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194B1 -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194B1
KR101175194B1 KR1020110115934A KR20110115934A KR101175194B1 KR 101175194 B1 KR101175194 B1 KR 101175194B1 KR 1020110115934 A KR1020110115934 A KR 1020110115934A KR 20110115934 A KR20110115934 A KR 20110115934A KR 101175194 B1 KR101175194 B1 KR 10117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eature information
specific
image se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올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라웍스 filed Critical (주)올라웍스
Priority to KR102011011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단말기에서 텍스트로 이루어진 제1쿼리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제1쿼리를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대해서도 같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쿼리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2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쿼리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ING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조건(가령,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기타 상황 등)에 부합하는 적정 내용 및 적정 개수 (또는 적정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feature)를 대상으로 하여 우선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이미지 검색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 경박화됨에 따라 휴대의 편리성이 증가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부가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최근 들어 사용자들에게 필수 구성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중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되거나 촬영된 이미지, 즉, 쿼리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전송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매칭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관련되는 검색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가령,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14765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검색이 대량의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서버에서 수행되고, 단말기는 검색 질의와 결과 조회만을 수행하는 구조였는바, 검색 질의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대량의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결과를 찾는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통신 비용도 증가하기 마련이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항상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없고,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검색에 있어서 빠른 반응 속도를 보여야 하기 때문에 서버와 독립된 영상 검색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상의 제약으로 인해 서버의 수많은 데이터를 단말기로 가져오는 것도 문제일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이 요청되면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적정한 수 또는 적정한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만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높은 인식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의 방법에 따르면, (a) 단말기에서 텍스트로 이루어진 제1쿼리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제1쿼리를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대해서도 같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쿼리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2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쿼리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장치에 따르면, 제1텍스트 또는 제1이미지로 이루어진 제1쿼리 및 제2텍스트 또는 제2이미지로 이루어진 제2쿼리를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기 위한 쿼리 입력부, 저장 여유 용량을 가지고,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쿼리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제1쿼리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 및 상기 쿼리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쿼리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서버에 따르면,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쿼리 - 상기 제1쿼리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짐 - 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쿼리와 함께 수신한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검색에 이용되기 위한 적정 이미지들의 개수에 따라 이미지 세트로 묶고 각각의 이미지 세트를 구분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이러한 서버를 대상으로 이미지 세트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작은 수의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를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다운받아 저장하여, 이후 검색시에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항상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웹에 비해 상대적으로 검색에 있어 빠른 반응 속도를 보여야 하는데 이러한 요건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미지 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미지 검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미지 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검색 장치(100)는 단말기(110),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고, 서버(120)는 특징 정보 추출부(120-1), 검색부(120-2)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20-3)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130)는 제1 내지 제n저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이미지를 스캔 또는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통신망(140)을 통하여 서버(120)와의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망(140)은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130)는 n개의 저장부들 각각에 대용량의 이미지들로부터 추출된 서로 다른 개수로 묶인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개수로 묶인 이미지 세트 간에는 특징 정보의 평균 데이터 용량도 서로 다르도록 특징 정보를 상기 대용량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은 개수로 묶인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별 특징 정보의 평균 데이터 용량이 많은 개수로 묶인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별 특징 정보의 평균 데이터 용량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n개의 저장부들 각각에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이미지 세트만 존재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카테고리는 예를 들면, 영화, 음악, 음식점, 책, 장소 등이 될 수 있다. n개의 저장부들 중 제n저장부에는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이 적절한 개수의 이미지 세트로 묶여 저장되되 가장 자세한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될 수 있고, 제(n-1)저장부에는 제n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 세트들 중에서 각각 일부 개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획득된 이미지 세트들이 저장되되 제n저장부에 저장된 버전의 특징 정보보다는 같거나 덜 자세한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저장부들도 이와 같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제1저장부에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이미지 세트들 중에서 각각 일부 개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획득된 이미지 세트들이 저장되되 제2저장부에 저장된 버전의 특징 정보보다는 덜 자세한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들은 제2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들에 포함될 수 있고, 제(n-1)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들은 제n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n저장부에는 천만장의 이미지들이 적절한 개수로 묶여 10개의 이미지 세트에 포함되어 이들의 특징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면(가령, 동일하게 각 이미지 세트에는 백반장의 이미지들이 존재한다고 편의상 단순화하여 가정함), 제(n-1)저장부에는 제n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이미지 세트별로 십만장의 이미지들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n-1)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세트별 십만장의 이미지들은 제n저장부에도 저장되어 있지만(즉, 제(n-1)저장부와 제n저장부 사이에 동일한 이미지라고 하더라도), 제n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세트별 백만장의 특징 정보의 자세한 정도가 제(n-1)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세트별 십만장의 특징 정보의 자세한 정도보다 같거나 클 수 있을 것이다. 즉, 구별해야 할 이미지의 개수가 많을수록 특징 정보의 자세한 정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특징 정보의 데이터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를 제1저장부 내지 제n저장부에 계층적으로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부분이 서버(120) 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20-3)이다.
서버(120)의 특징 정보 추출부(120-1)은 통신망(140)을 통하여 단말기(110)로부터 쿼리로서 입력 이미지가 전송되면 입력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10) 자체 내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해서 서버(120)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특징 정보 추출부(120-1)가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특징 정보 추출부(120-1)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20-3)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에 대해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버(120)의 검색부(120-2)는 단말기(110)의 조건(가령,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기타 상황 등)에 부합하는 적정 내용 및 적정 개수 (또는 적정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feature)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130)의 저장부들 중에서 상기 단말기(110)의 조건에 부합하는 적정 내용 및 적정 개수 (또는 적정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특정 이미지 세트를 검색하여 특정 저장부의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20)의 검색부(120-2)는 단말기(110)로부터 “신작영화”라는 쿼리가 입력되면, 단말기(110)의 저장 여유 용량에 부합하는 “신작영화”에 관련되는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저장부를 검색하여, 특정 저장부에 저장된 “신작영화”에 관련되는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10)의 조건(가령,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기타 상황 등)에 부합하는 적정 내용 및 적정 개수 (또는 적정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feature)를 단말기(110)가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기(110)가 서버(120)와 접속하지 않고 자체 내에 다운로드된 특징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이미지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극도로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10)는 다운로드를 원하는 내용의 이미지 세트를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소정 물체의 이미지를 디지털 카메라를 통하여 스캔하거나 촬영하여 해당 이미지를 통신망(140)을 통하여 서버(120)로 전송할 수도 있고(소위 쿼리 이미지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소정 물체에 관한 검색어를 쿼리로서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로 된 쿼리 또는 텍스트로 된 쿼리는 단말기(110)로 다운로드 받아오기를 원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이미지로 된 쿼리의 예로서 “최종병기 활”이라는 영화 포스터 이미지를 쿼리로서 입력하면, “최종병기 활”이 속하는 카테고리 중 하나인 “신작영화”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세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단말기(110)는 단말기(110)의 조건에 관한 정보(가령,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기타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서버(120)에 전송하여 서버(120)의 검색부(120-2)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들 중 특정 저장부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특정 저장부에서 상기 특정 카테고리(상기의 예에서는 “신작영화”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특정 저장부에는 단말기(110)의 조건에 부합하는 적정 개수 또는 적정 데이터 용량의 각종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며, 그 중 상기 특정 카테고리(즉, “신작영화”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저장부에서 검색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는 단말기(110)로 다운로드된 후 추후 단말기(110)를 사용한 이미지 검색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기(110)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의 단말기(110)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120)의 검색부(120-2)는 현재의 장소(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장소와 관련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 세트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주로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조건의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자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쿼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자의 경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쿼리에 부합하는 상기 특정 카테고리 중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 세트를 결정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쿼리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쿼리로서 입력되고 이러한 쿼리에 부합하는 특정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가 추천되면, 사용자가 이를 선택해 다운로드 받는 예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기(110)가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해당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은 단말기(110)의 저장 여유 용량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데, 가령, 저장 여유 용량에 적합한 개수의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메모리 용량을 넘지 않는 한도에서 별도로 입력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데이터 용량에 따라 결정된 적합한 데이터 용량의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만약 저장 여유 용량이 아주 크다면 단말기(110)의 위치와 관련된 카테고리에 종속된 개수의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에, 사용자가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동일한 물체 이미지 또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에, 단말기(110)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즉, 서버(120)와 접속하지 않고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110)에 이미지들에 대한 특징 정보 뿐만 아니라 이미지들에 대한 부가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있다면, 이 이미지들에 대한 부가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말기(110)에 이미지들에 대한 부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서버(120)에 연결하여 검색 결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30)가 하나로 구성되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n개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130)가 하나로 구성되지 않고, n개로 별도로 구성되고, n개의 데이터베이스들 각각이 제1 내지 제n저장부 각각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10)은 제어부(210), 송수신부(220), 디지털 카메라(230), 입력부(240), 특징 정보 추출부(250), 검색부(260), 표시부(270), 저장부(280), 및 위치 추적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신부(220)는 도 1의 통신망(140)을 통하여 서버(1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230)는 검색을 원하는 물체를 스캔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영화를 검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영화관의 간판 또는 포스터 등의 영화 또는 영화관과 관련된 물체를 스캔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검색을 원하는 검색어를 쿼리로서 입력하거나 디지털 카메라(23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등으로 된 쿼리를 입력할 수 있다.
특징 정보 추출부(250)는 디지털 카메라(230)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 검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검색부(260)는 디지털 카메라(2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와 저장부(280)에 저장된 특징 정보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부(270)는 서버(1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여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입력 가능하게 하고,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치 추적부(290)는 단말기(110)의 현재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송수신부(220), 디지털 카메라(230), 입력부(240), 특징 정보 추출부(250), 검색부(260), 표시부(270), 저장부(280), 및 위치 추적부(29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10)는 외부로부터의/로의 또는 단말기(11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송수신부(220), 디지털 카메라(230), 입력부(240), 특징 정보 추출부(250), 검색부(260), 표시부(270), 저장부(280), 및 위치 추적부(29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미지 검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단말기(110)의 표시부(270)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 창에서 디지털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물체의 이미지를 스캔하거나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로 된 쿼리(소위 제1 쿼리)를 입력하거나 일반 텍스트로 된 쿼리(마찬가지로 제1 쿼리)를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110)의 조건도 함께 서버(120)로 전송된다(제300단계). 이때, 단말기(110)의 조건의 예시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서버(120)의 검색부(120-2)는 데이터베이스(130)의 제1저장부 내지 제n저장부들 중 제1쿼리에 부합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이미지 세트 중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를 검색한다(제310단계).
서버(120)의 검색부(120-2)는 특정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제320단계).
단말기(110)는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 저장부(280)에 저장한다(제330단계).
이후, 단말기(110)에서 단말기(110)의 저장부(280)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 세트에 관련된 제2쿼리를 입력한다(제340단계).
단말기(110)에서 제2쿼리에 부합하는 특징 정보를 저장부(280)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한다(제350단계). 만일 제2쿼리가 디지털 카메라(230)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라면, 특징 정보 추출부(250)에 의해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와 저장부(280)에 저장된 특징 정보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110)에서 검색 결과의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서버(120)로부터 가져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단말기(110)에서 서버(120)로 이미지와 이미지에 관련된 부가 정보의 전송을 별도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추천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미지 검색 장치
110; 단말기
120; 서버
120-1; 특징 정보 추출부
120-2; 검색부
120-3;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통신망
210; 제어부
220; 송수신부
230; 디지털 카메라
240; 입력부
250; 특징 정보 추출부
260; 검색부
270; 표시부
280; 저장부
290; 위치 추적부

Claims (25)

  1. (a) 단말기에서 텍스트로 이루어진 제1쿼리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제1쿼리를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대해서도 같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쿼리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2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쿼리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특징 정보의 용량은 상기 제(k-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특징 정보의 용량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특정 저장부의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이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 또는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과 가장 근접한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 또는 이미지의 개수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상기 특정 저장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 중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 세트를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쿼리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쿼리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의 선택이 있으면 상기 추천된 특정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
  7. 삭제
  8. 제1텍스트 또는 제1이미지로 이루어진 제1쿼리 및 제2텍스트 또는 제2이미지로 이루어진 제2쿼리를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기 위한 쿼리 입력부;
    저장 여유 용량을 가지고,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쿼리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제1쿼리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 및
    상기 쿼리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쿼리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는 상기 제(k-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저장부들과 통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 입력부는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입력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제1텍스트, 상기 제2텍스트, 및 상기 단말기의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된 특징 정보와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하여 상기 제2이미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저장부는,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특정 저장부의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이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 또는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저장부는,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과 가장 근접한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 또는 이미지의 개수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상기 특정 저장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저장부는,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 중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 세트를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로서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쿼리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쿼리가 상기 쿼리 입력부를 통해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저장부가 상기 추천된 특정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장치.
  17. 제1 내지 제n저장부로 구분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쿼리 - 상기 제1쿼리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짐 - 가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로 이루어진 이미지 세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쿼리와 함께 수신한 단말기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 또는 데이터 용량의 특정 이미지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k저장부(2<=k<=n)에는 카테고리별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1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고, 제(k-1)저장부에는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카테고리별 모든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가 제2 버전의 특징 정보로 저장되며, 상기 제1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는 상기 제2 버전의 특징 정보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k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특징 정보의 용량은 상기 제(k-1)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 또는 특징 정보의 용량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 내의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쿼리가 이미지 자체라면 상기 제1쿼리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정보 추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서버.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의 특징 정보를 상기 제1 내지 제n저장부들에 계층적으로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특정 저장부의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의 데이터 용량이 상기 단말기의 저장 여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지 판단한 후에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 또는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이미지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부들 중 상기 단말기의 조건과 가장 근접한 특징 정보의 데이터 용량 또는 이미지의 개수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상기 특정 저장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조건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 중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한 이미지 세트를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쿼리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전송된 상기 제1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제1쿼리가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한다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상기 특정 이미지 세트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추천된 특정 이미지 세트의 특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15934A 2011-11-08 2011-11-08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7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34A KR101175194B1 (ko) 2011-11-08 2011-11-08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34A KR101175194B1 (ko) 2011-11-08 2011-11-08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194B1 true KR101175194B1 (ko) 2012-08-20

Family

ID=4688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934A KR101175194B1 (ko) 2011-11-08 2011-11-08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625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20150106621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20190109669A (ko) * 2018-03-09 2019-09-26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반 부품 검색 시스템
KR20210092707A (ko) * 2014-05-07 2021-07-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625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20150106621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2178172B1 (ko) * 2014-03-12 2020-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2178177B1 (ko) * 2014-03-12 2020-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20210092707A (ko) * 2014-05-07 2021-07-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88230B1 (ko) 2014-05-07 2022-04-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109669A (ko) * 2018-03-09 2019-09-26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반 부품 검색 시스템
KR102040525B1 (ko) * 2018-03-09 2019-11-05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반 부품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1903B2 (en) Updating language understanding classifier models for a digital personal assistant based on crowd-sourcing
US8375053B2 (en) Fuzzy keyword searching
JP5984917B2 (ja) 提案される語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63301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r generated content indexing
CN108804532A (zh) 一种查询意图的挖掘和查询意图的识别方法、装置
US20150046418A1 (en) Personalized content tagging
US20160259856A1 (en) Consolidating and formatting search results
JP2012181846A (ja) 複数の供給源からのメディアファイルの管理
WO2009046649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i de textes et procédé et dispositif de reconnaissance de fraude dans des textes
CN103049495A (zh) 用于提供与查询序列相对应的搜索建议的方法、装置与设备
KR101175194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3016349A1 (zh) 一种文本输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300867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videos using natural language description
WO2014107194A1 (en) Identifying relevant user content
US20150010288A1 (en) Media information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media information related to media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90020005A (ko) 영상 정보 기반의 동영상 연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583B1 (ko) 스마트 기기 내 시맨틱 검색 시스템 및 검색방법
CN103870482B (zh) 搜索系统及方法
JP57729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03768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方法、情報端末、情報処理方法、画像検索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038169B (zh) 对象推荐方法和对象推荐设备
KR20160029048A (ko) 확장정보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03602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earch queries using permission definition tokens
US20190163810A1 (en) Search User Interface
CN111159535A (zh) 资源获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