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766B1 -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766B1
KR101172766B1 KR1020110017884A KR20110017884A KR101172766B1 KR 101172766 B1 KR101172766 B1 KR 101172766B1 KR 1020110017884 A KR1020110017884 A KR 1020110017884A KR 20110017884 A KR20110017884 A KR 20110017884A KR 101172766 B1 KR101172766 B1 KR 10117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node
physical
nodes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융
윤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단계;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상기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 가중 거리를 갖는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Resource for Request for Virtual Network in Mobile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무선링크 간의 간섭을 고려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고자 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는 두 가지 큰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나는 유선 네트워크와 달리 무선 네트워크는 그 토폴로지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링크간에 간섭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문제는, 그 토폴로지가 변할 때마다 무선 네트워크의 임베딩을 새롭게 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쉽게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무선 링크간의 간섭은 링크 자원 할당에 있어서 새로운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므로, 가상 네트워크에서의 임베딩 방법은 유선 네트워크에서의 임베딩에서와 다른 근본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 즉, 유선 네트워크의 임베딩 방법은 링크 간의 간섭관계를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으나 유선 네트워크와 같이 링크 간의 간섭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선네트워크 임베딩을 한다면 비효율적인 링크 자원 할당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무선링크 간의 간섭관계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상노드 임베딩 시에 가상 링크도 같이 임베딩 시킴으로써 하나의 가상링크 양끝의 가상 노드가 서로 멀리 떨어진 물리노드에 임베딩될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하나의 가상링크가 멀리 떨어진 두 물리 노드를 잇는 경로로 임베딩되어 많은 물리링크들을 거쳐감으로써 야기하는 믈리링크 자원을 소모시키는 비효율을 방지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대한 물리 네트워크의 자원 임베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부; 및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Weighted Length)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고, 상기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상기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제2임베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를 제공한다.
제 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는,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 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부;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상기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는, (가상링크의 개수/가상노드의 개수)가 작은 순서일 수 있다.
상기 제1임베딩부는, 상기 제1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1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제1가상노드를 임베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임베딩부는, 상기 제2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2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중 거리는, 한 물리링크에 대하여 자신의 링크를 포함한 간섭링크의 개수를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으로 나눈 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은, 상기 가상노드의 컴퓨팅파워 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상기 가상링크의 대역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하여 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것이 복수개인 경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1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것이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1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가 복수개이고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이 복수개인 경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2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가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가 복수개이고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이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2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부; 상기 소정 시간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밀도가 낮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부; 및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를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하는 네트워크 임베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대한 물리 네트워크의 자원 임베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단계;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상기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 가중 거리를 갖는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단계; 상기 소정 시간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밀도가 낮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단계; 및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를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하는 네트워크 임베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무선링크 간의 간섭관계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상노드 임베딩 시에 가상 링크도 같이 임베딩 시킴으로써 하나의 가상링크 양끝의 가상 노드가 서로 멀리 떨어진 물리노드에 임베딩될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하나의 가상링크가 멀리 떨어진 두 물리 노드를 잇는 경로로 임베딩되어 많은 물리링크들을 거쳐감으로써 야기하는 믈리링크 자원을 소모시키는 비효율을 방지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장치를 간략히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물리 네트워크를 가상화한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시간축 상에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의 발생 및 자원 임베딩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링크밀도를 갖는 가상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의해 임베딩할 가상 네트워크 요청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무선 물리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도 5와 같은 물리 네트워크에 임베딩된 경우 제1가상노드의 위치(A)와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서의 제1물리노드의 위치(B)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 대하여 각 물리링크의 가중 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가상 네트워크에서 두번째 가상노드가 임베딩된 후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가 어느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되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가상 네트워크에서 세번째 가상노드가 임베딩된 후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가 어느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 되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0: 임베딩요청 수신부
120: 임베딩명령 발생부
130: 네트워크 임베딩부
140: 제1임베딩부
150: 제2임베딩부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장치를 간략히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장치는 임베딩요청 수신부(110), 임베딩명령 발생부(120) 및 네트워크 임베딩부(130)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임베딩부(130)는 제1임베딩부(140) 및 제2임베딩부(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임베딩요청 수신부(110)는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 동안 하나 이상 수신한다. 여기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은 복수의 가상노드 및 하나 이상의 가상링크를 복수의 무선노드 및 무선링크로 구성된 물리 네트워크에 임베딩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베딩명령 발생부(120)는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한다.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는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 임베딩할 복수의 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가상링크로 구성된 하나의 가상네트워크 요청이 포함된다.
여기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순서로는 가상링크의 갯수에서 가상노드의 갯수를 뺀 수가 작은 순서일 수도 있고 가상링크의 밀도가 작은 순서일 수 있다. 가상링크의 밀도는 (가상링크의 개수/가상노드의 개수)로 구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순서에 대한 판단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고 있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임베딩부(140)는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한다.
제1임베딩부(140)는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가상노드인 먼저 임베딩하며 이 가상노드를 편의상 제1가상노드라 칭한다.
여기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란 가상노드에 필요한 컴퓨팅파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MHz 단위 혹은 GHz 단위 등 다양한 단위일 수 있다. 또한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이란 가상링크의 대역폭(예컨대 10MHz)를 의미한다.
만일,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의 단위가 서로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예를 들어,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은 수백 MHz 단위이고,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수십 MHz 단위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가상노드의 컴퓨팅파워 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을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으로 정하거나, 가상링크의 대역폭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을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으로 정할 수도 있다.
제1가상노드를 결정한 후에는 임베딩할 물리노드를 찾는다. 제1가상노드가 임베딩되는 물리노드를 편의상 제1물리노드라 칭한다.
제1물리노드를 찾기 위하여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물리노드를 찾는다.
여기서도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도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유사한 단위를 가질 수 있으며 물리노드에 남은 컴퓨팅파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물리링크의 자원보유량도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 유사한 단위를 가질 수 있으며 물리링크의 남은 대역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물리노드의 자원과 물리링크의 자원보유량의 단위가 서로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물리노드의 컴퓨팅파워 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을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으로 정하거나, 물리링크의 대역폭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을 물리링크의 자원보유량으로 정할 수도 있으며, 이 비례상수는 가상노드 또는 가상링크에서와 동일한 값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임베딩부(140)는 제1물리노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제1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외하여 제1물리노드를 선택한다. 즉, 이 경우에 제1임베딩부(140)는 해당 물리노드는 제외하고 물리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물리노드들 중에서 제1물리노드를 선택하여 제1가상노드를 임베딩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임베딩부(140)는 제1가상노드와 제1물리노드를 선택하여 제1가상노드를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한다.
제2임베딩부(150)는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Weighted Length)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고,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한다.
제2임베딩부(150)는 가상 네트워크 내의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의해 기 임베딩된 하나 이상의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를 선택하며, 이 가상노드를 편의상 제2가상노드라 칭한다.
제2임베딩부(150)는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물리노드에 매핑하며, 제2가상노드에 매핑되는 물리노드를 편의상 제2물리노드라 칭한다.
제2임베딩부(150)는 물리 네트워크 내에서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Weighted Length)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를 제2물리노드로 선택하여 제2가상노드를 매핑한다. 여기서 어떤 물리링크에 대한 가중 거리는 물리링크 자신과 간섭링크의 개수를 더한 값을 물리링크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제2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2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한다. 즉, 이 경우에 제2임베딩부(150)는 해당 물리노드는 제외하고 물리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물리노드들 중에서 제2물리노드를 선택하여 제2가상노드를 매핑한다.
이하, 도 1 및 후에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물리 네트워크를 가상화한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위해서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물리 네트워크의 남는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면서 동시에 비용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공통 물리 네트워크에서 여러 가지 이질적인 네트워크들을 임베딩함으로써 하나의 물리 네트워크에 여러 가상 네트워크를 서로 간섭 없이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시간축 상에서 가상 네트워크 요청의 발생 및 자원 임베딩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임베딩요청 수신부(110)는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 동안 하나 이상 수신한다. 소정 시간 동안에 발생하는 가상네트워크 요청은 가상네트워크 임베딩 큐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도 4는 서로 다른 가상링크밀도를 갖는 가상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상 네트워크 내의 가상링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A)와 많은 경우(B)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임베딩명령 발생부(120)는 소정 시간동안 가상네트워크 임베딩 큐에 저장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데,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한다.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는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 임베딩할 복수의 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가상링크로 구성된 하나의 가상네트워크 요청이 포함된다. 한 실시예로서 가상링크의 밀도(가상링크의 개수/가상노드의 개수)가 작은 순서로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할 수 있는데, (A)의 경우에는 가상링크밀도가 4/5이고, (B)의 경우에는 가상링크밀도의 크기가 10/5가 되므로 (B)의 경우보다 (A)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의 경우에 대하여 먼저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한다.
도 5는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의해 임베딩할 가상 네트워크 요청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무선 물리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가상노드 근처의 네모 박스의 숫자는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을, 가상링크 근처의 숫자는 가상링크 자원요구량을 나타낸다. 비슷하게, 도 6에서 물리노드 위에 있는 네모 박스의 숫자는 물리노드 자원보유량을, 물리링크 근처의 숫자는 무선 물리링크의 자원보유량을 나타내고, 점선은 해당 두 물리링크가 서로 간섭함을 나타낸다.
제1임베딩부(140)는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가상노드를 제1가상노드로 선택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가상노드 a의 자원요구량은 10이고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8 + 5 = 13)이므로 그 합은 (10 + 13 = 23)이 된다. 가상노드 b의 자원요구량은 6이고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5 + 3 = 8)이므로 그 합은 (6 + 8 = 14)가 된다. 가상노드 c의 자원요구량은 10이고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8 + 3 = 11)이므로 그 합은 (10 + 11 = 21)이 된다. 따라서 제1가상노드로는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가상노드 a가 선택된다.
제1임베딩부(140)는 제1물리노드를 찾기 위하여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물리노드를 찾는다.
도 6에 도시하듯이, (각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 +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을 구하면, 물리노드 A의 경우는 (50 + (60 + 50 + 50) = 210), 물리노드 B의 경우는 (50 + (60 + 100) = 210), 물리노드 C의 경우는 (50 + (100 + 50 + 50) = 250), 물리노드 D의 경우는 (50 + (50 + 80) = 180), 물리노드 E의 경우는 (50 + (50 + 80) = 180)이 된다. 따라서, 제1임베딩부(140)는 제1물리노드로는 합계값이 가장 큰 값을 갖는 물리노드 C를 선택하며, 선택된 가상노드 a를 물리노드 C에 임베딩한다. 여기서, 물리링크 C의 용량이 가상노드 a의 자원요구량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임베딩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제1물리노드로 선택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도 6과 같은 물리 네트워크에 임베딩된 경우 제1가상노드의 위치(A)와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서의 제1물리노드의 위치(B)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제1임베딩부(140)는 물리링크 C를 제1물리노드로 선택하기 전에 물리링크 C의 자원보유량이 가상노드 a의 자원요구량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임베딩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임베딩부(140)는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복수개 발견한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가상노드를 제1가상노드로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이 복수개 발견한 경우에는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이 가장 큰 물리노드를 제1물리노드로 선택할 수 있지만,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 및/또는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을 기준으로 제1가상노드 및/또는 제1물리노드를 선택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제1가상노드 및/또는 제1물리노드를 선택항 수 있다.
제2임베딩부(150)는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를 제2가상노드로 선택한다. 여기서 홉 거리란 가상노드와 가상노드 사이에 가장 짧은 경로상에 놓이는 가상링크의 갯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가상노드 a가 임베딩되어 있는 경우에 가상노드 a와의 홉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은 가상노드 b와 가상노드 c가 동일하게 1로서 가장 짧은 홉 거리를 갖는다. 이 경우에 복수개의 가상노드가 가장 짧은 홉 거리를 가지므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가상노드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노드 c가 제2가상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만일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복수개 발견한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가상노드를 제2가상노드로 선택할 수 있지만,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을 기준으로 제2가상노드를 선택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제2가상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무선 물리 네트워크에 대하여 각 물리링크의 가중 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임베딩부(150)는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Weighted Length)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를 제2물리노드로 선택한다.
여기서, 가중 거리는 한 물리링크에 대하여 자신의 링크를 포함한 간섭링크의 개수를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물리노드 A와 B 사이의 가중 거리는 물리링크 B에 대하여 자신의 링크(1)와 간섭링크의 개수(3)를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60)으로 나눈 값((1+3)/60 = 0.067)이 된다. 따라서, 이미 임베딩된 물리노드가 C이므로 물리노드 C로부터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물리노드는 물리노드 B가 된다. 이 경우에 가중 거리가 최소인 물리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물리노드로 선택할 수 있으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복수개 발견한 경우에는 그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물리노드를 제2물리노드로 선택할 수 있지만,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을 기준으로 제2물리노드를 선택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제2물리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임베딩부(150)는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 제2가상노드 사이의 가상링크는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한다. 따라서 가상노드 a와 가상노드 c 사이를 잇는 가상링크는 물리링크 C와 물리링크 B 사이를 잇는 물리링크에 매핑되어 임베딩된다.
도 9는 도 5의 가상 네트워크에서 두번째 가상노드가 임베딩된 후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가 어느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되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링크 ac는 물리링크 BC에 매핑되어 임베딩된다.
제2임베딩부(150)는 가상노드 c 및 가상링크 ac를 임베딩한 후에, 반복하여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를 임베딩한다. 따라서 제2임베딩부(150)는 가상노드 c를 임베딩한 후에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를 제2가상노드로 또다시 선택한다. 이 경우에는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가 b 밖에 남지 않으므로 가상노드 b가 제2가상노드로 선택된다.
제2임베딩부(150)는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제2물리노드를 또다시 선택하며,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를 제2물리노드로 선택한다.
이 경우, 이미 임베딩된 물리노드가 B와 C이므로 물리노드 B 및 C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가 최소인 물리노드를 구하여 제2물리노드로 선택한다. 물리노드 A와 물리노드 B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067, 물리노드 A와 물리노드 C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1이므로 물리노드 A의 경우에 임베딩된 물리노드가 B와 C와의 최단 가중거리의 합은 0.167이 된다. 물리노드 D와 물리노드 B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08 + 0.04 = 0.12), 물리노드 D와 물리노드 C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08이므로 물리노드 D의 경우에 임베딩된 물리노드가 B와 C와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은 (0.12 + 0.08 = 0.20)이 된다. 물리노드 E와 물리노드 B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08 + 0.067 = 0.147), 물리노드 E와 물리노드 C와의 최단 가중 거리는 (0.038 + 0.08 = 0.118)이므로 물리노드 D의 경우에 임베딩된 물리노드가 B와 C와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은 (0.147 + 0.118 = 0.265)가 된다. 따라서,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 A가 제2물리노드로 선택된다.
제2임베딩부(150)는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 제2가상노드 사이의 가상링크는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므로, 가상노드 b와 가상노드 a 사이를 잇는 가상링크는 물리링크 A와 물리링크 C 사이를 잇는 물리링크에 매핑되고, 가상노드 b와 가상노드 c 사이를 잇는 가상링크는 물리링크 A와 물리링크 B 사이를 잇는 물리링크에 매핑된다.
도 10은 도 5의 가상 네트워크에서 세번째로 가상노드가 임베딩된 후 가상노드 및 가상링크가 어느 물리노드 및 물리링크에 임베딩 되었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링크 ab는 물리링크 AC에 매핑되고 가상링크 bc는 물리링크 AB에 매핑되어 임베딩된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임베딩 방법에서,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단계(S1110),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단계(S1120),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단계(S1130),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는 단계(S1140) 및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 가중 거리를 갖는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단계(S1150)를 포함한다.
만일, 자원 요구량이 큰 가상 노드를 자원 보유량이 큰 물리 노드로 우선적으로 임베딩 시키는 경우에, 노드 보유량이 큰 물리 노드 들은 물리 네트워크 상에 임의로 분포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어떤 가상 링크의 양 끝 가상 노드는 서로 멀리 떨어진 물리 노드로 임베딩 될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두 가상노드를 잇는 가상 링크는 필연적으로 멀리 떨어진 두 물리 노드를 잇는 경로로 임베딩 되어야 하므로, 많은 링크들을 거쳐가며 그 링크들의 자원을 소모시키므로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노드를 임베딩 할 때 가상노드 뿐만 아니라 가상링크를 같이 임베딩함으로써 하나의 가상링크 양쪽의 가상노드가 임베딩된 물리 노드들이 서로 근처에 위치하게끔 함으로써 물리 링크자원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와 명시적으로 상반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상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무선링크 간의 간섭관계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효과가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1)

  1.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대한 물리 네트워크의 자원 임베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부; 및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Weighted Length)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고, 상기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상기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인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제2임베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2. 제 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는,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 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부;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3. 제 2항에서, 상기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는,
    (가상링크의 개수/가상노드의 개수)가 작은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4. 제 1항에서, 상기 제1임베딩부는,
    상기 제1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1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제1가상노드를 임베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5. 제 1항에서, 상기 제2임베딩부는,
    상기 제2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2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장치.
  6. 제 1항에서, 상기 가중 거리는,
    한 물리링크에 대하여 자신의 링크를 포함한 간섭링크의 개수를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7. 제 1항에서, 상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은,
    상기 가상노드의 컴퓨팅파워 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8. 제 1항에서, 상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은,
    상기 가상링크의 대역요구량에 비례상수를 곱하여 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9. 제 1항에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것이 복수개인 경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1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0. 제 1항에서,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것이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1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1. 제 1항에서,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2. 제 1항에서,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가상노드가 복수개이고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이 복수개인 경우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2가상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3. 제 1항에서,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가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을 제2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4. 제 1항에서,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물리노드가 복수개이고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물리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가장 큰 것이 복수개인 경우 물리노드의 자원요구량이 가장 큰 것을 제2물리노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장치.
  15. 삭제
  16.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대한 물리 네트워크의 자원 임베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임베딩명령에 포함된 가상노드 중에서 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과 해당 가상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요구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가상노드를 상기 물리 네트워크 내의 물리노드 중에서 물리노드의 자원보유량과 해당 물리노드에 맞물린 가상링크의 자원보유량과의 합이 최대인 제1물리노드에 임베딩하는 제1임베딩단계;
    임베딩되지 않은 가상노드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홉 거리(Hop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제2가상노드를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매핑하되 임베딩되지 않은 물리노드 중에서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로부터의 최단 가중 거리의 합이 최소인 제2물리노드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노드와 하나 이상의 기 임베딩된 가상노드와의 가상링크는 상기 제2물리노드와 기 임베딩된 물리노드와의 가중 거리가 최소 가중 거리를 갖는 경로를 매핑하여 임베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
  17. 제 16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은,
    가상네트워크 요청을 소정 시간동안 하나 이상 수신하는 임베딩요청 수신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수신한 하나 이상의 가상네트워크 요청 중에서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대로 가상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가상네트워크 임베딩명령을 발생하는 임베딩명령 발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
  18. 제 17항에서, 상기 가상링크의 갯수가 가상노드의 갯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순서는,
    (가상링크의 개수/가상노드의 개수)가 작은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
  19. 제 16항에서, 상기 제1임베딩단계는,
    상기 제1가상노드의 자원요구량보다 적은 자원보유량을 갖는 물리노드는 제1물리노드의 후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제1가상노드를 임베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임베딩 방법.
  20. 제 16항에서, 상기 가중 거리는,
    한 물리링크에 대하여 자신의 링크를 포함한 간섭링크의 개수를 자신의 링크의 대역폭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
  21. 삭제
KR1020110017884A 2011-02-28 2011-02-28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KR10117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84A KR101172766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84A KR101172766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766B1 true KR101172766B1 (ko) 2012-08-20

Family

ID=4688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884A KR101172766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421A (ko) * 2013-01-11 2015-09-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KR20230079879A (ko) * 2021-11-29 2023-06-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프 임베딩 기반의 가상 네트워크 매핑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M 논문 Minlan Yuy et al. 'Rethinking virtual network embedding: substrate support for path splitting and migration' ACM SIGCOMMM Computer Communication Review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421A (ko) * 2013-01-11 2015-09-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KR101718374B1 (ko) 2013-01-11 2017-03-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US9847915B2 (en) 2013-01-11 2017-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for a network device
KR20230079879A (ko) * 2021-11-29 2023-06-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프 임베딩 기반의 가상 네트워크 매핑 방법
KR102629731B1 (ko) 2021-11-29 2024-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프 임베딩 기반의 가상 네트워크 매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ributed memory cluster
CN104219674B (zh) 频谱资源管理设备、方法、系统以及次系统设备
US20180018197A1 (en) Virtual Machine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01694B2 (en) Job management apparatus and job management method
KR20200076700A (ko) 성능 기반 패킷 스케줄러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274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optical network
CN109600419A (zh) 一种移动边缘计算环境下支持车联网应用的计算迁移方法
Melo et al. Virtual network mapping–an optimization problem
US9454399B2 (en) Parallel computer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parallel comput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BR112015025905B1 (pt) Sistema e método de gerenciamento de espectro,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CN115277429B (zh) 基于灵活以太网的电力通信业务资源分配方法及装置
KR101172766B1 (ko)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5535B1 (ko)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554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s method, communications node, system, and computer product
KR101766786B1 (ko) 파장 라우팅 기반 광학 네트워크 온칩 시스템 및 그 시스템 내 wdm 및 tdm 기반 통신 채널 할당 방법
CN10986208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3058396A1 (ja) タスク配置装置及びタスク配置方法
JP6555158B2 (ja) 割当管理装置、割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15714A (zh) 一种网络升级感知的保护方法
KR102225745B1 (ko) 제한된 메모리 하에 확률적 콘텐츠 저장 방법 및 그 시스템
Beaumont et al. Data-locality aware dynamic schedulers for independent tasks with replicated inputs
KR20100115676A (ko)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타임슬롯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907678B1 (ko)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CN105573717A (zh) 一种面向多核处理器的程序划分方法及装置
KR101335977B1 (ko) 노드 이동성이 있는 무선 환경에서의 가상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자원 임베딩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