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60B1 -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Google Patents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60B1
KR101176860B1 KR1020050021149A KR20050021149A KR101176860B1 KR 101176860 B1 KR101176860 B1 KR 101176860B1 KR 1020050021149 A KR1020050021149 A KR 1020050021149A KR 20050021149 A KR20050021149 A KR 20050021149A KR 101176860 B1 KR101176860 B1 KR 10117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ase
bottom case
portable compute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9739A (en
Inventor
이주현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860B1/en
Publication of KR2006009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바닥면(21)에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이 형성되는 바텀케이스(20)와, 상기 바텀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키보드덱(37)과, 상기 바텀케이스(20)와 키보드덱(3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이 관통됨에 의해 고정되는 스피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에는 본체부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드라이브안착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40)는 상기 바텀케이스(20), 키보드덱(37) 및 드라이브안착부(25)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안착되는데, 상기 키보드덱(37) 및 드라이브안착부(25) 일측에 상기 스피커(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의 발성유니트에서 발생된 진동이 휴대용 컴퓨터 내부의 주변 부품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주변부품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스피커케이스의 외면에 고정을 위한 구조가 없어 스피커가 소형화되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며, 스피커의 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ower appearan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ttom case 20 is formed with a guide boss 22 and a guide pin 24 on the bottom surface 21, coupled to the top of the bottom case 20 And a guide deck 22 and a guide pin 2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ront end of a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20 and the keyboard deck 37. )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40 which is fixed by being penetrated. A drive seat 2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to protrude into the main body, and the speaker 40 includes the bottom case 20, the keyboard deck 37, and the drive.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seating portion 25, the speaker 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keyboard deck 37 and the drive seating portion 2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speaker unit of the speaker is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parts inside the portable computer, so as not to disturb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parts. Miniaturiza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improving speaker performance.

휴대용 컴퓨터, 스피커, 장착, 진동 Portable computer, speaker, mounting, vibration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키보드덱을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keyboard deck removed.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피커를 하면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bottom.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바텀케이스 21: 바닥면20: bottom case 21: bottom surface

22: 가이드보스 24: 가이드핀22: guide boss 24: guide pin

25: 드라이브안착부 26: 전면벽25: drive seat 26: front wall

27: 수신윈도우 28: 스피커윈도우27: Receive window 28: Speaker window

30: 메인기판 32: 핀공30: main board 32: pin ball

34: 커넥터 37: 키보드덱34: connector 37: keyboard deck

40: 스피커 41: 스피커케이스40: speaker 41: speaker case

43: 발성유니트 45: 보스관통공43: vocal unit 45: boss through

47: 걸이편 47': 핀관통공47: hanger 47 ': through the pins

48: 공간형성돌부48: space formation protrusion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에 스피커를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mounting a speaker in the portable computer.

휴대용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특히 사운드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즉, 멀티미디어용으로 휴대용 컴퓨터가 사용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스피커가 휴대용 컴퓨터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1에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 내부 선단에 스피커가 장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As the performance of portable computers improves, the sound function is especially enhanced. That is, as a portable computer is used for multimedia, various kinds of speakers 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computer. 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mounted at an inner end of a main body of a portable computer.

이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1)는 바텀케이스(3)와 키보드덱(5)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바텀케이스(3)는 본체부(1)의 주로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키보드덱(5)은 상면을 형성한다. 본체부(1)의 양측면, 전면 및 배면은 상기 바텀케이스(3)와 키보드덱(5)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협력하여 형성한다.According to this, in the main body 1 of the portable computer, the bottom case 3 and the keyboard deck 5 form an appearance. The bottom case 3 forms a main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the keyboard deck 5 forms an upp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re 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edges of the bottom case 3 and the keyboard deck 5.

상기 바텀케이스(3)의 내부에는 메인기판(7)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판(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바텀케이스(3)와 키보드덱(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일측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9)가 설치된다.The main board 7 is installed inside the bottom case 3. A hard disk drive 9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3 and the keyboard deck 5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7.

한편, 상기 본체부(1)의 내부 선단에는 스피커(11)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11)의 외관은 스피커케이스(13)가 형성한다. 상기 스피커케이스(13)는 일반적으로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외면 곳곳에 체결편(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15)에는 체결공(15')이 형성되어 바텀케이스(3)의 보스가 삽입되거나 상기 바텀케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16)가 관통된다. 스크류(16)중 일부는 상기 메인기판(7)과 함께 바텀케이스(3)에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11 is installed at the inner end of the main body (1). The exterior of the speaker 11 is formed by a speaker case 13. The speaker case 13 is generally formed of a mold, and fastening pieces 15 are formed at various places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fastening hole 15 ′ is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15 so that a boss of the bottom case 3 is inserted or a screw 16 fastened to the bottom case is penetrated. Some of the screws 16 are fastened to the bottom case 3 together with the main substrate 7.

상기 스피커케이스(13)의 일면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발성유니트(17)가 구비된다. 상기 발성유니트(17)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소리로 만들어 내는 부분이다. 상기 발성유니트(17)의 전면은 상기 스피커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발성유니트(17)는 상기 바텀케이스(3)에 형성된 스피커윈도우(3')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스피커윈도우(3')에는 스피커그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피커그릴은 발성유니트(17)의 전면은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소리는 외부로 잘 전달되도록 구성된다.A voice unit 17 is provided to expose a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case 13. The speech unit 17 is a part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makes it into s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speech unit 17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case 13. The speech unit 17 is designed to b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window 3 'formed in the bottom case 3. A speaker grill (not shown)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speaker window 3 '. The speaker grill is configured so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while the front of the speech unit 17 is not visible.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위한 리시버가 위치되는 리시버안착부이고, 3"는 상기 리시버가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신윈도우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receiver seat where a receiver for a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and 3 ″ denotes a reception window for allowing the receiver to receive a signa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스피커(11)가 전기적 신호를 받아 소리를 만들어낼 때, 상기 발성유니트(17)에서는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발성유니트(17)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스피커케이스(13)가 상기 바텀케이스(3)에 스크류(16)로 체결되어 있음으로 해서, 거의 대부분이 바텀케이스(3)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바텀케이스(3)로 전달된 진동 은 상기 메인기판(7)등으로 전달된다. That is, when the speaker 11 generates the sound by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the voice unit 17 vibrates.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peech unit 17 is because the speaker case 13 is fastened to the bottom case 3 by a screw 16, so that most of the vibrations are transmitted toward the bottom case 3.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bottom case 3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ard 7 and the like.

이때, 상기 스피커(11)에서 발생된 진동중 일부는 상기 스피커(11)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9)로도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9)는 미세한 진동에도 그 동작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피커(11)가 고주파수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인 경우 하드디스크드라이브(9)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드디스크드라이브(9)의 헤드가 신호를 기록하거나 읽는 중에 전달되는 진동은 신호의 독취지연을 발생시키고, 심한 경우 하드디스크드라이브(9)의 디스크 표면에 물리적인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some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speaker 11 is also transmitted to the hard disk drive 9 installed adjacent to the speaker 11. In general, the hard disk drive 9 may be affected by the operation even in the slight vibration. In particular, when the speaker 11 generates a high frequency sound, the hard disk drive 9 may not operate properly. That is, vibration transmitted while the head of the hard disk drive 9 writes or reads the signal causes delay in reading the signal and, in severe cases, causes physical damage to the disk surface of the hard disk drive 9. .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스피커(11)의 스피커케이스(13) 외면에 체결편(15)이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스피커(11)의 설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since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15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13 of the speaker 11,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 relatively large space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speaker 11.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주변 부품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스피커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peaker mounting structure in which vibration generated in a speaker is not transmitted to peripheral compon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케이스의 외면에 돌출되는 구성을 제거하여 스피커의 장착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mounting the speaker by removing the configuration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에 설치된 스피커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speaker installed in a portable compu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바텀케이스와, 상기 바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키보드덱과, 상기 바텀케이스와 키보드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관통됨에 의해 고정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ower appearan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ttom case is formed with a guide boss and a guide pin on the bottom surface, the body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ottom case And a speaker that is fixed by penetrating the guide boss and the guide pi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and the keyboard deck.

상기 바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본체부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드라이브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바텀케이스,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안착되는데, 상기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 일측에 상기 스피커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is formed with a drive seat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body portion, the speaker is se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bottom case, the keyboard deck and the drive seat, the keyboard deck and the drive seat portion The speaker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스피커의 외면과 상기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0.2에서 0.4mm 사이의 값을 가진다.Th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and the keyboard deck and the drive seat has a value between 0.2 and 0.4 mm.

상기 스피커는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보스가 관통되는 보스관통공을 형성된 스피커케이스와,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이 스피커케이스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소리를 발생하는 발성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핀관통공이 형성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peaker comprises a speaker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forming a boss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oss penetrates, a speaker unit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case and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peaker case to generate sound, and the speaker case.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ook piece is formed through the pin through-hole.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바텀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벽의 내면에 접촉되는 공간형성돌부가 상기 발성유니트 양단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에는 상기 발성유니트에서 발생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스피커윈도우가 형성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cas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case is formed in the space forming protrus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forming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protruding on both ends of the voice unit, the front wall is formed in the voice unit A speaker window in which the generated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s formed.

상기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보스관통공과 핀관통공은 각각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치우쳐서 형성된다. The boss through hole and the pi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oss and the guide pin pass,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peaker case.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중앙에는 리시버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안착부와 대응되는 바텀케이스의 전면벽에는 수신윈도우가 형성된다. A receiver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eaker case, and a receiving window is formed on the front wall of the bottom cas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seating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의 발성유니트에서 발생된 진동이 휴대용 컴퓨터 내부의 주변 부품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주변부품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고, 스피커케이스의 외면에 고정을 위한 구조가 없어 스피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휴대용 컴퓨터 내부공간의 활용성이 커지며, 스피커의 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peaker unit of the speaker is not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parts inside the portable computer,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parts, the fix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Since there is no structure for the speaker, the size of the speaker is relatively small,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computer,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키보드덱을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피커를 하면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keyboard deck removed,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s shown in the lower direction, and FIG. 5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tional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텀케이스(20)는 주로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에는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스피커(40)가 유동되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 다. 물론 상기 바닥면(21)에는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과는 다른 기능을 하는 또 다른 보스(22')와 핀(2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은 상대적으로 상기 바텀케이스(20)의 선단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보스(22)는 아래에서 설명될 키보드덱(37)과 바텀케이스(20)를 체결하는 역할도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ottom case 20 mainly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computer. The guide boss 22 and the guide pin 24 ar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The guide boss 22 and the guide pin 24 each serve to allow the speaker 40 to be described below to be seated without flow. Of course, the bottom surface 21 is provided with another boss 22 ′ and a pin 24 ′ that function differently from the guide boss 22 and the guide pin 24. The guide boss 22 and the guide pin 24 are relatively form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bottom case 20. The guide boss 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keyboard deck 37 and a bottom case 20 to be described below. It also plays a role.

상기 바닥면(21)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드라이브안착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는 상기 바텀케이스(20)의 하면이 함몰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드디스크드라이브(36)가 설치된다.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 the drive seat 25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drive seat 25 is formed by rec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20. A hard disk drive 36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in the drive seat 25.

상기 바텀케이스(20)의 선단에는 전면벽(26)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벽(26)은 아래에서 설명될 키보드덱(38)의 선단쪽과 협력해서 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벽(26)에는 수신윈도우(27)와 스피커윈도우(28)가 형성된다. 상기 수신윈도우(27)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신호가 통과하는 부분이고, 상기 스피커윈도우(28)는 스피커(40)에서 발생된 소리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신윈도우(27)와 스피커윈도우(28)에는 각각 신호나 소리는 통과하면서 사용자가 내부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 즉 반투명창이나 스피커그릴 등이 설치된다.The front wall 2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bottom case 20. The front wall 26 cooperates with the tip side of the keyboard deck 38 to be described below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reception window 27 and a speaker window 28 are formed on the front wall 26. The reception window 27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and the speaker window 28 is a portion through which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40 passes. The reception window 27 and the speaker window 28 ar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user from accessing the inside while passing signals or sounds, that is, a translucent window or a speaker grill.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 상에는 메인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판(30)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메인기판(30) 상에는 또한 상기 가이드핀(24)이 관통하는 핀공(3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판(30)상에는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와 마주보게 커넥터(34)가 실장된다.The main board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The main board 30 is mounted wit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rtable computer. The pin hole 32 through which the guide pin 24 penetrates is also drilled on the main substrate 30. The connector 34 is mounted on the main board 30 so as to face the drive seat 25.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36)가 안착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6)는 각종 파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드디스크드라이브(36)는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의 일측을 관통해서 상기 커넥터(34)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기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hard disk drive 36 is seated in the drive seat 25. The hard disk drive 36 is a part in which various files are stored. The hard disk drive 36 penetrates one side of the drive seat 25 to insert the connector 34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0.

키보드덱(37)은 그 상면에 키보드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키보드덱(37)의 상면에는 키보드안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키보드덱(37)의 선단 중앙 부분에는 터치패드(39)가 구비된다.The keyboard deck 37 is a portion on which the keyboard is seated, and for this purpose, a keyboard seat 3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A touch pad 39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keyboard deck 37.

한편, 상기 바텀케이스(20)와 키보드덱(3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선단에는 스피커(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40)는 상기 스피커윈도우(28)가 형성된 전면벽(26)의 배면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40)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바꾸어 주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 바텀케이스(20)의 선단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전방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상기 스피커(40)는 주로 고음을 내는 것이다.Meanwhile, a speaker 4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20 and the keyboard deck 37. The speaker 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26 in which the speaker window 28 is formed. The speaker 40 is a par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In particular, the speaker 40,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case 20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mainly produces high sound.

상기 스피커(40)의 외관을 스피커케이스(41)가 형성한다.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일반적으로 몰드물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그 형상이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 전면벽(26), 키보드덱(37)의 하면 및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된다. 특히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에는 자중에 의해 안착되고, 상기 전면벽(26), 키보드덱(37)의 하면 및 상기 드라이브안착부(25)사이와는 거의 틈이 없이 접촉된다. 이들 사이의 틈은 대략 0.2에서 0.4m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상기 전면벽(26), 키보드덱(37)의 하면 및 드라이브안착부(25) 와 밀착되지는 않지만 거의 틈이 없이 접촉된다.The speaker case 41 forms the exterior of the speaker 40. The speaker case 41 is generally made of a mold. The speaker case 41 is formed in a spac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the front wall 26,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the drive seat 25, and the like. To be seated. In particular, the speaker case 41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by its own weight, the front wall 26,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and the drive seat 25 There is almost no contact between them. The gap between them is about 0.2 to 0.4 mm. Thus, the speaker case 41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all 26,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and the drive seat 25, but is in contact with almost no gap.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전면, 즉 상기 스피커윈도우(28)와 마주보는 면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발성유니트(43)가 설치된다. 상기 발성유니트(43)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바꿔주는 부분이다. 상기 발성유니트(43)의 전면은 상기 스피커윈도우(28)를 향한다. The voice unit 43 is installed to expose 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case 41,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speaker window 28. The speech unit 43 is a par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speech unit 43 faces the speaker window 28.

상기 스피커케이스(41)에는 보스관통공(45)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스관통공(45)에는 상기 가이드보스(22)가 삽입된다. 상기 보스관통공(45)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보스(22)가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즉, 보스관통공(45)과 가이드보스(22)의 사이에 틈새는 없으나 압입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 다시 말하면 보스관통공(45)의 내경이 가이드보스(22)의 외경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The boss case 45 is formed in the speaker case 41 penetrates up and down. The guide boss 22 is inserted into the boss through hole 45. The inner diameter of the boss through-hole 45 is such that the guide boss 22 can be inserted naturally. That is, there is no gap between the boss through-hole 45 and the guide boss 22, but not enough to be press-fitted. In other words, the inner diameter of the boss through-hole 45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boss 22.

상기 보스관통공(45)은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보스관통공(45)은 상기 스피커케이스(41)를 평면도로 볼 때, 선단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보스관통공(45)은, 도 4에서 보면,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하면 최선단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스관통공(45)을 스피커케이스(41)의 최선단에 위치시키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핀관통공(47')과 함께 스피커케이스(41)의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boss through hole 45 is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geometric center of the speaker case 41. In particular, the boss through-hole 45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front end when the speaker case 41 in a plan view. In fact, the boss through-hole 45, as seen in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of the speaker case 41 is located at the top. Positioning the boss through hole 45 at the top of the speaker case 41 is to minimize the flow of the speaker case 41 together with the pin through hole 47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일단부에는 걸이편(4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7)에는 핀관통공(47')이 천공된다. 상기 핀관통공(47')에는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된다. 상기 걸이편(47)은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일단부중 스피커케이스(41) 의 후단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관통공(45)과 핀관통공(47')이 스피커케이스(41)의 전후방향으로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스피커케이스(41)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hook piece 4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peaker case 41. The hook piece 47 is drilled with a pin through hole 47 '. The guide pin 24 is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47 '. The hook piece 47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eaker case 41 in one end of the speaker case 41. As described above, the boss through hole 45 and the pin through hole 47 ′ are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peaker case 41 so that the speaker case 41 does not flow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ore stably. To make it possible.

한편,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전면에는 상기 발성유니트(43)의 양단에 각각 공간형성돌부(48)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형성돌부(48)는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간형성돌부(48)는 상기 바텀케이스(20)의 전면벽 내면과 상기 키보드덱(37)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윈도우(28)의 후방에는 상기 공간형성돌부(48)와 키보드덱(37)등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상기 발성유니트(43)에서 나온 소리가 상기 스피커윈도우(28)로 가는 통로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speaker case 41, the space forming protrusions 48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voice unit 43, respectively. The space forming protrusion 48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from the front of the speaker case 41 to the front. The space forming protrusion 48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bottom case 20 and a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peaker window 28 by the space forming protrusion 48 and the keyboard deck 37. The space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ound from the speech unit 43 goes to the speaker window 28.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40)를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함에 있어 바텀케이스(20)나 키보드덱(37)등에 체결하지 않는다. 즉, 스피커케이스(41)가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과 전면벽(26), 키보드덱(37) 및 드라이브안착부(2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어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40 is not fastened to the bottom case 20, the keyboard deck 37, or the like in mounting inside the main body. That is, the speaker case 41 is naturally se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the front wall 26, the keyboard deck 37 and the drive seat 25.

이때,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외면은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과 전면벽(26), 키보드덱(37)의 하면 및 드라이브안착부(25)의 일측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이다. 이들의 접촉정도는 발성유니트(43)가 동작될 때 생기는 진동에 의해 스 피커케이스(41)와 이들 사이에서 2차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된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4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1 and the front wall 26 of the bottom case 20,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37 and one side of the drive seat 25, respectively. It is in a state. Their contact degree is designed so that secondary vibra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speaker case 41 and the vibration caus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voice unit 43 is operated.

상기 스피커(40)는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 그리고 보스관통공(45)과 걸이편(47)에 의해 바텀케이스(20)에 고정되는데, 그 하면은 자중에 의해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에 안착된다. The speaker 40 is fixed to the bottom case 20 by the guide boss 22, the guide pin 24, the boss through hole 45, and the hook piece 47, a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caused by its own weight. I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20.

그리고,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에 형성된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이 각각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보스관통공(45)과 걸이편(47)의 핀관통공(47')을 관통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그 설치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된다. 특히, 상기 보스관통공(45)은 스피커케이스(41)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핀관통공(47')은 스피커케이스(41)의 상대적으로 후단에 치우쳐 형성되어 스피커케이스(41)의 전후방향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uide boss 22 and the guide pin 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are the pins of the boss through hole 45 and the hook piece 47 of the speaker case 41, respectively. I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47 ',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In particular, the boss through-hole 45 is formed to be biased to the relatively front end of the speaker case 41, the pin through-hole 47 'is formed to be biased to the relatively rear end of the speaker case 41 speaker case 41 ), There is n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피커(40)를 본체부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체결하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스피커(40)의 발성유니트(43)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바텀케이스(20)나 키보드덱(37)으로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실제로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상기 바텀케이스(20)나 키보드덱(37)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아, 이들 사이에서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As such, since the speaker 40 is not fastened by using a screw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peech unit 43 of the speaker 40 is the bottom case 20 or the keyboard deck 37. Rarely delivered. In fact, the speaker case 4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case 20 or the keyboard deck 37, but is not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vibration is hardly transmitted between them.

특히, 상기 스피커케이스(41)는 상기 가이드보스(22)와 가이드핀(24), 바텀케이스(20)의 전면벽(26) 및 드라이브안착부(25)의 일측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과 키보드덱(37)에 의해 상하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고정된다.In particular, the speaker case 41 is to be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guide boss 22, the guide pin 24, the front wall 26 of the bottom case 20 and one side of the drive seat 25. It is prevented, and the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vented and fixed by the bottom surface 21 and the keyboard deck 37 of the bottom case 20.

한편, 상기 스피커케이스(41)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형성돌부(48)는 각각의 발성유니트(43)와 스피커윈도우(28)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간형성돌부(48), 바텀케이스(20)의 바닥면(21) 및 키보드덱(37)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발성유니트(43)에서 나온 소리는 상기 공간을 통과해서 상기 스피커윈도우(28)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윈도우(28)를 통과한 소리는 본체부의 외부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pace forming protrusions 48 formed on the front of the speaker case 41 form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each voice unit 43 and the speaker window 28. That is, in more detail, a space is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rotrusion 48,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bottom case 20, and the keyboard deck 37. Sound from the speech unit 43 passes through the space and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window 28.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speaker window 28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를 본체부의 내부, 즉 바텀케이스와 키보드덱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들 바텀케이스나 키보드덱에 체결하지 않고 고정하였다. 따라서, 스피커에서 발생된 진동이 바텀케이스나 키보드덱에 전달되는 것이 대부분 차단되어 스피커에 인접하여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부품이 설치되더라도 이들의 동작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피커가 고음을 내는 경우라 하더라도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동작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and the keyboard deck, without being fastened to these bottom cases or the keyboard deck. Therefore, most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case or the keyboard deck, and thus, even if a component such as a hard disk driv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peaker, it is possible to secure operational stability thereof. In particular, even if the loudspeaker produces high sound,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hard disk drive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를 바텀케이스나 키보드덱에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체결을 위한 구성이 스피커케이스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스피커케이스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므로, 휴대용 컴퓨터를 보다 경박단소화 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eaker does not need to be fastened to the bottom case or the keyboard deck, the structure for fastening does not have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Therefore, since th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peaker case is relatively reduc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rtable computer more compact and light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성유니트에서 나온 소리를 스피커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기 전에 소정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의 특성을 상대적으로 더 높여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from the speech unit passes through a predetermined space before transmit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window.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incre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Claims (7)

본체부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바텀케이스와,A bottom case forming a low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guide boss and a guide pi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바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키보드덱과,A keyboard deck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case to form an upp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상기 바텀케이스와 키보드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관통됨에 의해 고정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And a speaker fixed to the guide boss and the guide pi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case and the keyboard de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본체부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드라이브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바텀케이스,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안착되는데, 상기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 일측에 상기 스피커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is formed with a drive seat formed to protrude into the body portion, the speaker is se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bottom case, the keyboard deck and the drive seat, the keyboard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eck and the drive se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외면과 상기 키보드덱 및 드라이브안착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0.2에서 0.4mm 사이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3.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a space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and the keyboard deck and the drive seat has a value between 0.2 and 0.4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 includes: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보스가 관통되는 보스관통공을 형성된 스피커케이스와,A speaker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forming a boss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oss penetrates;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이 스피커케이스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소리를 발생하는 발성유니트와,A voice unit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case and having a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peaker case and generating sound;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핀관통공이 형성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peaker case and comprises a hook piece is formed through the pin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바텀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벽의 내면에 접촉되는 공간형성돌부가 상기 발성유니트 양단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에는 상기 발성유니트에서 발생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스피커윈도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cas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case space forming protrus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ends of the voice unit, respectively,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is formed with a speaker window through which the sound generated by the voice uni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스와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보스관통공과 핀관통공은 각각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치우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 [5]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the boss through hole and the pi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oss and the guide pin pas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peaker case,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케이스의 중앙에는 리시버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안착부와 대응되는 바텀케이스의 전면벽에는 수신윈도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장착구조. The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a receiver seat is formed at a center of the speaker case, and a reception window is formed on a front wall of the bottom cas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seat.
KR1020050021149A 2005-03-14 2005-03-14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KR101176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49A KR101176860B1 (en) 2005-03-14 2005-03-14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49A KR101176860B1 (en) 2005-03-14 2005-03-14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739A KR20060099739A (en) 2006-09-20
KR101176860B1 true KR101176860B1 (en) 2012-08-23

Family

ID=3763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149A KR101176860B1 (en) 2005-03-14 2005-03-14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8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466B1 (en) 2017-04-13 2019-09-25 조정권 A Frame Module for Fixing a Speaker Installed at a Computer Des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675A (en) 2001-09-26 2003-05-16 Lg Electronics Inc Computer with built-in spe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675A (en) 2001-09-26 2003-05-16 Lg Electronics Inc Computer with built-in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739A (en)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845B2 (en) Miniature speaker
EP1322134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loudspeaker
TW201415200A (en) Notebook computer
CN111818420A (en) Loudspeaker and terminal
KR101176860B1 (en)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KR19980083376A (en) Computer with component lock and component lock
US733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4211618A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2005080173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speaker device
JP4337052B2 (en) Housing structure of audio equipment
JP2891084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JPH07107583A (en) Structure for speaker mounting
US7061751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speaker
CN108933973B (en) Portable multifunctional sound equipment
KR100813302B1 (en) A speaker for computer
KR101136157B1 (en) Speaker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JPH11175191A (en)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incorporating speaker
US7648391B2 (en) Shaft lock socket system
JP2001306075A (en) Keyboard device
KR20060104242A (en) Speaker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KR200492435Y1 (en) Speaker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286210A (en) Sound box
KR19990060762A (en) Computer with component lock and component lock
KR200225443Y1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of voice converter
US6377534B1 (en) Optical disk drive assembly having a control panel mounted movably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