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39B1 - Pen of multi pen-tip - Google Patents

Pen of multi pen-t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39B1
KR101175739B1 KR1020100049748A KR20100049748A KR101175739B1 KR 101175739 B1 KR101175739 B1 KR 101175739B1 KR 1020100049748 A KR1020100049748 A KR 1020100049748A KR 20100049748 A KR20100049748 A KR 20100049748A KR 101175739 B1 KR101175739 B1 KR 10117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ase
head
core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7822A (en
Inventor
송진혁
Original Assignee
송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혁 filed Critical 송진혁
Priority to PCT/KR2010/0059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43540A2/en
Publication of KR2011003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7/00Continuously-adjustable nibs, e.g. for drawing-pens; Holders therefor
    • B43K17/01Nibs with 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7/00Continuously-adjustable nibs, e.g. for drawing-pens; Holders therefor
    • B43K17/02Nibs having more than two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와 잉크충진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여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펜심과, 상기 펜심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펜심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펜심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다심 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ink filling unit for filling ink and a pen tip for writing and ejecting the ink by combining with one end of the ink filling unit, the three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nd is inclined outwardly The pen nib, the case for inserting the pen nib, and the head portion is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case and th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nib is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end of the pen nib is penetrated through the inclined outward to the outside It is related with the multicore pen comprised.

Description

다심 펜{PEN OF MULTI PEN-TIP}Multi-core pen {PEN OF MULTI PEN-TIP}

본 발명은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와 잉크충진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여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펜심과, 상기 펜심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펜심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펜심에 대응하는 삽입공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다심 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ink filling unit for filling ink and a pen tip for writing and ejecting the ink by combining with one end of the ink filling unit, the three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nd is inclined outwardly The pen nib, the case for inserting the pen nib, and the head portion is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case and th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nib is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end of the pen nib is penetrated through the inclined outward to the outside It is related with the multicore pen comprised.

통상적으로 다심 펜은 서로 다른 색을 구성하는 두 개 이상의 펜 심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한 개의 개구부를 통해 펜 심이 교대로 나오게 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각각의 펜 심의 누름부를 눌러 필기하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다심 펜의 케이스의 일부를 회전하여 교대로 펜 심이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등의 최근 들어 다심 펜의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해지고 있다.In general, a multi-core pen is composed of two or more pen shims constituting different colors, and when viewed in more detail, the pen shims are alternately formed through one opening to be pressed to write by pressing each pen nib. In recent years,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multi-core pen has been diversifi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case of the multi-core pen is rotated so that the pen core can be alternately drawn out.

예를 들면, 검정색 펜과 빨간색 펜과 파란색 펜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심 펜은 여러 가지의 필기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하나의 다심 펜으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심 펜의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해 지고 있다.For example, a multiconductor pen consisting of a black pen, a red pen, and a blue pen has a form and composition of a multiconductor pen such as one multiconductor pen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without carrying various writing instruments. It is becoming diverse.

상기와 같은 다심 펜을 학생들이 사용할 경우, 노트 필기에 있어서 검정색 펜으로 필기하다가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는데 통상적으로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을 사용한다. 하지만 펜 심이 돌출되는 개구부가 한 개만 형성되어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의 누름부를 눌러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이 개구부를 통해 나오도록 한 후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고 다시 검정색 펜의 누름부를 눌러 검정색 펜을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한다.When students use the multi-core pen as described above, a red or blue pen is usually used to mark an important part while taking a black pen while taking notes. However, there is only one opening where the pen core protrudes, so that the red or blue pen is pushed out through the opening by pressing the red or blue pen's press, mark the important part, and press the black pen's press again to protrude the black pen. do.

하지만 상기와 같이 필기하는 동안 수차례 동안 검정색 펜과 색 펜을 교대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노트 필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특히 수험생인 경우 중요한 부분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시급하다.However, it is very urgent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should be solved, because the black pen and the color pen must be used alternately during the writ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note tak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especially an examinee may miss an important part. 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러 가지 색 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접한 색 펜으로 인하여 간섭이 없는 다심 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color pen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ore pen without interference due to the color pens.

또한 사용자마다 고유한 필기 습관 및 각도가 있어 손목이나 펜을 잡는 손가락에 큰 힘을 주지 않아도 사용자의 필기 습관 및 각도를 유지하여 필기할 수 있는 다심 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user has a unique writing habits and angles to provide a multi-core pen that can be written while maintaining the user's writing habits and angles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to the wrist or the finger holding the pen.

본 발명은 다심 펜에 관한 것으로,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와 잉크충진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여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펜심; 상기 펜심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펜심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펜심의 경사부에 대응하여 경사부를 수용하는 삽입공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re pen, comprising an ink filling portion for filling ink and a pen tip for discharging ink by combining with one end portion of the ink filling portion, dispos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end portions are inclined outwardly. Three or more nibs ar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A case for inserting the pen nib; A head portion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cas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accommodating the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core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pen core penetrate through the inclined outward portion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세 개 이상의 펜심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잉크충진부가 각 펜팁에 연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ee or more nibs are composed of a sing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filling portion is part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pen tip.

또한, 상기 펜심의 경사부는 잉크충진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nib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the ink filling portion.

또한, 상기 펜심의 경사부는 펜팁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nib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the pen tip.

또한, 상기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은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의 내측 둘레면에 다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머리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case and the head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case to insert and engage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head portion.

또한, 상기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은 머리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외측 둘레면에 다수의 돌기가 케이스의 체결부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and the head of the coup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oupling of the cas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head.

또한,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은 원통형 또는 펜심의 개수에 따라 다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la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lindrical or pen nib.

또한, 상기 세 개 이상의 펜심은 필기되는 잉크의 색상, 종류 또는 굵기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ee or more nib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type or thickness of the ink to be written is configured differently.

본 발명은 세 개 이상의 연접한 펜팁에 의하여 간섭이 적으며, 이상적인 필기 각도를 유지하면서 손목에 큰 힘이 들어가지 않고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aving less interference by three or more connected pen tips, and facilitates writing without large force entering the wrist while maintaining an ideal writing angle.

또한 사용자마다 고유한 필기 습관으로 인하여 케이스와 머리부를 좌,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변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하게 필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unique writing habit for each user, by changing the case and the head to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rite by adjusting the desired writing angle.

또한 종래의 다심 펜처럼 하나의 개구부로 나오게 하여 교대로 사용하지 않고 펜을 돌려가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펜을 선택하여 필기함으로써 펜을 선택하는 시간을 단축하며 필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time for selecting a pen by writing by selecting a pen to be used while turning the pen instead of using it alternately to come out through one opening like a conventional multi-core p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펜심의 개수에 따라 케이스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머리부의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케이스와 머리부의 둘레면이 다면으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펜팁의 단부가 향하는 쪽의 일부분에만 체결홈을 형성한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일체형 잉크충진부 및 펜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머리부의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팁(12)의 수에 따라 일체형 잉크충진부(70) 및 케이스(20)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된 다심 펜의 개략적인 평면도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upling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in a multi-fac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ib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A ′ of the head portion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the head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multiple sides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ase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in only a portion of the end of the pen tip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B-B 'of an integrated ink filling unit and a pen tip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n tip shown in FIG.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multi-core pen consisting of a multi-faced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grated ink filling unit 70 and the case 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n tips 1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다심 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은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11)와 잉크충진부(11)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여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12)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펜심(10)과, 상기 펜심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펜심(10)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펜심(10)에 대응하는 삽입공(31)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and the ink filling portion 11 to fill the ink pen tip 12 for ejecting and writing the ink ), Three or more pen nibs 10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and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a case 20 for inserting the pen nibs, and one end of the case 20.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pen nib 10 is penetrated through each of the head 30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to the insertion hole 31 corresponding to the pen nib 10 to protrude outward. .

상기 펜심(10)은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11)와 잉크충진부(1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1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펜심은 필기되는 잉크의 색상, 종류 또는 굵기에 따라 세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펜팁(12)의 단부가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돌출되어 경사져 형성되어 필기할 때 연접한 펜팁(12)의 간섭을 받지 않고 필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en nib 10 is composed of an ink filling unit 11 for filling ink and a pen tip 12 coupled to one end of the ink filling unit 11 to discharge and write ink, and each pen nib is written in ink. Consists of three or more according to the color, type or thickness of the end of the pen tip 12 is formed to be inclined to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andwriting can be written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pen tip 12 connected when writing It is.

상기 펜심(10)의 펜팁(12)이 결합되어 있는 잉크충진부(11)의 일측부에 소정의 각도로 굽어 경사지게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펜심(10)의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것이다.The inclined portions 13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to which the pen tip 12 of the pen tip 10 is coupled, and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nib ( The end of 10) is projected to be inclined outward.

케이스(20)는 펜심(10)을 삽입하는 것으로 펜심(10)의 잉크충진부가 이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으며 개방된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21)를 통해 펜심(10)의 잉크충진부(11)가 삽입되는 것이다.The case 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so that the ink filling portion of the pen 10 is inserted into the pen nib 10 by inserting the pen nib 1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21 formed at one open end. The ink filling portion 11 is inser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펜심(10)의 개수에 따라 케이스(20')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펜심(10)의 개수에 따라 케이스(20')의 둘레면의 수를 형성할 수 있다.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ibs 10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ultiple planes, and the case 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ibs 10. FIG. Can form the number of peripheral surfac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심(10)이 세 개일 경우 케이스(20')의 둘레면을 삼면, 펜심(10)의 수가 네 개일 경우 케이스(20')의 둘레면을 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펜심(10)의 수에 따라 케이스(2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number of the nibs 10 is thre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is three, and when the number of the nibs 10 is four,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20' is formed by four side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10).

머리부(30)는 일측 단부가 케이스(20)의 체결부(21)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펜심(10)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지게 등 간격으로 돌출시켜 배치하는 것이다.The head portion 30 is a part of one end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21 of the case 20 is inserted, the end of the pen nib 10 is to be disposed so as to protrude at equal intervals inclined outward.

상기 머리부(30)의 일측 단부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세 개 이상의 펜심(10)의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펜심에 대응하는 삽입공(31)이 머리부(30)의 외측으로 경사져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측 단부는 개방되어 케이스(20)의 체결부(21)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head portion 30, the insertion hole 31 corresponding to the pen core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ortion 30 so that the ends of the three or more pen nibs 10 are inclined outwardly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axis. It is formed through, and the opposite end is opened, the coupling portion 3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se 20 to engage.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머리부의 A-A'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경사부(13)가 잉크충진부(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을 때 경사부(1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부(13)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머리부(30)의 외측을 향하여 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head shown in FIG. 1, and shows the inclined portion 13 when the inclined portion 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The insertion hole 31 is form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head portion 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3 so as to be inserted.

따라서, 상기 잉크충진부(11)의 경사진 일측부가 삽입공(31)에 삽입되어 잉크충진부(11)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펜팁(12)의 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clined one side portion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so that the ends of the pen tip 12 coupled to the ends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outside. Can b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펜의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둘레면이 다면으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세 개의 펜심(10)이 케이스(20')와 머리부(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둘레면을 삼면으로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and the head 30'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ulti-sided, three pen nib 10 is the case 20 'and the head It is formed in the portion (30 '), and accordingly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and the head portion 30 'formed in three surface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심(10)의 수에 따라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펜팁(12)의 단부가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꼭짓점 쪽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연접한 펜팁(12)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20 and the head 30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fa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ibs 10, and the ends of the pen tip 12 may have the case 20 ′ and the head. It may be formed to face the vertex of the portion 30 'to prevent the interference due to the pen tip 12 connected.

상기 케이스(20)의 체결부(21)와 머리부(30)의 결합부(32)의 결합은 나사결합, 접착결합 등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art 21 of the case 20 and the coupling part 32 of the head 30 may be selected by screwing, adhesive coupling,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결합과 편안한 필기 각도를 조정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케이스(20)의 체결부(21) 내측 둘레면에 다수의 체결홈(22)을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머리부(30)의 결합부(32)의 외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돌기(33)가 형성되어 체결부(21)의 체결홈(22)에 삽입된 머리부(30)의 돌기(33)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22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21 of the case 20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ase 20 and the head 30 and the comfortable writing angle can be adjus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of the head portion 3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3 are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 of the fastening portion 21. Protrusion 33 is inserted to be coupled.

상기 체결홈(22)은 체결부(21)의 내측 둘레면 전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펜팁(12)의 단부가 향하는 쪽의 일부분만을 형성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 22 may be formed i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21, and may form only a portion of the side toward which the end of the pen tip 12 faces.

도 6은 펜팁(12)의 단부가 향하는 쪽의 일부분에만 체결홈(22)을 형성한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결합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체결홈(22)을 펜팁(12)의 단부가 향하는 쪽의 일부분에만 형성함으로써 결합부(32)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겠다.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20 and the head 30 in which the fastening groove 22 i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side where the end of the pen tip 12 faces, and the fastening groove 22 is pen tip.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32 can be simply comprised by forming only in the part of the side which the end part of (12) faces.

특히, 케이스(20)와 머리부(30)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할 때 체결홈(22)을 케이스(20)의 꼭짓점쪽의 일부분에 형성하여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펜팁(12)의 단부가 꼭짓점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접한 펜팁(12)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20 and the head 30 are formed in a multi-faced manner, a fastening groove 22 is formed in a part of the vertex side of the case 20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the case and the head, and a pen tip. Since the end portion 12 is formed to face the vertex, interference due to the pen tip 12 that is connected can be prevented, and writing can be facilitated.

통상적으로 볼펜이나 수성펜 등의 필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즉, 엄지와 검지가 케이스(20)를 잡으며 중지가 케이스(20)를 받치게 된다. In using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ballpoint pen or a water-based pen, that is, the thumb and index finger hold the case 20 and the middle finger supports the case 20.

하지만, 사용자마다 필기하는 습관이 다른데, 예를 들면, 펜을 잡는 손가락에 큰 힘을 주고 필기하거나 펜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서 필기하는 등의 필기 습관이 있다. 특히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필기하는 습관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기울이는 필기 각도의 정도의 차이 등이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한 필기 각도를 유지할 때 손목이나 손가락에 큰 힘이 들어가 필기 후 손목이나 손가락이 뻐근하다는 걸 느낄 수 있다.However, the writing habits are different for each user. For example, there are writing habits such as writing with great power to a finger holding a pen or writing by tilting the pen to the left or right. In particular, a user who has a habit of tilting left or right may hav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ilting the writing angle. Therefore, when the user maintains a comfortable writing angl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wrist or the finger and the wrist or the finger is hard after writing. I can feel it.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한 필기각도를 유지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체결홈(22)과 돌기(33)를 통하여 필기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필기할 수 있겠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omfortably write by adjusting the writing angle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protrusion 33 so that the user can write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writing angle.

상기 체결홈(22)과 돌기(33)를 통하여 필기 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분리한 머리부(30)와 케이스(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필요한 만큼 회전한 후 케이스(20)의 체결홈(22)에 머리부(30)의 돌기(33)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원하는 필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writing angle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22 and the protrusion 33 is to rotate the separated head 30 and the case 20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as necessary, and then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case 20. By inserting and joining the projections 33 of the head 30 to 22, the desired writing angle of the user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목에 큰 힘이 들어가지 않고 편안하게 필기할 수 있도록 케이스(20)와 머리부(30)를 좌,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변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하게 필기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djust the writing angle desired by changing the case 20 and the head 30 to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rite without a large force on the wrist. Make it easy to take notes.

상기 펜심(10)이 다색으로 구성될 경우 펜팁(12)을 통해 배출되는 잉크의 색을 명확하게 분별하고 케이스(20)의 외적 미려함을 고려하여 각각의 펜심(10)의 잉크색과 동일한 색을 펜팁(12)의 단부가 인접한 케이스(20)의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nib 10 is multicolored, the same color as the ink color of each nib 10 is clearly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beauty of the case 20 and clearly distinguishing the color of the ink discharged through the pen tip 12. An end of the pen tip 12 may be formed on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acent case 20.

상기 펜심(10)의 색을 케이스(20)의 둘레면에 형성할 경우, 필기 각도의 조정에 있어서 펜심(10)의 색과 케이스(20)의 둘레면에 형성된 색이 상이하게 결합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측부의 체결홈(22')의 깊이를 타측부의 체결홈(22)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결합부(32)의 돌기(33')의 높이도 낮게 형성함으로써 케이스(20)의 둘레면에 구성한 색과 펜심(10)의 색을 상이하게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olor of the nib 1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the color of the pen nib 10 and the colo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are differently prevented in adjusting the writing angle. In order to form the depth of the fastening groove 22 'of one side is lower than the depth of the fastening groove 22 of the other side,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33'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32 is also formed by lowering the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colo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20 with the color of the nib 10.

상기와 같이, 체결홈(22,22')의 깊이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케이스(20)의 둘레면에 형성된 색과 펜심(10)의 색이 다르게 하여 결합하더라도 깊이와 높이가 서로 다른 체결홈(22,22')과 돌기(33,33')로 인하여 결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올바르게 머리부(30)와 케이스(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pth of the fastening grooves 22 and 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f the colo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0 and the color of the nib 10 are combined differently by the user. Since the other coupling grooves 22 and 22 'and the protrusions 33 and 33' are not coupled, the head 30 and the case 20 can be correctly coupled by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a mistake.

상기 머리부(30) 내부에는 머리부(30) 내부로 모여진 펜심(10)의 잉크충진부(11)의 일부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며 머리부(30) 내부의 삽입공(31)에 연접하여 잠금핀(40)이 삽입 형성되어 있다. Inside the head portion 30, a portion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of the nib 10 gathered into the head portion 30 is inserted by interference fit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31 inside the head portion 30. Lock pin 40 is inserted.

상기 잠금핀(40)은 펜심(10)이 머리부(30)와 케이스(20)에 각각 삽입되어 형성될 경우, 필기로 인하여 펜심(10)의 펜팁(12)이 머리부(3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locking pin 40 is formed by inserting the nib 10 into the head 30 and the case 20, respectively, the pen tip 12 of the nib 10 is moved into the head 30 by writing. It is to prevent the intrusion.

상기 잠금핀(40)은 머리부(30)의 내부의 삽입공(31)에 연접하여 삽입 형성되며, 각각의 잉크충진부(11)의 일측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머리부(30)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직경은 머리부(30)의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머리부(30)의 내측 둘레면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며, 머리부(30)의 삽입공(31)을 통해 모여진 잉크충진부(11)의 일측부를 완전히 밀착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잠금핀(40)의 내부에 모여진 잉크충진부(11)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관통 형성된 것이다.The locking pin 40 is inserted and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hole 31 in the interior of the head 30, the head portion 30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one side of each ink filling portion 11 can be inserted.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shape, the diameter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0 so as to fit into the interior of the head portion 30, the insertion of the head portion 30 One side of the ink filling unit 11 gathered through the ball 31 is formed so as to form the same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ink filling unit 11 gathered inside the lock pin 40 so as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따라서, 상기 잠금핀(40)이 머리부(30)의 삽입공(31)에 잉크충진부(11)의 굽어진 일측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부(30) 내부에서 잉크충진부(11)의 일부와 머리부(30)의 내둘레면을 억지끼움으로 밀착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펜심(10)의 펜팁(12)부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예방한다.Therefore, since the bent side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head portion 30, the locking pin 40 has the ink filling portion 11 inside the head portion 30. Since part of the hea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ead 3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ference fit, the pen tip 12 of the nib 10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inward.

이때, 필기할 때 큰 힘으로 잠금핀(40)이 밀릴 경우를 예방하기 위하여, 결합부(32)의 내측 둘레면의 일측부에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잠금핀(40)이 걸림턱(36)에 걸려 밀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case that the locking pin 40 is pushed by a large force when writing, the locking jaw 3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so that the locking pin 40 is locked. (3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한편, 머리부(30)에 돌출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는 펜팁(12)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50)을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cap 50 is formed to protect the pen tip 12 is formed protruding to the head 30.

또한, 케이스(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체결부(21)의 반대측 단부를 개방하여 형성할 경우 별도의 후방마개(60)을 형성하여 펜심(10)의 잉크충진부(1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며 후방마개(60)가 잉크충진부(11)의 단부를 밀착하여 형성시켜 펜팁(12)이 밀리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forming the case 20, when the opposit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21 is formed by opening the rear cap 60 to form a separate foreign matter enters the ink filling portion 11 of the pen nib (10). Prevent the pen tip 12 from being pushed by forming the rear cap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ink filling unit 11.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펜심(10)에 형성되는 경사부(13)가 펜팁(12)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이다.FIG.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inclined portion 13 formed on the pen core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en tip 1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팁(12)의 일측부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어, 펜팁(12)이 결합되어 있는 잉크충진부(11)의 일측부를 삽입하는 머리부(30)의 삽입공(31)을 외측을 향하여 형성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inclined portion 1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en tip 12, and the head portion 30 inserting one side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to which the pen tip 12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sertion hole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forming toward the outside.

상기 잉크충진부(11)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31)에 일부가 삽입되어 펜팁(12)의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형성하여 펜팁(12)의 경사부(13)가 삽입공(31)의 상단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삽입공(31)의 상단부 외주면에 평평한 안착부(34)을 형성한다.A portion of the ink filling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pen tip 12 protrudes to b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13 of the pen tip 12 is inserted. A flat seating portion 3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hole 31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ll 31.

상기 펜팁(12)의 일측부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부(13)의 각도만큼 안착부(34)을 머리부(30)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inclined portion 1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en tip 12,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ating portion 34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30 by the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13.

상기 안착부(34)에 안착되는 펜팁(12)의 걸림부(14)가 걸려 삽입공(31)의 내부로 펜팁(12)이 밀려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n tip 12 from being push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by the catching part 14 of the pen tip 12 seated on the seating part 34.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다심 펜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다심 펜의 머리부(30)의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re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B 'of the head portion 30 of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is show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펜심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되, 각 펜팁에 연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잉크충진부(70)가 머리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8 and 9, three or more nibs are composed of a single body, the ink filling section 70 is vertically di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pen tip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상기 각 펜팁(12)에 연통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세 개 이상으로 구획된 잉크충진부(70)는 세 가지 이상의 잉크를 각각 충진할 수 있도록 중심 축을 기준으로 구획된 것으로, 펜심(10)의 펜팁(12)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ree or more ink filling sections 70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pen tip 12 are divided based on a central axis to respectively fill three or more inks, and a pen tip of the pen nib 10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ame number as 12).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잉크충진부(70)와 이를 삽입하는 케이스(20)의 둘레면을 원통형 또는 다면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다면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펜팁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filling unit 70 part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ase 20 for inserting the same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faceted shape. desirabl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팁(12)의 수에 따라 내부가 구획된 잉크충진부(70) 및 케이스(20)의 둘레면을 다면으로 구성된 다심 펜의 개략적인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0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a multi-core pen consisting of a multi-sided peripheral surface of the ink filling unit 70 and the case 20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n tips 1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schematically.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팁(12)의 수가 4개이면 내부가 구획된 잉크충진부(70)의 둘레면을 사면으로 구성하며, 그 내부를 4개로 구획하여 구성하며, 펜팁(12)의 수가 5개이면 내부가 구획된 잉크충진부(70)의 둘레면을 오면으로 구성하며, 그 내부를 5개로 구획하여 구성함으로써 펜팁(12)의 수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잉크충진부(70)의 둘레면과 내부의 구획된 수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number of pen tips 12 is fou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filling unit 70 partitioned inside is formed into four slopes, and the inside is divided into four, and the pen tips 12 are separated. If the number of the number is 5,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k filling section 70 is divided into five sides, and the inside is divided into five by forming the ink filling section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n tips 12 ( 70 and a partitioned number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펜팁(12)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세 가지 이상의 잉크를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연접한 펜팁(12)에 의하여 간섭이 적으며, 이상적인 필기 각도를 유지하면서 손목에 큰 힘이 들어가지 않고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tip 12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and discharges three or more inks, and the interference is less by the pen tip 12 that is connected, while maintaining an ideal writing angle. It is easy to write without a large force on the wrist.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change, and sub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펜심
11:잉크충진부
12:펜팁
20:케이스
21:체결부
22:체결홈
30:머리부
31:삽입공
32:결합부
33:돌기
34:안착부
40:잠금핀
10: pen nib
11: Ink filling unit
12: pen tip
20: Case
21: Fastening part
22: Fastening home
30: Head
31: insertion hole
32: coupling part
33: protrusion
It is a seat part 34
40: Locking pin

Claims (8)

잉크를 충진하는 잉크충진부와 잉크충진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하여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하는 펜팁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13)가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펜심(10);
상기 펜심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펜심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경사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펜심의 경사부에 대응하여 경사부를 수용하는 삽입공(31)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30);
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
It consists of an ink filling unit for filling the ink and a pen tip to write and discharge the ink by combining with one end of the ink filling unit, the inclined portion 13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end is inclined outward At least one nib 10;
A case 20 for inserting the pen nib;
The head portion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case and the insertion hole 31 for receiving the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nib so that the end of the pen nib penetrates outwards to protrude to the outside ( 30);
Multi-core pe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 이상의 펜심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잉크충진부가 각 펜팁에 연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or more nibs are composed of one body, and the ink filling portion is vertically partitioned to communicate with each pen ti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심의 경사부는 잉크충진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ni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k fill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심의 경사부는 펜팁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en cor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en t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은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의 내측 둘레면에 다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머리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case and the head is performed by inserting a coupl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formed at the end of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머리부의 결합은 머리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의 외측 둘레면에 다수의 돌기가 케이스의 체결부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and the hea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a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머리부의 둘레면은 원통형 또는 펜심의 개수에 따라 다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head are formed in a pla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linders or n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 이상의 펜심은 필기되는 잉크의 색상, 종류 또는 굵기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펜.
The multicor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or more nibs are configured differently in color, type, or thickness of ink to be written.
KR1020100049748A 2009-10-07 2010-05-27 Pen of multi pen-tip KR101175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901 WO2011043540A2 (en) 2009-10-07 2010-09-01 Multi-cartridg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5220 2009-10-07
KR1020090095220 2009-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822A KR20110037822A (en) 2011-04-13
KR101175739B1 true KR101175739B1 (en) 2012-08-22

Family

ID=4404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748A KR101175739B1 (en) 2009-10-07 2010-05-27 Pen of multi pen-t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3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278Y1 (en) * 2000-01-27 2000-08-16 신우섭 3-color board mar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278Y1 (en) * 2000-01-27 2000-08-16 신우섭 3-color board mar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822A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490Y1 (en) Writing instrument
US20090257811A1 (en) Multiple nib writing instrument
KR100434620B1 (en) Writing utens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20070077111A1 (en) Casing for a writing instru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dual injection molding
US20140270888A1 (en) Two-color ball pointed pen
KR101175739B1 (en) Pen of multi pen-tip
US5984550A (en) Writing device
KR200470027Y1 (en) Three color highlighter
KR102091564B1 (en) Written writing instrument with cutter blade
JP2003011583A (en) Sliding type compound writing utensil
WO2011043540A2 (en) Multi-cartridge pen
KR101143322B1 (en) Multicolor Pen
JP2009137271A (en) Marking pen
JP4155390B2 (en) Writing instrument
US11565543B2 (en) Adaptive writing utensil
KR102359107B1 (en) Eyeliner with bypass passage
WO2022190974A1 (en) Friction body unit and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KR200294752Y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JP6054651B2 (en) Writing instrument shaft
KR20200000726U (en) Pen
KR200371430Y1 (en) The Color Ballsign Pen
JP6310210B2 (en) Writing instrument
KR200221764Y1 (en) Improved pen
JP6219906B2 (en) Writing instrument shaft
JP3090550U (en)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