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195B1 -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195B1
KR101171195B1 KR1020120025392A KR20120025392A KR101171195B1 KR 101171195 B1 KR101171195 B1 KR 101171195B1 KR 1020120025392 A KR1020120025392 A KR 1020120025392A KR 20120025392 A KR20120025392 A KR 20120025392A KR 101171195 B1 KR101171195 B1 KR 10117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ignition
replaceable
replaceable heating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
Priority to KR102012002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 점화장치의 가열수단을 교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가열수단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발열코일이 탑재되고, 홀을 통해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교체형 가열수단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을 결합하는 중공형 결합수단을 형성하며, 외측에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형성하고, 전원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램프를 설치한 점화 스위칭 수단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와; 배터리와, 회로기판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의 일단은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의 발열코일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서 제어부가 스위칭을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발열코일에 전달함으로서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열코일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쑥뜸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Moxibustion Device Having Replaced Heating Unit}
본 발명은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쑥뜸 점화장치의 가열수단을 교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가열수단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경락에 따뜻한 기운으로 자극하므로써 기혈의 순환을 원할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인해 질병 예방 및 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전통한방요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뜸을 뜨기 위해 사용하는 약재로는 주로 쑥을 사용하며, 상기 쑥은 수분이 81.4%, 단백질 5.2g, 지방 0.8g, 당질4.0g, 섬유 3.7g, 회분 2.0g,칼슘93mg, 인 55mg, 철분10.9g, 비타민A 7920 IU, 비타민B1 0.44mg, B2 0.16mg, 나이아신 4.5mg, 비타민C 75mg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쑥에는 비타민A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져 있으며 무기 질,칼슘 ,치네올이 풍부하여 눈을 밝게 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해주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해준다.
따라서 상기 쑥을 이용한 뜸, 즉 쑥뜸은 면역학적으로 생체의 항체면역기능을 증진케하는 작용에 의하여 각종 세균성 질환에 멸균ㆍ소염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감기등과 같은 바이러스성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신경성질환에 대하여 항마비효과가 있으며, 경련성질환에 대하여 진정효과 및 자율신경 계통의조정작용, 심장맥관계의 혈관운동을 조정하는 효과, 혈액성분의 조성 및 개선 효과, 내분비 이상질환, 체액대사에도 개선효과를 가진다.
즉, 뜸은 병을 호전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약쑥을 경혈에 위치시킨 후 불을 붙여서 나오는 쑥진의 유효성분을 고온에서 피부를 통해 혈속에 침투시키는 것을 이르는 말이며, 일반적으로 약쑥을 분말화 하여 이를 뭉쳐서 불을 붙여 사용한다. 쑥뜸은 쑥뜸을 하는 경혈에 따라서 세포의 움직임을 활성화 시키며, 혈액 순환을 월활히 하고, 혈내 백혈구를 증가 시켜서 면역력을 키워주며, 신경기능을 조절하고, 근육의 피로를 없애주며, 내장기능을 강화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기 직접 뜸은 살갗을 태우게 됨으로 고통 및 화상이 뒤따르게 되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현재에는 쑥 관 받침을 통해 뜸이 전달되게 하는 간접 뜸이 성행하고 있는바, 종래의 뜸 시술은 쑥이 피부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시술됨으로서 쑥이 타고나면 피부에 뜨거움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쑥을 감싸고 있는 종이가 쑥이 연소될 때 함께 연소됨으로서 상기 종이의 연소에 따른 냄새가 심하여 불쾌감을 일으켜 등록실용신안 제 20-0328412호와 같은 형태의 쑥뜸이 도 1과 같이 제안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쑥뜸을 지금까지는 환부에 쑥을 직접 올려놓고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바, 종래에 따른 쑥뜸 점화방식에 있어서, 라이타나 성냥을 사용할 경우, 불꽃이 쑥뜸 크기보다 커서 점화시키기에 매우 불편하였고, 화상의 위험이 따르며, 쑥뜸의 사용은 일회용이므로 장기간 사용시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향을 이용하게 되면, 냄새가 많이 나 이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쑥뜸시술 자체보다 선향 타는 냄새가 더 고욕이고, 향이 타고 남은 재 때문에 주위가 더럽혀지며, 화재의 위험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 10-2009-0055193호에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가 도 2와 같이 제안되어 출원되었는바, 중공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충전용전지가 수용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되게 하는 충전포트;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는 뜸에 점화하는 발열부가 본체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고,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전원부의 전원이 발열부에 전달됨으로, 점화시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뜸 점화장치는 한가지의 쑥뜸 크기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쑥뜸의 재료가 다양하기 때문에 한 종류의 숙뜸에 불을 붙이는 장치로는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다. 아울러 쑥뜸기의 작동시간을 가늠하기 곤란한 경우 필요이상 과도하게 가열시킴으로서 전기가 낭비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쑥뜸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교체형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본체에 임시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형 가열수단에 인식부재를 결합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인식부재의 저장내용을 읽어들여 점화시간을 달리하여 전원을 온시킴으로서 교체형 가열수단의 점화시간을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서 쑥뜸에 과도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막고 아울러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발열코일(120)이 탑재되고, 홀(130)을 통해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교체형 가열수단(1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결합하는 중공형 결합수단(210)을 형성하며, 외측에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20)를 형성하고, 전원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램프(230)를 설치한 점화 스위칭 수단(2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300)와; 배터리(410)와, 회로기판(420) 및, 제어부(430)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420)의 일단은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발열코일(120)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전원 스위치(22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서 제어부(430)가 스위칭을 판단하여 배터리(410)의 전원을 발열코일(120)에 전달함으로서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열코일(120)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쑥뜸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공급부(400)와; 상기 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결합용 핀(510)이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500)와;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를 폐쇄하되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커버링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보호하는 뚜껑(6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발열코일(120)이 탑재되고, 홀(130)을 통해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몸체의 테두리 일단에는 식별테그(140)를 설치한 교체형 가열수단(1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결합하는 중공형 결합수단(210)을 형성하며, 외측에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20)를 형성하고, 전원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램프(230)를 설치하며, 내부 일단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식별테그(140)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24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스위칭 수단(2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300)와; 배터리(410)와, 회로기판(420) 및, 제어부(430)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420)의 일단은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발열코일(120)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전원 스위치(220)의 온 작동을 파악함과 동시에 판독부(240)에서 읽어들인 식별테그(140)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점화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점화시간만큼만 배터리(410)의 전기를 공급도록 하여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열코일(120)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쑥뜸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공급부(400)와; 상기 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결합용 핀(510)이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500)와;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를 폐쇄하되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커버링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보호하는 뚜껑(6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운모 또는 사기 또는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끼움용 돌출라인(110)이 한개 이상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수직축 기준으로 원뿔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이부(500)는, 바닥면에 충전용 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발열코일(120)은, 나선형 또는 둥근망형 또는 코일 스프링형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발열코일(120)은, 평판 철 니크롬선 또는 평판 니크롬선 또는 원형 니크롬선 또는 텅스텐 열선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410)는, 충전이 가능한 리튬전지인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쑥뜸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교체형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본체에 임시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쑥뜸 점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형 가열수단에 식별테그를 결합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인식부재의 저장내용을 읽어들여 점화시간을 달리하여 전원을 온시킴으로서 교체형 가열수단의 점화시간을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서 쑥뜸에 과도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막고 아울러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쑥뜸 구조.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쑥뜸 점화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에 교체형 가열수단을 결합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체형 가열수단에 발열코일 및 식별테그를 부착한 상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발열코일 제 1 실시예도.
도 8b는 본 발명의 발열코일 제 2 실시예도.
도 8c는 본 발명의 발열코일 제 3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0b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 제 2 실시예도.
도 10c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 제 3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의 크기가 다른 가열수단을 점화장치에 장착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에 교체형 가열수단을 결합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쑥뜸 점화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체형 가열수단에 발열코일 및 식별테그를 부착한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크게 교체형 가열수단(100)과, 점화 스위칭 수단(200)과, 몸체부(300)와, 전원공급부(400)와, 걸이부(500)와, 뚜껑(600)으로 이루어진다.
즉,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이 장착되고,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하부에는 몸체부(300)가 결합되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내부에 전원공급부(400)가 설치되고, 몸체부(300)의 하단에는 걸이부(500)가 결합되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 및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상부에 뚜껑(6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쑥뜸에 임시로 결합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칭 수단(200)을 가동시켜 전원공급부(400)의 전원이 교체형 가열수단(100)에 제공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쑥뜸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쑥뜸이 점화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면에 끼움용 돌출라인(110)이 한개 이상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상부에는 발열코일(120)이 탑재되고, 홀(130)을 통해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테두리 일단에는 식별테그(140)가 더 설치되어 교체형 가열수단의 정보를 읽어 낼 수 있도록 하며, 식별테그(140)의 종류로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기록되어 광학적 또는 전자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표식으로서, 접촉식 테그,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IC 칩, RFID 태그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에 강제 끼움 결합되며,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서 테두리면에 끼움용 돌출라인(110)을 한개 이상 수직하게 형성하고, 전체적으로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하여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점화 스위칭 수단(200)에 일단 결합하면 쉽게 빠지지 않토록 한다. 그리고, 교체형 가열수단(200)에 테두리면 일단에 식별테그(140)를 부착하는바, 상기 식별테그(140)에 점화시간을 저장하여 점화 스위칭 수단(200)이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점화시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시간만큼만 교체형 가열수단(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결합하는 중공형 결합수단(210)을 형성하며, 외측에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20)를 형성하고, 전원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램프(230)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내부 일단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식별테그(140)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24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은 상부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결합하기 위한 중공형 결합수단(210)을 더 형성하는바, 상기 중공형 결합수단(210)은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중공형 결합수단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중공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판독부(240)를 더 구비하는바, 상기 판독부(240)는 식별테그(140)의 식별코드를 읽어내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판독부(240)는 바코드 리더기, 전자태그(RFID) 리더기, IC칩 리더기, 또는 바코드 및 전자태그 겸용 리더기일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 및 전자태그 겸용 리더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0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점화 스위칭 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몸체부(300)는 교체형 가열수단(100)으로 쑥뜸을 점화시킬때 손바닥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이며, 이를 위해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미끄러지지 않토록 하기 위해 요철이나 홈 등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중공부에는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배터리(410)와, 회로기판(420) 및, 제어부(430)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420)의 일단은 발열코일(120)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내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22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서 제어부(430)가 스위칭을 판단하여 배터리(410)의 전원을 발열코일(120)에 전달함으로서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열코일(120)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됨으로서 쑥뜸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판독부(240)에서 읽어들인 식별테그(140)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점화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점화시간만큼만 배터리(410)의 전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란, 다수의 식별태그(140)들 상호간의 구분을 위해 식별태그에 기록해두는 고유정보로서, 예를 들어, 교체형 가열수단의 크기에 따른 점화시간을 미리 기록할 수 있다. 식별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경우 12-13자리의 일련번호일 수도 있고 다른 경우 5-20자리의 문자가 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걸이부(500)는 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결합용 핀(510)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만년필을 꽂는 것과 동일하게 주머니에 꽂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걸이부의 바닥면에는 충전포트를 더 형성하여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충전전기를 입력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걸이부(500)는 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하되 상의 주머니등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소지할 수 있도록 결합용 핀(51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걸이용 핀을 상의에 임시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잊어버리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며, 걸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충전포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600)은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를 폐쇄하되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커버링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뚜껑(60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서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를 폐쇄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사용시에 뚜껑(600)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400)는 충전형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3.7V ~ 7.4V의 리튬전지를 사용하고, 배터리(410)의 용량은 2200mAh 이상을 사용하며 최소방전전류는 4.2A여야 한다. 또한, 발열코일(120)의 발열저항은 2Ω ~ 20Ω을 사용하고, 발열코일을 구성하는 철니크롬선은 0.8 ~ 15를 사용한다. 또한, 발열코일(120)의 형상은 도 8a와 같은 나선형이나, 도 8b와 같은 둥근망형이나 , 도 8c와 같은 코일 스프링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상단쪽에 안쪽으로 2mm정도 홈이 있고, 홈이 있는 곳에 발열코일(120)의 일종인 니크롬선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온도가 300℃이상의 온도이상의 고온이여서 세라믹(알루미나)이나 운모 및 사기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원 스위치(22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스프링에 의해 동작하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동작하고, 띄우면 동작을 멈추는 원리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스위치를 누르면 외관으로 도출 되어있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점등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 인디케이터 램프가 소등되면 전압다운등 고장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방전된 전지는 충전을 하면 적색에서 녹색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서 식별테그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교체형 가열수단(100)만을 적용한 점화동작을 살펴보면,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스위칭하기 전에 배터리(410)의 전압을 확인하기 위해서 충전기를 충전포트에 접속하여 완충 유무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쑥뜸에 불을 붙이기 위해 뚜껑(600)을 열고,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점화스위칭 수단(200)의 중공형 결합수단(210)에 삽입시킨다. 이때, 쑥뜸의 크기에 따라 도 10a, 10b, 10c와 같이 소형과 중형 및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적절한 크기로 선택하여 삽입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11은 중형의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점화스위칭 수단(200)의 중공형 결합수단(210)에 삽입시킨 상태이다. 그런 후, 도 9와 같이 쑥뜸에 교체형 가열수단을 삽입시키며, 이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220)를 눌러서 배터리(410)의 전원이 교체형 가열수단(100)에 장착된 발열코일(1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쑥뜸에 불이 붙게 되며 불을 붙는 시간은 쑥뜸의 크기에 따라 약 2 ~ 10초가 걸린다. 뜸의 점화 상태를 확인 한후, 상단 뚜껑(600)을 끼워서 닫는다. 물론 전원 스위치(220)는 자동 또는 수동 전환 스위치로 설치하여 자동모드일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만큼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수동모드일 경우 전원 스위치(220)를 누르는 시간동안 연속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이후 전원 스위치(220)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식별테그를 적용한 경우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외측에 식별테그(140)를 부착하되, 상기 식별테그(140)는 쑥뜸의 크기에 따라 점화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즉, 예컨데 쑥뜸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 3초, 쑥뜸의 크기가 중형인 경우 6초, 쑥뜸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9초 등으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시간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최적화된 시간을 찾아 메모리하면 된다.
그리고, 쑥뜸의 크기에 맞추어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선택한 후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중공형 결합부(210)로 삽입한다.
그러면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판독부(240)에서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식별테그(140)로부터 식별코드를 읽어들여 점화시간을 파악하고, 모드 전환 스위치(25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전원 스위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 수동모드인지를 파악하며, 이때 모드 전환 스위치(250)의 스위칭모드가 자동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20)를 누르면 상기 점화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배터리 전원을 발열코일(120)로 제공하고, 만약에 모드 전환 스위치(250)의 스위칭 모드가 수동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20)를 누르는 시간동안 연속하여 배터리(410)의 전원을 발열코일(120)로 제공한다.
즉, 자동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20)를 한번 누르면 정해진 시간동안만 전원이 발열코일(120)로 공급되어 쑥뜸을 점화시키고, 수동모드일 경우 전원 스위치(220)가 눌려진 시간동안 연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원 스위치(220)를 계속 누르고 있더라도 점화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며, 이에 따라 과도하게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켜 발열코일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어린이가 전원 스위치를 연속적으로 눌러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교체형 가열수단
110: 끼움용 돌출라인
120: 발열코일
130: 홀
140: 식별테그
200: 점화 스위칭 수단
210: 중공형 결합수단
220: 전원 스위치
230: 인디케이터 램프
240: 판독부
250: 모드 전환 스위치
300: 몸체부
400: 전원공급부
410: 배터리
420: 회로기판
430: 제어부
500: 걸이부
510: 결합용 핀
600: 뚜껑

Claims (10)

  1. 삭제
  2.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발열코일(120)이 탑재되고, 홀(130)을 통해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몸체의 테두리 일단에는 식별테그(140)를 설치한 교체형 가열수단(1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결합하는 중공형 결합수단(210)을 형성하며, 외측에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20)를 형성하고, 전원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램프(230)를 설치하며, 내부 일단에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식별테그(140)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24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스위칭 수단(200)과;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300)와;
    배터리(410)와, 회로기판(420) 및, 제어부(430)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420)의 일단은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의 발열코일(120)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전원 스위치(220)의 온 작동을 파악함과 동시에 판독부(240)에서 읽어들인 식별테그(140)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점화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점화시간만큼만 배터리(410)의 전기를 공급도록 하여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열코일(120)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쑥뜸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공급부(400)와;
    상기 몸체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결합용 핀(510)이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500)와;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의 상부를 폐쇄하되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커버링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교체형 가열수단(100)을 보호하는 뚜껑(6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스위칭 수단(200)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운모 또는 사기 또는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끼움용 돌출라인(110)이 한개 이상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가열수단(100)은,
    수직축 기준으로 원뿔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00)는,
    바닥면에 충전용 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코일(120)은,
    나선형 또는 둥근망형 또는 코일 스프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코일(120)은,
    평판 철 니크롬선 또는 평판 니크롬선 또는 원형 니크롬선 또는 텅스텐 열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10)는,
    충전이 가능한 리튬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점화장치.
KR1020120025392A 2012-03-13 2012-03-13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KR10117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92A KR101171195B1 (ko) 2012-03-13 2012-03-13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92A KR101171195B1 (ko) 2012-03-13 2012-03-13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195B1 true KR101171195B1 (ko) 2012-08-10

Family

ID=4688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92A KR101171195B1 (ko) 2012-03-13 2012-03-13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268A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불꽃 신호기 점화정치
CN110368601B (zh) * 2019-08-30 2024-03-19 河南豫优医疗器械研究院有限公司 立体聚能频谱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631A (ja) 2004-09-15 2006-03-30 Minoru Kawada お灸点火装置
KR200435408Y1 (ko) 2006-09-25 2007-01-19 박기구 쑥뜸 점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631A (ja) 2004-09-15 2006-03-30 Minoru Kawada お灸点火装置
KR200435408Y1 (ko) 2006-09-25 2007-01-19 박기구 쑥뜸 점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8601B (zh) * 2019-08-30 2024-03-19 河南豫优医疗器械研究院有限公司 立体聚能频谱仪
KR20230064268A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불꽃 신호기 점화정치
KR102607318B1 (ko) 2021-11-03 2023-11-29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불꽃 신호기 점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137B2 (en) Electric heat therapy apparatus
CN201643048U (zh) 改进结构的熏香罐
EP3494949A1 (en) Intelligent moxybustion device
CN107684523A (zh) 智能艾灸仪
KR101171195B1 (ko) 교체형 가열수단을 갖는 쑥뜸 점화장치
KR20170133015A (ko) 색광 치료 기능을 구비한 뜸 치료기
CN203576896U (zh) 一种便于放置艾条的可升降式艾灸盒
KR102138569B1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CN203329025U (zh) 一种艾灸盒
CN105616149B (zh) 一种数控电热灸疗仪装置
CN202002197U (zh) 保健红外线刮痧电暖怀炉
CN210809490U (zh) 一种多点位能量脉冲热灸鞋
KR20090049107A (ko)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이용한 휴대용 온열기
CN202777041U (zh) 一种控制艾灸燃烧的装置
CN201558279U (zh) 数字化中药蜡疗机
CN204840241U (zh) 腰背部专用大艾灸盒
CN202077992U (zh) 治疗颈椎病与肩周炎的木药枕
CN209253576U (zh) 一种艾灸装置
CN201055022Y (zh) 一种可加热及热脉冲保健鞋
CN211399860U (zh) 一种艾条点燃装置
CN204972214U (zh) 腹部专用大艾灸盒
CN214259991U (zh) 一种节能型艾灸设备
CN106726529A (zh) 一种深度可控的自动电火针
CN204542845U (zh) 用于刺激穴位的艾灸装置
CN206934326U (zh) 深度可控的自动电火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