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29B1 -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 Google Patents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29B1
KR101172229B1 KR1020100024193A KR20100024193A KR101172229B1 KR 101172229 B1 KR101172229 B1 KR 101172229B1 KR 1020100024193 A KR1020100024193 A KR 1020100024193A KR 20100024193 A KR20100024193 A KR 20100024193A KR 101172229 B1 KR101172229 B1 KR 10117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electromagnetic coupling
antenna
loop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5116A (en
Inventor
김병남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2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29B1/en
Publication of KR2011010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 상기 제3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RF 신호를 방사하는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는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여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급전부로서 동작한다. 개시된 안테나에 따르면, 제한된 사이즈 내에서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broadband internal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is disclosed. The disclosed antenna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eed point; A second conductive member having a loop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third conductive member extending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nd radiating an RF signal, wherein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formed. Operates as an impedance matching section and a power fee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antenn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within a limited size.

Description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oadband internal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coupling.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면서 그 구조에 있어서도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즈의 소형화가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것에 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더욱 다양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smaller and lighter, it is required to be slim in its structure. While miniaturization of such a size is continuously required,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quired to be diversified.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안테나의 설계에 대한 부다을 가중시키고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and multi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adds to the burden on the design of the antenna.

아울러, 근래에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컨버전스(Convergence) 단말기로 발전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 및 다중 대역 특성이 가장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서비스, 이동통신 서비스 및 무선 랜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대역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e (convergence) terminal that can accommodate services for various frequency bands in one terminal is a trend, and accordingly,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and multi-band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re the main factors. For example, there is a demand for an antenna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bands of services such as short-rang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wireless LAN service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로는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와 평면 역F 안테나(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가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helical antennas and Planar Inverted F Antennas (PIFAs) are mainly used as antenna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헬리컬 안테나의 경우 단말기의 외부에 돌출된 모양으로 구성되므로, 단말기의 미적외관 및 휴대기능에 적합한 외관 설계가 어려운데, 이에 대한 내장형의 구조는 아직 연구된 바 없어서 내장형 안테나를 요구와는 현재의 추세에는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Since the helical antenna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design an exterior suitable for the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portable function of the terminal.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lical antenna has not been studied yet. Not suitable for use

역-F 안테나는 단말기에 내장이 가능하도록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 안테나이다. 역-F 안테나는 상기 방사부에 유기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 빔 중 접지면측으로 향하는 빔이 재유기되어 인체에 향하는 빔을 감쇠시켜 SAR 특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방사부 방향으로 유기되는 빔을 강화시키는 지향성을 가지며, 직사각형인 평판형 방사부의길이가 절반으로 감소된 직사각형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로서 작동하게 되어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An inverted-F antenna is an antenna designed to have a low profile structure to be embedded in a terminal. The inverted-F antenna reinforces the beam directed toward the ground plane of the entire beams generated by the current induced in the radiator to attenuate the beam directed to the human body, thereby improving SAR characteristics and reinforcing the beam directed toward the radiator. In order to achieve a low profi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perate as a rectangular microstrip antenna whose length is a rectangular flat radiating portion, which is reduced in half.

이와 같은 역-F 안테나는 소형화 및 방사 특성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제공하는 안테나이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내장형 안테나이기는 하나, 협대역 특성을 가지는 문제로 인해 다중 대역 및 광대역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n inverted-F antenna is an antenna that provides many advantages in miniaturizatio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is the most commonly used internal antenna. However, the inverted-F antenna is difficult to design to have multiband and broadband characteristics due to the narrowband characteristic. There was this.

이와 같은 역-F 안테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가 국내특허출원 제 2008-2266호로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uch an inverted-F antenna, a built-in antenna using an electromagnetic coupling has bee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to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2266, Figure 1 is using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proposed by the inventor The structure of the built-in antenna is shown.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안테나는 역-F 안테나에 비해 좋은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다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The antenna using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can secure better broadband characteristics than the inverted-F antenna, and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more broadband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및 다중 대역 특성을 확보하는데 적합한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bedded antenna suitable for securing broadband and multi-band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t-in antenna for a terminal that can be efficiently impedance matching for a broadba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 상기 제3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RF 신호를 방사하는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는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여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급전부로서 동작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 second conductive member having a loop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third conductive member extending from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nd radiating an RF signal, wherein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formed. A wideband internal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operating as an impedance matching section and a feeding section is provided.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는 진행파가 발생할 수 있다. A traveling wave may occur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상기 제1 도전 부재, 제2 도전 부재 및 제3 도전 부재가 결합되는 유전체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 및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 측부 및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dielectric structure to whic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the third conductive member are couple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s formed at the bottom and sid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formed at the bottom, side and the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the third conductive member is formed at the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폭 및 길이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Widths and length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partially set different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를 포함하여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제2 도전 부재로의 전자기 결합을 통해 임피던스 매칭 및 급전을 수행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eed point and a second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having a loop shap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o be electr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Provided is a wideband internal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for conducting impedance matching and feeding through electromagnetic coupling from a first conductive member to a second conductive member including a conductive member.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하면, 제한된 사이즈 내에서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within a limited size.

도 1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결합을 화살표로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유전체 구조물에 결합되어 형성된 구체적인 구성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유전체 구조물에 결합되어 형성된 구체적인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oposed by the inventor.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magnetic coupling generated by the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rrow.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coupled to a dielectr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in which an antenna is coupled to a dielectr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roadband internal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는 제1 도전 부재(200),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202) 및 제2 도전 부재(202)로부터 연장되는 제3 도전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는 캐리어 또는 기판과 같은 유전체 구조물에 결합되어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다. 2, a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 loop-shaped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It may include a third conductive member 204 extending. Built-in antenna using a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s shown in Figure 2 may be coupled to a dielectric structure such as a carrier or a substrate and embedded in the terminal.

제1 도전 부재(200)는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RF 신호가 인가된다. 도 2에는 제1 도전 부재(200)의 형태가 형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도전 부재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 부재(200)는 사각형 패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원형 패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nd the RF signal is applied.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hape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is in the form, but the shape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may have a rectangular patch form or may have a circular patch form.

제2 도전 부재(202)는 제1 도전 부재(200)를 둘러싸도록 폐곡선 루프 형태를 가지며, 제2 도전 부재(202)와는 전기적으로 이격된다. 제1 도전 부재(200)와 제2 도전 부재의 이격 거리는 상호 전자기 결합이 가능한 거리로 설정되며, 전자기 결합이 가능한 거리는 사용 주파수 대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has a closed loop shape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is electricall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be set to a distance capable of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each other, and the distance capable of electromagnetic coupling may be determined by a frequency band u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 부재(202)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도전 부재(200)로부터 제2 도전 부재(202)로의 전자기 결합이 발생한다. 제1 도전 부재(200)와 제2 도전 부재(202) 사이의 전자기 결합 시 제1 도전 부재(200)와 제2 도전 부재(202) 사이에는 진행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도전 부재(202)의 루프 길이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는 바, 일반적인 전자기 결합과는 달리 비교적 긴 영역에서 전자기 결합 현상이 발생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and electromagnetic coupl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occurs. In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traveling waves may occur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may be used.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op length of. Therefore, unlike general electromagnetic coupling,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in a relatively long region.

제1 도전 부재(200) 및 제2 도전 부재(202)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급전부로서 동작하게 되며, 비교적 긴 영역에서 급전 및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operate as an impedance matching unit and a power feeding unit, and feeding and impedance matching are performed in a relatively long region.

제3 도전 부재(204)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도전 부재(202)로부터 연장된다. 제3 도전 부재(204)는 방사체로서 동작하며 안테나의 방사 주파수는 제2 도전 부재(202) 및 제3 도전 부재(204)의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The third conductive member 204 extends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he third conductive member 204 operates as a radiator and the radiation frequency of the antenna is determined by the lengths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and the third conductive member 204.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도전 부재(200) 및 제2 도전 부재(202) 사이에 충분한 전자기 결합이 확보될 때 보다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2 도전 부재(202)가 제1 도전 부재(200)를 둘러싸는 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충분한 전자기 결합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present inventors, when sufficient electromagnetic coupling is secur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the second conduc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 202 is formed in a loop shape surrounding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to ensure sufficient electromagnetic coupling in a limited spa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결합을 화살표로 표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electromagnetic coupling generated by an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rrows.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전 부재(200)로부터 제2 도전 부재로의 전자기 결합은 방사산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전자기 결합이 발생할 경우 직선 형태의 부재에 의해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 제한된 공간 내에서 보다 충분한 전자기 결합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in the form of radiation. When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in such a structure, more electromagnetic coupling i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than when electromagnetic coupling occurs by a linear member.

도 2에는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202)가 원형의 루프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루프의 형태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loop-shaped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is a circular loop, but the shape of the loop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2 도전 부재가 사각형 루프의 형태이며,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루프의 형태는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다른 다양한 루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loop, an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loop may have a square shape or may have various other loop shapes.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uilt-in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202) 및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202)와 이격되어 제2 도전 부재(202)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도전 부재(200)에는 돌출부(220, 23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having a loop shape 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having a loop shape and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220 and 230 may be formed.

제1 도전 부재(200)에는 제2 도전 부재 방향(202)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도전 부재(200)에는 제1 도전 부재 방향(202)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20 protruding i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direction 202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i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0 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direction 202.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30 protruding may be formed.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0)는 직사각형의 오픈 스터브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또는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open stub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or various other shapes.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0)는 제1 도전 부재(200) 및 제2 도전 부재(202)의 전기적 길이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0)에 의해 제1 도전 부재(200) 및 제2 도전 부재(202)의 전기적 길이를 실질적으로 증가시켜 보다 충분한 전자기 결합을 통해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function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electrical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substantially increase the electrical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202 to secure broadband characteristics through more sufficient electromagnetic coupling. It is possible.

도 5에는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0)의 폭 및 길이가 일정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돌출부(220) 및 제2 돌출부(230)의 폭 및 길이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are constant, but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2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are partially different. May b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유전체 구조물에 결합되어 형성된 구체적인 구성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유전체 구조물에 결합되어 형성된 구체적인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ntenna coupled to a dielectr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llustrates a specific configuration formed of an antenna coupled to a dielectr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도전 부재(600)는 유전체 구조물(700)의 하부 및 측부에 형성된다. 제1 도전 부재(600)는 급전핀(650)과 결합된다. 6 and 7, the first conductive member 600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700. The first conductive member 600 is coupled to the feed pin 650.

제2 도전 부재(602)는 제1 도전 부재(600)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며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 측부 및 상부에 형성된다. 제2 도전 부재(602)는 유전체 구조물 하부에 형성된 접지핀(6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602 is electr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600 and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and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6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in 660 formed under the dielectric structure.

제2 도전 부재(602)는 제1 도전 부재(600)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는 것을 도 6 및 도 7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It can be seen from FIGS. 6 and 7 that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602 has a loop shape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600.

제3 도전 부재(604)는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602)로부터 연장되어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도전 부재(604)는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The third conductive member 604 extends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602 in the form of a loop and is formed on the dielectric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conductive member 604 operates as a radiator.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는 슬롯(710, 7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은 전류 경로의 조절을 통해 광대역 또는 다중 대역 특성 향상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Slots 710 and 720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and the slots may be formed to improve broadband or multi-band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current path.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0)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RF 신호를 방사하는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는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여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급전부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 second conductive member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having a loop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 third conductive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a loop shape and emitting an RF signal,
Electromagnetic coupling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operate as impedance matching parts and feeding parts.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에는 진행파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raveling wav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 제2 도전 부재 및 제3 도전 부재가 결합되는 유전체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electric structure coupled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the third conductiv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 및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하부, 측부 및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도전 부재는 상기 유전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s form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and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he third conductive membe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dielectric structure Broadband internal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Broadband internal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coupl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폭 및 길이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partially set differently.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동일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태를 가지고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루프 형태의 제2 도전 부재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RF 신호를 방사하는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도전 부재로의 전자기 결합을 통해 임피던스 매칭 및 급전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에는 진행파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 point;
A second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spaced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in a loop shape to surrou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A third conductive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a loop shape and emitting an RF signal,
Impedance matching and feeding are performed through electromagnetic coupl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traveling waves are generated 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Broadband internal antenna.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도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KR1020100024193A 2010-03-18 2010-03-18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KR101172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193A KR101172229B1 (en) 2010-03-18 2010-03-18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193A KR101172229B1 (en) 2010-03-18 2010-03-18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16A KR20110105116A (en) 2011-09-26
KR101172229B1 true KR101172229B1 (en) 2012-08-07

Family

ID=4495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193A KR101172229B1 (en) 2010-03-18 2010-03-18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2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16A (en)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7885B2 (en) Multi-band built-in antenna
KR100483043B1 (en) Multi band built-in antenna
KR100980218B1 (en) Internal Antenna Providing Impedance Maching for Multi Band
KR100981883B1 (en) Internal Wide Band Antenna Using Slow Wave Structure
KR101171421B1 (en) Wide Band Antenna Using Coupling Matching
KR101103208B1 (en) Broad Band Antenna of Which the Radiator End Point is Shorted Using Coupling Matching
KR20080079817A (en) Multi-band antenna and mobile-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120864B1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with Improved Impedance Matching Using Electromagnetic Coupling
KR100756312B1 (en) Resonance frequency and input impedance control the multiplex frequency band internal antenna which it is possible
KR101129976B1 (en) Internal Antenna Providing Impedance Matching for Wide Band where Feeding Patch is Placed on Substrate
WO2011046368A2 (en) Broadband built-in antenna using double electromagnetic coupling
KR20090126001A (en) Internal antenna of portable terminal
KR100808476B1 (en) 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0024B1 (en) Internal Antenna Providing Impedance Matching for Wide Band
KR101172229B1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Loop Electromagnetic Coupling
KR101081397B1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Double Electromagnetic Coupling
KR101090114B1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Coupling
KR20110120154A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KR101094537B1 (en) Wide-band Embedded Antenna Using Spiral Electromagnetic Coupling
Wang et al. Small-size folded monopole antenna with switchable matching circuit for ultra-thin mobile applications
KR20080080066A (en) Multi-band antenna
KR20100099076A (en) Ultra wide band monopole internal antenna
KR20110040127A (en) Wideband impedance matching antenna using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