교변되게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용 침대는 메인 프레임(100)을 승강시키기 위한 프레임 승강부(500) 및 가동 프레임(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프레임 회동부(600)를 더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지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캐스터(111)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부재(110) 및 프레임 승강부(500)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서 승강되도록 프레임 승강부(500)를 통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부 프레임부재(120)에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기(121)가 탈착되는 가이드레일(123)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부재(120)는 가이드레일(123)이 가동 프레임(2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부재(120)는 환자를 환자 안치부(300)에 용이하게 눕힐 수 있도록 프레임 승강부(500)에 의해 승강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환자의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로드셀(127)이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설치된다. 로드셀(127)은 상부 프레임부재(120)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며, 브래킷을 통해 프레임 승강부(500)와 힌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드셀(127)이 4개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승강부(500)는 상부 프레임부재(120)와 힌지 연결되도록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510) 및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어 회전부(51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 승강부(500)는 작동부재(520)의 작동을 통해 회전부(510)가 하부 프레임부재(110)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부 프레임부재(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510)는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부재(511) 및 제2 회전축부재(513), 제1 회전축부재(511)와 제2 회전축부재(513)를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힌지 연결하는 승강플레이트(515) 및 제1 회전축부재(511)와 제2 회전축부재(513)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재(517)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부(510)는 작동부재(520)가 작동하게 되면 제1 회전축부재(511)가 회전됨과 동시에 연동부재(517)를 통해 제2 회전축부재(513)가 제1 회전축부재(511)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부 프레임부재(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1 회전축부재(511)는 양단부에 승강플레이트(515)가 결합되고 양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이때, 작동부재(520)는 일단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1 회전축부재(511)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1 회전축부재(511)는 작동부재(520)에 의해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부재(120)와 힌지 결합된 승강플레이트(515)가 회전되어 상부 프레임부재(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제2 회전축부재(513)는 연동부재(517)를 통해 제1 회전축부재(511)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부 프레임부재(120)를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승강플레이트(515)가 결합되고 양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연동부재(517)는 일단 및 타단이 제1 회전축부재(511) 및 제2 회전축부재(513)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제1 회전축부재(511)와 제2 회전축부재(513)를 동시에 연동시킨다. 또한, 연동부재(517)는 제1 회전축부재(511) 및 제2 회전축부재(513)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동플레이트(519)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작동부재(520)로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랙 앤 피니언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 있다. 작동부재(520)로 랙 앤 피니언방식을 사용할 때에는 연동부재(517)에 랙을 형성하고 피너언을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설치한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동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설치되어 프레임 회동부(600)를 통해 회전되어 환자의 상체 및 하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동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부재(210),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 및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 및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는 고정 프레임부재(210)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고정 프레임부재(210)는 공기압축탱크(24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탱크고정브래킷(24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부재(210)는 제1 힌지부(250)를 통해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와 힌지 결합되고, 제2 힌지부(260)를 통해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1 힌지부(250)와 제2 힌지부(260)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가 회전될 때 환자 안치부(300)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개별 승강부(400)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1 힌지부(250)는 가동 프레임(200)의 상면에서 힌지의 회전중심까지의 높이(h1)가 가동 프레임(200)의 상면에서 제2 회전부(510)의 힌지 중심까지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 힌지부(250)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어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가 거상되어도 제1 힌지부(250)가 환자 안치부(300)에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제1 힌지부(250) 및 제2 힌지부(260)가 개별 승강부(400)의 내측에 형성되어 가동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의료용 침대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고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는 일단이 제2 힌지부(260)를 통해 고정 프레임부재(2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링크(231)를 통해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는 환자의 무릎을 구부릴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분할되어 힌지 연결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부재(120)에는 개별 승강부(400)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수용되도록 수용 케이스(125)가 형성되된다. 더하여, 상부 프레임부재(12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23)은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동 프레임(200)을 작동하기 위한 프레임 회동부(600)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를 승강시키는 제1 실린더(610),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를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620)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610)는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630)를 통해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메인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실린더(610)는 실린더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를 거상(상승)시킨다.
제2 실린더(620)는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630)를 통해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메인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실린더(620)는 실린더로드의 수축을 통해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를 상승시킨다.
힌지브래킷부재(630)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와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힌지브래킷부재(630)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220)와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23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631), 제1 실린더(610) 및 제2 실린더(620)의 실린더로드가 결합되도록 결합플레이트(631)에서 가동 프레임(20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63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힌지브래킷부재(630)는 연결 브래킷(633)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로 실린더로드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므로, 실린더로드와 안정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그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 회동부(600)는 작동부재(520), 제1 실린더(610), 제2 실린더(620), 개별 승강부(400)로 압축공기를 원활하고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컴프레서, 공기압축탱크(241), 공압 레귤레이터(640), 루브리케이터(650)(Lubricator) 및 윤활유 순환부재(660)를 더 포함한다.
컴프레서는 메인 프레임(100)의 수용 케이스(125)에 내장되어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저감된다. 그리고 컴프레서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공기압축탱크(241)로 공급되어 압축된 후 작동부재(520), 제1 실린더(610), 제2 실린더(620), 개별 승강부(400)로 공급된다.
또한, 컴프레서에서 공기압축탱크(241)로 공급되는 공기는 윤활유 순환부재(660)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윤활유가 필터에 필터링 된 후, 윤활유 순환부재(660)의 바이 패스 홀에 연결된 관을 통해 다시 컴프레서로 순환된다. 이로 인하여, 공기압축탱크(241)로 보다 깨긋한 공기가 공급될 뿐만 아니라, 컴프레서 내부의 윤활유가 감소하는 것이 방지되어 컴프레서의 내구성과 성능을 오래 시간 유지할 수 있다. 즉, 공기의 배출로 인하여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윤활유가 윤활유 순환부재(660)에 의해 컴프레서의 내부로 순환되므로, 컴프레서의 사용 기간이 연장된다.
공압 레귤레이터(640)는 공기압축탱크(241)에서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620) 및 개별 승강부(4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공기압축탱크(241)에 구비된다.
루브리케이터(650)는 공압 레귤레이터(640)에 결합되어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620) 및 개별 승강부(400)로 공급되는 공기에 윤활유가 함유시킨다.
한편, 프레임 회동부(600)는 공기압축탱크(241)에서 개별 승강부(4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공압 감지센서(도시생략)를 더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환자 안치부(300)는 개별 승강부(400)를 통해 가동 프레임(200)에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어 각각이 개별적으로 승강된다.
이러한, 환자 안치부(300)는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310), 이 플레이트부재(3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매트부재(320) 및 개별 승강부(400)와 결합되는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결합부(330)는 플레이트부재(310)가 가동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개별 승강부(400)의 이격 거리에 따라 개별 승강부(400)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플레이트부재(3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330)는 플레이트부재(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331) 및 제1 결합홈부(3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플레이트부재(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부(333)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부(330)는 제2 결합홈부(333)의 이격거리가 제1 결합홈부(331)의 이격거리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별 승강부(400)의 설치 거리가 변화되어도 환자 안치부(300)를 개별 승강부(4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30)는 개별 승강부(400)가 제1 결합홈부(331) 및 제2 결합홈부(333)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제1 결합홈부(331) 및 제2 결합홈부(333)에 결합되는 슬리브부재(340)를 더 포함한다.
슬리브부재(340)는 하단부가 플레이트부재(310)의 하단에 걸리고 상단부가 제1 결합홈부(331) 및 제2 결합홈부(333)에 삽입되어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슬리브부재(340)는 길이방향으로 슬롯(341)이 형성되어 제1 결합홈부(331) 및 제2 결합홈부(333)에 삽입되는 고정되는 후크(343) 및 후크(343)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45)로 구성된다.
후크(343)는 슬롯(341)을 통해 직경방향으로 압축 및 이완되어 제1 결합홈부(331) 및 제2 결합홈부(333)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걸림돌기(345)는 후크(343)로 삽입되는 개별 승강부(400)가 매트부재(320)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개별 승강부(400)를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리브부재(340)가 플레이트부재(3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플레이트부재(310)를 사출 성형할 때 슬리브부재(34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개별 승강부(400)는 플레이트부재(310)의 결합부(330)와 결합되도록 가동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개별 승강부(400)를 2개가 쌍을 이루도록 플레이트부재(3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각각의 환자 안치부(300)를 교번되게 개별적으로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개별 승강부(400)는 환자 안치부(300)를 안정되게 되게 승강시킴과 동시에 소음발생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개별 승강부(4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통해 가동 프레임(20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410), 실린더부재(4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재(420), 실린더부재(410)와 로드부재(42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430) 및 탄성부재(430)가 지지되는 가이드부재(440)를 포함한다. 이때, 개별 승강부(400)는 볼트를 통해 가동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410)의 결합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공기공급호스의 결합방향을 가동 프레임(200)의 내측에서 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호스의 결합방향을 각기 다르게 할 수 있어 실린더부재(410)에 공기공급호스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승강부(400)는 실린더부재(410)와 로드부재(4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공기누출 방지부(450)를 더 포함한다.
실린더부재(410)는 원통형상의 실린더(411), 실린더(411)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커버(413) 및 하부커버(415)를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커버(413) 및 하부커버(415)에는 가이드부재(440)가 각각 결합되고, 상부커버(413)에는 공기누출 방지부(450)가 설치된다.
실린더(411)는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로드부재(420)가 하강하면서 플레이트부재(310)를 하강시킨다.
로드부재(420)는 상부커버(413)를 관통하여 슬리브부재(340)에 삽입되는 로드(421)와, 로드(421)에 결합되어 실린더(411)로 공급되는 공압 및 탄성부재(430)에 의해 실린더(411)에서 승강되며, 로드(421)와 결합되어 로드(421)를 이동시키는 피스톤헤드(423)로 이루어진다. 이때, 피스톤헤드(423)는 상부커버(413)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면에 완충부재(425)가 결합된다. 완충부재(425)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로드(421)와 상부커버(413) 사이를 밀폐시키는 공기누출 방지부(450)는 실린더(41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로드(421)에 밀착되면서 상부커버(413)와 로드(421) 사이를 보다 긴밀하게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공기누출 방지부(450)는 로드(421)와 상부커버(413)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부재(451) 및 실린더(41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패킹부재(451)가 로드(421)에 밀착되도록 패킹부재(451)의 하면에 형성되는 확장홈부(453)로 이루어진다. 즉, 공기누출 방지부(450)는 실린더(4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확장홈부(453)로 유입되어 패킹부재(451)를 확장시킨다. 이로 인하여, 패킹부재(451)가 로드(421) 및 상부커버(413)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로드(421)와 상부커버(413)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더하여, 공기누출 방지부(450)는 로드(421)의 승강을 원활하게 하고 로드(421)를 가이드하도록 패킹부재(451)의 상측에 결합되는 부시(455)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440)는 상부커버(413) 및 하부커버(415)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부재(43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경사부(44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440)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부재(430)는 상단에 상부커버(413)가 삽입되고, 하단에 하부커버(415)가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430)가 가이드부재(440)의 경사부(441)에 의해 상부커버(413) 및 하부커버(415)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개별 승강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시생략)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개별 승강부의 승강 주기를 세팅한 후,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컨트롤러에는 의료용 침대로 공급되는 전기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가 구비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510)는 제2 회전축부재(513)의 회전을 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512)를 더 포함한다.
완충지지부재(512)는 제2 회전축부재(513)에 형성되어 제2 회전축부재(513)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지지브래킷(512a),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구비되어 회전 지지브래킷(512a)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접촉부재(512b), 이 접촉부재(512b)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12c) 및 접촉부재(512b)의 상하이동과 탄성부재(512c)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512d)를 포함한다.
이때, 접촉부재(512b)는 하면에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512d)에 삽입된다. 탄성부재(512c)는 가이드부재(512d)에 삽입되며, 상단이 접촉부재(512b)의 하면에 접촉된다. 또한, 접촉부재(512b)의 단부에는 베어링(B)이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지지부재(512)는 탄성부재(512c)의 압축을 통해 작동부재(520)가 완전하게 수축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완을 통해 작동부재(520)의 신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축부재(513)를 밀어주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부 프레임부재(510)의 승강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하부 프레임부재
120 : 상부 프레임부재 200 : 가동 프레임
210 : 고정 프레임부재 220 : 상체 지지 프레임부재
230 :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 240 : 탱크고정브래킷
250 : 제1 힌지부 260 : 제2 힌지부
300 : 환자 안치부 310 : 플레이트부재
320 : 매트부재 330 : 결합부
340 : 슬리브부재 400 : 개별 승강부
410 : 실린더 부재 420 : 로드부재
430 : 탄성부재 440 : 가이드부재
450 : 공기누출 방지부 451 : 패킹부재
453 : 확장홈부 500 : 프레임 승강부
510 : 회전부 520 : 작동부재
600 : 프레임 회동부 610 : 제1 실린더
620 : 제2 실린더 630 : 힌지브래킷부재
640 : 공압 레귤레이터 650 : 루브리케이터
660 : 윤활유 순환부재

Claims (19)

  1.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캐스터가 구비되고, 프레임 승강부를 통해 승강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임 회동부를 통해 회전되어 환자의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2곳 이상의 회동부위를 가지는 가동 프레임;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환자와의 접촉부위가 가변되도록 환자가 안치되는 복수의 환자 안치부; 및 상기 환자 안치부가 상기 가동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환자 안치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환자 안치부를 교번되게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개별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승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에서 하강하는 로드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드부재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직경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접합되는 고정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 회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 회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가 상기 개별 승강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중심이 상기 제2 힌지부의 회전중심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가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용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공기압축탱크가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탱크고정브래킷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납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회동부는,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를 통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장을 통해 상기 상체지지 프레임부재를 상승시키는 제1 실린더;
    실린더로드가 힌지브래킷부재를 통해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고 실린더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축을 통해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를 상승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가 상기 하지 지지 프레임부재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회동부는,
    공기압축탱크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공기압축탱크에 구비되는 공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공압 레귤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개별 승강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루브리케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회동부는,
    상기 컴프레서에서 상기 공기압축탱크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되는 윤활유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되는 윤활류를 상기 컴프레서로 재공급하기 위한 윤활유 순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승강부는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부재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로드부재에 밀착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공기누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누출 방지부는,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로드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패킹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확장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안치부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매트부재;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개별 승강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개별 승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
    상기 제1 결합홈부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부; 및
    상기 개별 승강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단에 걸리고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걸리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분할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로 삽입되는 상기 개별 승강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후크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회동부는 상기 공기압축탱크에서 상기 개별 승강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감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공압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래킷부재는,
    상기 가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실린더로드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캐스터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 승강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승강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와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양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승강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부재;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승강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제2 회전축부재; 및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상기 제2 회전축부재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부재와 상기 제2 회전축부재를 연결하는 연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축부재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KR1020110100920A 2010-11-24 2011-10-04 의료용 침대 KR10117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20A KR101177095B1 (ko) 2011-10-04 2011-10-04 의료용 침대
PCT/KR2011/009039 WO2012070898A2 (ko) 2010-11-24 2011-11-24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20A KR101177095B1 (ko) 2011-10-04 2011-10-04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095B1 true KR101177095B1 (ko) 2012-08-24

Family

ID=4688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20A KR101177095B1 (ko) 2010-11-24 2011-10-04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84A1 (ko) * 2014-09-19 2016-03-24 임영재 욕창 방지 장치
KR20160055642A (ko) 2014-11-10 2016-05-18 대광전력(주)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KR20180042048A (ko) * 2016-10-17 2018-04-25 노태진 기능성 침대
CN113367917A (zh) * 2021-04-28 2021-09-10 吴天赐 一种多功能妇产科护理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84A1 (ko) * 2014-09-19 2016-03-24 임영재 욕창 방지 장치
KR20160033941A (ko) * 2014-09-19 2016-03-29 임영재 욕창 방지 장치
KR101631468B1 (ko) 2014-09-19 2016-06-24 임영재 욕창 방지 장치
KR20160055642A (ko) 2014-11-10 2016-05-18 대광전력(주)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KR20180042048A (ko) * 2016-10-17 2018-04-25 노태진 기능성 침대
KR101885432B1 (ko) * 2016-10-17 2018-08-03 노태진 기능성 침대
CN113367917A (zh) * 2021-04-28 2021-09-10 吴天赐 一种多功能妇产科护理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095B1 (ko) 의료용 침대
KR100947374B1 (ko) 의료용 침대
US20110209284A1 (en) Rotating sleep surface transfer system
CN1957871A (zh) 一种电子自控翻身护理床以及自动翻身方法
CA2295027A1 (en) Bariatric bed
US20130086746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movable siderail assembly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US20180140490A1 (en) Tilt-Tip Moldable Total Care Bed
CN108524140A (zh) 一种新型护理床
CN110893139A (zh) 护理床
CN109223377A (zh) 一种可调节角度的护理床垫
KR100517816B1 (ko) 환자용 사워 트롤리
CN203107500U (zh) 护理床
CA2396200C (en) Bed comprising movably supported mattress pad
US20230200550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bed having multiple bed sections with independent control
KR101223769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CN211797340U (zh) 一种智能护理床平稳转移机构
CN209075219U (zh) 一种护理科用床下陪护床
JP6681955B2 (ja) 姿勢変更器具
WO2012070898A2 (ko) 의료용 침대
CN215193113U (zh) 一种胸腹手术用护理床
CN211356363U (zh) 护理床
CN219579261U (zh) 一种具有省力结构的护理床
CN211244190U (zh) 一种可折叠多功能治疗床
CN2817803Y (zh) 专门配套于床架内的厕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