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021B1 -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 Google Patents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021B1
KR101171021B1 KR1020110106006A KR20110106006A KR101171021B1 KR 101171021 B1 KR101171021 B1 KR 101171021B1 KR 1020110106006 A KR1020110106006 A KR 1020110106006A KR 20110106006 A KR20110106006 A KR 20110106006A KR 101171021 B1 KR101171021 B1 KR 10117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hanger
tension
fram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섭
이용선
정동진
강신정
김국헌
곽성환
최상훈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신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신명섭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1010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09F2017/0058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holding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비나 바람 등에 의하여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에 나타나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구겨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여 홍보나 광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있어서, 한 쌍의 걸이봉과; 걸이봉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걸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걸이봉에 형성되는 고리와; 걸이봉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말단에 프레임삽입부가 형성된 현수막과; 프레임삽입부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 및 프레임삽입부를 감싸도록 현수막에 부착되고, 고리에 대응되어 걸림되며, 탄성을 갖는 걸림밴드; 를 포함하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KEEP TENSION BANNER HANGER}
본 발명은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비나 바람 등에 의하여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에 나타나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구겨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여 홍보나 광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걸이대는 많은 사람이 왕래하거나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로변 등에 설치하여 도로점유공사, 마라톤대회나 자전거대회, 집회 등과 같은 각종 행사로 인한 도로교통 통제안내 홍보나 각종 회사, 상품 등의 광고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옥외 안내광고물의 하나이다.
이러한 현수막 걸이대는,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양측에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 사이에 끈 등을 이용하여 광고문구가 표시된 현수막을 묶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특히, 현수막 중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들의 시야에 잘 보일 수 있도록 세로형 현수막, 즉 위에서 아래로 거는 내려걸기 방식을 사용하는 현수막의 경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2010-0010526호 "배너걸이대"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가로등이나 교통신호등과 같은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에 현수막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한 쌍의 걸이봉을 설치하고, 현수막의 상부와 하부를 걸이봉에 걸어서 고정하게 되며, 현수막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현수막의 가로방향 폭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이 마련되어 비나 바람 등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로형 현수막의 경우 현수막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이 가로대에 걸려있는 상태로써,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비나 바람이 심하게 불어 현수막이 걸이봉에서 분리되어 펄럭이거나, 현수막이 견디지 못하고 기둥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람에 날아가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특히 지지프레임이 분리되어 안전사고의 위험과 함께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걸이대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비나 바람 등에 의하여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수막에 나타나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구겨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여 홍보나 광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있어서, 한 쌍의 걸이봉과; 걸이봉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걸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걸이봉에 형성되는 고리와; 걸이봉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말단에 프레임삽입부가 형성된 현수막과; 프레임삽입부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 및 프레임삽입부를 감싸도록 현수막에 부착되고, 고리에 대응되어 걸림되며, 탄성을 갖는 걸림밴드; 를 포함하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한다.
고리는, 걸이봉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고정브래킷의 반대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리는 걸림밴드가 선택적으로 걸림되거나 이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수막은, 플렉스(Flex), 타폴린(Tarpaulin) 중 어느 하나의 시트 또는 둘 이 합쳐진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수막은 세로형 현수막이고, 프레임삽입부는, 현수막의 상측말단과 하측말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에 의하면, 강한 비나 바람 등에 의하여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수막에 나타나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구겨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여 홍보나 광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의 일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는 내려걸기, 즉 세로형의 현수막을 걸게 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의 일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는 크게 걸이봉(10)과 고정브래킷(20), 고리(30), 현수막(40), 지지프레임(50) 및 걸림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이봉(10)은 하기에 서술하는 현수막(4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써, 양측말단에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보호캡(12)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 비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현수막(40)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걸이봉(10)이 현수막(4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을 사용하게 된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비나 바람이 거의 없는 실내 등과 같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현수막(4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걸이봉(1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브래킷(20)은 걸이봉(10)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가로등이나 신호등, 전신주, 가로수 등과 같은 기둥(도 4의 P)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고정브래킷(20)에는 장착홀(22)이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홀(22)에 기둥(P)을 감쌀 수 있도록 지름 조절이 가능한 밴드 클램프(C)가 끼워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기둥(P)에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고리(30)는 걸이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걸이봉(1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며, 하기에 서술하는 걸림밴드(60)가 선택적으로 걸림되거나 이탈되도록 개폐부(32)가 형성된다. 고리(30)는 전체적으로 폐곡선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폐곡선 형상 중 일부를 이루는 개폐부(32)는 작업자의 손 등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고리(30)의 중심측을 향해 회동, 즉 개방되어 걸림밴드(60)를 걸 수 있게 되고,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되면 폐쇄, 즉 다시 폐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리(30)는 개폐부(32)가 고리(30)의 중심측을 향해 회동동작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경우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지만, 고리(30)에 걸림되어 있는 걸림밴드(60)가 비나 바람의 영향에 의해 유동하더라도 고리(30)에서 쉽게 이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강한 비나 바람 등에 의하여 현수막(40)이 걸이봉(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 현수막(40)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능률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고리(30)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고리(30)의 개수는 현수막(40)의 크기나 무게 등에 따라 2개나 4개 등으로 가감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고리(30)는 현수막(40)이 걸림되면 현수막(40)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걸이봉(10)에 고강도로 접합되어야 한다. 이에, 고리(30)를 걸이봉(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고정브래킷(20)의 반대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걸림밴드(60)를 고리(30)에 걸거나 이탈시키는데 방해되지 않는 정도, 예를 들어 고리(30) 전체 형상의 약 1/8 ~ 1/5 정도가 걸이봉(10)에 용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현수막(40)은 걸이봉(10) 사이에 배치되어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해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나타나는 구성요소이다. 현수막(40)은 삼각, 사각,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내려걸기, 즉 세로형의 현수막(40)을 걸게 되며, 이에 따라 현수막(40)의 양측말단, 즉 상측말단과 하측말단에 프레임삽입부(42)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삽입부(42)는 현수막(40)의 양측말단이 접힌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재봉되는 재봉선(44)에 의해 형성되나, 이 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현수막(40)은 배너후렉스나 파나후렉스라고 불리우는 플렉스(Flex), 특히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소재로 만든 원단에 PVC 코팅을 한 배너플렉스(Banner Flex) 소재의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방수천의 일종인 타폴린(Tarpaulin) 소재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 플렉스와 타폴린이 하나로 합쳐진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소재의 시트는 풍압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각종 오염물질이나 자외선 등에 의한 변색이 거의 없어서 비교적 장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고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프레임(50)은 전술한 현수막(40)의 프레임삽입부(42)에 삽입되어 현수막(40)이 활짝 펼쳐지도록 지지하여 현수막(40)에 나타나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한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이 구겨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홍보나 광고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지지프레임(50)은 현수막(40)의 폭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현수막(40)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는 것이 좋다. 지지프레임(50)의 양측말단에는 걸이봉(10)과 마찬가지로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보호캡이 장착되어 프레임삽입부(42)에 삽입될 때 현수막(40)을 찢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밴드(60)는 프레임삽입부(42)를 감싸도록 현수막(40)에 부착되고, 고리(30)에 대응되어 걸림되거나 이탈되는 구성요소이다. 걸림밴드(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 비나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늘어났다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현수막(40)이 걸이봉(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걸림밴드(60)가 단순히 걸이봉(10)의 고리(30)에 현수막(40)을 걸도록 하는 역할 외에 지지프레임(50)이 현수막(4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밴드(60)는 고무 소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고무 소재는 햇빛에 계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부식되어 끊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천 재질 등으로 외면을 감싼 형태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바람이 어느 정도로 부는지에 따라 풍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갖는 걸림밴드(6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걸이봉(10)과 고정브래킷(20), 고리(30), 그리고 지지프레임(50)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이나 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유리섬유 등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현수막(40)의 크기나 무게,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상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그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이봉(10)과 지지프레임(50)은 하나의 봉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의 설치나 해체, 운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현수막(40)의 길이나 크기, 무게 등을 감안하여 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봉체를 차량의 안테나 등과 같이 복수의 단위체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단위체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걸이봉(10)과 지지프레임(50)은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외에 단면이 사각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걸이봉(10) 중 하나를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기둥(P), 예를 들어 가로등이나 신호등, 전신주, 가로수 등의 소정 높이에 위치시킨 후 고정브래킷(20)의 장착홀(22)을 통해 밴드 클램프(C)를 끼우고 기둥(P)을 감싸 고정함으로써 걸이봉(10)을 기둥(P)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브래킷(20)은 기둥(P)과 접하게 되는 면이 기둥과 밀접하게 접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기둥(P)의 단면이 원형의 형상일 경우 기둥(P)에 접하는 고정브래킷(20)의 단면을 곡률을 갖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가 기둥(P)에 좀 더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수막(40)을 걸이봉(10)에 걸게 된다. 이는 현수막(40)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밴드(60)를 걸이봉(10)의 고리(30)에 걸어줌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렇게 현수막(40)을 걸고나서 프레임삽입부(42)에 지지프레임(50)을 삽입한다. 이때,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지지프레임(50)을 프레임삽입부(42)에 먼저 삽입한 후 걸림밴드(60)를 걸이봉(10)의 고리에 걸 수도 있다.
현수막(40)의 상측에 부착된 걸림밴드(60)가 걸이봉(10)에 걸리게 되면 현수막(40)이 위에서 아래로 늘어뜨려지게 되며, 이렇게 아래로 늘어뜨려진 현수막(40)의 하측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밴드(60)의 위치에 따라 걸이봉(10) 중 다른 하나를 기둥(P)의 소정 높이에 위치시켜 밴드 클램프(C)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고리(30)에 걸림밴드(60)를 걸어주면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는 홍보나 광고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40)에 강한 비나 바람이 불어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밴드(60)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걸림밴드(60)는 프레임삽입부(42)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밴드(60)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팽팽해지면서 프레임삽입부(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프레임(50)을 압박하게 된다. 이에, 비나 바람에 의해 현수막(40)이 흔들리더라도 지지프레임(50)이 프레임삽입부(42)에서 쉽게 이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걸이봉 12: 보호캡
20: 고정브래킷 22: 장착홀
30: 고리 32: 개폐부
40: 현수막 42: 프레임삽입부
44: 재봉선 50: 지지프레임
60: 걸림밴드 100: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C: 밴드 클램프 P: 기둥

Claims (5)

  1.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에 있어서,
    한 쌍의 걸이봉(10)과;
    상기 걸이봉(10)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20)과;
    상기 걸이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떨어져 상기 걸이봉(10)에 형성되되, 상기 걸이봉(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브래킷(2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고리(30)와;
    상기 걸이봉(10)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말단과 하측말단에 프레임삽입부(42)가 형성된 세로형 현수막(40)과;
    상기 프레임삽입부(42)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50); 및
    상기 프레임삽입부(42)를 감싸도록 상기 현수막(40)에 부착되고, 상기 고리(30)에 대응되어 걸림되며, 탄성을 갖는 걸림밴드(60); 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30)는,
    상기 걸림밴드(60)가 선택적으로 걸림되거나 이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밴드(60)는,
    상기 현수막(40)이 비나 바람에 의해 팽팽하게 펼쳐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삽입부(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을 압박하도록 늘어나 상기 지지프레임(50)이 상기 프레임삽입부(4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40)은,
    플렉스(Flex), 타폴린(Tarpaulin) 중 어느 하나의 시트 또는 둘이 합쳐진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100).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6006A 2011-10-17 2011-10-17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KR10117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06A KR101171021B1 (ko) 2011-10-17 2011-10-17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06A KR101171021B1 (ko) 2011-10-17 2011-10-17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021B1 true KR101171021B1 (ko) 2012-08-08

Family

ID=4688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06A KR101171021B1 (ko) 2011-10-17 2011-10-17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0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26B1 (ko) * 2001-06-14 2003-09-13 방진철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JP2009048001A (ja) * 2007-08-21 2009-03-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シート体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26B1 (ko) * 2001-06-14 2003-09-13 방진철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JP2009048001A (ja) * 2007-08-21 2009-03-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シート体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314B2 (en) Outdoor advertising system
US8327565B2 (en) Fence wrapping assembly and a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US5694733A (en) Flag/banner display system
KR200448480Y1 (ko) 현수막 걸이대
KR200404124Y1 (ko) 현수막 세로 게시대
KR101171021B1 (ko) 장력유지형 안내현수막 걸이대
US2961787A (en) Banner mounting construction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43240Y1 (ko) 현수막 거치대
US11862044B1 (en) Flag display apparatus
US20060207494A1 (en) Staff-mounted banner
KR100805725B1 (ko) 깃발 게양대
US20180310491A1 (en) Crop Protection System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382057Y1 (ko) 현수막게시장치
KR100878582B1 (ko) 현수막 걸이대
KR20090012548A (ko) 현수막 게시대
KR200331893Y1 (ko) 현수막 걸이대
KR102517408B1 (ko) 조립식 이동용 현수막 거치 조립체
KR20070076175A (ko) 현수막 게시대
US11574565B2 (en) Flag pole mechanism
KR101043516B1 (ko) 대형 시트광고물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시트광고물용 액자
KR101263620B1 (ko) 항상 펴져있는 깃발을 현수하는 깃대
KR200192999Y1 (ko) 현수막 지지대
KR200454286Y1 (ko)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한 현수막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