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814B1 -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814B1
KR101170814B1 KR20080072662A KR20080072662A KR101170814B1 KR 101170814 B1 KR101170814 B1 KR 101170814B1 KR 20080072662 A KR20080072662 A KR 20080072662A KR 20080072662 A KR20080072662 A KR 20080072662A KR 101170814 B1 KR101170814 B1 KR 10117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live object
latest information
liv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445A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7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지 확인 시점, 해당 시점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가 처한 환경 등의 변수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제공하고, 보다 현실감 있고, 살아있는 메시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라이브 오브젝트(Live Object)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 원본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며,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착신 단말기, 착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를 포함한다.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원본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착신 단말기에서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착신 단말기가 유무선통신망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착신 단말기가 메시지 내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72662
메시지, SMS, MMS, 라이브 오브젝트

Description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MESSAGE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CHANGEABLE AT THE POINT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시지 확인 시점, 해당 시점에서 발신자나 착신자가 처한 환경 등의 변수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제공하고,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유동적인 메시지 제공을 통해 보다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메시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자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서비스의 품질이나 종류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들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위치추적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메시지 서비스도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의 하나이며, 상용화된 메시지 서비 스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 있다. SMS는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이고, MMS는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상에서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성, 사진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나 웹(Web)을 통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그 메시지가 유무선통신망의 SMS 서버 또는 MMS 서버를 통해 지정된 착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런데,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발신자가 상대방의 착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보낼 당시에 고정적인 내용의 메시지를 결정하고, 발신 시점에 결정된 고정적인 내용의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로 인하여, 착신자가 자신이 받은 메시지를 확인할 당시에, 해당 메시지에 발신자나 착신자가 처한 환경에 부합되는 내용이 반영될 수 없고, 착신자는 변화된 상황이나 변화된 시간, 장소 등이 고려되지 않은 고정된 내용의 단조로운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므로, 최신의 정보나 적절한 감성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보다 현실감 있고 생동감 넘치는 메시지 서비스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시지 발신 시점 이후에 고정되지 않고, 발신자나 착신자의 변화된 미래 상황을 반영하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메시지의 현실감과 생동감을 높일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원본 메시지를 착신하고, 착신자에 의해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착신 단 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는, 원본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전송하는 고유코드 처리부; 착신측으로부터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 및 착신측으로부터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기는, 원본 메시지가 수신된 후, 상기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원본 메시지가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검사부; 상기 메시지 검사부의 검사 결과,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로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최신정보 확인부; 및 상기 원본 메시지 내의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상기 최신정보 확인부에서 얻어진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원본 메시지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상기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통신망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메시지 발신 시점 이후에 고정되지 않고, 발신자나 착신자의 변화된 미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메시지의 현실감이나 생동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20),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를 연동하는 유무선통신망(20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유무선통신망(200)에 접속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의 장치가 발신 단말기(110)로 사용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는 유무선통신망(200)에 접속하여 발신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발신한다. 메시지는 문자에서부터, 그래픽이나 사진, 음악, 비디오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까지 착, 발신측 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서,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가 여기에 해당한다.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라이브 오브젝트(Live Object)가 포함되어 있는 원본 메시지 및 해당 메시지의 상대방이 되는 착신 단말기(120)의 착신번호를 작성한 후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면, 발신 단말기(110)는 해당 원본 메시지를 발신하여 그 메시지를 유무선통신망(200)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 제공하게 된다.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 제공된 메시지는 지정된 착신번호를 갖는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착신 단말기(120)는 발신자가 작성한 원본 메시지의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로서, 유무선통신망(200)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에 접속하여 발신 단말 기(110)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제공받는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CDMA-2000폰 등 유무선통신망(200)에 접속해 메시지를 착신할 수 있는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120)로 사용될 수 있다.
유무선통신망(200)은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를 상호 연동하여 발, 착신자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망으로, WCDMA망, HSDPA망, WiBro망, 4G망 등의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인터넷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무선통신망(200)에 포함되는 장치는 망의 종류나 메시지 전달 경로, 발, 착신 단말기(120)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착신 단말기(12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된 원본 메시지를 착신하고, 착신자에 의해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해당 시점에서 유무선통신망(200)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무선통신망(200)으로부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가 수신되면, 착신 단말기(120)가 원본 메시지 내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수신된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생성된 원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원본 메시지 내에 라이브 오브젝트가 발견되면,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해당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를 질의한다. 이후,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가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를 전송하면, 라이브 오브젝트를 수신된 고유코드로 변환하고,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가 삽입된 원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0)로 발송한다.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를 비롯한 메시지는 SMS/MMS 메시지 등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 사용되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거치게 되는 장치로서, SMS 서버 또는 MMS 서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부터 메시지에 삽입된 키워드나 아이콘 등의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코드가 질의되면, 그 응답으로 해당 키워드나 아이콘 등의 고유코드를 전달한다. 또한,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가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가 포함된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한 이후, 착신 단말기(120)로부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해당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위치측위 서버(230)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가입자들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최신정보(예컨대, 날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착신자나 발신자의 위치가 필요한 경우(예컨대, 라이브 오브젝트가 착신자가 있는 장소의 날씨 정보를 정의하는 경우), 위치측위 서버(230)를 통해 이를 획득한다.
전술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인터넷의 정보제공 서버(310)와 연계될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310)는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로 활용 가능한 실시간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라이브 오 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탐색하여 탐색 결과를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제공한다.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라이브 오브젝트는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오브젝트로서,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점에서 발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이거나, 착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라이브 오브젝트의 종류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SMS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 해당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라이브 오브젝트는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가 된다.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는 발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이거나, 착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이다.
MMS 메시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경우, 해당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라이브 오브젝트는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가 된다.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는 라이브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아이콘 그래픽, 라이브 오브젝트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코드인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메시지 확인 시 라이브 오브젝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간이나 횟수를 지정하는 사용기간 또는 사용횟수를 포함한다.
발신자는 메시지를 보낼 때, 고정적인 문자열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구성된 메시지 대신에 메시지 확인 시점에 변환 가능한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상대방의 착신 단말기(120)로 보낸다.
착신 단말기(120)는 착신자가 메시지를 받아서 확인하는 순간에, 라이브 오 브젝트에 해당하는 문자열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하게 되므로, 발신자는 발신 시점 이후의 미래의 상황에 맞게 변화하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보낼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메시지의 경우에도, 유무선통신망(200)에서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가 아이콘과 함께 상대방의 착신 단말기(120)로 발송되면, 착신자가 그 아이콘을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시점에, 착신 단말기(120)가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지영상, 동영상 등)이나 최신정보 등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발신 시점 이후의 미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살아있는 최신정보를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한다. 착신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메시지를 다른 타인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및 착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고유코드 처리부(221), 제1 정보 제공부(222), 제2 정보 제공부(223), 제1 데이터베이스(224), 제2 데이터베이스(225)를 포함한다.
고유코드 처리부(221)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부터 원본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제1 데이터베이스(224)나 제2 데이터베이스(225)를 검색하여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추출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추출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 전송한다.
제1 정보 제공부(222)는 착신측으로부터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제2 정보 제공부(223)는 착신측으로부터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24)는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2 데이터베이스(225)는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있다.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에는 위치정보 확인부(226)가 추가될 수 있다.
위치정보 확인부(226)는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된 라이브 오브젝트가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얻어진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제1 정보 제공부(222)나 제2 정보 제공부(223)로 전달하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신 단말기(120)는 메시지 검사부(121), 최신정보 확인부(122), 메시지 업데이트부(123)를 포함한다.
메시지 검사부(121)는 원본 메시지가 수신된 후,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원본 메시지가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 인한다.
최신정보 확인부(122)는 메시지 검사부(121)의 검사 결과, 메시지 내에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시지 내에 있는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한다.
메시지 업데이트부(123)는 원본 메시지 내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 확인부(122)에서 얻어진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발신자가 메시지를 발송할 때 고정된 문자열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결정되어 있는 메시지를 보내는 대신,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상황에 맞는 유동적인 내용이 표시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즉, 메시지 작성 시, 고정된 내용 대신, 발신자의 상황 변화나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간과 장소 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라이브 오브젝트(문자열, 정지영상, 동영상 등)를 메시지에 삽입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이고 생동감 있는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S100 단계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발신된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원 본 메시지가 유무선통신망(200)을 통해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먼저, S110 단계에서,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110)를 이용해 메시지를 발송하되, 키워드나 아이콘 타입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원본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무선통신망(200)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 전달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메시지이거나,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라이브 오브젝트는, 메시지 확인 시점에서 발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이거나, 착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키워드 타입의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 화면(a)과 해당 키워드가 최신정보로 변환된 상태의 최종 메시지 화면(b), (c)를 예시하고 있다.
(a)에서와 같이, 발신자는 메시지 내용 중에 지정된 특수문자(예: #, $ 등)로 시작하는 단어를 라이브 오브젝트로서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발신한다. '#'이 발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로 정의된 경우, '#'으로 시작하는 키워드는 발신자의 시간, 장소를 기준으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이 착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로 정의된 경우, '$'으로 시작하는 키워드는 착신자의 시간, 장소를 기준으로 변환된다.
예컨대, (a)와 같이 '오늘 같은 $날씨엔 당신이 정말 생각납니다.'라는 원본 메시지가 발신된 경우, '$'는 착신자가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간, 장소의 날씨에 따라 최신정보로 변환되어 최종 메시지에 포함되며, 결과적으로 최종 메시지 내 의 라이브 오브젝트 키워드인 '$'는 (b), (c)와 같이 '비오는'이나 '맑은'으로 치환된다.
S120 단계에서, 원본 메시지를 전달받은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는 메시지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는 라이브 오브젝트(키보드나 아이콘 등)를 발견하고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해당 라이브 오브젝트를 전달하면서 그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를 질의한다.
S130 단계에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부터 전달받은 라이브 오브젝트를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로 변환하여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로 반환한다.
S140 단계 및 S150 단계에서,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는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던 라이브 오브젝트를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반환된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로 치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예컨대, 특수문자로 시작했던 라이브 오브젝트 키워드가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로 치환되어 착신측으로 전송된다.
S160 단계에서, 착신 단말기(120)는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 원본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체 저장한다.
S200 단계에서, 착신자가 착신 단말기(120)를 조작하여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을 요청하면, 착신 단말기(120)는 유무선통신망(200)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착신 단말기(120)는 메시지 내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한다.
S200 단계는 S210 단계 내지 S250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S100 단계를 통해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120)에 도착한 후, S210 단계에서, 착신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통해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면, 착신 단말기(120)는 해당 메시지에 라이브 오브젝트가 있음을 확인한 후, S220 단계로 진행하여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를 가지고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최신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올린다.
S230 단계 및 S240 단계에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착신 단말기(120)로부터 전달된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에 대한 해당 최신정보(문자열, 정지영상, 동영상, 표시좌표 등)를 획득하고, 이를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S250 단계에서, 착신 단말기(120)는 수신된 최신정보를 이용해 원본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 부분을 최신정보로 변환해 최종 메시지를 생성한 후 화면을 통해 착신자에 보여주게 된다.
예컨대, 도 4에서, 착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당시의 장소에서 비가 오는 경우, 메시지 내의 '$날씨'가 '비오는 날씨'로 치환되므로, '오늘 같은 $날씨엔 당신이 정말 생각납니다.'라는 원본 메시지로부터 '오늘 같은 비오는 날씨엔 당신이 정말 생각납니다.'라는 최종 메시지가 생성되어 착신 단말기(120)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착신자나 발신자의 위치측위 과정을 통해 착신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업데이트할 최신정보를 획 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장소의 날씨 정보를 확인한 후, 라이브 오브젝트를 그에 맞는 날씨문구로 치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보낼 때, 고정된 문자열이 아닌 라이브 오브젝트 키워드를 삽입시켜 상대방에게 보내면, 상대방이 메시지를 받아서 확인하는 순간에 메시지에 삽입되어 있는 라이브 오브젝트 키워드에 해당하는 내용을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전달받아 보여주게 되므로, 미래의 상황에 맞는 유동적인 문자열을 보낼 수 있다.
S200 단계를 통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자는 해당 메시지를 다른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송하거나, 포워딩 형식으로 다른 착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해당 메시지의 재사용 시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는 메시지 재확인 시점에 맞춰 최신정보로 다시 업데이트된다. S300 단계는 이러한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S310 단계 및 S320 단계에서, 착신자 조작에 의해 착신 단말기(120)에서 메시지 확인이 다시 요청되면, 착신 단말기(120)가 원본 메시지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횟수를 검사하여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유효한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라이브 오브젝트의 사용기간이나 사용횟수가 지정되지 않고, 유효성 여부에 무관하게 메시지 재사용이 가능한 경우 S320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S320 단계의 확인 결과, 원본 메시지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유효하면, 착신 단말기(120)가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로 진행하여 유무선통신망(200) 내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다시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재수신한다.
S350 단계에서, 착신 단말기(120)는 원본 메시지 내의 라이브 오브젝트를 재수신된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재생성한 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S320 단계의 확인 결과, 원본 메시지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유효하지 않으면, 착신 단말기(120)는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를 수행하는 대신 S360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생성되어 있던 최종 메시지를 다시 표시한다. S360 단계의 최종 메시지는 최신정보가 다시 업데이트되지 않은 상태의 메시지로서, S250 단계의 최종 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을 갖게 된다.
도 5는 아이콘 타입의 라이브 오브젝트(RA)가 포함되어 있는 원본 메시지 화면(a)과 해당 아이콘이 최신정보로 변환된 상태의 최종 메시지 화면(b), (c)를 예시하고 있다.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발신자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에 접속한 후, 무선데이터 통신을 이용해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을 발신 단말기(110)에 미리 다운로드해 둘 수 있다.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는 라이브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아이콘 그래픽, 라이브 오브젝트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코드인 라이브 오브젝트 고유코드, 착신자의 메시지 확인 시 라이브 오브젝트가 업데이트되는 기간 및 횟수를 지정하는 사용기간 및 사용횟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발송 시에는, 발신자가 영상 등의 메시지 속에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을 삽입하여 발송한다.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RA)의 최신정보를 전달받은 착신 단말기(120)는 표시된 아이콘을 최신정보로 대체한 화면을 착신자에게 보여준다.
예컨대, 발신자가 메시지를 보낼 때, 상대방이 메시지를 확인하는 시점의 날씨 영상을 표현하고자 한다면, 상대방이 어느 장소에서 언제 메시지를 확인할 지 알 수 없으므로, (a)와 같이 메시지 내에 '상대방 날씨'에 해당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 RA)를 삽입하여 발송한다.
메시지 확인 시점에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는 '상대방 날씨'라는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을, 메시지 확인 시점에 해당하는 시간과, 해당 시점에서 착신자가 위치한 장소의 날씨에 맞는 그래픽 영상으로 변환하며, 착신 단말기(120)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해당 그래픽 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메시지 내용과 함께 표시한다. 혹은, 착신 단말기(120)가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날씨 상태만 전달받은 후, 자체적으로 준비된 영상으로 표시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착신자가 비오는날 주간에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비오는날 야간에 동일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자가 여러 차례 동일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의 사용기간이나 횟수가 만료되지 않았으면, 착신 단말기(120)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220)로부터 다시 새로운 최신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 준다. 또한, 사용기간이나 횟수가 만료되지 않은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의 경우, 착신자가 이를 다른 메시지 작성 시에 포함시켜서 다른 착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확인 이후, 착신자가 동일 메시지를 다시 확인하는 경우, 그 시점에 따라 라이브 오브젝트의 내용은 다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예컨대, 영상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라이브 오브젝트 아이콘을 착신자에게 보낸 후, 확인하는 사람이 그 아이콘을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그 순간에 아이콘에 해당하는 영상(정지영상, 동영상)이나 정보 등을 보여주게 된다. 그러므로, 미래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살아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대방에 전달하고, 상대방은 그 아이콘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타인에게 전달할 수도 있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통신망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메시지 확인 시점, 해당 시점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가 처한 환경 등의 변수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유동적인 메시지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보다 현실감 있고, 살아있는 메시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및 착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발신 단말기 120: 착신 단말기
200: 유무선통신망 210: 메시지 서비스 센터
220: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230: 위치측위 서버
310: 정보제공 서버

Claims (15)

  1.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원본 메시지를 착신하고, 착신자에 의한 메시지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원본 메시지가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로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착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탐색하여 탐색 결과를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가입자들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로 제공하는 위치측위 서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는,
    메시지 확인 시점에서 발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이거나, 착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는,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이거나,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는,
    발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이거나, 착신자 상황지정 특수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는,
    라이브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아이콘 그래픽, 라이브 오브젝트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코드인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메시지 확인 시 라이브 오브젝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간이나 횟수를 지정하는 사용기간 또는 사용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8. 원본 메시지 내 라이브 오브젝트의 고유코드에 대한 질의가 수신되면, 그 응답으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를 전송하는 고유코드 처리부;
    착신측으로부터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 및
    착신측으로부터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되면, 그 응답으로 최신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라이브 오브젝트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요청된 라이브 오브젝트가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정보 제공부나 상기 제2 정보 제공부로 전달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에 대한 최신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라이브 오브젝트 서버.
  11. 원본 메시지가 수신된 후, 상기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원본 메시지가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검사부;
    상기 메시지 검사부의 검사 결과, 라이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원본 메시지로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 여,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최신정보 확인부; 및
    상기 원본 메시지 내의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상기 최신정보 확인부에서 얻어진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기.
  12.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라이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원본 메시지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상기 원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통신망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 내의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는,
    메시지 확인 시점에서 발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이거나, 착신자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는,
    키워드 타입의 텍스트형 라이브 오브젝트이거나, 아이콘 타입의 멀티미디어형 라이브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확인이 다시 요청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원본 메시지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횟수를 검사하여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상기 원본 메시지의 최신정보 업데이트가 유효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유무선통신망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 업데이트를 다시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의 최신정보를 재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원본 메시지 내의 상기 라이브 오브젝트를 상기 재수신된 최신정보로 변환하여 최종 메시지를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80072662A 2008-07-25 2008-07-25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662A KR101170814B1 (ko) 2008-07-25 2008-07-25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662A KR101170814B1 (ko) 2008-07-25 2008-07-25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45A KR20100011445A (ko) 2010-02-03
KR101170814B1 true KR101170814B1 (ko) 2012-08-02

Family

ID=4208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2662A KR101170814B1 (ko) 2008-07-25 2008-07-25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04B1 (ko) 2009-10-15 2011-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WO2021167136A1 (ko) * 2020-02-21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cs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rcs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530B1 (ko) * 2005-12-02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텍스트를 반영한 문자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530B1 (ko) * 2005-12-02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텍스트를 반영한 문자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45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161B2 (en) Linking sounds and emoticons
US8942675B2 (en) System,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enriching contact of a remote client
US8010338B2 (en) Dynamic modification of a messaging language
US201602836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Queries Initiated by Users of Mobile Devices
KR20060120053A (ko) 입력 예측 방법
US2008000526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utomatic Delivery of Information to a Terminal
US20100211868A1 (en) Context-enriched microblog posting
MX2008013561A (es) Lista de contactos.
JP2002202936A (ja) 情報収集サーバ及び情報収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20060212818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WO2007008050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ashcon in a instant messenger of a mobile device
US9047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andwriting animation message
KR101170814B1 (ko) 확인 시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제공하는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47526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KR100473147B1 (ko) 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제공방법
JP2007219763A (ja) 日記サーバ、および日記システム
KR20070088882A (ko) 폰트데이터가 내장된 문서포맷을 이용한 모바일 문서전달시스템 및 전달 방법
KR10072652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전송완료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수정 방법
KR101354020B1 (ko)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어 db 생성 방법, 단어 자동 완성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TW200806003A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ddress boo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296861B1 (ko) 스미싱 탐지 시스템
KR100763075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대기화면 자동 설정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101870981B1 (ko) 앱 버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64577B1 (ko) 단말장치 및 스마트카드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646400B1 (ko) 컨텐츠 제공자 정보가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