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43B1 - A Position De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A Position Det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443B1
KR101174443B1 KR1020050098769A KR20050098769A KR101174443B1 KR 101174443 B1 KR101174443 B1 KR 101174443B1 KR 1020050098769 A KR1020050098769 A KR 1020050098769A KR 20050098769 A KR20050098769 A KR 20050098769A KR 101174443 B1 KR101174443 B1 KR 10117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antenna
positioning device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2800A (en
Inventor
박근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43B1/en
Publication of KR2007004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는 위치파악의 대상인 목적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지향성 수신안테나;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세기 검출부; 및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rectional reception antenna for wirelessly receiving a signal from an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location; A reception strength detect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directional reception antenna;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intensity detector.

지자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지자기센서에서 탐지한 지향성 수신안테나가 놓인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물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목적물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여 이를 위치파악장치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t further comprises a geomagnetic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detected by the geomagnetic sensor is placed, if there are two or more objects to receive mor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bject in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t may b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위치파악, 지향성 안테나, 신호 세기 Positioning, directional antenna, signal strength

Description

위치파악장치{A Position Detecting Device}A Position Det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와 목적물의 블럭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positioning device and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 위치파악장치로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method for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by the position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위치파악장치와 목적물 간의 거리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다.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ing device and th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본 발명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locating an object using a directional antenna.

종래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있다. GPS는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이다. One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i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a technology that uses satellites to track your location.

그러나 GPS는 근거리에 있는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적당하지 않다. 예를 들어 넓은 공용주차장에 세워 놓은 차량의 위치를 찾는데 GPS를 사용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However, GPS is not suitable for locating objects at close range. For example,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GPS to locate a car parked in a large public parking lot.

따라서, 근거리에 있는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locating the object in close proxim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locating an object at a short distance using a directional antenn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주파수송신부;와, 위치파악의 대상인 상기 차량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지향성 수신안테나와,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세기 검출부,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가 놓인 방향을 탐지하는 지자기센서 및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와 함께 상기 지자기센서에서 탐지한 지향성 수신안테나가 놓인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차량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차량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목적물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와 함께 상기 차량을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과 상기 휴대용 위치파악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하는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directional reception antenna for wirelessl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vehicle that is the target of location, and the directivity The reception unit includes a reception intensity detect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a reception antenna, a geo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al reception antenna is plac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ion unit.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s detected by the geomagnetic sensor are placed together with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intensity detecting unit, 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vehicles,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receives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two or more vehicles. Receive mor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bject, And a portable positioning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dentifying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in the display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ortable location device may be a Bluetooth device inclu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로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n object by using the strength of a radio signal received by an antenna using a directional antenna.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를 구성하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와 목적물의 블럭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positioning device and the object constituting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크게 목적물(110)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is largely composed of the object 110 and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상기 목적물(110)은 본 발명에서 위치를 파악하려는 대상이다. 목적물(110)의 예로는 차량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도어락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목적물(110)은 차량이 되고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는 도어락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The object 110 is an object to grasp the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object 110 may be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wireless door lock device of a vehicle, in which case the object 110 may be a vehicle and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device.

목적물(110)에는 무선주파수 송신부(112)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주파수 송신부(112)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무선주파수 수신부(122)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주파수 송신부(112)는 송신안테나(111)에 연결되어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신한다.The target object 110 includes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12.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12 transmits a radio signal to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of the portabl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120.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1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tenna 111 to transmit a radio signal through an antenna.

상기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는 수신안테나(121), 무선주파수 수신부(122), 수신세기 검출부(123), 지자기센서(124), 제어부(125), 키입력부(126), 표시부(127) 및 메모리(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ncludes a reception antenna 121, a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a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a geomagnetic sensor 124, a controller 125, a key input unit 126, and a display unit 127. And a memory 128.

상기 수신안테나(121)는 무선주파수 수신부(122)에 연결되어 있으며 목적물(110)의 송신안테나(11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주파수 수신부(12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안테나(121)는 지향성 안테나로 구성된다. The reception antenna 121 is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reception unit 122 and serves to receive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111 of the object 110 and transmit the radio signal to the radio frequency reception unit 122.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composed of a directional antenna.

지향성 안테나란 지향성이 있도록 설계된 안테나로서 등방성 안테나(isotropic antenna)를 제외한 모든 안테나를 가리키며 특정 방위각으로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무선 안테나를 말한다. 지향성 안테나는 등방성 안테나의 뒷면에 반사판(reflector)을 부착하여 전파가 일정 방향으로만 전파되도록 설계된 안테나이며, 보통 반파장 다이폴을 수직으로 다단 배열한 콜리니어(collinear) 안테나를 사용한다. 지향성 안테나는 어느 특정한 방향으로 전파를 세게 방사하거나 어느 특정한 방향에서 수신되는 전파를 잘 받아들인다.A directional antenna is an antenna designed to be directional and refers to all antennas except an isotropic antenna, and is a wireless antenna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only at a specific azimuth angle. A directional antenna is an antenna designed to attach a reflector to the rear surface of an isotropic antenna so that radio waves propagate only in a certain direction, and a linear antenna is usually used in which a half-wave dipole is vertically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 directional antenna emits strong radio waves in a certain direction or accepts radio waves received in a certain direction.

상기 무선주파수 수신부(122)는 수신안테나(121), 수신세기 검출부(123) 및 제어부(125)와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안테나(121)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세기 검출부(123)와 제어부(12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RF receiver 122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antenna 121,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and the control unit 125 and receives the radio signal from the reception antenna 121 to receive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ion unit 123 and the control unit 125. ) Is used to send.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123)는 무선주파수 수신부(122) 및 제어부(123)와 연결되어 있고 무선주파수 수신부(122)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치를 제어부(12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물(1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The reception strength detection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reception unit 122 and the control unit 123 and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the radio frequency reception unit 122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and to measure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125. It serves to transmit. In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 (110).

상기 지자기센서(124)는 제어부(125)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방향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자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목적물(110)의 위치를 동서남북의 방위로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자기센서(12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geomagnetic sensor 12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5, and serve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at is, it is to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directed by using a geomagnetic.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in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orientation. The geomagnetic sensor 124 may or may not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25)는 무선주파수 수신부(122), 수신세기 검출부(123), 지자기센서(124), 키입력부(126), 표시부(127) 및 메모리(128)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The control unit 125 is connected to a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a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a geomagnetic sensor 124, a key input unit 126, a display unit 127 and a memory 128, and is a portable position detection device ( 120) is in charge of the overall control.

상기 키입력부(126)는 제어부(125)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 사용자로부터 위치를 파악하라는 명령을 키를 통해 입력받아 제어부(125)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에서 위치를 알고자 하는 목적물(110)이 하나인 경우에는 위치를 파악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 하나의 키만 있으면 되지만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에서 위치를 알고자 하는 목적물(110)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여러 개의 키를 구비해야 한다.The key input unit 12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5 and receives a comm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from the user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rough a key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25. If there is only one object 110 that wants to know the location i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only one key for inputting a command to determine the location is required, but the target device that wants to know the location in the portable location device 120 ( If there are several 110, several keys should be provided.

상기 표시부(127)는 제어부(125)와 연결되어 있고 목적물(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5)에서 받아 위차파악장치(120)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play unit 127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5 and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from the control unit 125 to the user of the apparatus 120 for detecting the difference.

상기 메모리(128)는 제어부(125)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125)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목적물(11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128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5 and stores information on a program and an object 11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5.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위치파악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목적물(110)의 무선통신가능영역 안으로 가져가면 목적물(110)의 무선주파수 송신부(112)와 무선신호가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무선주파수 수신부(122) 간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물(110)의 무선통신가능영역은 목적물(110)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최대영역으로 사용하는 무선통신장비에 따라 달라진다. Whe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brought in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f the object 110,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12 of the object 110 and the radio signal are transmitted between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of the portable location device 120. Wireless communication takes pla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area of the target object 110 varies depend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ed as the maximum area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 110 and the portable location-detecting device 120.

상기 무선통신은 목적물(110)의 송신안테나(111)에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수신안테나(121)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이루어진다. 위치파악의 대상이 되는 목적물(110)이 하나인 경우 상기 무선신호는 특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되나, 목적물(110)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그 목적물(1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111 of the target object 110 to the reception antenna 121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When there is only one object 110 to be located, the radio signal does not need to include special information. However, when there are several objects 110, the radio signal include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110. Should be

상기 수신안테나(121)는 지향성 안테나로서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진다.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목적물(110)을 향하면 신호의 세기가 가장 커지고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목적물(110)과 반대방향을 향하면 신호의 세기 가장 작아진다. 이러한 원리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기준으로 목적물(110)이 있는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다.The reception antenna 121 is a directional antenna,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vari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If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toward the object 110,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the largest, and if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opposite to the object 110, the signal strength is the smallest. Based on this principle, the direction of the object 110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무선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무선주파수 수신부(122)에서는 무선신호를 수신세기 검출부(123)와 제어부(125)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세기 검출부(123)에서는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치를 제어부(125)에 전송한다.The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of the portable location detecting apparatus 120 that receives the radio signal transmits the radio signal to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and the controller 125. Then,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ler 125.

무선신호와 수신신호의 세기 측정치를 수신한 제어부(125)에서는 무선신호로부터 목적물(1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목적물(1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의 추출은 목적물(110)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동작이다. 목적 물(110)이 하나인 경우는 이러한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The control unit 125 that receives the measurement of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extract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110 from the radio signal. Extraction of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target object 110 is an operation required when using multiple target objects 110. If there is only one target object 110, such an operation is not necessary.

또한 제어부(125)에서는 지자기센서(124)로부터 현재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놓인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5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placed from the geomagnetic sensor 124.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사용자가 목적물(120)의 위치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통해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키입력부(126)에 연결된 키를 누른다. 그러면 키입력부(126)에서 목적물(110)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명령신호가 제어부(125)에 전송되고 제어부(125)에서는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123)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의 세기 측정치와 지자기센서(124)에서 측정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27)를 통해 표시한다. 목적물(110)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목적물(110)을 식별하는 정보를 통해 목적물(110)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여 목적물(110)의 종류도 표시한다.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wants to know the position of the object 120 through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user presses a key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126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n, a command signal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in the key input unit 12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5, and the control unit 125 measures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intensity detection unit 123 and the geomagnetic sensor (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measured in 124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7. In the case of multiple targets 110, the type of the target object 110 is also displayed by identifying what the target object 110 is through information identifying the target object 110.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와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놓여있는 방향이다.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움직여서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을 변경시키면 목적물(110)의 방향과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변하게 된다.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placed. If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changed by moving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bject 110 and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방향을 바꿔가면서 목적물(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모습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로 목적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Figure 2 shows how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at is, Figure 2 shows a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with a portable position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면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중앙에 있고 목적물(110)인 차량이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오른쪽에 있다. 그리고 A, B, C, D는 지향성 안테나인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을 나타내고 a, b, c, d는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에 따라 수신안테나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즉,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A인 경우 a영역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B인 경우 b영역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C인 경우 c영역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D인 경우 d영역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having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n the center and the object 110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A, B, C, and D represent directions of the reception antenna 121, which is a directional antenna, and a, b, c, and d represent areas in which the reception antenna can receive signa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eception antenna 121. .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A,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adio signal transmitted in the region a. Whe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B,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adio signal transmitted in the region b. When the direction of 121 is C,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in area c may be received, 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reception antenna 121 is 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in area d may be received.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A, C, D인 경우에는 목적물(110)이 a영역이나 c영역이나 d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안테나(121)에서는 목적물(110)의 송신안테나(111)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사용자가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키입력부(126)에 연결된 키를 누르는 경우에도 수신세기 검출부(123)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의 세기 측정치는 '0'으로 표시되고 지자기센서(124)에서 측정한 방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Whe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A, C, or D, since the object 110 does not exist in the a region, the c region, or the d region, the receiving antenna 121 transmits the target antenna 111 of the target object 110. Cannot receive radio signals from In this case, even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presses a key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126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strength measurement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is' 0. 'And th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measured by the geomagnetic sensor 124 is not displayed.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이 B가 되도록 하면 목적물(110)이 b영역 내에 존재하므로 수신안테나(121)에서는 목적물(110)의 송신안테나(111)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사용자가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키입력부(126)에 연결된 키를 누르는 경우 수신세기 검출부(123)에서 측정한 수신신호의 세기 측정치와 지자기센서(124)에서 측정한 방향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27)를 통해 표시된다.If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B, since the object 110 exists in the area b, the receiving antenna 121 can receive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111 of the object 110. In this case,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presses a key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126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strength measurement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ctor 123 and the geomagnetic sensor (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measured in 124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7.

수신안테나(121)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목적물(110)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의 세기가 작아진다. 거리가 목적물(110)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최대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에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신호의 세기는 '0'이 된다.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antenna 121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object 110 and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closer the distance is,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the farther the distance is, the smaller the strength of the signal. If the distance is farther than the maximum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object 110 and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signal is not received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0'.

도 3은 본 발명에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와 목적물 간의 거리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다.Figure 3 shows how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and th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3을 보면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있고 목적물(110)의 위치가 ①, ②, ③, ④로 변경된다. ① 위치에 목적물(110)이 있는 경우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와 목적물 간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경우이고 목적물(110)의 위치가 ④로 갈수록 그 거리가 멀어진다. 특히 ④ 위치에 목적물(110)이 있는 경우는 목적물(110)과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 간의 거리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최대 거리를 벗어난 경우이다.Referring to Figure 3 there is a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is changed to ①, ②, ③, ④. ① If the object 110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and the object is the closest, the distance is farther away as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to ④. In particular, when the object 110 is in the position ④ is the cas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110 and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out of the maximum possible wireless communication.

목적물(110)에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로 전송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는 목적물(110)이 ① 위치에 있을 때 가장 크고, ② 위치에서는 ① 위치에 있을 때보다 작아지고, 목적물(110)이 ③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작고, ④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통신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신호의 세기가 '0'이다.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rget object 110 to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is greatest when the object 110 is in the ① position, and is smaller than when the object 110 is in the ① position, and the object 110 is ③ It is the smallest when in position. ④ When it is in position, the communication itself is impossible, so the signal strength is '0'.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목적물(110)이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Using this principle, it can be seen how far the object 110 is from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본 발명에서 무선주파수 송신부(112)와 무선주파수 수신부(122)에서 사용하는 통신장비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장비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블루투스 통신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블루투스 통신장 비마다 고유의 주소가 있으므로 이 주소를 목적물(110)이 여러 개인 경우 목적물(110)을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하면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used by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12 and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122 should be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is may include Bluetooth communication equipment. In case of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equipment, since each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has a unique address, this address may be used as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bject 110 when there are several objects 110.

상기 설명에서는 표시부(127)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지만 이와 달리 소리로 출력하여 목적물(110)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즉,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의 수신안테나(121)에서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소리가 출력되게 하면서 신호의 세기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수신안테나(121)의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목적물(110)의 방향과 일치되면 소리가 출력되고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가진 사용자가 목적물(110)에 접근할수록 소리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목적물(110)의 위치를 알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case in which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7 is described.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may be known by outputting a sound. That is, when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121 of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he sound may be output while changing the volume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In this case, the sound is out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is matched with the direction of the target 110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121, and the volume of the sound increases as the user having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approaches the target 110.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0 can be known.

본 발명에서 목적물(110)에는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모든 물건이 포함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로는 차량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를 이용하여 차량을 어디에 주차해 두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 경우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는 무선으로 차량의 문을 잠그고 여는 도어락 제어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도어락 장치로 문을 열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110 may include all object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ocation, but preferably includes a vehicle. That is,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to determin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n this case,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in a door lock control device that wirelessly locks and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ith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and open the door with th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에서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예에서와 같이 무선 차량 도어락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위치파악장치(120)가 구현되는 경우는 제어부, 메모리, 키입력부, 표시부는 이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부분인 무선주파수 수신부, 수신세기 검출부, 지자기센서만 더 포함시키면 된다. 무선통신방법으로 CDMA 등의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도 별도로 구현할 필요가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positioning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but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as in the above example, or may be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positioning devi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the memory,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already included as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the geomagnetic sensors need to be included.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CDMA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 is no need to implement a radio frequency receiver separately.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파악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position f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 설명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형된 형태와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but includes all modified and modified forms that belong to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파악이 필요한 물건의 위치를 별도의 장비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cation of the object that needs to be identified through the separate equipment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7)

차량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주파수송신부;와,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signal; and 위치파악의 대상인 상기 차량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지향성 수신안테나와,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세기 검출부,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가 놓인 방향을 탐지하는 지자기센서 및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와 함께 상기 지자기센서에서 탐지한 지향성 수신안테나가 놓인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차량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지향성 수신안테나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차량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목적물을 식별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수신세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신호의 세기와 함께 상기 차량을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위치파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파악장치.A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for wirelessl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vehicle, which is the target of position detection, a receiving strength detect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at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a geo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is placed, and the receiving antenna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intensity detector,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detected by the geomagnetic sensor with the intensity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intensity detector, If there are more than one,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two or more vehicles in the 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bject, and the display unit to the vehicle with the intensity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reception intensity detector Portable location displaying identifying information Localization device comprising: a; Il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량과 상기 휴대용 위치파악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하는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파악장치.The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ortable location device is a Bluetooth device inclu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98769A 2005-10-19 2005-10-19 A Position Detecting Device KR101174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9A KR101174443B1 (en) 2005-10-19 2005-10-19 A Position Det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69A KR101174443B1 (en) 2005-10-19 2005-10-19 A Position Det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800A KR20070042800A (en) 2007-04-24
KR101174443B1 true KR101174443B1 (en) 2012-08-16

Family

ID=3817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69A KR101174443B1 (en) 2005-10-19 2005-10-19 A Position Det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918B2 (en) 2010-11-10 2013-12-1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in the vicinity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40685B1 (en) * 2011-10-13 2014-01-15 장동수 System and method for serching using radio frequency
KR101345748B1 (en) 2012-11-30 2013-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irection of radio frequency signal
KR20150074545A (en)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deciding position of terminal connecting bluetooth insid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800A (en)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975B1 (en) Vehicle key, and method for locating a motor vehicle within a close range with the help of a vehicle key
US8786468B2 (en) Vehicle locator key fob with range and bearing measurement
EP3058393B1 (en) Electronic marker devices and systems
US7242321B2 (en) Key fob with directional vehicle locator
US943296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cure distance bounding based on direction measurement
US20120062427A1 (en) Position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4364917B2 (en) Mobile terminal used for position location and position location system
US20030164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underground objects
US201503798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utomotive key fob,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vehicle
JP70922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al-time position
KR101174443B1 (en) A Position Detecting Device
CN106658420A (en) Design of positioning terminal based on environmental awareness
KR1013457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irection of radio frequency signal
WO2011069267A1 (en) Modular collisio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461800B2 (en) Vehicle search system
JP2006072431A (en) Automatic parking system
JPH08129063A (en) Apparatus for sarching for object to be detected
US20020027509A1 (en) Object detection system
EP1221684B1 (en) A method,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locating a vehicle
US20130002402A1 (en) Signaling device
KR20120019040A (en) Apparatus for informing location of vehicle and method of informing location of vehicle
CN210639276U (en) Detection device, mobile device and detection system
JP3296896B2 (en) Moving object position measurement device
JPH0744831U (en) Radio wave position detector
US202300289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a distance-based relative 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