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11B1 -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11B1
KR101176511B1 KR1020100045341A KR20100045341A KR101176511B1 KR 101176511 B1 KR101176511 B1 KR 101176511B1 KR 1020100045341 A KR1020100045341 A KR 1020100045341A KR 20100045341 A KR20100045341 A KR 20100045341A KR 101176511 B1 KR101176511 B1 KR 10117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wire
memory alloy
shape memory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784A (ko
Inventor
신경민
명병철
렌조 세스타리
서동완
Original Assignee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신경민
Priority to KR102010004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51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76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preventing normal digestion, e.g. Bariatric or gastric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를 지난 음식물에 담즙이나 이자액의 혼합을 차단하여 십이지장에서의 영양분 흡수를 방지한 상태로 소장으로 유동시켜 소장의 소화운동을 통해 소화 및 영양분이 흡수됨으로써 영양분 흡수률을 최소화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확관부를 양쪽에 갖는형상기억합금스텐트, 상기 확관부가 형성된 형상기억합금스텐트의 끝단 외주면으로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홀이 형성된 둥근 구 형상의 지지스텐트를 끼워 양 끝단을 체결선으로 지그재그로 묶어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위의 끝단부터 십이지장을 통해 소장의 초입에 설치하여 음식물의 영양분을 십이지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소장에서만 소량 흡수하도록 하여 영양분의 과다 흡수를 방지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Stent for an obesity patient treatment}
본 발명은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를 지난 음식물에 담즙이나 이자액의 혼합을 차단하여 십이지장에서의 영양분 흡수를 방지한 상태로 소장으로 유동시켜 소장의 소화운동을 통해 소화 및 영양분이 흡수됨으로써 영양분 흡수률을 최소화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비만이란 의학적으로 자신의 체중을 키의 제곱값으로 나눈 것을 (kg/m2) 을 체질량지수라 하는데, 이 체질량지수의 값이 30 이상이 되는 경우를 동양인에서는 고도비만이라고 한다.
이러한, 단순체중과 함께 동양인의 경우 내장지방율, 복부지방율, 체지방률까지 자세히 검사하여 최종적으로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렇게, 고도비만이 되면 환자는 건강에 심각하게 악영향을 받게 되고, 대표적 비만 합병증이라고 할 수 있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등이 발생할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한다.
물론, 이런 병의 발병률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사망률도 단순 비만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며, 체중 감량 면에서 고도비만 이상은 소식과 운동으로 체중 감량에 성공하고 이를 장기간 유지할 가능성이 과체중인 사람에 비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통계적으로, 고도비만 환자들은 과체중인 사람에 비해 과격하고 극단적인 체중 감량 프로그램을 시도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에 따라 요요 현상이 올 확률이 월등히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고도비만 환자들이 식이요법, 운동, 행동, 습관의 교정 등의 보존적인 치료 방법에 실패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며 비만에 의해 생긴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지방간, 관절염, 수면중 무호흡증 등을 동반한 경우와 BMI 가 35 이상인 초고도비만의 경우, 여기에 동양인의 특징적인 비만의 형태인 심한 병적 복부비만 또한 고도비만으로 분류하여 수술적 고려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
즉, 수술적 방법인 위 절제술을 이용하게 되는데 위절제술은 위에서 중요한 소화기능을 하는 위의 전정부(antrum:하부)을 남기고 소만부 곡선을 따라 위가 늘어나는 대만부를 줄여 위를 튜브모양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 절제수술을 시술받을 경우 적은 양만 먹어도 쉽게 포만감이 들어 결과적으로 먹는 양이 줄어들어 과식과 폭식을 하지 못하게 되며, 수술 전 병적인, 강박적인 식욕이 있었던 경우 정상적인 식욕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 절제술은 비만 치료를 위한 수술은 수술 후 입원하거나 통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구토와 설사, 복부 탈장과 감염, 폐렴, 호흡기 질환 등이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위와 소장의 접합 시술이 잘못돼 위의 소화액이 새는 경우도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의료 비용도 증가해 비만 치료 수술과 6개월간의 후속 치료 비용보다 합병증으로 인한 추가적 비용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비만자들은 음식물의 섭취량을 조절하여 비만도를 감소시킬 경우 식용의 욕구를 참아야 하는 스트레스가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비만자들은 음식물의 섭취량을 조절하여 비만도를 감소시킬 경우 식용의 욕구를 참아야 하는 스트레스가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비만 환자들이 섭취한 음식물이 적은 양이라도 위, 십이지장, 작은창자에서 영양소를 모두 흡수하게 된다.
이로써, 비만 환자들이 아무리 적은 양의 음식물을 흡수하더라도 영양소게 원할하게 흡수됨으로써 비만도는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십이지장으로 유동된 음식물에 간과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를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야 할 음식물의 성분 중 일부분이 소장에서 흡수될 수 있는 영양분으로 변환되지 못한 상태로 소장으로 유동되어 소장에서는 일부분의 영양소만을 섭취하게 됨으로써 인체에 영양분이 정상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일부 제한하게 되어 비만인 사람일 경우에는 영양분의 섭취를 제약되어 비만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스텐트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위의 끝단부터 십이지장을 통해 소장의 초입에 설치하여 음식물의 영양분을 십이지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소장에서만 소량 흡수하도록 하여 영양분의 과다 흡수를 방지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경이 다르며 유문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곡률지게 스텐트를 제조하여 위의 유문에 걸리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별도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스텐트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유동으로 인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피막을 PTFE이나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담즙이나 이자액의 혼합방지와 지지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를 다수개로 생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되, 일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를 갖으며, 여러 개의 절곡단이 원주를 따라 확관부의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와 원통형 몸체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을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의 절곡단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을 연결하며,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제3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 엮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홀을 형성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球) 형태로 제조하되, 상기 중공홀을 통해 확관부가 형성된 후방측 원통형 몸체의 외주로 끼움시켜 양 끝단을 체결선으로 연결하고, 표면에 의료용 제3피막이 코팅된 지지스텐트를 구성하여, 상기 확관부의 곡률단은 위의 출구인 유문의 곡률 내벽에 걸림 지지되고, 상기 지지스텐트는 볼록한 구 표면이 유문과 인접하는 십이지장의 내벽을 지지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는 십이지장을 내강을 통과해 소장의 입구까지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위의 끝단부터 십이지장을 통해 소장의 초입에 설치하여 음식물의 영양분을 십이지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소장에서만 소량 흡수하도록 하여 영양분의 과다 흡수를 방지하여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직경이 다르며 유문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곡률지게 스텐트를 제조하여 위의 유문에 걸리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별도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스텐트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유동으로 인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피막을 PTFE이나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담즙이나 이자액의 혼합방지와 지지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의 일측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스텐트가 다수 개로 적용된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사시도,
도 5의 (a)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서 PTFE 재질의 제1와이어의 내측으로 제1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이며, (b)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에서 제1와이어의 외측으로 PTFE 재질의 제1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
도 6은 걸림, 지지스텐트의 제2,3와이어 및 공간부에 실리콘 재질의 제2,3피막이 형성된 일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관부가 적용된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의 일측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가 위, 십이지장에 시술된 시술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가 위, 십이지장에 시술된 부분 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만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는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11)를 다수개로 생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2)를 형성하되, 일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3)를 갖으며, 여러 개의 절곡단(14)이 원주를 따라 확관부(13)의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15)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원통형 몸체(15)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15a)을 코팅 처리한다.
즉,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이 내주면에 형성되면 위(200)를 지난 음식물이 와이어(11)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유동 마찰이 감소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면 담즙이나 이자액이 와이어(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3)와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13a)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확관부(13)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13b)을 코팅처리한다.
더불어, 상기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13c)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제3와이어(3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 엮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홀(32)을 형성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球) 형태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홀(32)을 통해 확관부(13)가 형성된 후방측 원통형 몸체(15)의 외주로 끼움시켜 양 끝단을 체결선(33)으로 연결하고, 표면에 의료용 제3피막(34)이 코팅된 지지스텐트(30)를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지지스텐트(30)는 제3와이어(3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31a)를 형성하고, 상/하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31b)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지지스텐트몸체(31c)로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스텐트(30)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3와이어(31)의 엮음 간격은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제조하는 와이어(11)의 엮음 간격보다 조밀하게 엮어 탄성력이 우수하도록 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지지스텐트(30)를 여러 개로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은 와이어(11)의 내주면(a 도면참조) 또는 외주면(b 도면참조)에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용 제2,3피막(13b)(34)은 확관부(13)나 지지스텐트(30)를 액상 실리콘에 침적, 소성하면 와이어(11)와 제3와이어(31)의 표면 및 와이어(11)가 엮어져 형성되는 마름모꼴 형태의 공간부(12)나 제3와이어(31)가 엮어져 형성되는 공간부(31a)를 폐쇄하는 막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은 위(200)의 출구인 유문(201)의 곡률 내벽에 걸림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텐트(30)는 볼록한 구 표면(35)이 유문(201)과 인접하는 십이지장(300)의 내벽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십이지장(300)을 내강을 통과해 소장(400)의 입구까지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관부(13)는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부분에서 반대측으로 직경이 증대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술장치인 카데터(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시술하게 된다.
도 1 및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카데터의 내부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내부에 삽입되어 위(200)의 내부를 통과해 위(200)의 유문(201)을 지나 십이지장(300)의 내부를 통과해 소장(400)의 시작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은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과 연장되는 쪽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곡률지게 형성되어 곡률 형태로 이루어진 유문(201)의 내측 벽면에 걸림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로써, 상기 확관부(13)는 곡률단(13a)이 유문(201)의 곡률된 내벽면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위(200)를 통과한 음식물이 확관부(13)와 유문(201)의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스텐트(30)는 유문(201)의 후방으로 근접하게 위치되는 십이지장(30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이렇게,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위(200)에 들어오면 위(200)에서 잘게 소화된 음식물은 확관부(13)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이 유문(201)의 곡률된 내벽면에 밀착되어 유동되는 음식물의 중량이나 속도에 의해 십이지장(30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은 확관부(13)와 유문(201)의 내벽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두 내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텐트(30)는 십이지장(300)의 내벽면을 탄성력으로 밀어서 밀착하여 확관부(13)와 함께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가 십이지장(30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확관부(13)와 지지스텐트(30)는 제2,3피막(13b)(34)가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소성이 된 실리콘은 연성이되 PTFE보다 탄성력이 우수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확관부(13)의 내부로 유동된 음식물은 원통형 몸체(15)를 지나 소장(400)으로 직접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음식물은 제1피막(15a)에 의해 담낭에서 배출되는 담즙과 이자에서 배출되는 이자액은 음식물과 혼합되지 못하고 소장(400)으로 함께 유동된다.
이로써, 상기 음식물과 담즙, 이자액의 혼합을 방지하여 십이지장(300)에서의 소화 및 영양분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영양분이 몸속에 축척되어 비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장(400)으로 이동한 음식물은 소장(400)에서의 소화 및 소량의 영양분을 흡수함으로써 인체의 활동에 필요한 최소의 영양분을 보충받을 수 있어 건강을 저해하지 않은 상태로 다이어트 효과 및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를 시술할 경우 비만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한 추가 설명 내용은 아래와 같다.
우선,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했을 경우 음식물이 소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인체의 소화기관은 입, 식도, 위, 십이지장, 작은창자, 큰창자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인체의 소화과정은 입 →식도 → 위 → 십이지장 → 작은창자 → 큰창자의 순서로 진행된다.
부연 설명하자면, 입으로 음식물이 들어가면 입 안에서는 침이 녹말을 분해합니다. 그리고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게 된다.
그리고, 먹은 음식물들은 식도를 통해 위로 운반이 된 후 위에서는 위액으로 음식물을 죽처럼 만들어서 그 단백질을 분해하여 죽 형태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후, 위에서 죽처럼 변한 음식물은 십이지장으로 유동되고 십이지장에서는 이자액하고 쓸개즙을 공급받아 음식물과 고루고루 섞이게 된다.
다음으로, 십이지장에서 작은창자로 유동된 음식물은 작은창자의 창자액과 섞어서 영양소를 분해하고 작은창자의 융털에서 영양소를 흡수한다.
마지막으로, 작은 창자에서 큰 장차자로 유동된 음식물은 큰창자에서 주로 물을 흡수한 후 남은 찌꺼기들은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스텐트가 시술되는 십이지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십이지장은 소장 중에서 위와 이어지는 부분으로 복벽의 뒤쪽에서 후복막에 붙어 있는 것으로, 십이지장의 길이는 약 25~30㎝정도로 상부?하행부?수평부?상행부로 나누어지며, 하행부에 있는 십이지장 곡의 후내측벽에 쓸개관과 이자관이 열려 있는데 함께 또는 따로따로 열려지게 된다.
더불어, 십이지장서는 간과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를 받아들여 위에서 넘어온 유미죽을 체내로 흡수하기에 가장 적합한 최종의 혼합물 상태로 소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효소 작용에 의하여 탄수화물은 글루코스(glucose)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그리고 지방은 글리세롤(glycerol)과 지방산(fatty Acids)으로 분해가 된다.
즉, 본 발명은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를 위의 유문에 확관부(13)를 걸림시키고 스텐트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스텐트(30)를 십이지장(300)의 내강에 시술하며, 원통형 몸체(15)는 십이지장(300)의 내강을 통과하여 소장(400)으로 유입되도록 시술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가 십이지장(300)에 시술되어져 있어 위에서 유동된 음식물이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지만, 간과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제1피막(15a)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내부로 유동하지 못하고 소장(400)으로 유동되어 효소액이 음식물과 접촉 및 섞임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간과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야 할 음식물의 성분 중 일부분이 소장(400)에서 흡수될 수 있는 영양분으로 변환되지 못한 상태로 소장(400)으로 유동되어 소장(400)에서는 일부분의 영양소만을 섭취하게 됨으로써 인체에 영양분이 정상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일부 제한하게 되어 비만인 사람일 경우에는 영양분의 섭취를 제약되어 비만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는 시술하였을 경우 단기간에 비만도를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시술한 후 십이지장(400)에서의 음식물과 간과 췌장에서 나온 여러 종류의 효소의 혼합을 방지함으로써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일부 음식물의 성분을 영양소로 변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소장(400)에서의 영양소 흡수를 제약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소화과정을 진행할 경우보다 영양소의 흡수가 일부 제약됨으로써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 흡수율을 감소시켜 비만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만 방지를 위해 음식물의 먹는 량을 조절하지 않는 방법으로 섭취의 욕구를 자제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이러한,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 비만도를 저하시킨 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카데터를 이용하여 확관부(13)에 연결된 제거용걸림줄(13c)을 당기면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길이는 늘어나면서 부피는 축소시켜 카데터 내부로 삽입시켜 인체 밖으로 배출, 제거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형상기억합금스텐트 11 : 와이어
12 : 공간부 13 : 확관부
13a : 곡률단 13b : 제2피막
13c : 제거용걸림줄 14 : 절곡단
15 : 원통형몸체 15a : 제1피막
30 : 지지스텐트
31 : 제3와이어 32 : 중공홀
31a : 공간부 31b : 절곡단
31c : 지지스텐트몸체 33 : 체결선
34 : 제3피막 35 : 구 표면
200 : 위 201 : 유문
300 : 십이지장 400 : 소장

Claims (8)

  1.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11)를 다수개로 생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2)를 형성하되, 일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3)를 갖으며, 여러 개의 절곡단(14)이 원주를 따라 확관부(13)의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15)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5)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15a)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와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연장부분이 곡률진 곡률단(13a)을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13)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13b)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13c)을 연결하며,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제3와이어(3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 엮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홀(32)을 형성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球) 형태로 제조하되, 상기 중공홀(32)을 통해 확관부(13)가 형성된 후방측 원통형 몸체(15)의 외주로 끼움시켜 양 끝단을 체결선(33)으로 연결하고, 표면에 의료용 제3피막(34)이 코팅된 지지스텐트(30)를 구성하여,
    상기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은 위(200)의 출구인 유문(201)의 곡률 내벽에 걸림 지지되고, 상기 지지스텐트(30)는 볼록한 구 표면(35)이 유문(201)과 인접하는 십이지장(300)의 내벽을 지지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십이지장(300)을 내강을 통과해 소장(400)의 입구까지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은 PTFE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와이어(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텐트(30)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3와이어(31)의 엮음 간격은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제조하는 와이어(11)의 엮음 간격보다 조밀하게 엮음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지지스텐트(30)를 여러 개로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제2,3피막(13b)(34)은 확관부(13)나 지지스텐트(30)를 액상 실리콘에 침적, 소성하면 와이어(11)와 제3와이어(31)의 표면 및 와이어(11)가 엮어져 형성되는 마름모꼴 형태의 공간부(12)나 제3와이어(31)가 엮어져 형성되는 공간부(31a)를 폐쇄하는 막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5.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와이어(11)를 다수개로 생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12)를 형성하되, 일측에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3)를 갖으며, 여러 개의 절곡단(14)이 원주를 따라 확관부(13)의 끝단에 형성된 중공식의 원통형 몸체(15)로 형성되는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5)의 표면에 의료용 제1피막(15a)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는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되는 부분에서 반대측으로 직경이 증대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확관부(13)의 표면에 의료용 제2피막(13b)을 코팅처리하고, 상기 확관부(13)의 절곡단(14)에 고리 형상의 제거용걸림줄(13c)을 연결하며,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같은 스텐트 제조용 제3와이어(3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 엮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홀(32)을 형성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球) 형태로 제조하되, 상기 중공홀(32)을 통해 확관부(13)가 형성된 후방측 원통형 몸체(15)의 외주로 끼움시켜 양 끝단을 체결선(33)으로 연결하고, 표면에 의료용 제3피막(34)이 코팅된 지지스텐트(30)를 구성하여,
    상기 확관부(13)의 곡률단(13a)은 위(200)의 출구인 유문(201)의 곡률 내벽에 걸림 지지되고, 상기 지지스텐트(30)는 볼록한 구 표면(35)이 유문(201)과 인접하는 십이지장(300)의 내벽을 지지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는 십이지장(300)을 내강을 통과해 소장(400)의 입구까지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의 의료용 제1피막(15a)은 PTFE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와이어(1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텐트(30)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3와이어(31)의 엮음 간격은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를 제조하는 와이어(11)의 엮음 간격보다 조밀하게 엮음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스텐트(10)에 지지스텐트(30)를 여러 개로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제2,3피막(13b)(34)은 확관부(13)나 지지스텐트(30)를 액상 실리콘에 침적, 소성하면 와이어(11)와 제3와이어(31)의 표면 및 와이어(11)가 엮어져 형성되는 마름모꼴 형태의 공간부(12)나 제3와이어(31)가 엮어져 형성되는 공간부(31a)를 폐쇄하는 막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KR1020100045341A 2010-05-14 2010-05-14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KR10117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1A KR101176511B1 (ko) 2010-05-14 2010-05-14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1A KR101176511B1 (ko) 2010-05-14 2010-05-14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84A KR20110125784A (ko) 2011-11-22
KR101176511B1 true KR101176511B1 (ko) 2012-08-24

Family

ID=4539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41A KR101176511B1 (ko) 2010-05-14 2010-05-14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59A (ko) 2017-03-03 2018-09-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및/또는 당뇨병 치료용 스텐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4853A (ja) 2002-12-02 2010-05-13 Gi Dynamics Inc 肥満症治療用スリー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4853A (ja) 2002-12-02 2010-05-13 Gi Dynamics Inc 肥満症治療用スリー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59A (ko) 2017-03-03 2018-09-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및/또는 당뇨병 치료용 스텐트
KR101935510B1 (ko) * 2017-03-03 2019-01-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및/또는 당뇨병 치료용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84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46B1 (ko) 위 절제 후 음식물 의한 부작용 방지 전용 스텐트
KR101065368B1 (ko) 비만 환자 치료용 스텐트
US8517972B2 (en) Pyloric valve
US103690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besity
EP2629713B1 (en) Stomach-spanning gastric implants
US9278020B2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a bariatric sleeve
US9539133B2 (en) Stomach-spanning gastric implants
US9060835B2 (en) Conformationally-stabilized intraluminal device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0903125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gastric expansion
EP2178474B1 (en) A conformationally-stabilized intraluminal device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110118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besity and controlling weight gain and absorption of glucose in mammals
US20220280320A1 (en) Duodenum sleeve for treating obesity
KR101176511B1 (ko) 비만도 완화 전용 스텐트
KR101122223B1 (ko) 비만 환자 치료용 벌룬스텐트
US20190262158A1 (en) Gastric bypa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