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142B1 -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 Google Patents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142B1
KR101176142B1 KR1020100106893A KR20100106893A KR101176142B1 KR 101176142 B1 KR101176142 B1 KR 101176142B1 KR 1020100106893 A KR1020100106893 A KR 1020100106893A KR 20100106893 A KR20100106893 A KR 20100106893A KR 101176142 B1 KR101176142 B1 KR 10117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de
value
region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622A (ko
Inventor
강대현
Original Assignee
강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현 filed Critical 강대현
Publication of KR2011012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자소,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코드열을 내포하는 도형도안코드, 이러한 도형도안코드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방법, 이러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그리고 이러한 디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형도안코드는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나타내도록,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코드자릿값에 대응되는 제1 색상세트로 채워지는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코드값에 대응되는 제2 색상세트로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자릿값에 무관하게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폐도형)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를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원하는 물건(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의 디자인의 그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의 외관에 표시된 그림으로부터 해당 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figure design code,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of figure design cod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자소,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코드열을 대표하는 도형도안코드, 이러한 도형도안코드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방법, 이러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그리고 이러한 디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자소,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코드를 그림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바코드가 있다. 바코드는 다양한 폭을 가진 검은색의 바(bar)들이 사이마다 다양한 폭을 가진 스페이스(space)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패턴이다. 바코드는 이러한 바(검은 막대)와 스페이스(흰 막대)의 조합에 의해 0과 1의 이진수 정보를 기록하여 숫자, 문자 등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이다.
이러한 바코드 외에도 이차원바코드, 색상코드 등 주어진 코드를 이차원 도형의 형태로 나타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주로 정형화된 도형의 모양, 위치, 배치순서 등을 요구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제약이 따랐다. 이러한 제약이 있는 종래의 이차원도형코드를 다양한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상품의 외측에 직접적으로 배치하게 되면 상품의 미관을 해칠 수 있으므로, 보통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외측에 잘 드러나지 않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하여 왔다. 예시적으로, 종래의 이차원도형코드는 별도의 태그, 상품의 안쪽에 마련된 별도의 영역 등에 표시되어 왔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약을 없애거나 완화함으로써, 상품의 외측 표면에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이차원도형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방식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 등 다양한 휴대용 영상매체가 널리 보급되고 있어, 상품의 외측 표면에 이차원도형코드를 디자인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면, 이러한 휴대용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손쉽게 상품의 이력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외측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 이차원도형코드의 개발 필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품 등의 디자인에 쉽게 동화될 수 있는 모양과 배치 자유도를 갖는 도형도안코드, 이러한 도형도안코드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방법, 이러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그리고 이러한 디코딩 방법을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는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나타내도록,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코드자릿값에 대응되는 제1 색상세트로 채워지는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코드값에 대응되는 제2 색상세트로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대응되는 제1 색상세트로 채워지는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코드값에 대응되는 제2 색상세트로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는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로부터 정해지고, 상기 제2 색상세트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는 코드값 대응색상표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은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1 영역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2 영역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제2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색상값으로 상기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2 색상값으로 상기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은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와 상기 제2 영역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1 키워드로 상기 코드자릿값을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로 상기 코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는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입력받고,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1 영역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며,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2 영역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제2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1 색상세트는 상기 제1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색상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2 색상세트는 상기 제2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2 색상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입력받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와 상기 제2 영역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을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자릿값는 상기 제1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1 키워드로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값은 상기 제2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임의 길이의 코드(부호)로 구성된 코드열에 대하여, 각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에 대한 도형도안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색상정보(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 및 색상, 그리고 폐도형의 내부영역의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코드자릿값에 무관하게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폐도형)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를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의 디자인의 그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폐도형)의 코딩 규칙을 따르는 도형도안코드를 포함하는 그림에 대하여, 도형도안의 제1 영역의 색상정보(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 및 색상) 및 도형도안의 제2 영역의 색상정보(폐도형의 내부영역의 색상)로부터 각 코드의 코드자릿값과 코드값을 추출하여 코드열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의 외관에 표시된 그림으로부터 해당 의류나 가방과 같은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100)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210)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1100)을 나타내도록,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에 대응된다.
이때,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0에서 9 사이의 정수인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코드집합은 {0, 1, 2, 3, 4, 5, 6, 7, 8, 9}로 나타낼 수 있고 각각의 요소가 코드, 각각의 요소의 값이 코드값일 수 있다. 또한, 코드열(1100)은 이러한 코드집합에 속하는 숫자들의 나열일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열(1100)의 각 코드(1110)의 코드자릿값과 코드값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자유로운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그 코드자릿값과 코드값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이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배치되거나 제품의 상하좌우에 나뉘어 배치된다면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배치 범위는 어느 정도 한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의 성능에 따라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배치 범위는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이라 함은 이를테면 가방과 같이 일정한 형태가 어느 정도 유지되는 제품의 일면일 수도 있고, 의류와 같이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기 어렵지만 테이블과 같이 평평한 곳에 펼치면 이차원의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되는 제품의 일면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은 코드자릿값에 대응되는 제1 색상세트(111)로 채워지는 제1 영역(11), 그리고 코드값에 대응되는 제2 색상세트(121)로 채워지고 제1 영역(11)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영역(11)이 외부의 경계선이 되고 제2 영역(12)이 이러한 외부의 경계선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부 도형이 되어,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은 경계선을 갖는 이차원 폐도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3은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색상세트(111)는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로부터 정해지고, 제2 색상세트(121)는 코드값 대응색상표(3)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하고,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즉,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키워드(제1 키워드(21))로 하고, 이러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값(제1 색상값(22))으로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은 흰색, 1은 검정색, 2는 붉은색, 3은 주황색, 4는 노란색, 5는 초록색, 6은 파란색, 7은 남색, 8은 보라색, 그리고 9는 분홍색에 대응시켜, 이를테면 코드자릿값이 36인 제1 키워드(21)에 대해서는 (주황색, 파란색)의 색상정보로 변환하고, 코드자릿값이 70인 제1 키워드(21)에 대해서는 (남색, 흰색)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1, 검정색}, {2, 붉은색}, {3, 주황색}, {4, 노란색}, {5, 초록색}, {6, 파란색}, {7, 남색}, {8, 보라색}, {9, 분홍색}, {10, (검정색, 흰색)}, {11, (검정색, 검정색)}, {12, (검정색, 붉은색)}, {13, (검정색, 주황색)}, {14, (검정색, 노란색)}, {15, (검정색, 초록색)}, {16, (검정색, 파란색)}, {17, (검정색, 남색)}, {18, (검정색, 보라색)}, {19, (검정색, 분홍색)}, {20, (붉은색, 흰색)}, {21, (붉은색, 검정색)}, {22, (붉은색, 붉은색)}, {23, (붉은색, 주황색)}, {24, (붉은색, 노란색)} 등과 같은 이차원 배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코드자릿값의 최대값은 설정된 코드열(110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드열(1100)의 길이가 16인 경우라면 코드자릿값의 최대값은 16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의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의 제1 키워드(21)도 16까지 형성되도록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코드열(1100)의 길이가 한 값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변적인 경우에는, 가변적인 코드열(1100)의 길이 중 최대로 형성될 수 있는 길이까지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의 제1 키워드(21)가 형성되게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원 배열의 첫 번째 원소는 코드열(1100)의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나타내는 제1 키워드(21)이고, 두 번째 원소는 각각의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담고 있는 제1 색상값(22)이다.
또는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23, 붉은색, 주황색)과 같이 원소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배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의 첫 번째 원소는 코드열(1100)의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나타내는 제1 키워드(21)이고, 첫 번째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는 각각의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담고 있는 제1 색상값(22)일 수 있다.
이러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로부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영역(11)을 제1 색상세트(111)가 어떻게 채우게 되는지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제1 색상세트(111)가 제1 색상값(22) 중 이를테면 코드자릿수가 1에서 9 사이인 제1 키워드(21)에 대응하는 제1 색상값(22)인 경우와 같이 단일한 색상정보만으로 되어 있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도 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영역(11)은 그 영역 전체가 하나의 색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색상세트(111)가 제1 색상값(22) 중 (붉은색, 흰색), (주황색, 노란색) 등과 같이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영역(11)은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세트(111)로 제2 영역(12)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제2 영역(12)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황색, 노란색)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22)을 따르는 제1 색상세트(111)에 의해 제1 영역(11)이 채워지는 경우라면, 제1 영역(11) 중 바깥쪽 부분에는 주황색이 채워지고, 안쪽 부분에는 노란색이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이 채워지는 방향이나 순서는 역으로 될 수도 있고, 둘레방향으로 채워지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규칙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만,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의 이차원 배열 중 {11, (검정색, 검정색)}과 같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가 있는 이차원 배열의 경우에는 {1, 검정색}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11)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제1 색상세트(111)가 따르는 제1 색상값(22)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색상값(22)은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11, (검정색, 검정색)}은 {1, 검정색}과의 구별을 위해 {11, (검정색, 회색, 검정색)}으로 검정색 사이에 회색을 더 추가하였다. 즉, 동일한 색상인 검정색과 구분되는 색상인 회색을 구분색상정보(221)로 하여 검정색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의 실시예를 보면, 제1 키워드(21) 각각에 대응하는 색상 중에 회색은 없으므로, 회색을 동일한 색상을 구분해주는 색상으로 사용하면 혼동의 여지가 없게 된다.
이를 보다 일반화하여 설명하면,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예를 들면 회색)은 제1 색상값(22)이 구분색상정보(221)(예를 들면 회색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예를 들면 흰색, 검정색,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그리고 분홍색)과 구분되는 색상(예를 들면 회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두 개의 색상정보가 서로 동일한 색상에 대한 색상정보를 갖는 경우, {제1 키워드(21), 제1 색상값(22)}을 각각 이를테면 {11, (검정색, 회색, 검정색)}, {22, (빨간색, 회색, 빨간색)}, {33, (주황색, 회색, 주황색)}, {44, (노란색, 회색 노란색)}, {55, (초록색, 회색, 초록색)}, {66, (파란색, 회색 파란색)}, {77, (남색, 회색 남색)}, {88, (보라색, 회색, 보라색)}, 그리고 {99, (분홍색, 회색, 분홍색)}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제2 키워드(21)는 반드시 99까지 생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99보다 작은 범위 또는 99보다 큰 범위까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색상세트(111)가 따르는 제1 색상값(22)이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하는 경우로 도 1의 (c)를 참조하면, 제1 영역(11)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111)는 제2 영역(12)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제2 영역(12)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3단계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제1 영역(11)의 외측 부분과 내측 부분은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고 제1 영역(11)의 중간 부분은 구분색상정보(221)에 따르는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영역(11)의 외측 부분과 내측 부분은 검정색으로 채워지고 제1 영역(11)의 중간 부분은 회색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영역(11)이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의 제1 색상값(22)에 따라 외측 부분, 가운데 부분, 내측 부분 등으로 나뉘어 제1 색상세트(111)로 채워지는 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하고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만큼 경계선의 색상 정보를 제1 색상값(22)으로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드자릿값이 한 자릿수인 경우에는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는 1개(도 1의 (a))가 되고, 코드자릿값이 두 자릿수인 경우에는 보통은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가 2개(도 1의 (b))이며, 코드자릿값이 일의 자리와 십의 자리가 동일한 숫자인 경우에는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가 구분색상정보(221)에 의해 추가된 경계선까지 포함하여 3개(도 1의 (c))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도형도안코드(100)는 코드자릿값이나 후술할 코드값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십진법 이외에도, 삼진법, 오진법, 육진법 등 십진법이 아닌 임의의 숫자 표기 방법을 사용하여 코드자릿값 또는 코드값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 또는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구성할 수 있다.
폐도형과 그 경계선을 통해 본 도형도안코드(100)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부분을 정리하면, 코드열(1100)의 하나 이상의 코드(1110)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의 폐도형(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을 대응시키되,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와 경계선의 색상은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결정하고, 폐도형의 내부영역인 제2 영역(12)의 색상은 후술할 코드값 대응색상표(3)로부터 제2 색상값(32)을 검색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도형도안코드(100)가 인코딩되면 폐도형 각각마다 코드자릿수와 코드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도형도안코드(100)를 임의의 그림에 자유로이 삽입 가능하고 자유로운 모양을 가지도록 다수의 폐도형을 배치하여 주어진 코드열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과의 사이에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제1 키워드(21)인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어느 숫자에도 대응되지 않는 색상인 회색을 제1 색상값(22)에 임의로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검정색}과 {1, (검정색, 회색)}은 모두 코드자릿값 1에 대응되는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을 표시하는 이차원 배열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과의 사이의 경계영역이 아니더라도 {1, (회색, 검정색)}이나 {1, (회색, 검정색, 회색)}과 같이 회색을 사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코드자릿값이 4이고 그 코드값도 4인 경우 도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참조하면,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이 모두 노란색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구분이 불명확해질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과의 사이에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코드자릿값이 4이고 그 코드값도 4인 경우 제1 영역(11)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노란색, 회색, 노란색), (회색, 노란색), 또는 (노란색, 회색)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이 모두 동일한 색으로 채워지더라도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이로부터 코드자릿값 4와 그 코드값 4를 추출해내는데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폐도형(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하나의 동일한 색상인 노란색으로 인식될 경우, 그 노란색에 대한 쌍으로 판단하여 (코드자릿값, 코드값)을 (4, 4)로 디코딩하도록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영역(11)은 빨간색으로 채워지고 제2 영역(12)은 주황색으로 채워지는 경우와 같이 색상이 유사한 경우에도, 제1 영역(11)에 이러한 유사한 색상들과 구분되는 색상(이를테면 회색)이 포함되도록 하여 유사한 색상끼리 구분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인 경우 이외에도,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언제나 명확히 분리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영역(11)은 항상 제2 영역(12)과의 사이에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구분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제1 영역(11)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111)가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22)을 따르고, 제2 영역(12)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121)도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색상값(32)을 따르는 경우, 다수의 색상들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이 구획되어 채워지게 되므로,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인식하기에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구분하는 경계영역이 제1 영역(11)에 채워지는 색상과 제2 영역(12)에 채워지는 색상의 동일 유사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다만,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도형도안의 전체 크기에 대비하여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각각 특정 부분에 위치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계영역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경계영역은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사이에만 위치하면 되므로, 제2 영역(12)과 인접하는 제1 영역(11)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영역(11)과 인접하는 제2 영역(12)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하고, 제2 키워드(3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즉,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열(1100)의 각 코드의 코드값을 키워드(제2 키워드(31))로 하고, 이러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값(제2 색상값(32))으로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0부터 9까지의 10개의 숫자를 코드값으로 하여 이를 제2 키워드(31)로 하고 이러한 10개의 제2 키워드(31)에 각각 대응되는 10개의 색상을 하나씩 색상정보로 배분하여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드열(1100)은 이러한 10개의 코드값으로 이루어지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코드열(110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색상값(32)은 코드집합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들에 각각 하나씩의 색상을 배분하여 코드값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일한 색상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코드값이 반드시 이러한 숫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숫자 이외에 자소, 문자, 기호 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코드값에 이 같은 자소, 문자, 기호 등이 포함된 경우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다수의 색상들을 구분하여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단일한 색상정보만으로 제2 색상값(32)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단일한 색상정보만으로 제2 색상값(32)이 코드값을 모두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2 색상값(32)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던 제1 색상값(22)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게 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분색상정보를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1 색상값(22)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각각의 도형도안(1)이 이차원 폐도형의 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정리하면, 본 도형도안코드(100)는 코드열(1100)의 각 코드(1110)에 대하여 해당 코드자릿값을 키워드(제1 키워드(21))로 하여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 상에서 검색된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정보(제1 색상세트(22))를 각 코드(1110)에 해당하는 폐도형의 경계선(제1 영역(11))의 갯수와 색상정보로 가지고, 코드열(1100)의 각 코드(1110)에 대하여 해당 코드값을 키워드(제2 키워드(31))로 하여 코드값 대응색상표(3) 상에서 검색된 색상값(제2 색상세트(32))을 각 코드(1110)에 해당하는 폐도형의 내부영역(제2 영역(12))의 색상정보로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a)를 참조하여, 코드열(1100)이 '0124378965781361'인 경우 {코드자릿값, 코드값}으로 구성되는 이차원 배열을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1, 0}, {2, 1}, {3, 2}, {4, 4}, {5, 3}, {6, 7}, {7, 8}, {8, 9}, {9, 6}, {10, 5}, {11, 7}, {12, 8}, {13, 1}, {14, 3}, {15, 6}, 그리고 {16, 1}이다. 도 3의 코드자리값 대응색상표(2) 및 도 4의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참조하여, 이러한 코드열(1100)의 {코드자릿값, 코드값}을 대응하는 색상세트로 변환하여 보면, {검정색, 흰색}, {붉은색, 검정색}, {주황색, 붉은색}, {노란색, 노란색}, {초록색, 주황색}, {파란색, 남색}, {남색, 보라색}, {보라색, 분홍색}, {분홍색, 파란색}, {(검정색, 흰색), 초록색}, {(검정색, 회색, 검정색), 남색}, {(검정색, 붉은색), 보라색}, {(검정색, 주황색), 검정색}, {(검정색, 노란색), 주황색}, {(검정색, 초록색), 파란색}, 그리고 {(검정색, 파란색), 검정색}이 된다. 다만, 주의할 부분은 코드자릿값이 11인 경우 (검정색, 검정색)이 아니라 (검정색, 회색, 검정색)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앞서 살핀 구분색상정보(221)(도 3 참조)에 따른 것이다. 도 2의 (a)의 도형도안코드(100)는 이에 따라 인코딩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의 (b)의 도형도안코드(100)는 본 도형도안코드(100)가 코드자릿값을 내포하고 있어 각 도형도안(1)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으로 각 도형도안(1)을 배치하여 도형도안코드(100)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에 대해 살핀다. 다만, 본 도형도안코드(100)에 대해 살피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은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1100)을 입력받는 단계(S210),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111)를 결정하는 단계(S220),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121)를 결정하는 단계(S230), 그리고 제1 영역(11)에 제1 색상세트(111)가 각각 채워지고 제1 영역(11)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에 제2 색상세트(121)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을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폐도형으로 이루어진 도형도안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은 0 에서 9까지의 숫자를 코드집합으로 가지고 이러한 코드집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로 구성된 임의의 코드열(1100)을 입력 받는 코드열 입력 단계(S210), 각 코드(1110)의 코드자릿수를 제1 키워드(21)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임의의 폐도형(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을 결정하는 코드자릿값 인코딩 단계(S220), 각 코드(1110)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폐도형의 내부 영역(제2 영역(12))의 색상을 결정하는 코드값 인코딩 단계(S230), 그리고 코드열(1100)의 각 코드(1110)에 대응하는 폐도형(제1 영역(11))에 대한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 및 내부 영역(제2 영역(12))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10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도형도안코드 제공 단계(S240)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공되는 본 도형도안코드(100)는 임의의 코드열(1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그림에 다수의 폐도형을 이용하여 이러한 임의의 코드열(11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 및 색상, 그리고 각 폐도형의 내부 영역(각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의 색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은 이 같은 본 도형도안코드(100)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하고,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색상세트(111)를 결정하는 단계(S220)는 제1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제1 색상값(22)으로 제1 색상세트(111)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키워드(3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32)으로 하며, 제2 색상세트(121)를 결정하는 단계(S230)는 제2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제2 키워드(31)에 대응되는 제2 색상값(32)으로 제2 색상세트(121)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색상세트(111)가 제1 색상값(22)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제1 영역(11)은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세트(111)로 제2 영역(12)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제2 영역(12)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1)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제1 색상세트(111)가 따르는 제1 색상값(22)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색상값(22)은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제1 색상값(22)이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하기 전에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과의 사이에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200)에 대해 살핀다. 다만, 본 도형도안코드(100)와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S200)에 대해 살피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200)는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1100)을 입력받고,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111)를 결정하며,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121)를 결정하고, 제1 영역(11)에 제1 색상세트(111)가 각각 채워지고 제1 영역(11)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에 제2 색상세트(121)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200)를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폐도형으로 이루어진 도형도안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200)는 0 에서 9까지의 숫자를 코드집합으로 가지고 이러한 코드집합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1110)로 구성된 임의의 코드열(1100)을 입력 받는 코드열 입력 모듈(210),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각 코드(1110)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폐도형(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 코드집합을 구성하는 각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해당되는 제2 색상값(32)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값 대응색상표(3), 각 코드(1110)의 코드자릿수를 제1 키워드(21)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임의의 폐도형(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을 결정하고 각 코드(1110)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폐도형의 내부 영역(제2 영역(12))의 색상을 결정하는 도형도안 인코딩 모듈(220), 그리고 코드열(1100)의 각 코드(1110)에 대응하는 폐도형(제1 영역(11))에 대한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 및 내부 영역(제2 영역(12))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10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도형도안코드 제공 모듈(230)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공되는 본 도형도안코드(100)는 임의의 코드열(1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그림에 다수의 폐도형을 이용하여 이러한 임의의 코드열(11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 및 색상, 그리고 각 폐도형의 내부 영역(각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의 색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200)는 이 같은 본 도형도안코드(100)를 인코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에 대해 살핀다. 다만, 본 도형도안코드(100)에 대해 살피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은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을 입력받는 단계(S310),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영역(11)과 제1 영역(11)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을 검출하는 단계(S320),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영역(11)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111)의 색상정보와 제2 영역(12)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121)의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30),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색상세트(111)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S340),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2 색상세트(121)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S350), 그리고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으로부터 결정된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1100)을 제공하는 단계(S3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을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폐도형으로 이루어진 도형도안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은 하나 이상의 폐도형이 포함된 그림을 입력받는 도형도안코드 입력 단계(S310), 이러한 폐도형 그림으로부터 Sobel 마스크 또는 Canny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계선을 검출하고 Moore-Neighb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 다수의 경계선과 폐도형의 내부 영역을 검출하며 각 경계선(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색상정보와 폐도형의 내부 영역(각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의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도형도안 영역 및 색상정보 검출 단계(S320, S330), 이러한 검출 단계(S320, S330)를 통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폐도형(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대하여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에 대응하는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코드자릿값 디코딩 단계(S340), 이러한 검출 단계(S320, S330)를 통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폐도형(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대하여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결정하는 코드값 디코딩 단계(S350), 그리고 이렇게(S340, S350) 디코딩된 코드열(11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코드열 제공 단계(S360)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은 주어진 임의의 그림에 포함된 폐도형(도형도안코드(100))이 의미하는 코드열(11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은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자릿값이 디코딩의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코드열(1100)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으면 디코딩의 실패를 사용자에게 선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코딩의 실패 선언은 이를테면 코드자릿값 디코딩 단계(S340)에서 판단되어 이루어지거나, 코드열 제공 단계(S36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하고, 제1 키워드(2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S340)는 제1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제1 색상값(22)에 대응되는 제1 키워드(21)로 코드자릿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하고, 제2 키워드(31)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S350)는 제2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제2 색상값(32)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31)로 코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색상세트(111)가 제1 색상값(22)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제1 영역(11)은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세트(111)로 제2 영역(12)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제2 영역(12)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1)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제1 색상세트(111)가 따르는 제1 색상값(22)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색상값(22)은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제1 색상값(22)이 구분색상정보(221)를 더 포함하기 전에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는 코드열(1100)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1 색상값(22)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드값 대응색상표(3)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제2 색상값(32)으로 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과의 사이에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에 대해 살핀다. 다만, 본 도형도안코드(100)와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S300)에 대해 살피면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을 입력받고,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영역(11)과 제1 영역(11)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을 검출하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영역(11)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111)의 색상정보와 제2 영역(12)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121)의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1 색상세트(111)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의 각각의 제2 색상세트(121)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으로부터 결정된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1100)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은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를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 각각이 폐도형으로 이루어진 도형도안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폐도형이 포함된 그림을 입력받는 도형도안 입력 모듈(310), 이러한 폐도형 그림으로부터 Sobel 마스크 또는 Canny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계선을 검출하고 Moore-Neighb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 다수의 경계선과 폐도형의 내부 영역을 검출하며 각 경계선(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색상정보와 폐도형의 내부 영역(각 도형도안(1)의 제2 영역(12))의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도형도안 영역 및 색상정보 검출 모듈(320), 코드열(1100)을 구성하는 각 코드(1110)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21)로 폐도형(각 도형도안(1)의 제1 영역(11))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 코드집합을 구성하는 각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제2 키워드(31)로 해당되는 제2 색상값(32)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드값 대응색상표(3), 이러한 검출 모듈(320)을 통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폐도형(하나 이상의 도형도안(1))에 대하여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2)를 검색하여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에 대응하는 코드자릿값을 결정하고 코드값 대응색상표(3)를 검색하여 각 폐도형(각 도형도안(1))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결정하는 도형도안 디코딩 모듈(330), 그리고 이렇게 디코딩된 코드열(11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코드열 제공 모듈(340)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는 주어진 임의의 그림에 포함된 폐도형(도형도안코드(100))이 의미하는 코드열(11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300)는 폐도형의 경계선의 갯수와 색상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자릿값이 디코딩의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코드열(1100)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으면 디코딩의 실패를 사용자에게 선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코딩의 실패 선언은 이를테면 도형도안 디코딩 모듈(330)에서 판단되어 이루어지거나, 코드열 제공 모듈(3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도형도안코드
1.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
11. 제1 영역 111. 제1 색상세트
12. 제2 영역 121. 제2 색상세트
2.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
21. 제1 키워드 22. 제1 색상값
221. 구분색상정보
3. 코드값 대응색상표
31. 제2 키워드 32. 제2 색상값
200.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210. 코드열 입력 모듈 220. 도형도안 인코딩 모듈
230. 도형도안 제공 모듈
300.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310. 도형도안 입력 모듈 320. 영역 및 색상 검출 모듈
330. 도형도안 디코딩 모듈 340. 코드열 제공 모듈
1100. 코드열 1110. 하나 이상의 코드
S200.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S300.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Claims (55)

  1.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나타내도록,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코드자릿값에 대응되는 제1 색상세트로 채워지는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코드값에 대응되는 제2 색상세트로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2.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3.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4. 제1항에서,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인 도형도안코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형도안코드.
  7. 제1항 또는 6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는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로부터 정해지고,
    상기 제2 색상세트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는 코드값 대응색상표로부터 정해지는 도형도안코드.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도형도안코드.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복수의 동일한 색상에 대한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10. 제9항에서,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인 도형도안코드.
  11. 제7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12. 제7항에서,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13. 제1항 또는 6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14.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1 영역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2 영역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제2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17. 제14항에서,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18. 제14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8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색상값으로 상기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2 색상값으로 상기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3. 제19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4. 제19항에서,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5. 제14항 또는 제18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방법.
  26.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와 상기 제2 영역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27. 제26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1 키워드로 상기 코드자릿값을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로 상기 코드값을 결정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29. 제28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0. 제29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1. 제30항에서,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2. 제28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3. 제28항에서,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4. 제26항 또는 제27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방법.
  35. 복수의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집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코드열을 입력받고,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인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1 영역을 채우는 제1 색상세트를 결정하며,
    상기 코드열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인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도형도안의 제2 영역을 채우는 제2 색상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제1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고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제2 색상세트가 각각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 인코딩하여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36. 제35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37. 제35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이차원 좌표계가 형성될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 상에 배치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38. 제35항에서,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코드값은 자소,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39. 제35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0. 제35항 또는 제39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1 색상세트는 상기 제1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색상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제2 색상세트는 상기 제2 인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2 색상값으로 결정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1. 제40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2. 제41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3. 제42항에서,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인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4. 제40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5. 제40항에서,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6. 제35항 또는 제39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장치.
  47.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을 입력받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채워진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와 상기 제2 영역에 채워진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1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1 디코딩키워드로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자릿값을 결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의 각각의 상기 제2 색상세트의 색상정보를 제2 디코딩키워드로 코드값 대응색상표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의 코드값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각각의 코드의 코드자릿값 및 코드값을 통해 디코딩된 코드열을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형도안은 상기 코드자릿값에 따른 순서와 무관하게 각각 원하는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48. 제47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제1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1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자릿값는 상기 제1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1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1 키워드로 결정하고,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제2 키워드로 하고,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를 제2 색상값으로 하며,
    상기 코드값은 상기 제2 디코딩키워드와 일치하는 상기 제2 색상값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로 결정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0. 제49항에서,
    상기 제1 색상세트가 상기 제1 색상값 중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색상값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색상정보에 따른 상기 제1 색상세트로 상기 제2 영역에서 가장 먼 부분부터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부분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1. 제50항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차례로 채워지는 부분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제1 색상세트가 따르는 상기 제1 색상값이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색상값은 상기 동일한 색상에 대한 복수의 색상정보의 사이에 정렬되는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에 대한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2. 제51항에서,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은 상기 제1 색상값이 상기 구분색상정보를 더 포함하기 전에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에 사용되는 색상정보에 의한 모든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인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3. 제49항에서,
    상기 코드자릿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열의 각각의 코드자릿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4. 제49항에서,
    상기 코드값 대응색상표는 상기 코드집합에 포함되는 코드의 각각의 코드값을 0부터 9까지의 열 개의 정수에 대응되는 열 가지 색상에 의한 십진법 표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색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색상값으로 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55. 제47항 또는 제48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끼리 동일한 색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채워지는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도형도안코드 디코딩 장치.
KR1020100106893A 2010-05-04 2010-10-29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KR101176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51 2010-05-04
KR20100042151 2010-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22A KR20110122622A (ko) 2011-11-10
KR101176142B1 true KR101176142B1 (ko) 2012-08-27

Family

ID=4539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893A KR101176142B1 (ko) 2010-05-04 2010-10-29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1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22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9633B (zh) 二维码的生成方法、解码方法以及装置
JP4557866B2 (ja) 混合コード、及び、混合コードの生成方法と装置、記録媒体
US10885411B2 (en) Machine-readable image encoding data
CN1200385C (zh) 编码和解码机器可读码的方法和设备
JP2006134337A (ja) 混合コードの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記録媒体
CN101859397A (zh) 二维阵列码
JP5229653B2 (ja)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二次元コードを表示させ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認証方法、及び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KR101770540B1 (ko) 이차원 코드, 이차원 코드의 해석 시스템 및 이차원 코드의 작성 시스템
CN105894070B (zh) 一种二维码编码方法及装置
US9740901B2 (en) Graphical menu builder for encoding applications in an image
Chou et al. The nested QR code
JP7029398B2 (ja) フォレンジック暗号化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859398B (zh) 二维阵列码
CN103400175B (zh) 图形识别码处理方法及装置
US11314991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storage medium
TWI470457B (zh) 可搜尋色彩編碼檔案組成方法及可搜尋色彩編碼檔案系統
KR101176142B1 (ko) 도형도안코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형도안코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CN111428532B (zh) 一种可加密三维码的编码解码方法
WO2010055794A1 (ja) 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並びに、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が付された物品
KR100608204B1 (ko) 로고가 삽입된 패턴코드 및 그의 인코딩 및 그의 디코딩방법
CN112884101A (zh) 图形码、图形码编码方法及解码方法
EP3531335B1 (en) Barcod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ychka et al. Data Compression and Representation as Multicolor Barcodes.
CN114169353B (zh) 一种微观码解密方法和系统
KR101038198B1 (ko) 단위정보 도트패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