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52B1 -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 Google Patents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52B1
KR101171252B1 KR1020110118748A KR20110118748A KR101171252B1 KR 101171252 B1 KR101171252 B1 KR 101171252B1 KR 1020110118748 A KR1020110118748 A KR 1020110118748A KR 20110118748 A KR20110118748 A KR 20110118748A KR 101171252 B1 KR101171252 B1 KR 10117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volume
audio
hear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온
Priority to KR102011011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8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constructional mean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is provid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freely controlling sound volume amplification according to the hearing of a user and the volume of surrounding sound. CONSTITUTION: A radio receiver includes a microphone(501) receiving external noise, an amplifier(503), a band-pass filter(505), a mixer(507), a volume control part(509), a power amplifier(511), an output jack(515), and an auto gain control part(513). The radio receiver further includes a volume button which can control a sound volume of the volume control part. The radio receiver includes a control part(523) which controls the on/off of the overall power of the radio receiver by sensing an event of a power switch(521). The control part can display a charge state of a rechargeable battery(519) on an outer LED lamp through a power control part(529).

Description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량 조절이 가능하고, 보청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일정 레벨로 자동 음량 조절이 되며, TV 시청 중 타인의 방해를 주지 않고서도 증폭된 TV 신호를 들을 수 있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specifically, the volume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a certain level, the TV signal can be heard without disturbing others while watching TV. A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that can be.

보청기라 함은 청력이 약하여 잘 들리지 아니하는 것을 보강하는 기구를 칭하며,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소형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모으거나 증폭하여 잘 들리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aring aid refers to a device that reinforces the hearing is weak and difficult to hear, and in general, the hearing aid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or amplifying sounds by using a small microphone, so that it can be heard well.

이러한 종래의 보청기는 사용자의 청력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청력이 달라지는 경우 새로운 보청기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주변의 소리가 크거나 작은 경우 증폭 정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작은 소리는 들을 수 없으며, 큰 소리는 청력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Since such a conventional hearing aid is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a user's hearing,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adjust a new hearing aid when the hearing is changed. In addition, if the surrounding sound is large or small, the amplification degree can not be adjusted, so the small sound cannot be heard, and the loud sound has the disadvantage of damaging hearing.

한편, 노인성 경증 난청자가 TV를 시청할 때에 TV 소리를 크게 하여 시청하기 때문에 타인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타인에게 피해 없이 크게 증폭된 TV 소리를 이어폰으로 청취할 수 있는 보청기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ile mild hearing loss is watching a TV to make the TV sound louder to cause damage to others.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hearing aid capable of listening to amplified TV sound with earphones without harming other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맞춤형 보청기와는 달리 음성의 증폭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보청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자동 조절이 가능하며, 보청기의 본체와 반대쪽 귀에서도 이어폰을 사용하여 양쪽 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nlike the conventional custom hearing aid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voice, 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main body of the hearing ai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both ears using earphones in the opposite ea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송신기의 마이크를 통해 TV 소리를 입력받고, 이를 FM 주파수로 무선 수신기로 송신함으로써 타인에게 피해 없이 노인성 경증 난청자가 TV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ceiving a TV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receiver at the FM frequency can be easily watched by the elderly mild hearing loss without hurting othe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즉 음성 증폭기는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량 제어부의 음량은 외부 음량 버튼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voice amplifier,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external sound; A speak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a volume of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wherein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volume butt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청기는 상기 보청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및 상기 전원 버튼에 의해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상기 음량 제어부의 음량을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ring aid comprises: a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pulse signals capable of rais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to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power is turned on by the power button.

또한 상기 보청기는 외부 이어폰이 연결되는 외부 연결잭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리는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외부 이어폰을 통해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ring aid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jack to which an external earphone is connected, and external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amplified and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the external earphone.

또한 상기 보청기는 외부 음향기기의 오디오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ring aid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input unit through which an audio output signal of an external sound device is input, wherein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input unit is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은,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부착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1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FM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공간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FM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신호와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송신기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외부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FM 수신부; 상기 FM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중에서 기입력된 FM 방송국 주파수를 제외하고 가장 잡음 적은 FM 주파수를 검출하는 제어부; 상기 증폭기의 증폭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FM 주파수로 변조하는 FM 변조부; 및 상기 FM 변조부의 변조된 신호를 무선 공간으로 전송하는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수신기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외부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무선 공간을 통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상기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된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FM 수신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FM 수신부의 복조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 및 외부에 노출된 업/다운 버튼의 입력에 따라 업/다운 펄스 신호를 상기 음량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전원 버튼에 의해서 전원이 온되는 경우 상기 음량 제어부의 음량을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기의 FM 변조부의 FM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FM 수신부의 FM 주파수 신호 복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transmitter attached to the devic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receives the audio signal through a first microphone to modulate the FM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o the wireless space through an antenna ; And a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M frequency modulated signal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synthesize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and output the synthesized signal. The first microphone to receive an external voice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An FM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in an FM frequency band; A control unit which detects the FM noise having the least noise except the FM broadcasting station frequency inputted from the frequencies received from the FM receiving unit; An FM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of the amplifier to the FM frequency detected by the controller; And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of the FM modulator to a wireless space, wherein the wireless receiver comprises: a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power;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radio space; An FM receiver which receives and demodulates an FM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among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mixer for mix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and the demodulation signal of the FM receiver; A volume control unit controlling a volume of the voice signal output through the mixer; And an up / down pulse signal to the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an input of an up / down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by the power button, a pulse signal for rais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control the FM frequency signal demodulation of the FM receiver by searching for the FM frequency of the FM modulator of the wireless transmitter.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사용자의 청력과 주변의 소리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음량 증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freely adjust the volume amplific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user's hearing and the surrounding sound leve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보청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음량을 크게 하는 일정 양의 펄스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가 음량 조절 버튼을 여러 번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일정 수준의 음량으로 세팅이 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pulse to increase the volume, so that the user is automatically set to a predetermined level even if the user does not enter the volume control button several times. It has a beneficial eff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본체와 결합 되는 귀와 반대편 귀에서도 이어폰을 통해서 양쪽 귀에서 동시에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heard at the same time in both ears through the earphone in the ear and the opposite ear coupled to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휴대폰, MP3 등 휴대용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보청기를 통해서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hear the voice output from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MP3 through a hearing ai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의 마이크를 통해 TV 소리를 입력받고, 이를 FM 주파수로 무선 수신기로 송신함으로써 타인에게 피해 없이 노인성 경증 난청자가 TV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the TV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wireless transmitter, by transmitting the FM frequency to the wireless recei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derly mild hearing loss can easily watch TV without harm to oth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본체의 외부잭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양쪽 귀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 홀더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의 외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의 외관도.
1 is an external view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jack of the hearing ai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both ears.
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ternal view of a radio transmitter hold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view of a wireless transmi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ternal view of a wireless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way that i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외관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0)는 오디오 출력부(101), 음량 조절 버튼(103) 및 전원 버튼(105)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청기(100) 하단 등에 마이크(마이크로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소리는 상기 보청기(100) 내부에서 증폭되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증폭된 소리가 상기 오디오 출력부(101)를 통해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ring a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101, a volume control button 103, and a power button 105. Although not shown, a microphone (microphone)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earing aid 100, and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amplified inside the hearing aid 100 so that the amplified sound can be heard by the user. Outputted through 101).

또한 사용자는 소리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음량 조절 버튼(103)을 통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101)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증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청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음량 조절 버튼(103)에서 "△" 버튼(업 버튼)을 입력하여 음량을 높일 수 있으며, 주변의 소리가 커서 귀에서 크게 들리는 경우 "▽" 버튼(다운 버튼)을 입력하여 음량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adjust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101 through the volume control button 103 to adjust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ound. That is, when the user's hearing is weak, the user may increase the volume by inputting the "△" button (up button) in the volume control button 103, and the "▽" button (down button) when the surrounding sound is loud and heard from the ear. To decrease the volume.

또한 상기 보청기(100)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귀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동안에만 상기 보청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10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 버튼(105)은 입력에 따라 전원 켜짐(on)과 꺼짐(off)이 반복된다.
In addition, the hearing aid 100 is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105 for operating the hearing aid 100 only while the ear is worn and used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The power button 105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본체의 외부잭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양쪽 귀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jack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both ear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외부잭(201)에 스피커(205) 및 외부잭 연결부(207)를 포함하는 이어폰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보청기 외부잭(201)에 연결되는 되는 경우 상기 보청기에서 증폭된 소리가 상기 보청기 본체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출력부 외에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205)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양쪽 귀에서 듣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2,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including the speaker 205 and the external jack connecting portion 207 to the external jack 20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hearing aid external jack 201, the sound amplified by the hearing aid is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5 of the earphone in addition to the audio output included in the hearing aid body. It is possible to listen in

한편 상기 외부잭(201)은 상기 보청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보청기의 전원을 충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jack 201 may be designed to charge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when the hearing aid is not us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내부 구성도이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마이크, 301), 상기 마이크로폰(301)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303), 상기 증폭기(303)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필터(305), 상기 대역필터(305)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307), 상기 음량제어부(307)에 의해 제어된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309), 상기 전력증폭기(309)에 의해 증폭된 최종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323) 및 상기 전력증폭기(309)의 최종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이득제어부(3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microphone) 301 that receives external sound, an amplifier 303 for amplifying a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01, and an amplification in the amplifier 303. A band filter 305 for filtering the audio signal into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a volume controller 307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305, and a volume controller 307. A power amplifier 309 for amplifying the size of the audio signal controlled by the first amplifier, a first speaker 323 for outputting the final audio signal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309 to the outside, and a final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309 It includes an automatic gain control unit 311 for maintaining a constant value.

상기 보청기는 상기 음량제어부(307)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버튼(315)을 포함한다. 상기 음량제어부(307)는 상기 음량 버튼(315)에 의해 음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량 버튼(315)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다운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업 버튼에 의하여 음량을 한 단계씩 올리는 것이 가능하며 다운 버튼에 의하여 음량을 한 단계식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ring aid includes a volume button 315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 unit 307. The volume control unit 307 is to adjust the volume by the volume button 315. The volume button 315 includes an up / down button as described in FIG. 1, and the volume can be increased by one level by the up button, and the volume can be lowered by one level by the down button.

상기 보청기는 전원 버튼(319)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보청기 전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마이크로 콘트롤러, 313)를 포함한다.The hearing aid includes a controller (microcontroller) 313 for detecting an event of the power button 319 to control on / off of the entire power of the hearing aid.

상기 제어부(313)는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319)을 통해 스위치 온(on)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의 전원을 온(on) 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량제어부(307)의 음량을 일정수준까지 도달하도록 일정량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음량제어부(307)의 음량을 자동 조절한다. 통상 상기 음량제어부(307)에서 조절할 수 있는 음량 범위는 -32 에서 +32 까지 이며, 평균적인 청각 장애인이 보청기를 통해 불편함 없이 들을 수 있는 음량은 +25 정도이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13)는 전원 온과 동시에 음량을 높이는 펄스 25개의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313)에서 25개의 음량을 높이는 25개의 펄스 신호를 자동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음량버튼(315)을 25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313 detects a switch on event through the power button 319 in a power off state, the controller 313 turns on the power of the hearing aid and simultaneously turns off the volume control unit 307. By generating pulse signals that increase the volume of the volume to reach a certain level,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307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general, the volume range that can be adjus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307 is from -32 to +32, and the averag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hear without discomfort through the hearing aid is about +25, preferably, the control unit 313 ) Will automatically generate 25 signals that turn up the volume at power-on. As such,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313 automatically generates 25 pulse signals that increase the volume of 25, the user may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the volume button 315 25 times.

한편 상기 제어부(313)는 전원 온과 오프시에 신호음을 출력하여 상기 보청기의 동작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313 may output a beep sou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off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상기 보청기의 외부연결잭(325)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충전부(327)는 충전지(329)의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13)는 전원 제어부(321)를 통해 상기 충전지(329)의 충전 상태를 외부 LED 등에 표시할 수 있다.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jack 325 of the hearing aid, the charging unit 327 charges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329. The controller 313 ma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329 through an power controller 321 to an external LED.

또한 상기 외부연결잭(325)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기(309)의 최종 오디오 출력은 상기 보청기의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스피커(323) 및 상기 이어폰에 포함되어 있는 제2 스피커를 통해서 동시에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쪽 귀를 통해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동시에 듣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jack 325, the final audio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309 is the first speaker 323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hearing aid and the second speaker included in the earphone Are simultaneously output. Therefor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hear the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through both ears.

한편 오디오 입력부(331)에는 외부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로폰(301)에서 입력되는 소리가 증폭되어 상기 제1 스피커(323)를 통해 출력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보청기에 의해서 증폭되어 상기 제1 스피커(323)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음향기기는 핸드폰,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 각종 음향기기 등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외부 소리뿐 아니라 각종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불편함 없이 들을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n audio signal of an external sound device is input to the audio input unit 331, and the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 301 is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as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rough the first speaker 323. An audio signal is amplified by the hearing aid and output through the first speaker 323. The sound device includes various sound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output from various acoustic devices as well as the external sound without any inconvenienc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은 무선 송신기(도 4 참조)와 무선 수신기(도 5 참조)로 구성된다. 무선 송신기는 TV 또는 오디오 등 외부 음향 출력 장치에 부착하여 해당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무선 주파수 신호(예컨대, FM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수신기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보청기의 기본 기능에 추가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예컨대,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변조한 후, 마이크 또는 외부 연결잭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inafter, a hearing aid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ireless transmitter (see Figure 4) and a wireless receiver (see Figure 5). The radio transmitter attaches to an external sound output device such as a TV or audio, and converts the voice output from the device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example, an FM frequency signal) to perform wireless transmission.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the hearing aid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the wireless receiver receives and modulates a radio frequency signal (eg, an FM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and then inputs it from a microphone or an external connection jack. Synthesizes with the audio signal and outputs to the speake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노인성 경증 난청자가 TV 등 외부 음향 출력 장치의 볼륨을 높이지 않더라도(즉,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TV에 부착된 무선 송신기와 귀에 착용하는 무선 수신기를 통해 증폭된 소리를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수신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또는 외부 연결잭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원하는 크기의 음량으로 청취할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the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the ear attached to the TV even if the senile mild hearing loss does not increase the volume of the external sound output device such as a TV (that is, does not harm others). Not only amplified sound can be hear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but also a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of the wireless receiver or an audio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connection jack can be simultaneously listened at a desired volume leve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의 내부 구성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마이크, 401), 상기 마이크로폰(401)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403), 상기 증폭기(403)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필터(405), 상기 대역필터(405)의 최종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이득제어부(407), 오디오 또는 TV 등과 같은 외부 입력 기기와 직접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외부 입력잭(415), 상기 대역필터(405)의 출력 신호와 상기 외부 입력잭(415)을 통해 입력된 외부 입력 신호를 합성하는 혼합기(409), 상기 혼합기(409)의 출력 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 변조하는 FM 변조부(411), 상기 FM 변조부(411)의 출력 신호를 무선 공간으로 송신하는 안테나(413), 상기 안테나(413)를 통해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FM 수신부(41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a wireless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microphone) 401 for receiving external sound, an amplifier 403 for amplifying a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01, and the amplifier ( A band filter 405 for filter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to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can be heard by a person, an automatic gain control unit 407 for maintaining a constant final output value of the band filter 405, audio or TV A mixer which directly connects to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n external input jack 415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 mixer for synthesizing an output signal of the band pass filter 405 and an external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jack 415 ( 409, an FM modulator 411 for frequency modula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ixer 409, an antenna 413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M modulator 411 to a wireless space, and the antenna ( FM note via 413) It may include a FM receiver 419 for receiving signals.

상기 무선 송신기는 전원 버튼(미도시)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 전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마이크로 콘트롤러, 417)를 포함한다.The wireless transmitter includes a controller (micro controller) 417 for detecting an event of a power button (not shown) and controlling on / off of the entir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er.

상기 제어부(417)는 상기 전원 버튼(미도시)을 통해 스위치 온(on)과 오프(off)시에 신호음을 출력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의 동작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17 may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ransmitter by outputting a beep sound at the time of switching on and off through the power button (not shown).

상기 무선 송신기의 외부입력잭(415)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충전부(423)는 충전지(421)의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17)는 전원 제어부(425)를 통해 상기 충전지(421)의 충전 상태를 외부 LED 등에 표시할 수 있다.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jack 415 of the wireless transmitter, the charging unit 423 charges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421. The controller 417 may display a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421 through an power controller 425 to an external LED.

또한 상기 외부입력잭(415)에 외부 장치(예컨대, TV 또는 오디오 등)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혼합기(409)를 통해 대역필터(405)를 통과한 마이크로폰(401) 입력 신호와 합성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device (eg, TV or audio)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jack 415,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passes through the band filter 405 through the mixer 409 ( 401) is synthesized with the input sig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M 수신부(419)는 88~108MHz의 주파수대의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17)로 제공한다. 제어부(417)에서는 기입력된 FM 방송국 주파수를 제외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잡음이 가장 적은 주파수를 찾아서 이를 송신 FM 주파수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17)는 FM 변조부(411)에서 혼합기(409)의 출력 신호를 상기 설정된 FM 주파수로 변조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M receiver 419 receives the FM frequency signal of the 88 ~ 108MHz frequency band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417. The controller 417 finds a frequency having the least noise in the received signal except for the pre-inputted FM broadcasting station frequency and sets it as the transmission FM frequency. Accordingly, the controller 417 controls the FM modulator 411 to modulate the output signal of the mixer 409 to the set FM frequ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정된 FM 주파수에서 57KHz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에 제품 식별 번호를 삽입한다.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is inserted into a subcarrier of 57 KHz at the set FM frequenc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마이크, 501), 상기 마이크로폰(501)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503), 상기 증폭기(503)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필터(505), 상기 대역필터(505)의 출력 신호와 FM 수신부(525)의 FM 주파수 수신 신호를 합성하는 혼합기(507), 상기 혼합기(507)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509), 상기 음량제어부(509)에 의해 제어된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511), 상기 전력증폭기(511)에 의해 증폭된 최종 오디오 신호를 외부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잭(515) 및 상기 전력증폭기(511)의 최종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이득제어부(513)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cei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wireless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microphone) 501 that receives external sound, an amplifier 503 that amplifies a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501, and the amplifier ( A band filter 505 for filter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in an audible frequency band a human can hear, a mixer for synthesizing the output signal of the band filter 505 and the FM frequency reception signal of the FM receiver 525 ( 507, a volume controller 509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passing through the mixer 507, a power amplifier 511 for amplifying the size of the audio signal controlled by the volume controller 509, and the power amplifier. An output jack 515 for outputting the final audio signal amplified by 511 to an external speaker or earphone,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unit 513 for maintaining a constant final output value of the power amplifier 511.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음량제어부(509)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량제어부(509)의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wireless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button (not show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509. Since the function of the volume controller 509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무선 수신기는 전원 스위치(521)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 수신기 전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마이크로 콘트롤러, 523)를 포함한다.The wireless receiver includes a controller (micro controller) 523 for detecting an event of the power switch 521 to control on / off of the entire power of the wireless receiver.

상기 제어부(523)는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521)를 통해 스위치 온(on)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전원을 온(on) 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량제어부(509)의 음량을 일정수준까지 도달하도록 일정량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음량제어부(509)의 음량을 자동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23)는 전원 온과 오프시에 신호음을 출력하여 상기 무선 수신기의 동작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523 detects a switch on event through the power switch 521 in a power off state, the controller 523 turns on the power of the power switch an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controller 509.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 unit 509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generating pulse signals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volume to reach a predetermined level. Meanwhile, the controller 523 may output a beep sou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off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ceiver.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력잭(515)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충전부(517)는 충전지(329)의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23)는 전원 제어부(529)를 통해 상기 충전지(519)의 충전 상태를 외부 LED 등에 표시할 수 있다.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output jack 515 of the wireless receiver, the charging unit 517 charges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329. The controller 523 ma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519 through an external LED through the power controller 529.

또한 상기 출력잭(515)에 이어폰 등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기(511)의 최종 오디오 출력은 상기 무선 수신기의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에 포함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서 동시에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쪽 귀를 통해 상기 보청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동시에 듣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n earphon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output jack 515, the final audio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511 is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receiver and the speaker included in the earphone. Therefor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hear the sound output from the hearing aid through both ears.

한편 안테나(527)에서는 무선 공간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FM 수신부(525)로 제공하며, 상기 FM 수신부(525)에서는 제어부(523)의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에서 상기 도 4의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한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the antenna 527 receives a signal through a wireless space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FM receiver 525. The FM receiver 525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requency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23 of the radio transmitter of FIG. Receives and processes an FM frequency signal sent by.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서 수신기를 켜게 되면, 88~108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부(523)에 기저장된 FM 방송국 주파수를 제외하고 상기 FM 수신부(525)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57KHz의 서브 캐리어에서 제품 식별 신호가 있는 주파수 대역을 찾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23)는 상기 제품 식별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의 FM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게 되며, 상기 FM 수신부(525)에서 상기 검출된 주파수 대역으로 수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제어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receiver is turned on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receive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M receiver 525 is analyzed by excluding an FM broadcast station frequency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ler 523 in the frequency band of 88 to 108 MHz. The frequency ban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signal is found in the 57 kHz subcarri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523 detects the FM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by the product identification signal, and controls the FM receiver 525 to demodulate the received signal to the detected frequency band. do.

FM 수신부(525)에서는 상기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하여 혼합기(507)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주파수 선택 작업이 없이도 편리하게 무선 송신기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The FM receiver 525 detects the signal of the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mixer 507.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without any separate frequency selection.

한편, 예컨대 사용자는 무선 송신기를 TV 등에 부착하게 되고, 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무선 송신기에서 상기 설정된 FM 주파수로 무선 수신기에 전송된다. 무선 수신기에서는 상기 FM 주파수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증폭시켜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a user attaches a wireless transmitter to a TV or the like, and a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TV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to the wireless receiver at the set FM frequency. The wireless receiver detects and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at the FM frequency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it.

도 6 내지 도 8은 상술한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및 무선 송신기를 TV 등에 부착시킬 수 있는 무선 송신기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adio transmitter holder capable of attaching the above-mentioned radio transmitter, radio receiver and radio transmitter to a TV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 홀더의 외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의 외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의 외관도이다.6 is an external view of a wireless transmitter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ternal view of a wireless transmi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ternal view of the wireless receiver.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 홀더를 TV 등에 부착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TV의 스피커 주변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송신기를 상기 송신기 홀더에 삽입함으로써 TV에 무선 송신기를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The user attaches the transmitter holder to a TV or the like as shown in FIG. 6, and preferably attaches around the speaker of the TV. At this time, the user can fix the wireless transmitter to the TV by inserting the wireless transmitter as shown in FIG. 7 into the transmitter holder.

또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수신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이어폰을 무선 수신기의 출력잭에 연결함으로써 이어폰을 통해 TV 소리를 크게 들을 수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can listen to the TV sound through the earphone by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output jack of the wireless receiver while having a wireless receiver as shown in FIG.

100: 보청기 101: 스피커
201, 325: 외부연결잭 307: 음량제어부
313: 제어부 331: 오디오 입력부
401 : 마이크로폰 403 : 증폭기
405 : 대역필터 407 : 자동 이득 제어
409 : 혼합기 411 : FM 변조부
413 : 안테나 415 : 외부 입력 잭
417 : 제어부 419 : FM 수신부
421 : 충전부 423 : 충전부
425 : 전원 제어부 501 : 마이크로폰
503 : 증폭기 505 : 대역필터
507 : 혼합기 509 : 음량 제어부
511 : 전력 증폭부 513 : 자동이득 제어부
515 : 출력 잭 517 : 충전부
519 : 충전지 521 : 전원 제어부
100: hearing aid 101: speaker
201, 325: external connection jack 307: volume control
313: control unit 331: audio input unit
401 microphone 403 amplifier
405: Band filter 407: Automatic gain control
409: mixer 411: FM modulator
413: antenna 415: external input jack
417: control unit 419: FM receiver
421: charging unit 423: charging unit
425: power control unit 501: microphone
503: amplifier 505: band filter
507: mixer 509: volume control
511: power amplification unit 513: automatic gain control unit
515: output jack 517: live part
519: rechargeable battery 521: power control unit

Claims (8)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부착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1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FM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공간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FM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신호와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송신기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외부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FM 수신부;
상기 FM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중에서 기입력된 FM 방송국 주파수를 제외하고 가장 잡음 적은 FM 주파수를 검출하는 제어부;
상기 증폭기의 증폭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FM 주파수로 변조하는 FM 변조부;
상기 FM 변조부의 변조된 신호를 무선 공간으로 전송하는 상기 안테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의 오디오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신호와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합성하는 제1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수신기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
외부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무선 공간을 통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상기 무선 송신기에서 송신된 FM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FM 수신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FM 수신부의 복조 신호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
상기 제2 혼합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 및
외부에 노출된 업/다운 버튼의 입력에 따라 업/다운 펄스 신호를 상기 음량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전원 버튼에 의해서 전원이 온되는 경우 상기 음량 제어부의 음량을 일정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펄스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기의 FM 변조부의 FM 주파수를 검색하여 상기 FM 수신부의 FM 주파수 신호 복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A wireless transmitter attached to a device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receiving the audio signal through a first microphone and modulating the audio signal into an FM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frequency to an antenna through an antenna; And
Receiving an FM frequency modulated signal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comprises a wireless receiver for combining with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and outputs,
The wireless transmitter,
A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power;
The first microphone to receive an external voice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An FM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in an FM frequency band;
A control unit which detects the FM noise having the least noise except the FM broadcasting station frequency input from the frequencies received from the FM receiving unit;
An FM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of the amplifier to the FM frequency detected by the controller;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of the FM modulator to a wireless space;
An audio input unit connected to a device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by wire and receiving an audio output signal of the device; And
And a first mixer for synthesizing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input unit and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The wireless receiver,
A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power;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radio space;
An FM receiver which receives and demodulates an FM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among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second mixer for mix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and the demodulation signal of the FM receiver;
A volume control unit controlling a volume of the voice signal output through the second mixer; And
Transmitting an up / down pulse signal to the volum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p / down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ulse signal for rais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 unit to a certain level when the power is turned on by the power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M frequency signal demodulation of the FM receiver by retrieving the FM frequency of the FM modulator of the wireless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는 외부 이어폰이 연결되는 외부 연결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음량 제어부의 출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외부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receiver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jack to which an external earphone is connected,
The output signal of the volume control unit is amplified by a power amplifier, the hearing ai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the external ear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송신기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부착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무선 송신기 홀더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The hearing ai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reless transmitter holder capable of attaching the wireless transmitter to a device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can be secured to a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transmitter outputs the audio signal by inserting into the wireless transmitter hol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는,
외부 음향기기의 오디오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receiver,
Further comprising an audio input unit to which the audio output signal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is input,
And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input unit is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FM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에 제품 식별 번호를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transmitter,
Hearing 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inser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subcarrier of the detected FM frequenc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FM 주파수 신호 중에서 서브 캐리어에 삽입된 제품 식별 번호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기의 송신 FM 주파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receiver,
And checking the transmission FM frequency of the radio transmitter by checking a 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inserted in the subcarrier among the received FM frequency signal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는 상기 FM 주파수에서 57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8. The hearing aid transceiver system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subcarrier is 57 KHz at the FM frequency.
KR1020110118748A 2011-11-15 2011-11-15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KR101171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48A KR101171252B1 (en) 2011-11-15 2011-11-15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48A KR101171252B1 (en) 2011-11-15 2011-11-15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52B1 true KR101171252B1 (en) 2012-08-06

Family

ID=4688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748A KR101171252B1 (en) 2011-11-15 2011-11-15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039A (en) * 2019-02-26 2020-09-01 德通听力科技(杭州)有限公司 Hearing aid device of smart phone
CN112543405A (en) * 2019-09-20 2021-03-23 深圳市中德听力技术有限公司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in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hearing a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241B1 (en) 2001-01-18 2002-08-19 박천규 Transmitter for wireless microphone have the anti. secession wearing clip
KR200357328Y1 (en) * 2004-04-30 2004-07-23 (주)건융아이비씨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JP2005303963A (en) * 2004-04-09 2005-10-27 Ibuki Denshi:Kk Guidance system for person having difficulty in he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241B1 (en) 2001-01-18 2002-08-19 박천규 Transmitter for wireless microphone have the anti. secession wearing clip
JP2005303963A (en) * 2004-04-09 2005-10-27 Ibuki Denshi:Kk Guidance system for person having difficulty in hearing
KR200357328Y1 (en) * 2004-04-30 2004-07-23 (주)건융아이비씨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039A (en) * 2019-02-26 2020-09-01 德通听力科技(杭州)有限公司 Hearing aid device of smart phone
CN112543405A (en) * 2019-09-20 2021-03-23 深圳市中德听力技术有限公司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in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hearing a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695B2 (en) Personal sound link module
US20110019830A1 (en) Antenna Arrangement for a Hearing Instrument
CN101981949A (en)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US10264339B2 (en) Wearable vibration device
JP2013247559A (en) Hearing aid transmitter and hearing aid
KR101171252B1 (en)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WO2005109950A1 (en) Bone conduction and wireless receiving set
JP3431512B2 (en) Sound listening device
KR20050106362A (en) Wireless telecoil receiver us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necklace-type electric wire
KR101361822B1 (en) wireless hearing aid
US20060258411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20090029024A (e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hearing audio
KR200357328Y1 (en)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KR101084923B1 (en) Customized in-the-ear wireless earphone
KR200244953Y1 (en) Two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hands-free and wireless receiver having multipurpose function
JP3431511B2 (en) Sound listening device
CN210202087U (en) Wireless pickup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of bluetooth
JP3362004B2 (en) Sound listening device
KR200316571Y1 (en) FM Wireless Hearing Aids including Radio function
KR101070387B1 (en) A remote controller with an IR speaker
JP3173995U (en) Digital wireless transceiver
JP3067076U (en) Wireless transceiver
JP2003309900A (en) Hearing aid used in either earhole or pocket
KR200310938Y1 (en) Bone Conduction Radio
JP3211370U (en) Digital wireless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