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355B1 -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355B1
KR101175355B1 KR1020100018169A KR20100018169A KR101175355B1 KR 101175355 B1 KR101175355 B1 KR 101175355B1 KR 1020100018169 A KR1020100018169 A KR 1020100018169A KR 20100018169 A KR20100018169 A KR 20100018169A KR 101175355 B1 KR101175355 B1 KR 10117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file
data
control device
stora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518A (ko
Inventor
양정웅
김재진
이요셉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다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다윈텍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3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mory System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스토리지 제어 장치는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시스템 제공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FTL 및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일 생성 과정을 스토리지 제어 장치에서 처리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를 낮추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Storag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토리지 제어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의 스토리지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해진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즉, 중앙 처리 장치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논리적-물리적 주소 맵핑을 위해 FTL(Flash Translation Layers) 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FTL S/W는 메모리 처리를 위한SoC(System-on-Chip) 칩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중앙 처리 장치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을 메모리 처리 장치가 주소 맵핑 처리를 FTL로 실행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 때, 중앙 처리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생성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의 기능을 스토리지 전용 처리 장치에서 처리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를 낮추고, 시스템 전력 소비 감소,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서 흔히 발생하는 갑작스런 전원 중단(SPOR: Sudden Power-Off Recovery) 문제 방지를 위한 스토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 저장, 서치 등이 기능을 하는 파일 시스템;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FTL; 및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FTL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는 MLC(Multi-Level Cell)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시스템 제공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FTL; 및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FTL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로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는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와 연결된 듀얼 포트(dual port)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는 multi-level cell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 및 (d)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스토리지 제어 방법은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가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중앙 처리 장치가 제1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파일을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d)는, (e)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상기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 및 (f)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제어 방법은 상기 단계 (e)와 상기 단계 (f) 사이에,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제어 방법은 상기 단계 (a)와 상기 단계 (b) 사이에, 상기 제1 메모리가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계 (b)는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일 생성 과정을 스토리지 제어 장치에서 처리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를 낮추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를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를 낮춤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갑작스런 전원 단절 시 데이터 저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데이터를 로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데이터의 추출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의 서비스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11), 제1 메모리(12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 및 제2 메모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써,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는 등의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제1 메모리(120)와 연결되어 처리할 데이터를 제1 메모리(120)에 저장하거나, 제1 메모리(120)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제1 메모리(12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로써, 제1 저장 영역(122), 제2 저장 영역(124), 제3 저장 영역(126)으로 구분된다.
제1 저장 영역(122)은 중앙 처리 장치(110)에서 시스템 제어나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다.
제2 저장 영역(124)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영역이다. 제2 저장 영역(124)은 듀얼 포트(dual port)를 구비하여 중앙 처리 장치(110) 및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에서 접근 가능한 영역이다.
제3 저장 영역(126)은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가 제2 메모리(14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수행할 명령어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제 1 메모리(120)의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여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즉,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논리 주소가 설정된 파일에 제2 메모리(140)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고, 매핑된 물리 주소에 따라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논리 주소와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의 갱신을 수행한다.
제2 메모리(140)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의 제어에 의해 파일을 저장한다. 이 때, 제2 메모리(140)는 MLC(Multi-Level Cell)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의 각 구성부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제2 메모리(140)로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등으로 제2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는 명령을 제2 저장 영역(124)로 저장한다.
제1 메모리(120)는 제2 저장 영역(124)에 데이터 및 명령이 저장되면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킨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인터럽트를 감지하는 경우, 제2 저장 영역(124)에 접근하여 저장된 명령 및 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추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리 지정된 형식(예를 들어, FAT)의 파일을 생성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생성된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140)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고, 파일을 매핑된 물리 주소에 상응하는 블록 내의 페이지에 저장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의 각 구성부를 참조하여 플래쉬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등으로 인해 플래쉬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의 추출을 요청하는 명령을 제2 저장 영역(124)을 통해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수신된 명령에 상응하는 파일의 매핑 테이블을 플래쉬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플래쉬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추출된 파일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 저장 영역(124)로 전송한다.
제1 메모리(120)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가 제2 저장 영역(124)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인터럽트를 중앙 처리 장치(110)로 발생시킨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인터럽트를 감지하고, 제2 저장 영역(124)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에 포함된 구성부가 데이터를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 파일 시스템 제공부(220), FTL(230) 및 NAND 접근부(24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은 제1 메모리(120)에서 발생한 인터럽트를 감지하고,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는 추출한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 제공부(220)로 전송한다.
파일 시스템 제공부(220)은 미리 지정된 파일 시스템에 따라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 시스템 제공부(220)은 생성한 파일을 FTL(230)로 전송한다.
FTL(230)은 파일의 논리 주소에 파일의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될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한다. 이 때, FTL(230)는 파일의 논리 주소와 물리 주소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하 매핑 테이블이라 지칭)을 상술한 매핑 관계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플래시 드라이버(240)은 FTL(230)에서 매핑된 결과에 따라 파일을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즉, 플래시 드라이버(240)은 파일에 매핑된 물리 주소에 상응하는 제2 메모리(140)의 블록에 해당 파일을 저장한다. 이 때, 플래시 드라이버(240)은 매핑 테이블을 제1 메모리(140)의 제3 저장 영역(126)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에 포함된 구성부가 제2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는 제1 메모리(120)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110)로부터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의 추출을 요청하는 명령(이하 파일 추출 명령)를 수신한다.
FTL(230)는 파일 추출 명령에 상응하는 매핑 테이블을 플래시메모리 접근부(240)을 통해 제2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 이어서, FTL(230)는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물리 주소에 상응하는 파일을 플래시 드라이버(240)를 통해 제2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
파일 시스템 제공부(220)는 FTL(230)로부터 추출된 파일을 수신하고, 파일에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드라이버(210)를 통해 제1 메모리(120)의 제2 저장 영역(124)로 전송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310)를 통해 투사된 빛을 CCD(320)가 감지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120)의 제1 저장 영역(122)에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에 따른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저장 영역(122)에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이 완료되는 경우, 압축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로 저장한다.
제1 메모리(120)는 제2 저장 영역(124)에 압축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면 인터럽트를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발생시킨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인터럽트를 감지하고,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된 압축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으로부터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추출된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파일이 저장될 블럭을 선정하고, 선정된 블럭의 물리 주소와 파일의 논리 주소를 매핑한다. 이 때,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선정된 블럭의 물리 주소와 파일의 논리 주소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파일의 논리 주소에 매핑된 물리 주소로 해당 파일을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는 파일 생성을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에서 수행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1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과 FTL을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에서 처리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갑작스런 전원 단절 시 에러 발생에 대한 대응책 및 복구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저장된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데이터를 로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처리 장치(110)는 입력부(340)을 통해 사용자의 사진을 표시하라는 입력을 받고, 사진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시작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파일을 추출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 메모리(120)의 제2 저장 영역(124)을 통해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파일의 매핑 테이블을 제2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한 파일에서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압축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으로 전송한다.
제 1 메모리(120)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가 압축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함에 따른 인터럽트를 중앙 처리 장치(110)로 발생시킨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입터럽트를 감지하고,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 저장 영역(122)로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과정에 따라 압축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압축 데이터의 디코딩이 완료된 후,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부(330)로 전송하여 표시부(330)가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110)는 데이터를 제1 메모리(120)의 제2 저장 영역(120)에 저장한다(510).
제1 메모리(120)는 단계 510의 데이터 저장에 따른 인터럽트를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발생시킨다(52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단계 520에서 발생된 인터럽트를 감지하고 공유 영역(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한다(53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한다(530). 이 때, 생성된 파일에는 논리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제2 메모리(140)에 파일을 저장할 블록의 물리 주소와 파일의 논리 주소를 매핑하고, 매핑에 상응하도록 매핑 테이블을 갱신한다(55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단계 550에서 매핑된 물리 주소에 따라 파일 및 매핑 테이블을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한다(56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데이터의 추출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제어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110)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2 저장 영역(124)를 통해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로 전송한다(61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수신한 데이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매핑 테이블을 제2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다(62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물리 주소를 참조하여 제2 메모리(140)로부터 파일을 추출한다(630).
스토리지 제어 장치(130)는 추출된 파일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에 저장한다(640).
제1 메모리(120)는 단계 640의 데이터 저장에 따른 인터럽트를 중앙 처리 장치(110)로 발생시킨다(650).
중앙 처리 장치(110)는 인터럽트를 감지한 후,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124)로부터 추출한다(660).
이후 중앙 처리 장치(110)는 추출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 메모리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상기 인터럽트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인터럽트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시스템 제공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FTL; 및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TL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multi-level cell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
  5.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시스템 제공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FTL; 및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로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는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FTL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가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와 연결된 듀얼 포트(dual port)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multi-level cell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1.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메모리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상기 인터럽트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인터럽트임-;
    (b)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 및
    (d)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
  13. 모바일 장치가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중앙 처리 장치가 제1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파일을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a)와 상기 단계 (b) 사이에,
    상기 제1 메모리가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계 (b)는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e)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파일의 논리 주소와 상기 제2 메모리의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단계; 및
    (f)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물리 주소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와 상기 단계 (f) 사이에,
    상기 스토리지 제어 장치가 상기 논리 주소와 상기 물리 주소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토리지 제어 방법.
  16. 삭제
KR1020100018169A 2010-02-26 2010-02-26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KR10117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69A KR101175355B1 (ko) 2010-02-26 2010-02-26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69A KR101175355B1 (ko) 2010-02-26 2010-02-26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518A KR20110098518A (ko) 2011-09-01
KR101175355B1 true KR101175355B1 (ko) 2012-08-20

Family

ID=4495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169A KR101175355B1 (ko) 2010-02-26 2010-02-26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5699B (zh) 2015-03-20 2020-12-01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用于快闪存储器的可扩展spor算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324B1 (ko) * 2007-01-12 2007-02-22 엠진 (주) 듀얼포트 디램을 이용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임의 접근시스템 및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324B1 (ko) * 2007-01-12 2007-02-22 엠진 (주) 듀얼포트 디램을 이용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임의 접근시스템 및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518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647B2 (en) Managing operational state data in memory module
US10146627B2 (en) Mobile flash storage boot partition and/or logical unit shadowing
US20240176505A1 (en) Channel Optimized Storage Modules
US9396107B2 (en) Memory system having memory controller with cache memory and NVRA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2855193B (zh) 非易失性存储系统中未使用的逻辑地址的挂载时去映射
US20140164686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using swap thereof
KR102336528B1 (ko) 캐시 메모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1000580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KR101730151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저장 시스템
WO20151389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demand paging for subsystems in a portable computing environment with restricted memory resources
CN106575273A (zh) 用于扩展片上系统的存储器的系统和方法
US9652416B2 (en) Storage device for performing in-storage computing operations,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3838746A (zh) 多cpu系统共享存储数据的方法及该系统
US87261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ing memory access information
KR20140073955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166852A1 (en) Method for hibernation mechanism and computer system therefor
KR20150116627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101175355B1 (ko) 스토리지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WO2016023276A1 (zh) 一种存储卡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902948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ata secure deletion in mobile terminal
KR101101324B1 (ko) Hdd를 제어하는 스토리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스토리지 제어 방법
US9317440B2 (en) Computing device and virtual devic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device by compu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