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000B1 -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 Google Patents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000B1
KR101170000B1 KR1020100078167A KR20100078167A KR101170000B1 KR 101170000 B1 KR101170000 B1 KR 101170000B1 KR 1020100078167 A KR1020100078167 A KR 1020100078167A KR 20100078167 A KR20100078167 A KR 20100078167A KR 101170000 B1 KR101170000 B1 KR 10117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nozzle
human body
contain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762A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김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철 filed Critical 김승철
Priority to KR102010007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0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생활용품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공급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시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전원 절약형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는, 각종 생활용품으로 사용되는 액체를 저장하며, 일단부에는 액체 분사관을 구비한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를 흡상시키기 위한 흡상력을 제공하는 기어 펌프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기어 펌프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일단은 기어 펌프의 액체 흡입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 용기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흡입관과, 일단은 기어 펌프의 액체 토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 분사관에 연결된 토출관과, 인체 접근 감지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Vessel having automatic liquid injection function with sensor}
본 발명은 각종 생활용품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공급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접근을 감지시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전원 절약형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샴푸, 헤어젤(hair gel) 및 주방용 세제 등과 같은 각종 생활용품은 소정 형상의 용기에 액체 혹은 젤(gel) 상태로 용기에 담겨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생활용품이 담긴 용기는 상단(혹은 하단)에 밀폐 뚜껑을 구비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흡상 펌프와 분사 노즐 및 누름 버튼을 구비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밀폐 뚜껑을 구비한 용기는 사용시에는 당해 밀폐 뚜껑을 열어 소량을 덜어낸 다음 다시 밀폐 뚜껑을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이상과 같은 번거로움을 없애도록 누름 버튼을 누르면 흡상 펌프가 동작하여 분사 노즐을 통해 액체(혹은, 젤) 상태의 생활용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누름 버튼을 강한 힘으로 눌러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각종 생활용품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공급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접근을 감지시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전원 절약형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는, 각종 생활용품으로 사용되는 액체를 저장하며, 일단부에는 액체 분사관을 구비한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를 흡상시키기 위한 흡상력을 제공하는 기어 펌프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기어 펌프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일단은 상기 기어 펌프의 액체 흡입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 용기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흡입관과; 일단은 상기 기어 펌프의 액체 토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 분사관에 연결된 토출관과; 상기 액체 용기의 외부에 부착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인체 접근 감지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 절약을 위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 감지 센싱 신호로서 유휴(IDLE)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휴 신호를 통해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동작 펄스를 연속하여 복수개 송출하여 인체 감지를 재확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용기의 외주면에는 분사량 조절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량 조절 스위치의 조절축은 상기 액체 용기 내부의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량 조절 스위치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관의 토출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 인서트 및 노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인서트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와, 상기 노즐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액체 이동홈 및 상기 노즐 몸체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액체 이동홈과 연결된 분사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커버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액체 이동홈 및 분사 홈을 통과해 제공된 액체가 분출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관의 토출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 인서트 및 노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인서트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 및 상기 노즐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액체 이동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커버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액체 이동홈을 통과해 제공된 액체가 분출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회전용 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용 날개는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상기 분사관 내부로 끼워져, 상기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에 의해 상기 노즐 인서트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의하면, 인체의 접근을 감지시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전원 절약형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내접기어 펌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노즐 인서트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노즐 인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센서 펄스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액체를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젤(gel)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설명할 '액체'는 순수 액체는 물론 젤을 포함한 그 외 각종 분사 가능한 상태의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내접기어 펌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노즐 인서트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노즐 인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의 센서 펄스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는 액체 용기(110)와, 내접기어 펌프(120)와, 구동모터(130)와, 전원부(140)와, 제어부(150)와,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와, 노즐 인서트(170)(nozzle insert)와 노즐 커버(180)로 이루어진 분사노즐(170, 180)과, 흡입관(N1)과, 토출관(N2) 및 인체감지센서(S)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체감지센서(S)에서 손 등 신체의 일부를 감지하면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모터(130)가 내접기어 펌프(120)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액체 용기(110)에 저장된 액체가 흡입관(N1)을 통해 흡입된 다음 토출관(N2)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노즐 커버(180) 내에 위치한 노즐 인서트(170)를 통해 액체를 분사 및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를 조절하면, 제어부(150)의 구동모터(130) 동작 시간이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의 조절 정도에 따라 길게 혹은 짧게 설정되어, 액체 분사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체 용기(110)는 화장품, 샴푸, 헤어젤(hair gel) 및 주방용 세제 등과 같은 각종 생활용품(이하, '액체'라 함)을 담아 저장하는 것으로, 병 모양의 저장부(111)와, 상기 저장부(111)의 상측에 구비된 장치부(112)와, 상기 장치부(112)의 상단에 구비된 용기 헤드(113)(head) 및 상기 용기 헤드(113)로부터 일측으로 분기된 액체 분사관(11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병 모양의 저장부(111)에는 액체를 저장하고, 장치부(112)에는 내접기어 펌프(120), 구동모터(130) 및 전원부(140) 등의 장치들이 설치되며, 용기 헤드(113)의 내측에는 제어부(150)가 설치됨과 동시에 외측에는 인체감지센서(S)가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내접기어 펌프(120)는 액체 용기(110) 내부 즉, 액체 용기(110)의 장치부(112)에 설치된 상태에서, 액체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이송시키는데 사용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종의 소용량 유압 펌프이다.
한편, 내접기어 펌프(120)는, 도 2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펌프 몸체(121)와, 상기 펌프 몸체(121)의 내측에 설치된 외접기어(122)와, 상기 외접기어(122)의 내측에 맞물린 내접기어(123)와, 상기 펌프 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되 펌프 몸체(121)의 내측과 연통된 액체 흡입공(121a) 및 상기 펌프 몸체(121)의 타측에 형성되되 역시 펌프 몸체(121)의 내측과 연통된 액체 토출공(121b)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30)에 의해 내접기어(123)가 회전하면 그에 맞물린 외접기어(122) 역시 회전하고, 이때 내접기어(123)와 외접기어(122)가 맞물리는 곳과 맞물림이 이탈하는 곳에서 각각 공간용적이 변화하면 이를 통해 소형 유압펌프의 역활을 하게 된다. 즉, 액체 흡입공(121a)을 통해 흡입된 액체가 액체 토출공(121b)을 통해 토출되는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내접기어 펌프(120) 자체는 자동차 연료 공급 기술분야 및 그 외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접기어 펌프(120)를 사용하였으나, 외접기어 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모터(130)는 내접기어 펌프(120)의 내접기어(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회전축이 내접기어(123)와 연결되어 있다.
전원부(140)는 구동모터(130)를 비롯한 제어부(150) 및 인체감지센서(S) 등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BA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 외 220V 60Hz의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변환하는 변압기(미도시) 및 그 외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전원공급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구동모터(130)의 동작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내접기어 펌프(120)에 의한 액체의 분사여부 및 분사량을 조절함은 물론, 그 외 인체감지센서(S)의 동작 제어 및 인체 감지신호의 분석을 통한 구동모터(130)의 제어 등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용기(110)의 용기 헤드(113) 내측에 설치된다.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는 액체 용기(110)의 외측 상단에 설치되되, 당해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의 조절축(미도시)은 액체 용기(11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체 용기(110)의 외측에 돌출된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를 조절하면 그 조절축에 의해 제어부(150)의 설정 상태를 바꿀 수 있게 한다.
제어부(150)의 설정은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의 조절축과 연결된 가변 저항기(미도시)의 저항값을 변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에 의한 설정 대상은 구동모터(130)의 동작 시간이다. 즉,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를 조작하면 제어부(150)에 의한 구동모터(130)의 동작 시간을 길게 혹은 짧게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1회 분사되는 액체의 분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작 시간은 사용처나 용도 등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며, 가정용의 경우는 1-2초(sec)가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론,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또 다른 조절 스위치로서 센서 조절 스위치(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이러한 센서 조절 스위치 역시 조절축을 통해 제어부(150)와 연결시키면, 센서 조절 스위치를 통해 인체감지센서(S)의 인체 감지신호 송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좀더 상세한 아래에서 한다.
분사노즐의 일 구성인 노즐 인서트(170, 170')는 액체의 분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액체 용기(110)에 구비된 액체 분사관(114)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액체 분사관(114)을 통해 공급된 액체를 분사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노즐 인서트(170, 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분무(spray) 형식으로 분사하는 분무형 노즐 인서트(170),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물줄기 형식으로 분사하는 물줄기형 노즐 인서트(17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분무형 노즐 인서트(170)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171)와, 상기 노즐 몸체(17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액체 분사관(114)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72)와, 노즐 몸체(171)의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액체 이동홈(171a) 및 노즐 몸체(171)의 상면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되 액체 이동홈(171a)과 연결된 분사 홈(171b)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결합돌기(172)의 외주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용 날개(17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회전용 날개(173)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결합돌기(172)의 직경은 액체 분사관(114)의 내경보다 작아서 상기 액체 분사관(114)을 통한 액체의 공급을 막지 않도록 하고, 바람직하게 회전용 날개(173)와 액체 이동홈(171a)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172)를 액체 분사관(114)의 내측에 삽입하여 분무형 노즐 인서트(170)을 조립하면, 액체 분사관(114)을 통해 공급된 액체가 액체 이동홈(171a)을 따라 이동한 다음 분사 홈(171b) 내에서 기폭되어 분무 형식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회전용 날개(173)는 결합돌기(172)와 함께 액체 분사관(114)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액체 분사관(114)의 내주면에는 접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액체 분사관(114)을 통해 액체가 분사시 그 분사 압력을 받는 회전용 날개(173)에 의해 노즐 인서트(170) 전체가 회전되게 하고, 그에 따라 분사 홈(171b)과 함께 액체가 더욱 미세한 분무 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줄기형 노즐 인서트(170')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171')와, 노즐 몸체(17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액체 분사관(114')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72') 및 노즐 몸체(171')의 측면에 형성된 액체 이동홈(171a')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물줄기형 노즐 인서트(170') 역시 결합돌기(17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용 날개(17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물줄기형 노즐 인서트(170')는 위에서 설명한 분무형 노즐 인서트(170)와 비교하여 노즐 몸체(171')의 상면 중심부에 분사 홈(171b)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급된 액체에 기폭이 발생하지 않고 일반적인 물줄기 형상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게 한다.
분사노즐의 또 다른 일 구성인 노즐 커버(180)는 상기 노즐 인서트(170, 17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뚜껑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 중심측에는 액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커버(180)는 그 하측 연단부에 억지끼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 분사관(114)에 억지끼움되거나, 혹은 그 내측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 분사관(114)에 나사 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물론, 그에 대응하여 액체 분사관(114)에는 억지끼움 홈이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노즐 커버(180)가 조립되면 그 내측에 위치한 노즐 인서트(170, 170')를 보호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 및 지지하며, 노즐 인서트(170, 170')를 통해 분사된 액체가 분사공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흡입관(N1) 및 토출관(N2)은 내접기어 펌프(120)에 의해 제공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액체 용기(110)의 저장부(111)에 저장된 액체를 액체 용기(110)의 액체 분사관(114)까지 흡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흡입관(N1)은 일단은 내접기어 펌프(120)의 액체 흡입공(12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 용기(110)의 하단부(즉, 저장부(111))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관(N2)은 일단은 내접기어 펌프(120)의 액체 토출공(121b)에 연결되고, 타단은 액체 분사관(114)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30)가 작동하여 내접기어 펌프(120)가 흡입력을 제공하면, 액체 용기(110)의 저장부(111) 바닥면까지 연장된 흡입관(N1)을 따라 액체가 흡상되고, 그 흡상된 액체는 내접기어 펌프(120)의 액체 흡입공(121a)으로 입력되었다가 액체 토출공(121b)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된 액체는 토출관(N2)을 따라 흡상되어 액체 액체 분사관(114)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인체감지센서(S)는 액체 용기(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인체 접근 감지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사되는 액체를 공급받아 사용하기 위해 손 등 신체의 일부가 접근하는 것을 적절히 감지하도록 액체 분사관(114) 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감지신호 출력단은 신호 케이블 등을 통해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손을 액체 분사관(114)에 가까이 접근키면 인체감지센서(S)가 인체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감지신호가 제어부(150)로 전송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가 구동모터(130)를 동작시켜 저장부(111)에 저장된 액체가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다만, 제어부(150)는 인체감지센서(S)가 인체 감지 센싱 신호로서 유휴(IDLE)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휴 신호를 통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동작 펄스를 연속하여 복수개 송출하여 인체 감지를 재확인하도록 제어하여 전원 및 액체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에 일 예로 도시한 인체감지센서(S)의 센싱 신호(혹은, 펄스) 열(P1 내지 Pn)과 같이, 평상시에는 약 1초 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S)가 센싱 신호(P1 내지 Pn)를 송출하다가 특정 센싱 신호(P3)를 통해 손의 접근을 감지하면, 그 후에는 약 0.1초 간격으로 5개의 동작 펄스(PS)를 송출시키고, 그 5개의 동작펄스(PS)들 모두를 통해 여전히 손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제어부(150)에서 구동모터(130)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유휴 신호(P1 내지 Pn)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하고, 또한 손 감지시에는 5개의 동작 펄스(PS)를 송출하여 이들을 통해 여전히 손이 감지된 경우에만 구동모터(130)가 동작되도록 하여, 실수로 손을 가져다 댄 경우 등에는 구동모터(13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액체의 낭비 역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평상시에는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다가 이상과 같이 실제 손을 감지한 경우에만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이를 통해서도 전원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액체 용기 120: 내접기어 펌프
130: 구동모터 140: 전원부
150: 제어부 160: 분사량 조절 스위치
170, 170': 노즐 인서트 180: 노즐 커버
N1: 흡입관 N2: 토출관
S: 인체감지센서

Claims (6)

  1. 각종 생활용품으로 사용되는 액체를 저장하며, 일단부에는 액체 분사관(114,114')을 구비한 액체 용기(110)와;
    상기 액체 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를 흡상시키기 위한 흡상력을 제공하는 기어 펌프(120)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기어 펌프(120)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30)와;
    일단은 상기 기어 펌프(120)의 액체 흡입공(12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 용기(1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흡입관(N1)과;
    일단은 상기 기어 펌프(120)의 액체 토출공(121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액체 분사관(114,114')에 연결된 토출관(N2)과;
    상기 액체 용기(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인체 접근 감지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체감지센서(S); 및
    상기 액체 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S)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용기(110)의 외주면에는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의 조절축은 상기 액체 용기(110) 내부의 상기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량 조절 스위치(160)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13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전원 절약을 위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S)가 인체 감지 센싱 신호로서 유휴(IDLE)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휴 신호를 통해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동작 펄스를 연속하여 복수개 송출하여 인체 감지를 재확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관(114)의 토출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 인서트(170) 및 노즐 커버(18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인서트(170)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171)와, 상기 노즐 몸체(17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체 분사관(114)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72)와, 상기 노즐 몸체(171)의 측면에 형성된 액체 이동홈(171a) 및 상기 노즐 몸체(171)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액체 이동홈(171a)과 연결된 분사 홈(17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커버(18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액체 이동홈(171a) 및 분사 홈(171b)을 통과해 제공된 액체가 분출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관(114')의 토출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 인서트(170') 및 노즐 커버(18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인서트(170')는 블록 형상의 노즐 몸체(171')와, 상기 노즐 몸체(17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액체 분사관(114')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72') 및 상기 노즐 몸체(171')의 측면에 형성된 액체 이동홈(171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커버(180)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액체 이동홈(171a')을 통과해 제공된 액체가 분출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72,172')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회전용 날개(173,17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용 날개(173,173')는 상기 결합돌기(172,172')와 함께 상기 액체 분사관(114,114') 내부로 끼워져, 상기 액체 분사관(114,114')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에 의해 상기 노즐 인서트(170,170')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100).




KR1020100078167A 2010-08-13 2010-08-13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KR10117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67A KR101170000B1 (ko) 2010-08-13 2010-08-13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67A KR101170000B1 (ko) 2010-08-13 2010-08-13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62A KR20120015762A (ko) 2012-02-22
KR101170000B1 true KR101170000B1 (ko) 2012-07-31

Family

ID=4583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67A KR101170000B1 (ko) 2010-08-13 2010-08-13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965B1 (ko) * 2016-10-11 2017-08-21 박종국 액상생활용품을 자동/수동으로 토출하는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6179B2 (en) * 2016-12-21 2019-11-26 L'oreal Dispensers with sensors to detect surfaces and surface characteristics
KR101950809B1 (ko) * 2017-05-24 2019-02-22 주식회사 다린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965B1 (ko) * 2016-10-11 2017-08-21 박종국 액상생활용품을 자동/수동으로 토출하는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62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178A1 (en) Advanced Drip Filter Coffee Maker
KR101278532B1 (ko)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US8807455B2 (en) Sprayer
US20130075420A1 (en) Fluid Dispenser with Cleaning/Maintenance Mode
JP3917423B2 (ja) 容器と保護穿孔手段付き取り付け手段とを備える小出し装置
US8939325B2 (en) Dispenser for a foaming liquid composition with improved foam recovery feature
US20080083845A1 (en) Handheld sprayer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170000B1 (ko) 센싱형 액체 자동분사 용기
WO2001010563A1 (en) A device with improved fitment system
JP6526393B2 (ja) 電動ディスペンサー
EP1880105A2 (en) A battery operated spray head having an improved housing
US20130134183A1 (en) Liquid delivery system
WO2005060685A3 (en) Power sprayer
WO2005037441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ttery powered hand-held sprayer with remote spray gun assembly
JP6275554B2 (ja) 電動ディスペンサー
KR102205873B1 (ko) 미스트 분사기
KR20140000362A (ko)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CA2654904A1 (en) Handheld sprayer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4225280B2 (en) Liquid spray dispenser system
CA2501687A1 (en) Decontamination liquid spraying apparatus
EP4026464A1 (en) Portable electrical bidet device
KR100348433B1 (ko) 손 소독기
KR200187881Y1 (ko) 화장용 액제 디스펜서
KR20170062232A (ko) 여성 청결제 스프레이 용기
WO2009131411A2 (ko) 두발 세정용 폼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