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170B1 - Grips for handle or shaft - Google Patents

Grips for handle or sh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170B1
KR101171170B1 KR1020100053134A KR20100053134A KR101171170B1 KR 101171170 B1 KR101171170 B1 KR 101171170B1 KR 1020100053134 A KR1020100053134 A KR 1020100053134A KR 20100053134 A KR20100053134 A KR 20100053134A KR 101171170 B1 KR101171170 B1 KR 10117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tubular body
wall surface
covering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3648A (en
Inventor
킴 스캇
Original Assignee
킴 스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 스캇 filed Critical 킴 스캇
Priority to KR102010005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17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6Caps; Ferrule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립은 샤프트에 끼워지는 관상체와, 관강체 표면의 피복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관상체는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병목형 소외경구간을 포함하며, 피복부재의 일부가 그 구간상에 배치되고 스커트부에 의하여 압착된다. 본 발명의 그립에 의하면, 피복부재가 관상체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될 염려가 거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커트부는 상기 소외경구간에 위치하여 그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그립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rips for handles or shafts.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fitted to the shaft and a covering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In particular, the tubular body includes a bottleneck type alienated diameter section formed at one end, and a portion of the coa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ection and pressed by the skirt portion. According to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little effect that the coating member is unlikely to be separated or peeled from the tubular body. In addition, the skirt portion is locat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does not protrude from the grip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ip can be used in a soft and comfortable feeling.

Description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Grips for handle or shaft}Grips for handle or shaft}

본 발명은 주로 스포츠 용품의 핸들이나 샤프트 등에 적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mainly relates to the grip applied to a handle | steering wheel, a shaft, etc. of a sports goods.

스포츠 용품의 핸들이나 샤프트에는 소위 그립이 사용되는데, 상기 그립은 전통적으로 샤프트를 나선형으로 감아 사용하는 형태의 스트립 그립과 샤프트를 끼워 감싸지도록 하는 형태의 관상(管狀) 그립으로 구분된다.
So-called grips are used for handles or shafts of sporting goods, which are conventionally divided into strip grips that spirally wrap the shafts and tubular grips that enclose the shafts.

전자는 직물 또는 가죽으로 된 그립으로서, 땀이나 수분을 잘 흡수하며 손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금속성 재료와의 접합력은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한편, 후자는 사출성형 제작이 가능한 고무(rubber)로 된 그립으로서, 다른 금속성 재료에 잘 접합되는 장점이 있지만,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며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장점들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그립이 요구되는 것이다.
The former is a fabric or leather grip, which has the advantage of absorbing sweat and moisture well and preventing the palm from slipping, but the bonding strength with other metallic materials is very weak.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an injection-molded rubber (rubber) grip, which has the advantage of bonding well to other metallic materials, but does not absorb moisture and has the disadvantage of sliding the palm. Thus, a grip for effectively exhibiting the above advantage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84792호에는 관상체와 미끄럼방지용 표피체를 포함한 그립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특허에 개시된 그립(1)은 샤프트(S)의 단부가 끼워지는 관상체(2)와, 상기 관상체(2)의 표면을 둘러싸는 표피체(3)와, 상기 관상체(2)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경질(硬質) 캡(4)을 포함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84792 discloses a grip including a tubular body and an antislip skin. Referring to FIG. 1, the grip 1 disclosed in the patent includes a tubular body 2 into which an end of a shaft S is fitted, a skin body 3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2, and And a hard cap 4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2.

구체적으로, 상기 관상체(2)는 개방된 형태의 제1단부(5)와 상기 제1단부(5)에 대향하는 폐쇄형 제2단부(6) 및 상기 양 단부(5,6) 간에 연장된 벽면(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피체(3)는 관상체(2)의 벽면(7)에 접착제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캡(4)은 제2단부(6)에 체결되며, 이때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부(8)가 상기 표피체(3)의 끝 부분을 커버하게 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tubular body 2 extends between the open first end 5 and the closed second end 6 opposite the first end 5 and both ends 5, 6. It consists of a wall (7), which is bonded to the wall (7) of the tubular body (2)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cap 4 is fastened to the second end 6, and the skirt 8 formed at the edge of the cap 4 covers the end of the skin 3.

이 그립(1)은 단일 재료로 된 전통적인 방식의 그립에 비하여, 금속재 샤프트에 잘 접합되는 동시에 손바닥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 반면에, 캡(4)이 별도로 제공되고 조립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 캡(4)이 외부에 노출되어 파손되기 쉬운 문제 등이 있다.
This grip 1 has the advantage of being well bonded to the metallic shaft and preventing palm slipp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rip of a single material. On the other hand, as the cap 4 is provided and assembl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blem that the cap 4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asily breaks.

미국특허 제6,449,803호에는 위 특허와 마찬가지로 제1단부와 제2단부 및 벽면 등으로 이루어진 관상체와, 상기 관상체 벽면을 감아 그립의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체를 포함한 그립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여기에서의 관상체는 제2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따라서 이 그립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캡(4) 부재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다. 당연하게 이 그립에서, 별도의 캡 부재에 의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US Pat. No. 6,449,803 discloses a grip including a tubular body consisting of a first end, a second end, and a wall, as in the above patent, and an epidermis wound around the tubular wall to form a surface of the grip. In particular, the tubular body here comprises a skirt portion integrally molded at the second end, so that the grip 4 member as in FIG. 1 is not provided separately. Naturally, in this grip, there is no problem with a separate cap member.

이상 개시된 그립들이 전통적인 방식의 그립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특성은 사실, 그립을 내측 관상체와 외측 표피체로 이루어진 2-피스(piece) 구조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It is true that the grips disclosed above have superior properties compared to grips of the traditional manner. This property is in fact obtained by making the grip a two-piece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ner tubular body and an outer skin.

그렇다면 표피체가 관상체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되는 것에 대한 충분한 인식 및 대책이 필요한데, 개시된 그립들에는 기껏해야 캡 또는 제2단부에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실질적인 대책이 없다. 더구나 상기 스커트부는 그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주게 된다.
If so, sufficient awareness and measures are required for the epidermis to be separated or peeled off from the tubular body. The disclosed grips at most have a skirt at the cap or the second end but no further substantial measures. Moreover, since the skirt portion projects from the grip surface, it puts an unnecessary burden on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그립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실제로는 상기 미국특허 제6,449,803호에 대한 개량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rips and is actually an improvement on the above-mentioned US Pat. No. 6,449,803.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 관상체와 외측 표피체로 이루어진 2-피스(piece) 구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표피체가 관상체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되는 것에 대한 충분한 대책을 갖는 그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커트부를 구비하되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처리된 그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having sufficient measures against separation or detachment of the epidermis from the tubular body, based on a two-piece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ner tubular body and an outer epidermal bod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 that is provided with a skirt but is treated to avoid unnecessary burden on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그립은:The gr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개방된 홀을 갖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에 대향하는 폐쇄형 제2단부 및 상기 양 단부 간에 연장된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벽면의 제2단부측에는 단턱에 의하여 구분된 병목형 소외경구간이 형성된 관상체와;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open hole, a closed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a wall surface extending between the both ends, and a bottleneck-type marginal diameter section separated by a step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wall; A tubular body formed;

상기 관상체 벽면의 표면에 접합되며, 일측 끝 부분이 상기 소외경구간에 배치되는 피복부재와;A coating member bonded to a surface of the tubular body wall and having one end portion dispos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상기 관상체 제2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단턱까지 연장되어, 상기 피복부재의 소구경구간에 배치된 부분을 덮어 압착하는 스커트부;A skirt portion that is bent backward from the edge of the tubular second end and extends to the stepped portion to cover and compress a portion disposed in a small diameter section of the coating member;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돌출 스토퍼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재는 양 스토퍼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상체 벽면에 접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 스토퍼와 제2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절곡 편의를 위한 홈이 형성된다.
Preferably, protruding stoppers are correspondingly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wall surface, and the covering member extends between both stoppers and is joined to the tubular wall surface. More preferably, a groove for biasing the skir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stopper and the second end portion.

상기 피복부재는 벽면을 덮는 평면형 부재 또는 벽면을 나선형으로 감는 스트립 부재일 수 있다.
The covering member may be a planar member covering the wall surface or a strip member spirally wound around the wall surface.

일 예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가 벽면 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피복부재는 양측 모서리 간을 결합시키는 끈 또는 실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가 벽면상에서 서로 접촉하거나 겹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는 피복부재의 양측 모서리가 안착되는 홈을 포함한다.
As an example, the planar cladding member has corresponding both edges contacting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and preferably, the cladding member includes a string or thread for joining the two edges together. As another example, the planar cover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ll without contact or overlap with each other. Preferably, the wall includes grooves on which both edges of the covering member are seated.

본 발명의 그립은 요컨대 관상체 벽면의 제2단부측 단턱을 경계로 형성된 소외경구간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피복부재의 끝 부분 및 압착 스커트부를 차례로 배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In short,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coating member and a crimped skirt por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thereon, based on a marginal diameter section formed on the second end side step of the tubular wall.

그리하여 본 발명의 그립은, 종래의 그립에 비하여:Thus,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rip:

첫째, 피복부재의 일측 끝 부분이 우선 단턱 및 소외경구간에 걸쳐지고 그 다음 스커트부에 의하여 압착되므로, 피복부재가 관상체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될 염려가 거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one end portion of the covering member is first spread over the step and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and then compressed by the skirt portion, there is little effect that the covering member may be separated or peeled off from the tubular body.

둘째, 스커트부는 상기 소외경구간에 위치하여 그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그립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skirt portion is locat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does not protrude from the grip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ip can be used in a soft and comfortable feeling.

도 1은 종래 그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외형도.
도 3은 도 2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그립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외형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grip.
2 is an externa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rip of FIG.
5 is an externa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terna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각 실시예에 개시된 그립은 골프클럽 샤프트용으로 설계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그립이 그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or not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grip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is designed for a golf club shaft. However,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은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10)은 샤프트(S)에 끼워지는 관상체(管狀體)(11)와 상기 관상체(11)의 표면에 접합되는 피복부재(12) 및 상기 관상체(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4, the gr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0. As shown, the grip 10 includes a tubular body 11 fitted to the shaft S and a covering member 12 and the tubular body 11 joined to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kirt portion 13 formed integrally at one end of the.

상기 관상체(11)는 샤프트(S)의 외주에 끼워 사용되는 긴 통 모양의 슬리브(sleeve)로서, 개방된 홀(15)을 갖는 제1단부(14)와 상기 제1단부(14)에 대향하는 폐쇄형 제2단부(16) 및 상기 양 단부(14,16) 간에 연장된 벽면(17)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벽면(17)의 제2단부(16) 측에는 단턱(18)에 의하여 구분된 병목(bottle neck)형 소외경구간(19)이 형성된다. 상기 소외경구간(19)이 병목이라면, 단턱(18)은 어깨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tubular body 11 is an elongated cylindrical sleeve used to fi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S, and has a first end portion 14 having an open hole 15 and a first end portion 14. An opposing closed second end 16 and a wall surface 17 extending between the ends 14, 16. In particular, a bottle neck typ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is formed on the second end 16 side of the wall 17 separated by the step 18. If the marginal margin 19 is a bottleneck, the step 18 may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shoulder.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17)의 제1단부(14) 및 제2단부(16)에 인접한 위치에는 돌출 스토퍼(20,21)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재(12)는 양 스토퍼(20,21) 사이에서 연장된다. 즉, 양 스토퍼(20,21)는 피복부재(12)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한정적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돌출 스토퍼(21)와 제2단부(16) 사이에는 상기 스커트부(13)의 절곡 편의를 위한 홈(22)이 형성된다.
Preferably, protruding stoppers 20 and 21 are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first end 14 and the second end 16 of the wall surface 17, and the covering member 12 is formed of both stoppers 20, 21). In other words, both stoppers 20 and 21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covering member 12 can be placed. In addition, a groove 22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stopper 21 and the second end portion 16 for the convenience of bending the skirt portion 13.

상기 관상체(11)는 고무, 열경화성 수지,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상체(11)는 샤프트(S)의 끝단이 제1단부(14)의 홀(15)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장착되며, 이때 샤프트(S)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관상체(11)가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
The tubular body 11 may be manufactured by integrally molding a rubber, a thermosetting resin, a plastic, or the like as a material. In addition, the tubular body 11 is mounted by allowing the end of the shaft S to pass through the hole 15 of the first end 14, and at this time, the tubular body 11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S. Can be firmly fixed.

상기 피복부재(12)는 관상체(11) 벽면(17)의 표면에 접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부재(12)는 벽면(17) 상의 양 스토퍼(20,21)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때 상측 끝 부분(23)이 관상체(11)의 단턱(18)을 지나 상기 소외경구간(19)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피복부재(12)의 분리에 의한 유동 및 상측 모서리 부분의 박리를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The covering member 12 is joined to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1 wall surface 17. As described above, the covering member 12 extends between both stoppers 20 and 21 on the wall surface 17,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23 passes the step 18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marginal diameter. It is arranged in the section 19. This arrangement structure is very useful for preventing the peeling of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flow by separation of the covering member 12.

상기 피복부재(12)는 가죽, 직물 등을 재료로 하여 제작된 시트이며, 양면 테이프나 다른 접착 재료를 이용하여 관상체(11) 벽면(17)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재(12)는 벽면(17)을 덮는 평면형 시트부재 또는 벽면(17)을 나선형으로 감는 스트립 부재일 수 있다.
The covering member 12 is a sheet made of leather, fabric, or the like, and may be adhered to the wall surface 17 of the tubular body 11 using a double-sided tape or other adhesive material. In addition, the covering member 12 may be a flat sheet member covering the wall 17 or a strip member spirally wound around the wall 17.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복부재(12)는 평면형 시트부재이며, 서로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24a,24b)가 벽면(17) 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예컨대 평면형 시트의 모서리(24a,24b)가 노출되면, 벽면(17)으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복부재(12)는 양측 모서리(24a,24b) 간을 결합시키는 조임 끈 또는 재봉 실(25)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ing member 12 is a flat sheet member, and both edges 24a and 24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not exposed to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17. For example, when the edges 24a and 24b of the planar sheet are exposed, the phenomenon of separation or peeling from the wall surface 17 easily occurs. Preferably, the covering member 12 includes a fastening string or a sewing thread 25 for coupling the two edges 24a and 24b.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커트부(13)는 상기 관상체(11) 제2단부(16)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고 단턱(18)까지 연장되어, 상기 피복부재(12)의 소구경구간(19)에 배치된 부분(23)을 덮어 압착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kirt portion 13 is bent backward from the edge of the tubular body 11, the second end portion 16, and extends up to the step 18, so that a small diameter section of the covering member 12 is provided. The portion 23 disposed at 19 is covered and pressed.

도 4를 참조하면, 실제로 이 구성은 고무를 소재로 하여 상기 관상체(11)와 일체로 그리고 일렬로 성형된 스커트부(13)를 강제로 뒤로 돌려서(화살표 참조), 소구경구간(19)과 동축적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스토퍼(21)와 제2단부(16) 사이에는 환형의 홈(22)이 형성되는데, 만약 상기 홈(22)이 없는 경우라면 스커트부(13)의 절곡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곡 부위가 흉하게 돌출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in practice, this configuration is made of rubber material by forcibly turning back the skirt 13 formed integrally and in series with the tubular body 11 (see arrow), so that the small diameter section 19 And coaxially overlap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n annular groove 22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stopper 21 and the second end 16. If the groove 22 is not present, bending of the skirt 13 may be very difficult. In addition, the bent areas will protrude viol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부재(12)의 상측 끝 부분(23)이 우선 단턱(18) 및 소외경구간(19)에 걸쳐지고 그 다음 스커트부(13)에 의하여 압착되므로, 피복부재(12)가 관상체(11)로부터 분리 또는 박리될 염려가 거의 없다. 또한, 스커트부(13)는 상기 소외경구간(19)에 위치하여 그립(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그립(10)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upper end 23 of the covering member 12 is first spread over the step 18 and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and then pressed by the skirt portion 13, thereby covering the covering member 12. There is almost no fear of separation or separation from the tubular body 11. In addition, since the skirt portion 13 is locat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does not protrude from the grip 10 surface, the user can use the grip 10 in a soft and comfortable feeling.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은 부호 30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30)은 샤프트에 끼워지는 관상체(11)와 상기 관상체(11)의 표면에 접합되는 피복부재(31) 및 상기 관상체(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gr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30. As shown, the grip 3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1 fitted to the shaft, the cover member 31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tubular body 11. The skirt part 13 is comprised.

여기에서의 관상체(11)와 스커트부(13)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해의 편의상, 상기 스커트부(13)가 도 4에서와 같이 관상체(11)와 일렬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뒤로 돌려져 소외경구간(19)에 위치하게 되는 피복부재 부분(32)을 압착하게 될 것이다.
Since the tubular body 11 and the skirt portion 13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skirt portion 13 is formed in line with the tubular body 11 as shown in FIG. 4, but the cover member portion 32 which is similarly turned back to be locat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Will be squee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복부재(31)는 벽면(17)을 나선형으로 감는 스트립 부재이다. 피복부재(31)는 연속하여 감기는 스트립 부재의 압박에 의하여 분리 또는 박리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피복부재(31)는 벽면(17) 상의 양 스토퍼(20,21)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때 상측 끝 부분(32)이 관상체(11)의 단턱(18)을 지나 상기 소외경구간(19)에 배치된다. 따라서 피복부재(31)의 안정성 및 그립(30)의 편안감은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10)과 비교하여 불리하지 않다.
In this embodiment, the covering member 31 is a strip member which spirally winds up the wall surface 17. The covering member 31 is not separated or peeled off by the pressing of the strip member which is wound continuously. Even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extends between both stoppers 20 and 21 on the wall surface 17,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32 passes through the step 18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is disposed.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covering member 31 and the comfort of the grip 30 are not disadvantageous compared with the grip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3실시예>
Third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립은 부호 40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40)은 샤프트에 끼워지는 관상체(11)와 상기 관상체(11)의 표면에 접합되는 피복부재(41) 및 상기 관상체(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6, the gri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4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rip 4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1 fitted to the shaft, the cover member 41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tubular body 11. The skirt part 13 is comprised.

여기에서의 관상체(11)와 스커트부(13)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실시예의 관상체(11)에 대하여, 벽면(17)의 표면에 피복부재(41)를 위한 안착홈(42)이 더 형성된 차이가 있으나, 굳이 다른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해의 편의상, 상기 스커트부(13)가 도 4에서와 같이 관상체(11)와 일렬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뒤로 돌려져 소외경구간(19)에 위치하게 되는 피복부재 부분(42)을 압착하게 될 것이다.
Since the tubular body 11 and the skirt portion 13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with respect to the tubular body 11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mounting groove 42 for the covering member 41 is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7, but does not use any other referenc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skirt portion 13 is formed in line with the tubular body 11 as shown in FIG. 4, but the cover member portion 42 which is similarly turned back to be locat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Will be squee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복부재(41)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43a,43b)가 벽면(17)상에서 서로 접촉하거나 겹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평면형 부재이다. 상기 벽체(17)는 피복부재(41)의 양측 모서리가 안착되는 홈(42)을 갖는다. 이는 피복부재(41)의 모서리가 벽면(1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42)에 피복부재(41)가 전체로 안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ing member 41 is a planar member in which corresponding both edges 43a and 43b ar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or overlapping each other on the wall surface 17. The wall 17 has a groove 42 on which both edges of the covering member 41 are seated. This is to prevent the edge of the covering member 41 from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7. Preferably, the covering member 41 is entirely seated in the groove 42.

이 경우에도 피복부재(41)는 벽면(17) 상의 양 스토퍼(20,21)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때 피복부재(41)의 상측 끝 부분(42)이 관상체(11)의 단턱(18)을 지나 상기 소외경구간(19)에 배치된다. 따라서 피복부재(41)의 안정성 및 그립(40)의 편안감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10)과 비교하여 불리하지 않다.
Even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41 extends between both stoppers 20 and 21 on the wall surface 17,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42 of the covering member 41 is the stepped portion 18 of the tubular body 11. It is dispos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19 passing through.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covering member 41 and the comfort of the grip 40 are not disadvantageous as compared with the grip 1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상기 피복부재(41)가 그립(40)의 상면과 하면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한다거나 재료가 덜 소비된다는 측면에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10,30)에 비하여, 사용상 또는 제작상 유리한 면도 있다.
Compared to the grips 10 and 3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covering member 41 provides a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rip 40 or consumes less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ous aspect in use or production.

10,30,40. 그립 11. 관상체
12,31,41. 피복부재 13. 스커트부
14. 제1단부 16. 제2단부
17. 벽면 18. 단턱
19. 소외경구간 20,21. 스트퍼
22. 홈 24a,24b. 모서리
10,30,40. Grip 11. Coronary Body
12,31,41. Cover member 13. Skirt
14. First end 16. Second end
17. Wall 18. Step
19. Neglected Segment 20,21. Stripper
22. Grooves 24a, 24b. edge

Claims (9)

개방된 홀을 갖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에 대향하는 폐쇄형 제2단부 및 상기 양 단부 간에 연장된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벽면의 제2단부측에는 단턱에 의하여 구분된 병목형 소외경구간이 형성된 관상체와;
상기 벽면을 덮는 평면형 피복부재 또는 벽면을 나선형으로 감는 스트립 피복부재로서, 상기 관상체 벽면의 표면에 접합되며, 일측 끝 부분이 상기 소외경구간에 배치되는 피복부재와;
상기 관상체 제2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단턱까지 연장되어, 상기 피복부재의 소구경구간에 배치된 부분을 덮어 압착하는 스커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open hole, a closed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and a wall surface extending between the both ends, and a bottleneck-type marginal diameter section separated by a step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wall; A tubular body formed;
A planar covering member covering the wall surface or a strip covering member spirally wound around the wall surface, the cover member being joined to th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wall and having one end portion disposed in the marginal diameter section;
A skirt portion that is bent backward from the edge of the tubular second end and extends to the stepped portion to cover and compress a portion disposed in a small diameter section of the coating member;
Grip for a handle or shaf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돌출 스토퍼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재는 양 스토퍼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상체 벽면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truding stopper correspondingly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wall surface, wherein the covering member extends between both stoppers and is joined to the tubular wall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와 돌출 스토퍼 사이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절곡 편의를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2,
A grip for a handle or a shaft,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for bending the skir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protruding stopp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가 벽면 상에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planar cladd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opposite edges contact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양측 모서리 간을 결합시키는 끈 또는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nar cladding member is a grip for a handle or a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ing or thread for coupling between the two edg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가 벽면상에서 서로 접촉하거나 겹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nar cladding member is a grip for a handle or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both edges ar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 or overlap with each other on the wall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평면형 피복부재의 양측 모서리가 안착되는 홈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ll grips for a handle or a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 on which both edges of the planar covering member is se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피복부재는 상기 홈에 전체로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또는 샤프트용 그립.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planar covering member rests entirely in said groove.
KR1020100053134A 2010-06-07 2010-06-07 Grips for handle or shaft KR101171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34A KR101171170B1 (en) 2010-06-07 2010-06-07 Grips for handle or sh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34A KR101171170B1 (en) 2010-06-07 2010-06-07 Grips for handle or sha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648A KR20110133648A (en) 2011-12-14
KR101171170B1 true KR101171170B1 (en) 2012-08-06

Family

ID=4550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134A KR101171170B1 (en) 2010-06-07 2010-06-07 Grips for handle or sha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1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9803B1 (en) 1998-07-01 2002-09-17 The Grip Master Company Pty. Ltd. Grip for a handle or shaft
KR200410195Y1 (en) 2005-12-09 2006-03-07 이상현 Golf grip having changeable weight
US20080172839A1 (en) 2007-01-19 2008-07-24 High Cedar Enterprise Co., Ltd. Grip sleeve for sports g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9803B1 (en) 1998-07-01 2002-09-17 The Grip Master Company Pty. Ltd. Grip for a handle or shaft
KR200410195Y1 (en) 2005-12-09 2006-03-07 이상현 Golf grip having changeable weight
US20080172839A1 (en) 2007-01-19 2008-07-24 High Cedar Enterprise Co., Ltd. Grip sleeve for sports 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648A (en)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346B1 (en) Grip sleeve for golf club shaft
CA2219251C (en) Soft grip handle
US20030139223A1 (en) Wrap style hand grip
US20070287551A1 (en) Hand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029646A1 (en) Golf club grip with a hem structure
GB2422323A (en) Golf club grip
US20080172839A1 (en) Grip sleeve for sports gear
US20180215506A1 (en) Bottle with open loop handle
US20070173343A1 (en) Silicone grips for golf club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658596B2 (en) Mini pump&#39;s nozzle device and handheld portion made of dual material with different hardnesses
US20100263168A1 (en) Gripping structure with an auxiliary handle of a bicycle
KR101171170B1 (en) Grips for handle or shaft
US10653923B2 (en) Channelless basketb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118492B2 (en) Structure of a handle sleeve of a golf club
KR200414548Y1 (en) Permanent wave instrument for eyelashes
JPS61132463A (en) Steering wheel
US20030042726A1 (en) Ski pole grip assembly having changeable hand grip
KR101683370B1 (en) A handle cover for automobile
JP4831766B2 (en) Fishing gear
EP2075184A2 (en) Handlebar tape
KR200381743Y1 (en) Scrubber with knob
CA2728839C (en) Artificial nail se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CN209757237U (en) novel D-shaped lining of steering wheel sleeve
KR100533319B1 (en) Transparent grip for golf club and racket
US20060068930A1 (en) Compound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