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919B1 - 측량점설비 - Google Patents

측량점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919B1
KR101175919B1 KR1020100038209A KR20100038209A KR101175919B1 KR 101175919 B1 KR101175919 B1 KR 101175919B1 KR 1020100038209 A KR1020100038209 A KR 1020100038209A KR 20100038209 A KR20100038209 A KR 20100038209A KR 101175919 B1 KR101175919 B1 KR 10117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pin
coupling
bas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852A (ko
Inventor
오지윤
Original Assignee
오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윤 filed Critical 오지윤
Priority to KR102010003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9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지 등의 측량시 기준 표시점으로 이용되는 측량기준점을 고정시키고 훼손 및 망실없이 보존하며, 노면 높낮이의 증감에 적응하면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켑(Cap)을 구비하며 상부로 연장이 가능한 보호용케이스에 위 측량기준점을 내장하도록 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량점설비{SURVEY MARKER}
본 발명은 측량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측량설비 중 측량기준점은 토지 등의 측량시 그 기준점이 되는 바, 상기 측량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핀을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토지 등의 측량시 그 기준점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표시핀이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행, 차량 등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함을 물론이거니거니와 차량의 통과시 충격, 하중에 의한 원위치에서 탈리가 되거나 파손 될 수 있어서 상기 표시핀의 보존에 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핀 보존의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종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는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제20-1993-0004264호( 1993.03.22 )는 내구력이 강한 금속재의 보호용케이스 내부에 상기 표시핀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는 뚜껑 즉, 켑(Cap)을 탈착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지중에 매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측량시에 표시점을 노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켑을 탈리시켜야만 하며, 측량후에 상기 탈리된 켑이 분실되는 경우가 있어서 보호용케이스 상부가 개방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출원은 도로정비 등의 이유로 재포장한 노면의 노면인상에 적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903274호 (2009.06.09)가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지중에 매설되는 보호용케이스가 노면인상의 증감분에 적응하도록 구성되고 또 측량시에 표시핀(표시점)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방시킨 켑의 분실이 방지되어 표시점이 잘 관리될 수 있는 것을 골자로 한다. 상기 등록특허의 측량기준점 설비(지적도근점 설비)는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는 하였지만,
상기 인상관의 개수를 더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핀의 위치가 깊어져서 측량기기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고; 충분한 광이 도달하지 못하므로 측량기준점의 선명도가 낮아진다.
본 발명은, 표시핀이 지상으로 노출되어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차량 등에 의한 탈리, 파손이 될 수 있는 개연성을 해소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보호용케이스가 노면인상의 증감분에 적응할 수 있으며 사용시점외에는 함부로 개폐되지 않으며; 특히, 측량시에 측량기준점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방시킨 켑의 분실을 방지하여 표시핀이 잘 관리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인상관의 개수 가감에 따라 인상되는 증감분에 상기 측량기준점의 높이의 증감분을 대응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측량기준점 설비는 표시핀을 지하에 매설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단에 측량기준점이 표시되는 표시핀;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중앙에 상기 표시핀을 고정하는 베이스;
관상으로서 외주가 상기 베이스보다 협폭이고 상기 표시핀을 포위하면서 상부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보호관;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하단이 상단보다 협폭의 외주를 갖고, 켑 커플링과 함께 일단에 힌지부가 그리고 타단에 시건장치가 구비되는 켑;
상기 켑의 하단은 삽입가능하지만 상단은 삽입불가능한 내주를 갖는 켑 커플링;
상기 켑 커플링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켑 커플링측 보호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의 상단 또는 상기 켑 커플링측의 보호관의 하단 중 어느 일측의 외주는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면인상분에 적응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 상단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 하단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인상관이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상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측의 외주는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 하단 또는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 상단 중 어느 일측의 내주보다 협폭이고;
상기 인상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타측의 내주는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 하단 또는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 상단 중 타측의 외주보다 광폭으로서 커플링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인상관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핀은 인상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상핀은,
상단에 표시되는 인상핀 측량기준점;
상기 상단으로부터 저부로 연장되는 인상부;
상기 인상부로부터 저부로 연장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공간에 상기 표시핀이 개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핀의 측량기준점과 상기 인상핀의 측량기준점은 연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핀이 지중으로 매설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차량 등에 의한 탈리, 파손이 될 수 있는 개연성이 최소화 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보호용케이스가 노면인상의 증감분에 적응할 수 있으며; 측량시에 표시점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방시킨 켑의 분실이 방지되어 표시점이 잘 관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상관의 개착에 따른 높이에 측량기준점의 높이를 대응시켜 측량기기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고; 인상관의 개척 전과 동일한 광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선명도를 유지한다.
도 1 켑 측은 분분 분해, 표시핀(100) 측은 부분투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 A 측면에서 투시하여 보인 분해도; B 측면에서 부분 투시하여 보인 조립도
도 3 인상핀(120)의 A 사시도; B 저면 사시도; C 측면 투시도
도 4 표시핀과 인상핀이 결합된 A 사시도; B 본 발명 측량기준점 설비의 전체 측면도
도 5 A 인상핀의 상단에 구배(θ)를 주어 구성한 실시의 측면 투시도; B 보조 인상부(130)를 개착시킨 실시의 측면 투시도; C 보조 인상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른 측량기준점 설비에 있어서,
상단에 십자형과 같은 측량기준점(110)이 표시되는 표시핀(100);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중앙에 상기 표시핀(100)을 고정하는 베이스(210)와 관상(管狀)으로 외주(外周)가 상기 베이스(210)보다 협폭(狹幅)이고 내측(內側)에 상기 표시핀(100)을 포위하면서 상기 베이스(2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보호관(220)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측(200);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그 하단(D)이 상단(U)보다 협폭의 외주를 갖고, 일단에 켑 힌지부(432)가 그리고 타단에 켑 시건장치(431)가 구비되는 켑(430)과, 상기 켑(430)의 하단(D)은 삽입가능 하지만 상기 켑(430)의 상단(U)은 삽입될 수 없는 내주를 갖는 켑 커플링(420)과, 상기 켑 커플링(420)의 일단은 켑 커플링 힌지부(422)가 구비되어 상기 켑 힌지부(432)와 힌지결합을 하고, 타단은 켑 커플링 시건장치(421)가 구비되어 상기 켑 시건장치(431)와 잠금과 해제가 가능한 시건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켑 커플링(42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켑측(400);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켑 힌지부(432)와 상기 켑 커플링 힌지부(422)가 힌지결합하되 첨부된 도면에서는 힌지공(H)을 힌지핀(P)이 관통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켑 시건장치(431)와 상기 켑 커플링 시건장치(421)가 잠금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되 이러한 시건장치는 공지된 각종 용기의 개폐장치를 인용하기로 하며 또한, 상기 켑 힌지부(432) 및 상기 켑커플링 힌지부(422)와 같은 구성의 시건장치가 가능한바 이때에는 상기 힌지핀(P)에 해당하는 힌지핀을 삽탈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220)의 상단(U) 또는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의 하단(D) 중 어느 일측의 외주는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Coupling)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도로의 인상분에 적응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 상단(U)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 하단(D)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인상관(300)이 개재되어 개착(介着)될 수 있으며,
상기 인상관(300)의 상단(U) 또는 하단(D) 중 어느 일측의 외주는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의 하단(D) 또는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220)의 상단(U) 중 어느 일측의 내주보다 협폭이고,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의 하단(D) 또는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220)의 상단(U) 중 나머지 타측의 외주는 상기 인상관(300)의 상단(U) 또는 하단(D) 중 나머지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Coupling)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상관(300)과 같은 인상관을 추가하는 경우에, 인상관들 사이의 커플링은 상기 커플링(Coupling) 방법으로, 마주하는 어느 한측 인상관의 외주가 나머지 타측 인상관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 상단(U)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 하단(D)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인상관(300)이 개착되며,
상기 인상관(300) 중 최 상단에 위치하는 인상관 상단(U)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의 하단(D) 중 어느 일측의 외주가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되고,
상기 인상관(300) 중 최 하단에 위치하는 인상관 하단(D)과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220)의 상단(U) 중 어느 일측의 외주가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되고,
상기 인상관이 복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인상관(300) 사이에는 어느 일측 인상관의 외주가 타측 인상관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 되도록 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서 이상 전술된 바를 바탕으로,
상기 인상관(300)의 개착에 따른 높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핀(100)에는 인상핀(120)을 추가(부가)할 수 있으며, 상기 인상핀의 상단에 표시될 인상핀 측량기준점(110`)을 새로운 측량기준점(110)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인상핀(120)은,
상단에 표시되는 인상핀 측량기준점(110`); 상기 인상핀(120)의 상단으로부터 저부로(아래로) 연장되는 인상부(123); 상기 인상부로부터 저부로(아래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소켓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인상부(123)는 상기 인상관(300)을 개착시킬 시에 변화된 높이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추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상부(123)의 높이(di)는 상기 인상관(300) 높이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부(121)는 상기 인상부(123)의 외곽으로부터 저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성하고 상기 측벽 가운데에 공간(122)을 형성하여 구성하여 상기 공간에 상기 표시핀(100)이 개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원래의 상기 측량기준점(110)과 새로운 인상핀 측량기준점(110`)이 연직으로 정확히 놓일 수 있도록 정밀함이 요구된다.
또, 복수의 인상관(300)이 사용될 때에 대비해서 도 5 B 및 도 5 C의 실시와 같이 표시핀(100)과 인상핀(120)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 인상부(123)를 개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상핀에 구비될 소켓부의 공간(122)에 상기 보조 인상부(123)를 개재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인상관(30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인상핀(120)이 표시핀(110)을 감싸는 관계로 상기 인상핀 상단의 면적이 상기 표시핀 상단의 면적보다 넓어져서 이물질이 더 잘 쌓일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인상핀(120)의 상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10도 ~ 30도 경사가 부여된 구배(θ)(勾配)를 주어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인상핀(120)의 측면에 인상된 높이(di)가 표시되어 작업자에게 작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상눈금(120di)을 형성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인상눈금의 시작점은 상기 인상핀의 하단의 수평연장선이 되고 상기 인상눈금의 끝점은 상기 인상핀의 상단이 된다.
켑측(400)
인상관(300)
베이스측(200)
표시핀(100); 측량기준점(110)
인상핀(120); 소켓부(121); 인상부(123); 인상핀 측량기준점(110`); 보조 인상부(123); 구배(θ)

Claims (2)

  1. 상단에 측량기준점(110)이 표시되는 표시핀(100);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중앙에 상기 표시핀을 고정하는 베이스(210)와 관상으로 외주가 상기 베이스보다 협폭이고 내측에 상기 표시핀을 포위하면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보호관(220)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측(200);
    방사상의 판형으로서 그 하단이 상단보다 협폭의 외주를 갖고, 일단에 켑 힌지부(432)가 그리고 타단에 켑 시건장치(431)가 구비되는 켑(430)과, 상기 켑의 하단은 삽입가능하지만 상기 켑의 상단은 삽입될 수 없는 내주를 갖는 켑 커플링(420)과, 상기 켑 커플링의 일단은 켑 커플링 힌지부(422)가 구비되어 상기 켑 힌지부와 힌지결합을 하고, 타단은 켑 커플링 시건장치(421)가 구비되어 상기 켑 시건장치와 잠금과 해제가 가능한 시건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켑 커플링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켑 커플링측 보호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켑측(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의 상단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의 하단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인상관(300)이 개착되며,
    상기 인상관 중 최 상단에 위치하는 인상관의 상단과 상기 켑 커플링측 보호관의 하단 중 어느 일측의 외주가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되고,
    상기 인상관 중 최 하단에 위치하는 인상관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측 보호관의 상단 중 어느 일측의 외주가 타측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되고,
    복수 이상의 인상관인 경우, 상기 복수 이상의 인상관 사이에는 어느 일측 인상관의 외주가 타측 인상관의 내주보다 협폭으로서 커플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기준점 설비에 있어서,
    상기 표시핀에 인상핀(120)이 부가되되,
    상기 인상핀은,
    상단에 표시되는 인상핀 측량기준점(110`);
    상기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인상부(123);
    상기 인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소켓부(121);
    상기 인상핀의 측면에 인상된 높이(di)가 표시되는 인상눈금(120di);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켓부에 상기 표시핀이 개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점설비
  2. 삭제
KR1020100038209A 2010-04-25 2010-04-25 측량점설비 KR10117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209A KR101175919B1 (ko) 2010-04-25 2010-04-25 측량점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209A KR101175919B1 (ko) 2010-04-25 2010-04-25 측량점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852A KR20110118852A (ko) 2011-11-02
KR101175919B1 true KR101175919B1 (ko) 2012-08-27

Family

ID=4539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209A KR101175919B1 (ko) 2010-04-25 2010-04-25 측량점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2581B1 (de) * 2014-10-22 2017-03-29 Leica Geosystems AG Anzielvorrichtung für elektro-optische Vermessungsgerä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852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US9074387B2 (en) Portable tombstone
US20190360167A1 (en) Manhole device
KR100903274B1 (ko) 지적도근점 설비
KR101175919B1 (ko) 측량점설비
KR101177262B1 (ko) 측량설비
US20120177440A1 (en) Manhole safety gratings
KR101226886B1 (ko) 구배가 주어진 지적도근점설비
KR100663097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댐퍼식 덮개
US6347600B1 (en) Portable indicating and protective structure for underground utilities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14116A (ko) 측량설비
CN109616029B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WO2020134186A1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US7770669B1 (en) Auger and hole stabilization combination system
CN213238875U (zh) 一种沉降观测标志
KR20180044098A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장착형 rfid 마커 홀더
US10047877B2 (en) Utility line shroud
JP6827669B2 (ja) 埋設物表示構造
CN205373715U (zh) 一种用于建筑物侧壁的测量标杆
KR20160082184A (ko) 휴대용 도로용 지주
KR101076829B1 (ko) 다용도 지주 고정용 팩
US10256617B1 (en) Handhole assembly
KR102670685B1 (ko) 우천시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CN211975054U (zh) 盾构区间监测点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