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674B1 -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674B1
KR101173674B1 KR1020100047093A KR20100047093A KR101173674B1 KR 101173674 B1 KR101173674 B1 KR 101173674B1 KR 1020100047093 A KR1020100047093 A KR 1020100047093A KR 20100047093 A KR20100047093 A KR 20100047093A KR 101173674 B1 KR101173674 B1 KR 10117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iewer
interactive
basic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536A (ko
Inventor
김광태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to KR102010004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67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 및 양방향 광고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는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제공할 광고물의 광고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광고물을 편성하고, 광고물을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전달되는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아 광고 효과를 분석하며, 광고물에 대한 시청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시청자의 요청에 응답한다. 양방향 광고 제어부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부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물을 시청자의 단말로 송출하며, 광고물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한다.

Description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OTHOD FOR BIDIRECTIONA ADVERTISEMENT}
본 발명은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방송 채널에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중심의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 산업은 지상파를 비롯하여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개시에 따라 새로운 방송 시장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방송 환경에서 양방향 광고 서비스는 꾸준히 개발되어 왔으며, 시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상파의 경우 자체 DTV 플랫폼 및 디지털 케이블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광고 서비스가 포털이나 VOD(Video On Demand)를 대상으로 실행되고 있는 있어 시간의 개념 및 편성이 필요한 실시간 채널 및 프로그램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IPTV의 경우 IPTV만을 위한 별도의 편성 및 시스템을 구축하여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 양방향 광고 서비스는 방송 플랫폼 또는 기간망 인프라 사업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실제 방송 광고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rogram Provider, PP)는 배제되어 왔다.
따라서, 지상파를 비롯하여 IPTV 등의 실시간 방송 채널에서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플랫폼 또는 기간망 인프라 사업자를 중심이 아닌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중심으로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 방송 채널에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중심의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제공할 광고물의 광고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을 편성하고,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전달되는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아 광고 효과를 분석하며, 상기 광고물에 대한 상기 시청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응답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 그리고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부터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물을 상기 시청자의 단말로 송출하며, 상기 광고물에 대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시청자 단말로 광고물을 전달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와 연동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에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제공할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가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후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 전달한 경우,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부터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광고 기초 정보와 상기 리턴 메시지를 가공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물에 대한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광고물을 관리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와 연동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에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제공할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을 시청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물을 시청 후 응답할 수 있도록 리턴 응답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턴 응답 화면을 통해 상기 시청자의 단말로부터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 탑재된 양방향 광고 제어부와 방송국의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가 연동하여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광고 플랫폼/기간망 인프라 사업자 중심이 아닌 방송채널사용사업자를 중심으로 실시간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양방향 광고 서비스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의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의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양방향 광고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양방향 광고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광고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의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의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양방향 광고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양방향 광고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10)은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국(100),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 및 시청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방송국(100)은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 및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와 연동하여 양방향 광고물(이하, "광고물"이라고 함)을 관리하여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는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111),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 및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를 포함한다.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111)는 방송국의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스템(120)과 연동하여 양방향 광고물을 운영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물 관리부(1111), 동기화 관리부(1112), 편성 관리부(1113), 송출 관리부(1114) 및 운영 결과 전송부(1115)를 포함한다.
광고물 관리부(1111)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스템(120)에서 결정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제공되는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광고 기초 정보는 광고주의 정보, 광고물의 송출 시점, 광고물의 종류 및 광고 소재의 등록/수정 및 광고물이 동기화 되어야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광고물 관리부(1111)는 광고 운영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에서 광고물을 등록 및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방송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동기화 관리부(1112)는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시점에 해당 광고물이 송출될 수 있도록 동기화 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관리부(1112)는 편성표에 의해 수동으로 광고물을 송출하거나 또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스템(120)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광고물을 송출할 수도 있다.
편성 관리부(1113)는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해당 광고물을 편성을 관리한다. 즉, 편성 관리부(1113)는 프로그램별로 해당 광고물이 노출되어야 하는 주기 및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편성 관리부(1113)는 해당 광고물이 프로그램 상에서 노출되는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해당 광고물이 배너광고의 경우 프로그램 상에서 배너광고가 2개 이상 동시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송출 관리부(1114)는 광고물이 송출되어야 하는 시점에 따라 편성된 광고물의 송출을 관리한다. 즉, 송출 관리부(114)는 광고물 송출 시점에 맞춰 해당 광고물을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운영 결과 전송부(1115)는 광고물을 관리한 운영 결과 및 해당 광고물에 대한광고 광고 기초 정보를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로 전달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는 광고물의 송출 결과를 비롯하여 광고물의 효과를 분석하여 리포팅하며, 분석툴을 통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리포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응 결과 수집부(1121), 데이터 변환/가공부(1122) 및 결과 분석/리포팅부(1123)를 포함한다.
반응 결과 수집부(1121)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를 통해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를 통해 해당 리턴 데이터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리턴 데이터는 양방향 광고를 수신한 시청자에 대한 정보와 리턴 응답 화면을 통해 시청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로, 예를 들어 시청률, 노출량, 설문 조사 및 시청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시청자 정보는 시청자의 이름, 전화 번호 및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가공부(1122)는 시청자의 반응을 분석할 수 있도록 리턴 데이터와 광고 기초 정보를 가공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가공부(1122)는 다양한 형태로의 분석을 위해 포맷과 DB(Data Base) 구조를 설정한다.
결과 분석/리포팅부(1123)는 데이터 변환/가공부(1122)로부터 가공된 리턴 데이터와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가공된 리턴 데이터와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한다. 결과 분석/리포팅부(1123)는 분석된 광고 효과를 정기적으로 리포팅하거나 또는 비정기적으로 리포팅하여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리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청자의 요청에 대응한다. 이러한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1131) 및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를 포함한다.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1131)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를 통해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전달된 리턴 데이터에 포함된 시청자가 요청한 해당 광고물에 대한 정보 요청 데이터(이하, "시청자 요청 데이터"라고 함)를 검출한다.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1131)는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이 외부 시스템의 연동 없이 처리 가능하면 개별 응답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광고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한편,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1131)는 외부 시스템의 연동이 필요한 경우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로 전달한다.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는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1131)로부터 시청자 요청 데이터가 전달되면,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시스템을 검색하고 해당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시청자 요청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는 시청자가 해당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SMS로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모바일을 통해 음성으로 안내해줄 것을 요청하는 경우, SMS 제공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및 모바일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연동하여 해당 광고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는 시청자가 해당 광고물에 대한 과금/정산과 같은 결재를 요청하는 경우 티커머스(T-Commerce)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결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시스템 연동부(1132)이 SMS(Short Message Service) 제공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및 티커머스(T-Commerce)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이 연동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는 셋탑박스에 포함되며,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청자 단말(300), 예를 들어 DTV(Digital Television) 및 IPTV 등으로 양방향 광고물을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가 셋탑박스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청자 단말(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는 방송국(100)의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양방향 광고물을 송출한다. 이러한,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수명 관리부(210), 응답 화면 제공부(220) 및 리턴 데이터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광고 수명 관리부(210)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에서 결정된 편성 시간에 동기시켜 광고물을 자동 교체하고, 광고물의 수명 주기(Life Cycle)을 결정하여 단말(300)로 송출한다. 광고 수명 관리부(210)는 동일 광고물의 사이트 및 채널을 동시에 노출하기도 한다.
응답 화면 제공부(220)는 광고물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하며, 시청자가 광고물을 시청한 후 응답할 수 있도록 리턴 응답 화면에 대한 UI(User Interface)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응답 화면 제공부(220)는 시청자가 리턴 응답 화면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다음 광고에 대한 업데이트 또는 교체를 일시 정지하며, 리턴 응답 화면의 이용이 종료되면 다음 광고물로 업데이트한다.
리턴 데이터 처리부(230)는 시청자가 리턴 응답 화면을 통해 입력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광고를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의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111)는 방송국의 방송 프로그램 편성 시스템(120)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S600).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111)는 방송 프로그램에 편성된 해당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601).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는 광고 기초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해당 광고물을 자동 교체하고, 광고물의 수명 주기를 결정하여 단말(300)로 송출한다(S602). 응답 화면 제공부(220)는 시청자가 광고물을 시청한 후 응답할 수 있도록 리턴 응답 화면에 대한 UI를 유지시킨다(S603). 리턴 데이터 처리부(230)는 시청자가 리턴 응답 화면을 통해 입력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로 전달한다(S604).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의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 및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리턴 데이터를 각각 수신한다.
먼저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112)는 수신된 리턴 데이터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리턴 데이터와 광고 기초 정보를 가공하여 광고 효과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분석하여 리포팅한다(S605).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리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청자의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한다(S606).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기 위해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607).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해당 광고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단말(300)을 통해 시청자에게 전달한다(S608). 한편,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한 경우, 양방향 광고 처리부(113)는 SMS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시스템 및 티커머스(T-Commerce)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광고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한다(S60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200)를 시청자가 사용하는 단말(300)에 구성하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110)를 방송국에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중심으로 통합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양방향 광고 서비스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제공할 광고물의 광고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을 편성하고,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전달되는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아 광고 효과를 분석하며, 상기 광고물에 대한 상기 시청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응답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 그리고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부터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물을 상기 시청자의 단말로 송출하며, 상기 광고물에 대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상기 광고물의 편성을 관리하여 송출하는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
    상기 리턴 데이터에 대한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리턴 데이터와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 그리고
    상기 리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요청을 나타내는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며,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는 양방향 광고 처리부
    를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광고 편성/송출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관리하며, 원격에서 상기광고물을 등록/수정하여 관리하는 광고물 관리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시점에 상기 광고물이 송출되도록 동기화를 관리하는 동기화 관리부,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이 노출되어야 하는 주기, 시간 및 위치를 설정하는 편성 관리부,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을 송출하는 송출 관리부, 그리고
    상기 광고물을 관리한 결과 및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하는 운영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광고 효과 분석부는,
    상기 리턴 데이터와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전달받는 반응 결과 수집부,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리턴 데이터와 상기 광고 기초 정보의포맷 및 DB 구조를 설정하는 데이터 변환/가공부, 그리고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리포팅하여 제공하는 결과 분석/리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광고 처리부는,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를 통해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외부 시스템의 연동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양방향 데이터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외부 시스템을 검색하는 외부 시스템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SMS 제공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및 티커머스(T-Commerce)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는,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물을 자동 교체하며, 상기 광고물의 수명 주기를 결정하는 광고 수명 관리부,
    상기 광고물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시청자가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후 응답할 수 있도록 리턴 응답 화면을 제공하는 응답 화면 제공부, 그리고
    상기 리턴 데이터를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 전달하는 리턴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데이터는 상기 시청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시청자가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후 입력한 입력 정보이며,
    시청률, 노출량, 설문 조사 및 시청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기초 정보는 광고주 정보, 상기 광고물의 송출 시점, 상기 광고물의 종류 및 광고 소재의 등록/수정 및 상기 광고물이 동기화 되어야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10. 시청자 단말로 광고물을 전달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와 연동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에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제공할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시청자가 상기 광고물을 시청한 후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 전달한 경우, 상기 양방향 광고 제어부로부터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광고 기초 정보와 상기 리턴 데이터를 가공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물에 대한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응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효과를 주기적으로 리포팅하거나 또는 비주기적으로 리포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응답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위해 외부 시스템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의 연동 없이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외부 시스템이 필요한 경우, 상기 시청자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을 검색하고 해당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광고물을 관리하는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와 연동하는 양방향 광고 제어부에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맞춰 시청자 단말로 제공할 상기 광고물에 대한 광고 기초 정보를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상기 광고 기초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물을 상기 시청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물을 시청 후 응답할 수 있도록 리턴 응답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턴 응답 화면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부터 리턴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물을 자동 교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고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물의 수명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응답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물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시청자가 상기 리턴 응답 화면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다음 광고물에 대한 업데이트 및 교체를 일시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상기 통합 양방향 광고 제공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00047093A 2010-05-19 2010-05-19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17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93A KR101173674B1 (ko) 2010-05-19 2010-05-19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93A KR101173674B1 (ko) 2010-05-19 2010-05-19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36A KR20110127536A (ko) 2011-11-25
KR101173674B1 true KR101173674B1 (ko) 2012-08-13

Family

ID=4539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093A KR101173674B1 (ko) 2010-05-19 2010-05-19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6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36A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890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network link between broadcast content and content located on a computer network
CN102090073B (zh) 向iptv观看者传送顾客联系服务的方法
KR20120048522A (ko) 융합 소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73891B1 (ko) 재핑 데이터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US20130013737A1 (en) Generation of data concerning reception of media content at a communication device
JP2010283849A (ja) サーバ、利用者装置、プログラム、及び、指標処理方法
US20130132994A1 (en) Media content aggregator and content rating system
US201201175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verged social broadcasting service
US20140259049A1 (en) Viewer-Initiated Delivery of Supplemental Advertising Content
KR100920365B1 (ko) 연동형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동형 광고의제공방법
KR101130076B1 (ko) Iptv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73674B1 (ko) 통합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84514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리치 미디어 서비스를 연계한광고방법
CN101420623B (zh) 基于双向网络的数字电视广告投放的方法
KR20100023473A (ko) Iptv를 이용하여 개인방송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9168080B (zh) 一种用于数字电视终端的数据传输方法与系统
KR100562287B1 (ko)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KR20100098942A (ko) 광고에 수반된 설문조사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131123B (zh) 基于数字电视电子节目指南的广告系统及传输方法
KR100575459B1 (ko) 방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방법
KR20050029935A (ko) 방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여론 조사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67376B1 (ko) 직접사용채널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지역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121099B (zh) 一种频道内容替换实时监测的方法及装置
KR20010106776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